본문 바로가기

三國遺事

(140)
卷第四 義解 第五- 寶壤梨木 寶壤梨木 釋寶壤傳 不載鄕井氏族 謹按淸道郡司籍載 “天福八年癸卯[大祖卽位 第二十六年也]正月日 淸道郡界里審使順英 大乃末水文等 柱貼公文 雲門山禪院長生 南阿尼岾 東嘉西峴.[云云] 同藪三綱典主人寶壤和尙 院主玄會長老 典座玄兩上座 直歲信元禪師.”[右公文 淸道郡 都田帳傳准] 석보양전 부재향정씨족 근안청도군사적재 천복팔년계묘[대조득위 제이십육년야]정월일 청도군계리심사순영 대내말수문등 주첩공문 운문산선원장생 남아니점 동가서현[운운] 동수삼강전주인보양화상 원주현회장노 전좌현양상좌 직세신원선사[우공문 청도군 도전장전준] 승려 보양(寶壤)의 전기에는 그의 고향과 성씨가 실려 있지 않다. 청도군(淸道郡)의 문서를 살펴보면 이러한 기록이 있다. “천복(天福) 8년 계묘(서기 943)[고려 태조가 왕위에 오른 지 26년이다.] 정월 ..
卷第四 義解 第五- 圓光西學 圓光西學 唐續高僧傳第十三卷載 新羅皇隆寺釋圓光 俗姓朴氏. 本住三韓 光卽辰韓人也 家世海東 祖習綿遠 而神器恢廓 愛染篇章 校獵玄儒 討讐子史. 文華騰翥於韓服 博贍猶愧於中原. 遂割略親朋 發憤溟渤. 年二十五 乘舶造于金陵. 有陳之世 號稱文國. 故得諮考先疑 詢猷了義. 당속고승전제십삼권재 신라왕륭사석권광 속성박씨. 본주삼한 광즉진한인야. 가세해동 조습면원 이신기회확 애염편장 교렵현유 토수자사. 문화등저어한복 박섬유괴어중원. 수할략친붕 발분명발 연이십오 승박조우금릉 유진지세 호칭문국 고득자고선의 순유료의. 당나라 『속고승전(續高僧傳)』 제13권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신라 황륭사(皇隆寺, 황룡사(皇龍寺)를 말한다.)의 승려 원광(圓光)의 속세의 성은 박씨이다. 본래 삼한(三韓, 변한ㆍ진한ㆍ마한을 말한다.)에 살았는데, ..
券 第三 塔像 第四- 五臺山 文殊寺 石塔記 五臺山 文殊寺 石塔記 庭畔石塔 盖新羅人所立也. 制作雖淳朴不巧 然甚有靈響 不可勝記. 就中一事 聞之諸古老 云 “昔連谷縣人 具舡沿海而漁 忽見一塔隨逐舟楫. 凡水族見其影者 皆逆散四走 以故漁人 一無所得 不堪憤恚 尋影而至 盖此塔也. 於是共揮斤斫之而去. 今此塔四隅皆缺者以此也.” 정반석탑 개신라인소립야. 제작수순박불교 연심유영향 불가승기. 취중일사 문지제고노 운 “석연곡현안 구강연해아어 홀견일탑수축주즙. 범수족견기영자 개역산사주 이고어인 일무소득 불심분에 심영이지 개차탑야. 어시공휘근작지이거. 금차탑사우개결자이차야.” 정원에 있는 석탑은 신라 사람이 세운 것 같다. 비록 순박하여 정교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영험이 매우 많아서 이루 다 기록할 수 없다. 그중 여러 옛 노인들에게 들은 한 가지만 기록하면 이러하다. “옛날 ..
券 第三 塔像 第四- 五臺山 文殊寺 石塔記 五臺山 文殊寺 石塔記 庭畔石塔 盖新羅人所立也. 制作雖淳朴不巧 然甚有靈響 不可勝記. 就中一事 聞之諸古老 云 “昔連谷縣人 具舡沿海而漁 忽見一塔隨逐舟楫. 凡水族見其影者 皆逆散四走 以故漁人 一無所得 不堪憤恚 尋影而至 盖此塔也. 於是共揮斤斫之而去. 今此塔四隅皆缺者以此也.” 정반석탑 개신라인소립야. 제작수순박불교 연심유영향 불가승기. 취중일사 문지제고노 운 “석연곡현안 구강연해아어 홀견일탑수축주즙. 범수족견기영자 개역산사주 이고어인 일무소득 불심분에 심영이지 개차탑야. 어시공휘근작지이거. 금차탑사우개결자이차야.” 가에 있는 석탑은 신라 사람이 세운 것 같다. 비록 순박하여 정교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영험이 매우 많아서 이루 다 기록할 수 없다. 그중 여러 옛 노인들에게 들은 한 가지만 기록하면 이러하다. “옛날 연..
券 第三 塔像 第四- 有德寺 有德寺 新羅太大角干崔有德 捨私第爲寺 以有德名之 遠孫三韓功臣崔彦撝 掛安眞影 仍有碑云. 신라태대각간최유덕 사사제위사 이유덕명지 원손삼한공신최언위 괘안진영 잉유비운. 신라 태대각간(太大角干) 최유덕(崔有德)이 자기 집을 희사하여 절로 만들었다. 그리고 ‘유덕’으로 이름을 삼았다. 그의 먼 후손인 삼한공신 최언위(崔彦撝)가 최유덕의 초상화를 걸어 모셔 두고 또 비도 세웠다고 한다.
券 第三 塔像 第四- 靈鷲寺 靈鷲寺 寺中古記云 “新羅眞骨第三十一主神文王代 永淳二年癸未[本文云元年 誤] 宰相忠元公 萇山國[卽東萊縣 亦名萊山國] 溫井沐浴 還城次 到屈井驛桐旨野駐歇. 忽見一人放鷹而逐雉 雉飛過金岳 杳無蹤迹 聞鈴尋之 到屈井縣官北井邊. 鷹坐樹上 雉在井中 水渾血色 雉開兩翅 抱二雛焉. 鷹亦如相惻隱 而不敢攫也. 公見之惻然有感 卜問此地 云可立寺. 歸京啓於王 移其縣於他所 創寺於其地 名靈鷲寺焉.” 사중고기운 “신라진골제삼십일주신문왕대 영순이년계미[본문운원년 오] 재상충원공 장산국[즉동래현 역명래산국] 온정목용 환성차 도축정역동지야주헐. 홀견일인방응이축치 치비과금악 사무종적. 문영심지 도굴정현관북정변. 응좌수상 치재정중 수혼혈색 치개양시 포이추언. 응역여상측은 이불감확야. 공견지측연유감 복문차지 운가입사. 귀경계어왕 이기현어타소 창사어기지..
券 第三 塔像 第四- 伯嚴寺 石塔 舍利 伯嚴寺 石塔 舍利 開運三年丙午十月二十九日 康州界任道大監柱貼云 “伯嚴禪寺坐草八縣[今草溪] 寺僧侃遊上座 年三十九 云寺之經始則不知.” 개운삼년병오시월이십구이르 강주계임도대감주첩운 “백엄선사좌초팔현[금초계] 사승간유상좌년삼십구 운사지경시즉부지.” 개운(開運) 3년 병오(서기 946) 10월 29일에 강주(康州) 지역의 임도대감주첩(任道大監柱貼)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선종의 백엄사(伯嚴寺)는 초팔현(草八縣)[지금의 초계(草溪)이다.]에 있는데, 절의 승려 간유(侃遊) 상좌는 나이가 39세라고 하며, 절을 처음 세운 때는 알지 못한다고 하였다.” 但古傳云 前代新羅時 北宅廳基捨置玆寺 中間久廢 去丙寅年中 沙木谷陽孚和尙 改造住持 丁丑遷化. 단고전운 전대신라시 북택청기사치자사 중간구폐 거병인년중 사목곡양부화상 개조주..
券 第三 塔像 第四- 鍪藏寺 彌陀殿 鍪藏寺 彌陀殿 京城之東北二十許里 暗谷村之北 有鍪藏寺. 第三十八元聖大王之考 大阿干孝讓追封明德大王之爲叔父波珍飡追崇所創也. 幽谷逈絶 類似削成 所寄冥奧 自生虛白 乃息心樂道之靈境也. 경성지동북이십허리 암곡촌지북 유무장사. 제삼십팔원성대왕지고 대아간쳐양추봉명덕대왕지위숙부파진찬추숭소창야. 유곡향절 유사삭성 소기명오 자생허백 내식심악도지영경야. 서울 동북쪽 20리쯤 암곡촌(暗谷村) 북쪽에 무장사가 있었다. 신라 제38대 원성대왕(元聖大王)의 돌아가신 아버지 대아간(大阿干) 효양(孝讓), 즉 추봉된 명덕대왕(明德大王)이 숙부 파진찬(波珍飡)을 추모하여 세운 절이다. 그윽한 골짜기는 너무나 험준하여 마치 깎아 세운 것 같고, 절이 있는 곳은 깊고 어두워서 저절로 마음이 텅 비고 순박해질 것이니, 마음을 쉬고 도를 즐길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