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史記

(125)
太史公自書 (太史公自序) <아버지 사마담까지의 사마씨 집안 내력> 昔在顓頊, 命南正重以司天, 北正黎以司地. 唐虞之際, 紹重黎之後, 使複典之, 至於夏商, 故重黎氏世序天地. 其在周, 程伯休甫其後也. 當周宣王時, 失其守而為司馬氏. 司馬氏世典周史. 恵襄之閒, 司馬氏去周適晉. 晉中軍隨會奔秦..
列傳-貨殖列傳 (貨殖列傳) <부의 이치> 老子曰:「至治之極, 鄰國相望, 雞狗之聲相聞, 民各甘其食, 美其服, 安其俗, 樂其業, 至老死不相往來.」必用此為務, 輓近世塗民耳目, 則幾無行矣. 노자왈 ‘지치지극 린국상망 계구지성상문 민각감기식 미감복 안기속 요기업 지노사불상왕래’ 필용차위무 ..
列傳-龜策列傳 列傳-龜策列傳 太史公曰:自古聖王將建國受命, 興動事業, 何嘗不寶蔔筮以助善! 唐虞以上, 不可記已. 自三代之興, 各拠禎祥. 塗山之兆従而夏啓世, 태사공왈 자고성왕장건국수명 흥동사업 하상불보복서이조선! 당우이상 불가기이. 자삼대지흥 각거정상, 도산지조종이하계세. 태사공은 ..
列傳-日者列傳 (日者列傳) <서론> 自古受命而王, 王者之興何嘗不以蔔筮決於天命哉! 其於周尤甚, 及秦可見. 代王之入, 任於蔔者. 太蔔之起, 由漢興而有. 자고수명이왕 왕자지흥하상불이복서결어천명재! 기어주우심 급진가견. 대왕지입 임어복자. 태복지기 유한흥이유. 예로부터 천명을 받아 왕이 ..
列傳-滑稽列傳 列傳-滑稽列傳 (序文) 孔子曰:「六蓺於治一也. 禮以節人, 樂以発和, 書以道事, 詩以達意, 易以神化, 春秋以義.」 공자왈 ‘육예어치일야 예이절인 악이발화 거이도사 시이달의 역이신화 춘추지의’ 공자(孔子)는 ‘육예(六藝)가 다스림에서 있어서는 한 가지다. 예(禮)는 사람을 절도 있..
列傳-佞幸列傳 佞幸列傳 諺曰「力田不如逢年, 善仕不如遇合」, 固無虛言. 非獨女以色媚, 而士宦亦有之. 언왈 ‘력전불여봉년 선사불여우합; 고무허언 비독녀이색미 이사환역유지. 세간에 ‘힘써 농사짓는 것이 풍년을 만나는 것만 못하고, 착하게 벼슬을 사는 것이 (군주에게) 잘 보이는 것만 못하다’..
列傳-遊俠列傳 (遊俠列傳) <사마천의 서문> 韓子曰:「儒以文亂法, 而俠以武犯禁.」二者皆譏, 而學士多稱於世雲. 至如以術取宰相卿大夫, 輔翼其世主, 功名倶著於春秋, 固無可言者. 及若季次、原憲, 閭巷人也, 読書懐獨行君子之徳, 義不苟合當世, 當世亦笑之. 故季次、原憲終身空室蓬戸, 褐衣疏食..
列傳-大宛列傳 (大宛列傳) 大宛之跡, 見自張騫. 張騫, 漢中人. 建元中為郎. 是時天子問匈奴降者, 皆言匈奴破月氏王, 以其頭為飲器, 月氏遁逃而常怨仇匈奴, 無與共撃之. 대원지적 견자장건. 장건 한중인. 건원중위랑. 시시천자문흉노항자 개언흉노파월씨왕 이기두위음기 월씨순도이상원구흉노 무여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