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渤海考

(5)
발해고 5-國語考, 國書考,屬國考 國語考 王曰可毒夫 曰聖王 曰基下 命曰敎 왕왈가독부 왈성왕 왈기하 명왈교 왕을 가독부, 성왕, 기하라 부르며, 왕의 명령을 교라 한다. 王之父老王 母曰太妃 妻曰貴妃 長子曰副王 諸子曰王子 官品曰秩 왕지부노왕 모왈태비 처왈귀비 장자왈부왕 제자왈왕자 관품왈질, 왕의 아버지를 노왕, 어머니를 태비, 처를 귀비라 하고, 맏아들을 부왕, 나머지 아들들을 왕자라 한다. 관품을 질이라 한다. 國書考 武王與日本國聖武天皇書 무왕여일본국성무천황서. 무왕이 일본국 성무천왕에게 보내는 국서 武藝啓 山河異域 國土不同 延聽風猷 但增頃仰. 무예계 산하이역 국토부동 연청풍유 단증경앙. 무예가 씁니다. 산과 물이 다르고 나라 땅이 다르지만, 대왕의 교화(風猷)를 들으니, 고개 숙여 우러르는 마음이 더할 뿐이었습니다. 伏惟大王 天朝受命 日..
渤海考 4- 儀章考, 物産考 儀章考 三秩以上 紫衣牙笏金魚 삼질이상 자의아홀금어. 3질 이상은 자주색 관복에 상아홀(허리에 끼우거나 들고 다니는 조그만 판 같은 것)과 금어대(허리에 차는 장식품)를 휴대한다. 五秩以上 緋衣牙笏銀魚 오질이상 비의아홀은어 5질 이상은 주홍색 명주 관복에 상아홀과 은어대를 휴대한다. 六秩七秩 淺緋衣木笏 육질칠질 천비의목홀 6질과 7질은 엷은 주홍색 관복에 나무홀을 휴대한다. 八秩 綠衣木笏 팔질 녹의목홀 8질 이상은 녹색 관복에 나무홀을 휴대한다. 遼天顯四年 太宗幸遼陽 使人皇王 備乘輿羽衛以迎 乾享五年 聖宗巡東京 留守具儀衛迎車駕 盖故渤海儀衛云. 요쳔현사년 태종행요양 사인황왕 비승여우위이영 건형오년 성종순동경 유수구의위영거가 개고발해의위운, 요나라 천현 4년(929) 태종이 요양에 행차하였을 때, 인황왕으로 하..
渤海考 3- 職官考 職官考 文職(문직) 宣詔省 左相 左平章事 侍中 左常侍 諫議 선조성 : 좌상, 좌평장사, 시중, 좌상시, 간의 中臺省 右相 右平章事 內史 詔誥舍人 중대성 : 우상, 우평장사, 내사, 조고사인 政臺省 內閣相(居左右相上) 左司政 右司政(比僕射, 居左右平章事之下) 左允 右允(比二丞) 정당성(政堂省) : 대내상(大內相)(좌상과 우상 위에 둔다), 좌사정과 우사정(당나라의 복야에 해당하며 좌, 우평사의 아래에 둔다), 좌윤과 우윤(당나라의 두 승에 해당한다). 忠部 卿(居司政下) 충부 : 경(사정의 아래에 둔다) 仁部 卿 인부 : 경 義部 卿(忠仁義部謂之左六司) 의부 : 경(충부, 인부, 의부를 일컬어 좌육사라 한다) 爵部 郎中 員外 작부 : 낭중, 원외 倉部 郎中 員外 창부 : 낭중, 원외 膳部 郎中 員外(幷左史..
渤海考 2- 地理考 地理考(지리고) 五 京(5경) 上京 龍泉府(상경 용천부) 中京 顯德府(중경 현덕부) 東京 龍原府(동경 용원부) 南京 南海府(남경 남해부) 西京 鴨綠府(서경 압록부) 十 五 府(15부) 龍泉府 肅愼古地. 용천부 숙신고지. 용천부 숙신 옛 땅이다. 顯德府 肅愼古地在龍泉府南. 현덕부 숙신고지재용천부남. 현덕부 숙신 옛 땅 용천부의 남쪽이다. 龍原府 濊貊古地亦曰 柵城府爲日本道. 영원부 예맥고지역왈 책성부위일본도. 용원부 예맥의 옛 땅으로 다른 말로 책성부이며 일본가는 길이 있다. 南海府 沃沮古地爲新羅道. 남해부 옥저고지위신라도. 남해부 옥저 옛 땅으로 신라가는 길에 있다. 鴨綠府 高句麗古地爲朝貢道. 압록부 고구려고지위조공도. 압록부는 고구려의 옛 땅으로 조공가는 길이다. 長嶺府 高句麗古地爲營州道. 장령부 고구려..
渤海考1-저자소개, 王系와 臣下 柳 得 恭著 저자의 소개 柳得恭/1749~1807) 조선 정조 때의 북학파(北學派), 4검서(檢書: 오늘날 책을 검수하는 직책)의 한 사람. 한문학사(漢文學史)에서도 4가(家)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관 문화(文化). 자 혜풍(惠風)․혜보(惠甫). 호 영재(泠齋)․영암(泠菴)․가상루(歌商樓)․고운당(古芸堂)․고운거사(古芸居士)․은휘당(恩暉堂) 등이다. 증조부와 외조부가 서자였기 때문에 서얼 신분으로 태어났다. 부친이 요절하여 모친 아래에서 자랐고, 18,9세에 숙부인 유련(柳璉)의 영향을 받아 시짓기를 배웠으며, 20세를 지나 박지원(朴趾源)․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와 같은 북학파 인사들과 교유하기 시작하였다. 1774년(영조 50)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생원(生員)이 되었고, 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