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書經

洪範

洪範1

惟十有三祀 王訪于箕子 王乃言曰 嗚呼 箕子 惟天陰騭下民 相協厥居 我不知其叙
유십유삼사 왕방우기자 왕내언왈 오호 기자 유천음즐하민 상협궐거 아부지기이륜유서

13년후 왕은 기자를 방문하고 묻길 '아아 기자여 하늘은 사람들을 도울때 은밀히 서로 상호작용으로 한다는데 나는 그 순서를 알지 못합니다.

箕子乃言曰 我聞 在昔鯀陻洪水 汩陳其五行 帝乃震怒 不畀洪範九疇 彝倫攸斁 鯀則殛死 禹乃嗣興 天乃錫禹洪範九疇 彝倫攸叙
기자내언왈 아문 재석곤인홍수 율진기오행 제내진노 불비홍범구주 이륜유두 곤즉극사 우내사흥 천내석우홍범구주 이륜유서

기자가 답하길 내 듣기론 곤이 일찌기 홍수를 막으므로 5행의 흐름을 명백히 막은 것 하늘 상제가 노하여 홍범구주를 주지 않았으니 사람의 도리(彝倫)가 망가지죠 곤은 하늘의 벌을 받은 거고 우가 일어나 홍수를 다스리니 하늘이 우에게 홍범구주를 주어 사람의 도리가 바루어 진 겁니다.

初一曰 五行
초일왈 오행

그 처음은 5행=순리대로

次二曰 敬用五事
차이왈 경용오사

다음은 수신의 항목

次三曰 農用八政
차삼왈 농용팔정

다음은 8가지를 다스림...

次四曰 協用五紀
차사왈 협용오기

네번째는 時에 합하게 처신하기

次五曰 建用皇極
차오왈 건용황극

황제(지도자)의 법

次六曰 乂用三德
차육왈 예용삼덕

정직(正直), 강(剛), 유(柔)의 세 가지 덕을 완성함

次七曰 明用稽疑
차칠왈 명용계의

일곱번째는 의심스러운 건 명백히 밝힘이요

次八曰 念用庶徵
차팔왈 염용서징

매사의 징조를 마음쓰는 것

次九曰 嚮用五福
차구왈 향용오복

아홉번째는 5복을 잘 누리는 것

威用六極
위용육극

6가지 극한 일: 변사(変死) ‧약사(若死)) ‧질(疾) ‧우(憂) ‧빈(貧) ‧악(悪) ‧약(弱)을 피하는 것....


* 여기서 우리는 곤과 우의 부자기간의 홍수에 대처법을 봅니다. 곤은 둑을 쌓아 막으려 했고 우는 물길을 달래어 치수에 성공합니다. 즉, 흐름을 막는 것은 하늘 이치를 거스르는 것... 잘 유도하여 피해를 줄이는게 치수의 근간임을 밝히는 글...

* 五福: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洪範2

一五行 一曰水 二曰火 三曰木 四曰金 五曰土
일오행 일왈수 이왈화 삼왈목 사왈금 오왈토

5행이란 수화목금토다.

水曰潤下 火曰炎上 木曰曲直 金曰從革 土爰稼穡
수왈윤하 화왈염상 목왈곡직 금왈종혁 토원가색

물은 막힌 것을 씻어내리는 것을 말하고 불은 태워올림을 말하고 나무는 굽은 것이 곧아짐을 말하고 쇠는 고친다는 의미요 흙은 식물을 기름을 말한다.

潤下作鹹 炎上作苦 曲直作酸 從革作辛 稼穡作甘
윤하작함 염상작고 곡직작산 종혁작신 가색작감

5행상 수는 짠맛, 불은 쓴맛 나무는 신맛 쇠는 매운맛 흙은 단맛으로 나타난다. 


洪範3


二五事 一曰貌 二曰言 三曰視 四曰聽 五曰思
이오사 일왈모 이왈언 삼왈시 사왈청 오왈사


두번째가 다섯가지 경영이 첫째가 몸가짐 둘째가 언행 셋째가 시각(가치관) 넷째가 관심분야요 다섯번째가 사고방식이다.


貌曰恭 言曰從 視曰明 聽曰聰 思曰睿
모왈공 언왈종 시왈명 청왈총 사왈예


몸가짐은 공순하고 언행은 이치에 닿아야 하고 무엇을 보면 그 이치를 꿰뚫어보고 말귀는 알아 들어야 하고 사고방식은 깊고 분명해 슬기로워야한다.


恭作肅 從作乂 明作哲 聰作謀 睿作聖
공작숙 종작예 명작철 총작모 예작성


공순한 태도는 정중하며 이치를 따르면 분명하고 밝히 알면 생각하게 되고 구별이 분명하면 해결책을 알게되고 슬기로움은 거룩함을 만들어낸다. 


 洪範4


三八政 一曰食 二曰貨 三曰祀 四曰司空 五曰司徒 六曰司寇 七曰賓 八曰師

삼팔정 일왈식 이왈화 삼왈사 사왈사공 오왈사도 육왈사구 칠왈빈 팔왈사

세 번째 8가지 다스릴 것이란 말은 먼저 백성들이 굶지않도록 식량확보, 다음이 재화가 원활히 돌도록 시장을, 그리고 위아래를 가릴 제사의 법을 세우고 그 뒤로 말그대로 공간을 다스리(토목건축)고 다음이 교육이고, 다음이 범죄를 다스림이요 이런 것들이 갖추어진 연후 외교 국방이다.


 -서경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굳이 말하면 내실이 먼저라는 가르침이다.


洪範5


四五紀 一曰歲 二曰月 三曰日 四曰星辰 五曰曆數
사오기 일왈세 이왈월 삼왈일 사왈성신 오왈역수


네번째는 다섯 전환점=紀가 있는데 바로 연월일 그리고 시간(별의 운행을 나눈 것이 시간) 그리고 다섯번째가 바로 운수... 즉 불가 예측인 일들...


洪範6

五皇極 皇建其有極 歛時五福 用敷錫厥庶民 惟時厥庶民 于汝極 錫汝保極
오황극 황건기유극 감시오복 용부석궐서민 유시궐서민 우여극 석여보극

다섯째는 황극=곧은 법으로 임금은 그 백성들에게 5복을 베풀기 바란다면 절대 변하지않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 백성들이 그리 일관된 임금의 뜻을 알면 그 일관됨을 존중해 준다. 

凡厥庶民 無有淫朋 人無有比德 惟皇作極
범궐서민 무유음붕 인무유비덕 유황작극

무릇 백성들에게 임금이 일관된 법을 주면 사사로이 아첨하는 못된 무리들이 없게된다.

凡厥庶民 有猷有爲有守 汝則念之 不協于極 不罹于咎 皇則受之 而康而色曰 '予攸好德 汝則錫之福' 時人斯其 惟皇之極 無虐煢獨 而畏高明 人之有能有爲 使羞其行 而邦其昌
범궐서민 유유유위유수 여직염지 불협우극 불이우구 황즉수지 이강이색왈  여유호덕 여즉석지복  시인사기 유황지극 무학경독 이외고명 인지유능지위 사수기행 이방기창

백성중에 임금의 생각을 따르려하고 행하려하고 지키려하면 극진하지 못하고 죄를 알아차리지 못해도 임금이 부드럽게 거두며 말하라 '난 덕을 좋아하는데 네가 복을 주는구나'  그러면 백성들은 임금 자리가 어렵고 자신들을 몰라준다 여기지 않게 된다. 그럴 능력이 되고 실천하는 이들로 하여금 그리 하도록 하면 이 나라는 창성할 것이다.   

凡厥正人 旣富方穀
범궐정인 기부방곡

그리 사람들이 바루어지면 백성들이 부요하고 단정할 것이다.

洪範7

汝弗能使有好于而家 時人斯其辜 于其無好德 汝雖錫之福 其作汝用咎
여불능사유호우이가 시인사기고 우기무호덕 여수석지복 기작여용구

임금이 사람들로 호의를 얻지 못하면 덕을 숭상치 않음이니 사람들이 죄를 지을 것이니 임금이 복된 삶을 주려해도 오히려 당신 탓만 할겁니다.

無偏無陂 遵王之義
무편무피 준왕지의

외곬로 빠지지않고 기울지 않게 왕된 뜻을 지키고

無有作好 遵王之道 無有作惡 遵王之路
무유작호 준왕지도 무유작오 준왕지로

마음을 뺏기지 않고 왕된 도리를 다하며 죄를 짓지않고 왕의 나아갈 바를 가시오.

無偏無黨 王道蕩蕩 無黨無偏 王道平平
무편무당 왕도탕탕 무당무편 왕도평평

외곬수로 빠지거나 파당을 만들지 않으면 왕된 도리는 풍성해지고 고르게 됩니다. 

無反無側 王道正直 會其有極 歸其有極曰 皇極之敷言 是彝是訓 于帝其訓
무반무측 왕도정직 회기유극 귀기유극왈 황극지부언 시이시훈 우제기훈

왔다갔다하지 않으면 왕의 도리는 바로 곧아지고 궁극의 경지를 알게되고 이르게 되니 임금의 가르침이 법이 되어 널리 펼쳐진 것...

凡厥庶民 極之敷言 是訓是行 以近天子之光曰 天子作民父母 以爲天下王
범궐서민 극지부언 시훈시행 이근천자지광왈 천자작민부모 이위천하왕

무릇 백성들이 널리 퍼진 궁극을 가르침으로 실천하면 이것이 하늘의 밝음에 따르는 것이요 하늘이 백성들의 어버이가 되는 경지니 이게 바로 천하 제일의 임금이라는 말입니다. 

洪範8

六三德 一曰正直 二曰剛克 三曰柔克
육삼덕 이왈정직 이왈강극 삼왈유극

여섯번 째로 세가지 덕이니 첫째가 정직이요 둘째가 극진한 강함이요 셋째가 극진한 부드러움이다.

平康正直 彊弗友剛克 燮友柔克 沈潛剛克 高明柔克
평강정직 강불우강극 섭우유극 침잠강극 고명유극

정직함으로 편안하면 강직함과 유연함에 극진할 이유도 없고 차분함엔 굳세게 이름 높아지면 부드러워져야 합니다.

惟辟作福 惟辟作威 惟辟玉食 臣無有作福作威玉食
유벽작복 유벽적위 유벽옥식 신무유작복작위옥식

오직 임금다울때 복도 위엄도 진수성찬도 만들어지는 것이고 신하는 그런 자격이 없는 것...

臣之有作福作威玉食 其害于而家 凶于而國 人用側頗僻 民用僭忒
신지유작복작위옥식 기해우이가 흉우이국 인용측파벽 민용참특

신하가 그리 나서면 집안과 나라를 망치고 사람들이 파당짓는 빌미가 되고 백성들이 어긋나는 것이다

洪範9

七稽疑 擇建立卜筮人 乃命卜筮 曰雨 曰霽 曰蒙 曰驛 曰克 曰貞 曰悔
칠계의 택건립복서인 내명복서 왈우 왈제 왈몽 왈역 왈극 왈정 왈회 

일곱번 째 불확실한 것을 검토함이니 점술사를 택하여 점으로 정하는 걸 말하는데 주로 질문은 雨 霽 蒙 驛 克 貞 悔로 농사를 위한 강우, 불길한 기운인 안개유무, 그리고심기를 읽는 침착하냐 후회하냐를 많이 묻는다. 

-즉, 점을 본다는 말은 섣부른 고집이나 판단에 제동걸고 백성들을 달래는 일이다.

凡七 卜五占用二 衍忒 立時人 作卜筮 三人占 則從二人之言

범칠 복오점용이 연특 입시인 작복서 삼인점 즉종이인지언


무릇 7번이면 거북점이 5번이요 막대점이 2번으로 꼭 절대적인 건 아니고 점술사를 선발할 땐 3명을 뽑아 그 중 두명의 점괘를 따라야 한다. 

  
汝則有大疑 

여즉유대의


만약 네게 큰 근심거리가 있다면 


謀及乃心 

모급내심


먼저 마음가는 데로 생각하고


謀及卿士 

모급경사


벼슬아치와 선비들의 생각을 따르고


謀及庶人 

모급서인


일반 백성들의 의사를 듣고 


謀及卜筮

모급복서 


맨 나중에 점술사를 찾아라 


汝則從 龜從 筮從 卿士從 庶民從 是之謂大同 身其康彊 子孫其逢 吉 

여즉종 귀종 서종 경사종 서민종 시지위대동 신기건강 자손기봉 길


왕의 마음에 합하고 거북점도 막대점도 벼슬아치들도 서민들도 뜻이 하나면 이를 대동이라부르고 당연한 것이며 자손들 조차 따를 것이니 길함이요 


汝則從 龜從 筮從 卿士逆 庶民逆 吉

여즉종 귀종 서종 경사역 서민역 길


왕의 생각과 거북점 막대점이 같고 벼슬아치나 백성들이 싫다해도 길함이 있다. 


卿士從 龜從 筮從 汝則逆 庶民逆 吉

경사종 귀종 서종 여즉역 서민역 길


벼슬아치들 거북점 막대점이 같고 왕이나 백성들이 싫다해도 또한 길함이 있는 법


庶民從 龜從 筮從 汝則逆 卿士逆 吉

서민종 귀종 서종 여즉역 경사역 길


백성들의 뜻과 거북점 막대점이 같고 왕과 벼슬아치들이 싫다해도 길함이 있고 


汝則從 龜從 筮逆 卿士逆 庶民逆 作內吉 作外凶

여즉종 귀종 서종 경사역 서민역 작내길 작외흉


왕의 생각과 거북점이 같고 막대점 벼슬아치나 백성들이 싫다하면 왕의 마음은 편할지 모르나 다른 이들에게 드러내면 흉하다


龜筮共違于人 用靜吉 用作凶

귀서공위우인 용정길 용작흉


거북점과 막대점이 사람들의 뜻과 다른 경우엔 움직이지 않음이 길함이요 움직이면 흉하다. 


-이 장은 점사에 대한 지루한 글... 

요점은 너무 점사나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지 말라는 말... 

역으로 자기 고집에도 빠지지 말고... 

늘 귀를 열어두라는 말... 


洪範10


八庶徵 曰雨 曰晹 曰燠 曰寒 曰風 曰時 

팔서징 왈우 왈역 왈욱 왈한 왈풍 왈시


여덟번째 각종 징후란 비와 갬, 더위와 추위, 바람 그리고 절기...


五者來備 各以其叙 庶草蕃廡 

오자내비 각이기서 서초번무 


다섯가지 일기가 잘 갖춰오고 질서에 맞으면 온갖 풀이 번성할 것이오 


一極備凶 一極無凶

일극비흉 일극무흉


만약 한가지만 극성하거나 없어지면 둘다 흉한 징조입니다. 


-이 글이 말하고자 함은 다섯가지 日氣가 순서에 맞아야 농사나 삶이 안정됨을 말한다.


洪範12


九五福 一曰壽 二曰富 三曰康寧 四曰攸好德 五曰考終命

구오복 일왈수 이왈부 삼왈강녕 사왈유호덕 오왈고종명 


아홉 번 째가 5복인데 천수를 누림이 처음이요 배 곯지 않고 건강하고 편안하며 덕을 쌓으며 살다 비명횡사 하지않고 죽음이 5 복이다. 


六極 一曰凶短折 二曰疾 三曰憂 四曰貧 五曰惡 六曰弱

육극 일왈흉단절 이왈질 삼왈우 사왈빈 오왈오 육왈약


여섯개의 극한 상황이란 첫째가 흉한 일로 천수 못누리고 죽는 것이요 다음이 질병에시달리는 것이고 다음이 근심거리를 못 털어내고 가난에 찌들어 죄를 범하고 약해서 늘 남에게 치이는 것입니다. 


-여기서 惡을 오로 독음하는 이유는 내용상 악을 행한다는 의미보다 죄나 허물을 피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보기 때문... 

'書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縢  (0) 2016.03.27
旅獒  (0) 2016.03.27
武成  (0) 2016.03.14
牧誓   (0) 2016.03.10
泰誓下   (0) 201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