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遺事

券 第四 義解 券五- 心地繼祖

心地繼祖

심지계조

 

심지가 진표의 뒤를 잇다.

 

釋心地 辰韓第四十一主憲德大王金氏之子也. 生而孝悌 天性沖睿. 志學之年 落采從師 拳懃于道

석심지 진한게사십일주헌덕대왕김씨지자야. 생이효재 천성충예 지학지년 낙채종사 권근우도.

 

승려 심지(心地)는 신라 제41대 헌덕대왕(憲德大王) 김씨의 아들이다. 나면서부터 효성과 우애가 있었고 천성이 온화하고 슬기로웠다. 15세에 머리를 깎고 스승을 따라 불도를 부지런히 닦았다.

 

寓止中岳[今公山] 適聞俗離山深公 傳表律師佛骨簡子 設果證法會 決意披尋 旣至後期 不許參例. 乃席地扣庭 隨衆禮懺.

우지중악[금공산] 적문속리산심공 전표율사불골간자 설과증법회 결의피심 기지후기 불허참례. 내석지구정 수중예참.

 

중악(中岳)[지금의 공산(公山)이다.]에 머물렀는데, 마침 속리산(俗離山)의 영심(永深) 공이 진표율사(眞表律師)의 불골 간자를 전수받아 과증법회를 연다는 말을 듣고 결심을 하고 찾아갔지만 이미 날짜가 지난 뒤라 참석을 허락받지 못하였다. 그래서 땅에 앉아 마당을 치면서 여러 무리들을 따라 예배하고 참회하였다.

 

經七日 天大雨雪. 所立地方十尺許 雪飄不下. 衆見其神異 許引入堂. 撝謙稱恙 退處房中 向堂潛禮 肘顙俱血 類表公之仙溪山也. 地藏菩薩日來問慰.

경칠일 천대우설. 소립지방십척허 설표불하. 중견기신이 허인입당. 위겸칭양 퇴처방중 향당잠례 주상구혈 유표공지선계산야. 지장보살일래문위.

 

7일이 지나자 하늘에서 많은 눈이 내렸다. 그러나 심지가 서 있는 사방 10척 정도의 땅에는 눈발이 휘날리기는 했지만 내리지는 않았다. 여러 사람들이 그 신기하고 기이한 일을 보고는 불당에 들어오는 것을 허락하였다. 그러나 병을 핑계로 사양하고 물러나와 방 안에 있으면서 불당을 향해 가만히 예를 올렸는데, 팔꿈치와 이마에서 피가 흘러내렸으니 예전에 진표 공이 선계산(仙溪山)에서 피를 흘렸던 일과 같았다. 또 매일 지장보살이 와서 위문하였다.

 

洎席罷還山 途中見二簡子貼 在衣褶間. 持廻告於深 深曰 簡在函中 那得至此.”

계석파환산 도중견이간자첩 재의습간. 지회고어심 심왈 간재함중 나득지차.”

 

법회가 끝나고 산으로 돌아가는데 도중에 옷깃 사이에 두 개의 간자가 끼어 있는 것을 보았다. 심지는 그것을 가지고 돌아와 영심에게 아뢰었더니 영심이 말하였다. “간자는 함 속에 들어 있는데 어찌 그럴 리가 있겠는가?”

 

檢之 封題依舊 開視亡矣. 深深異之 重襲而藏之. 又行如初 再廻告之 深曰 佛意在子 子其奉行.” 乃授簡子.

검지 봉제의구 개시망의, 심심이지 중습이장지. 우행여초 재회고지 심왈 불의재자 자기봉행.” 내수간자.

 

그리고 검사해 보았더니 함에 봉한 표시는 그대로 있었는데, 열어보니 간자는 없었다. 영심이 매우 이상히 여겨 간자를 다시 겹겹이 싸서 간직해 두었다. 심지가 다시 길을 떠났는데, 이전처럼 간자가 또 옷깃 속에 있었다. 다시 돌아와 아뢰자 영심이 이렇게 말하였다. “부처님의 뜻이 그대에게 있으니 그대가 받들어 행하도록 하여라.” 그리고 간자를 주었다.

 

地頂戴歸山 岳神率二仙子 迎至山椒 引地坐於嵓上. 歸伏嵓下 謹受正戒.

지정재귀산 악신솔이선자 영지산초 인지좌어암상. 귀복암하 근수정계.

 

심지가 간자를 머리에 이고 산으로 돌아오니, 중악의 신이 선자(仙子) 둘을 데리고 심지를 맞이하여 산꼭대기에 이르러서는, 심지를 인도해 바위 위에 앉게 하였다. 그리고 바위 아래로 내려가 엎드려서 정계(正戒)를 받았다.

 

地曰 今將擇地 奉安聖簡 非吾輩所能指定. 請與三君 憑高擲簡以卜之.”

지왈 금장택지 봉안성간 비오배소능지정. 청여삼군 빙고척간이복지.”

 

심지가 말하였다. “지금 터를 잡아 부처님의 간자를 모시려고 하는데, 우리들은 터를 정할 수가 없소. 청컨대 세 분과 함께 높은 곳에 올라가 간자를 던져 터를 점쳐봅시다.”

 

乃與神等陟峰巓 向西擲之. 簡乃風颺而飛.

내여신등섭봉전 향서척지. 간내풍표이비.

 

곧 신 등과 함께 산꼭대기로 올라가 서쪽을 향해 간자를 던졌다. 간자는 곧 바람에 날려 날아갔다.

 

時神作歌曰 礙嵓遠退砥平兮 落葉飛散生明兮 覓得佛骨簡子兮 邀於淨處投誠兮.

시신작가왈 응암원퇴지평혜 낙엽비산생명혜 멱득불골간자혜 요어정처투성혜.

 

이때 신이 노래를 지어 불렀다.

 

막혔던 바위 저 멀리 물러가니 숫돌처럼 평평해지고 낙엽이 날아 흩어지니 앞이 밝아지는구나.

부처님 뼈로 만든 간자를 찾아 얻어서 정결한 곳에 맞이하여 정성을 바치려 한다네.

 

旣唱而得簡於林泉中 卽其地構堂安之 今桐華寺籤堂北有小井是也.

기창이득간어림천중 즉기지강당안지 금동화사참당북유소정지야.

 

노래를 마치고 나서 간자를 숲의 샘에서 찾았다. 곧 그 땅에 불당을 짓고 간자를 모셨다. 지금의 동화사(桐華寺) 참당(籤堂) 북쪽 작은 우물이 바로 이것이다.

 

本朝睿王 嘗取迎聖簡 致內瞻敬 忽失九者一簡. 以牙代之 送還本寺. 今則漸變同一色 難卞新古 其質乃非牙非玉.

본조예왕 상취영성간 치내첨경 홀실구자일간. 이아대지 송환본사. 금즉참변동일색 난변신고 기질내비아비옥.

 

우리 고려의 예종(睿宗)이 일찍이 부처님의 간자를 대궐로 맞이하여 우러러보고 경배하였는데, 홀연히 아홉 번째 간자 하나를 잃어버렸다. 그래서 상아로 대신 만들어서 본래의 절로 돌려보냈다. 지금은 점점 변하여서 같은 빛깔이 되어 새것과 옛것을 구별하기 어렵다. 그 재질은 상아도 아니고 옥도 아니다.

 

按占察經上卷 敍一百八十九簡之名 一者求上乘得不退 二者所求果現當證 第三第四求中下乘得不退 五者求神通得成就 六者修四梵得成就 七者修世禪得成就 八者所欲受得妙戒 九者所曾受得戒具[以此文訂 知慈氏所言新得戒者 謂今生始得戒也. 舊得戒者 謂過去曾受 今生又增受也. 非謂修生本有之新舊也] 十者求下乘未住信. 次求中乘未住信. 如是乃至一百七十二 皆過現世中 或善或惡得失事也. 第一百七十三者 捨身已入地獄[已上皆未來之果也] 一百七十四者 死已作畜生.

안점찰경상권 서일백팔십구간지명. 일자구승득불퇴, 이자소구과현당증, 제삼제사구중하승득불퇴, 오자구신통득성취, 육자수사범득성취, 칠자수세선득성취, 팔자소욕수득묘계, 주가소승수득계구[이차문정 지장씨소언신득계자 위금생시득계야. 구득계자 위과거증수 금생우증수야 비위수생본유지신구야] 십자구하승미주신. 차구중승미주신. 여시내지일색칠십이 개과현새중 혹선혹악득실사야. 제일백칠십삼자 사신기입지옥[기상개미래지과야] 일백칠십사자 사기작축생.

 

점찰경(占察經)상권을 살펴보면, 189개 간자의 이름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1은 상승(上乘)을 구하여 물러서지 않는 것이고, 2는 구하는 과()가 증명되는 것을 나타내고, 3과 제4는 중승(中乘)과 하승(下乘)을 구해서 물러서지 않음을 구하는 것이고, 5는 신통력을 구해 성취하는 것이고, 6은 사범(四梵)을 닦아 성취하는 것이고, 7은 세간의 선()을 닦아 성취하는 것이고, 8은 받고 싶은 묘계(妙戒)를 얻는 것이고, 9는 일찍이 받은 계구(戒具)를 다시 얻는 것이고,[이 글에 의해 정정해 보면, 미륵보살이 말한 새로 얻은 계란 현생에서 처음 얻은 계를 말한다. 예전에 얻은 계란 전생에서 받았다가 현생에서 또 더 받은 것을 말한다. 수행한 공덕에 따라 본래의 신계나 구계가 있다는 것을 아니다.] 10은 하승(下乘)을 구하면서도 아직 믿음이 부족한 것이다. 그 다음은 중승(中乘)을 구하면서도 아직 믿음이 부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172까지는 모두 전생과 현생 중에 선과 악, 얻음과 잃음에 대한 일들이다. 173은 몸을 버려 이미 지옥에 들어간 것이고, 174는 죽은 후 축생이 된 것이다.

 

如是乃至餓鬼修羅人人王天天王聞法出家値聖僧生兜率生淨土尋見佛住下乘住中乘住上乘得解脫 第一百八十九等是也[上言住下乘至上乘得不退 今言上乘得解脫等 以此爲別爾] 皆三世善惡果報差別之相.

여시내지아귀수라인인왕천천왕문법출가치성긍생도솔생정토심견불주하승주중승주상승득해탈재일백팔십구등시야.{상언주라승지상승득불퇴 금언상승득해탈들 이차위별이} 개삼세선악과보차별지상.

 

이리하여 아귀(餓鬼), 아수라(阿修羅), (), 인왕(人王), (), 천왕(天王), 문법(聞法), 출가(出家), 그리고 성승(聖僧)을 만남, 도솔천에 태어남, 정토에 태어남, 부처를 찾아 만남, 하승(下乘)에 머무름, 중승(中乘)에 머무름, 상승(上乘)에 머무름, 해탈(解脫)을 얻음에 이르기까지 제189 등이 이것이다.[위에서는 하승에 머무르는 것에서 상승에서 물러나지 않음을 얻는 것까지를 말한 것이고, 지금은 상승에서 해탈을 얻음 등을 말한 것이니, 이것으로 구별했을 뿐이다.] 이것들은 모두 3세의 선악과 과보에 대한 차별의 모습이다.

 

以此占看 得與心所行事相當 則爲感應 否則爲不至心 名爲虛謬. 則此八九二簡 但從百八十九中而來者也. 而宋傳但云 百八籤子.” 何也? 恐認彼百八煩惱之名而稱之 不揆尋經文爾.

이차점간 득여심소행사상당 즉위감응 부즉위부지심 명위허류. 즉차팔구이간 단종백팔십주중이해자야. 이송전단운 백팔첨자하야? 공인피백팔번뇌지명이칭지 불계심경문이.

 

이것으로 점을 쳐서 마음이 행하고자 하는 일과 간자가 서로 맞으면 감응이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지극하지 못한 마음이라 하여 허류(虛謬)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89의 두 간자는 다만 189개 중에서 나온 것이다. 그런데 송전(宋傳)에서 단지 108개의 점대라고만 한 것은 어째서일까? 아마도 저 108번뇌의 명칭으로 알고 불경의 글을 살펴보지 않아서일 것이다.

 

又按本朝文士金寬毅所撰王代宗錄二卷云 羅末 新羅大德釋沖 獻太祖以表律師袈裟一領 戒簡百八十九枚.” 今與桐華寺所傳簡子 未詳同異.

우안본조문사김관의소찬왕대종록이권운 라말 신라대덕석충 헌태조이표율사가사일령 계간백팔십구매.” 금여동화사소전간자 미상동이.

 

또 살펴보건대, 우리 고려의 문사 김관의(金寬毅)가 지은 왕대종록(王代宗錄)2권에서 이렇게 말하였다. “신라 말에 대덕 석충(釋沖)이 태조(太祖)에게 진표율사의 가사 한 벌과 계간자 189개를 바쳤다.” 하지만 지금 동화사에 전해오는 간자와 같은 것인지 여부는 알 수 없다.

 

讚曰 生長金閨早脫籠 儉懃聰惠自川鍾 滿庭積雪偸神簡 來放桐華最上峯

찬왈 생장금규조탈롱 검근총혜자천종 만정적설유신간 래방동화최상봉.

 

다음과 같이 찬미한다.

 

대궐에서 자랐지만 일찍이 속박을 벗어났고 근검과 총명은 하늘이 주신 것이라.

눈 가득 쌓인 뜰에서 간자를 뽑아내어 동화산 가장 높은 봉우리에 갖다 놓았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