賢瑜珈 海華嚴 유가종의 대현과 화엄종의 법해
瑜珈祖大德大賢 住南山茸長寺 寺有慈氏石丈六. 賢常旋繞 像亦隨賢轉面. 賢惠辯精敏 決擇了然. 大抵相宗銓量 旨理幽深 難爲剖析 中國名士白居易 嘗窮之未能 乃曰 “唯識幽難破 因明擘不開.”
유가조대덕대현 주남산이장사 사유자씨석장육. 현상선요 상역수현전면. 현혜변정민 결택료연. 대저상종전량 지리유심 난취부석 중국명사백거이 상궁지미능 내왈 “유식난파 인명벽불개.”
유가종의 시조인 고승 대현(大賢)은 남산(南山) 용장사(茸長寺)에 머물렀는데, 이 절은 돌로 된 미륵불의 장륙상이 있었다. 대현은 항상 이 장륙상을 돌았는데, 불상도 역시 대현을 따라 얼굴을 돌렸다. 대현은 슬기롭고도 분별력이 있으며 정밀하고도 민첩해서 판단과 분별이 명백하였다. 무릇 법상종(法相宗)의 경론은 뜻과 이치가 그윽하고 깊어서 해석하기가 어려웠으니, 중국의 명사 백거이(白居易)도 일찍이 이것을 연구하다가 하지 못하고 이렇게 말하였다. “유식(唯識)은 그 뜻이 그윽하여 깨닫기 어렵고, 그 논리는 분석해도 열리지 않는다.”
是以學者難承稟者 尙矣. 賢獨刊定邪謬 暫開幽奧 恢恢游刃. 東國後進 咸遵其訓 中華學士 往往得此爲眼目.
시이학자난승품자 상의. 현독간정사류 잠개유오 회회유인. 동국후진 함준기훈 중화학사 왕왕득화위안목.
이렇게 말했기 때문에 배우는 자들이 배우기 어려워한 지가 오래되었다. 하지만 대현은 혼자서 잘못된 것을 가려내고 바로잡았으니, 짧은 시간에 그윽하고 오묘한 이치를 터득하여 사리에 통달하였다. 우리나라의 후진들은 모두 그 가르침을 따랐고 중국의 학자들도 종종 이것을 요점으로 삼았다.
景德王天寶十二年癸巳 夏大旱. 詔入內殿 講金光經 以祈甘霔 .一日齋次 展鉢良久 而淨水獻遲. 監吏詰之 供者曰 宮井枯涸 汲遠故遲爾 賢聞之曰 “何不早云.”
경덕왕천보십이년계사 하대한. 조입내전 강금광경 이기감주. 일일재차 전발양구 이정수헌지감리힐지 공자왈 “궁정고학 급원고지이.” 현문지왈 “하불조운.”
경덕왕(景德王) 때인 천보(天寶) 12년 계사(서기 753) 여름에 가뭄이 심하게 들었다. 그래서 대현을 궁궐로 불러들여 금광경(金光經)을 강의하게 하고 단비를 내려달라고 빌게 하였다. 하루는 재를 지내는데 바리때를 벌려놓은 지 한참이 지나서야 정수가 올라왔다. 관리가 이를 꾸짖자 공양을 올리는 자가 말하였다. “대궐 안 우물도 말라버려서 먼 곳에서 길어왔기 때문에 늦었습니다.” 대현이 그 말을 듣고 말하였다. “왜 진작 말하지 않았느냐?”
及晝講時 捧爐黙然 斯須井水湧出 高七丈許 與刹幢齊 闔宮驚駭. 因名其井曰金光井 賢嘗自號靑丘沙門.
급주강시 봉여묵연 사수정수통출 고칠장허 여찰당제 합궁경해. 인명기정왈금광정 현상자호청구사문.
그리고 낮에 강의할 때 향로를 받들고 묵묵히 있자 잠시 후 우물 물이 솟아올랐는데, 그 높이가 일곱 길이나 되어 절의 당간지주와 높이가 비슷했으니, 모두들 깜짝 놀랐다. 그래서 이 우물을 금광정(金光井)이라고 불렀다. 대현은 일찍이 자신을 청구사문(靑丘沙門)이라 하였다.
讚曰 遶佛南山像逐旋 靑丘佛日再中懸 解敎宮井淸波湧 誰識金爐一炷烟.
찬왈 요불남산상축선 청구불일재중현 해교궁정청파용 수식금로일주연.
다음과 같이 기린다.
남산의 불상을 도니 불상도 따라 얼굴 돌려 우리나라 불교가 다시 하늘 높이 떠올랐구나.
가르침을 풀어주니 궁궐 우물에 맑은 물 솟구쳤네 누가 알까 금향로 한 줄기 연기임을
明年甲午夏 王又請大德法海於皇龍寺 講華嚴經 駕幸行香 從容謂曰 “前夏大賢法師 講金光經 井水湧七丈 此公法道如何?” 海曰 “特爲細事 何足稱乎 直使傾滄海 襄東岳流京師 亦非所難.”
명년갑오하 왕우청대덕현법해어황룡사 강화엄경 가행행향 종용위왈 “전하대현법사 강금광경 정수용칠장 차공법도여하?” 해왈 “특위세사 하족칭호? 직사경창해양동악유경사 역비소난.”
다음 해 갑오년(서기 754) 여름에 왕은 또 고승 법해(法海)를 황룡사(皇龍寺)로 청하여 『화엄경(華嚴經)』을 강의하게 하고, 친히 행차하여 향을 피우고 조용히 말하였다. “지난 해 여름, 대현법사가 『금광경』을 강의하자 우물 물이 일곱 길이나 솟아올랐구려. 스님의 법도는 어떠하시오?” 법해가 말하였다. “단지 작은 일에 불과하온데 어찌 그리 칭찬하시옵니까? 즉시 푸른 바다를 기울여서 동악(東岳)을 잠기게 하고 서울을 떠내려가게 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옵니다.”
王未之信 謂戱言爾 至午講 引爐沈寂 須臾內禁 忽有哭泣聲 宮吏走報曰 “東池已溢 漂流內殿五十餘間.” 王罔然自失 海笑謂之曰 “東海欲傾 水脈先漲爾.”
왕미지신 위희언이 지오강 인노침적 수이내금 홀유곡읍성 궁리주보왈 “동지이일 표류내전오십여간” 왕망연자실 해소위지왈 “동해욕경 수맥선창이.”
왕은 이 말을 믿지 않고 농담이려니 여겼다. 오시(午時)에 강의할 때 법해는 향로를 당겨 고요히 있었는데, 잠시 후 궁궐에서 갑자기 울부짖는 소리가 났고, 궁궐의 관리가 달려와 고하였다. “동쪽 연못이 넘쳐서 이미 내전 50여 칸이 떠내려갔습니다.” 왕이 멍하니 망연자실하였다. 그러자 법해가 웃으며 말하였다. “동해를 기울이려고 수맥을 먼저 불린 것뿐입니다.”
王不覺興拜 翌日感恩寺奏 昨日午時 海水漲溢 至佛殿階前 晡時而還 王益信敬之.
왕불각흥배 익일감은사주 작일오시 해수창일 지불전계전 포시이환 왕익신경교.
왕은 자기도 모르게 일어나 절을 하였다. 그런데 이튿날 감은사(感恩寺)에서 아뢰었다. “어제 오시에 바닷물이 넘쳐서 불전의 계단 앞까지 밀려왔다가 저녁 때 물러갔습니다.”
이리하여 왕은 더욱 법해를 믿고 존경하였다.
讚曰 法海波瀾法界寬 四海盈縮未爲難 莫言百億須彌大 都在吾師一指端[石海云]
찬왈 법해파란법계관 사해영축미위난 막언백억수미대 도재오사일지단{석해운}
다음과 같이 기린다.
법해가 물결을 일으켜 법계(法界)가 넓어졌으니 사해(四海)를 늘리고 줄이는 일도 어렵지 않다네.
백억의 수미산(須彌山) 크다고 말라 모두 다 우리 스님 한 손 끝에 있느니라.[이것은 석해(石海)가 말한 것이다.]
'三國遺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第五 神呪 第六- 惠通降龍 (0) | 2020.06.23 |
---|---|
卷第五 神呪 第六- 密本摧邪 (0) | 2020.06.23 |
券 第四 義解 券五- 心地繼祖 (0) | 2020.06.22 |
券 第四 義解 券五- 勝詮髑髏 (0) | 2020.06.21 |
券 第四 義解 券五- 關東楓岳鉢淵藪石記 (0) | 202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