惠通降龍
혜통이 용을 항복시키다
釋惠通 氏族未詳. 白衣之時 家在南山西麓銀川洞之口.[今南澗寺東里] 一日遊舍東溪上 捕一獺屠之 棄骨園中. 詰旦亡其骨 跡血尋之 骨還舊穴 抱五兒而蹲. 郞望見 驚異久之. 感嘆躕躇 便棄俗出家 易名惠通.
석혜통 씨족미상. 백의지시 가재남산거록은천동지구.[금남간사동리] 일일유사동계상 포일달시지 기골원중. 힐단망기골 족혈심지 골환구혈 포아이준. 랑망견 경이구지. 감탄주저 경기속출사 역명혜통.
승려 혜통(惠通)은 그 가족의 내력을 자세히 알 수 없다. 출가하기 전, 그의 집은 남산(南山) 서쪽 기슭 은천동(銀川洞)의 어귀에 있었다.[지금의 남간사(南澗寺) 동쪽 마을이다.] 하루는 집 동쪽의 시냇가에서 놀다가 수달 한 마리를 잡아 죽이고 그 뼈를 동산에 버렸다. 그런데 그 이튿날 아침에 그 뼈가 없어져서, 핏자국을 따라 찾아갔더니 뼈가 자신의 굴 속으로 돌아가서 다섯 마리의 새끼를 안고 웅크리고 있었다. 이것을 바라보며 한참 동안 놀라고 이상하게 여겼다. 그는 감탄하고 망설이다가 문득 속세를 버리고 출가하여 이름을 혜통으로 바꾸었다.
往唐謁無畏三藏請業 藏曰 “嵎夷之人 豈堪法器?” 遂不開授. 通不堪輕謝去 服勤三載猶不許. 通乃憤悱 立於庭 頭戴火盆 須臾頂裂聲如雷. 藏聞來視之 撤火盆以指按裂處 誦神呪 瘡合如平日 有瑕如王字文. 因號王和尙 深器之 傳印訣.
왕당알무외삼장청업 장왈 우이지인 기감법기 수불개수 통불감경사거 복근삼재유불허 통내분비 입어정 두 대화분 수유정열성여뢰. 장문래시지 철화분이지안열처 송신주 창합여평일 유하여왕자문. 인호왕화상 심기지 전인결.
당나라로 가서 무외삼장(無畏三藏)을 뵙고 수업을 청하자 삼장이 말하였다. “신라 사람이 어찌 불법을 닦는 그릇이 될 수 있겠는가?” 이렇게 무시하고 끝내 가르쳐주지 않았다. 혜통은 가벼이 물러가지 않고 3년 동안이나 부지런히 섬겼지만, 여전히 허락하지 않았다. 분하고 애가 탄 혜통이 뜰에 서서 머리에 화로를 이자, 잠깐 사이에 이마가 터지면서 우레 소리가 났다. 삼장이 이 소리를 듣고 와서 보고는, 화로를 치우고 손가락으로 터진 곳을 어루만지며 신비한 주문을 외우자 상처가 아물어 예전처럼 되었지만, 왕(王)자 무늬와 같은 흉터가 생겼다. 그래서 왕화상(王和尙)이라 부르게 되었다. 삼장은 혜통의 그릇을 깊이 인정하고 심법의 비결을 전해 주었다.
嵎夷: 해돋는 곳이란 명칭
時唐室有公主疾病 高宗請救於三藏 擧通自代. 通受敎別處 以白豆一斗呪銀器中 變白甲神兵 逐崇不克. 又以黑豆一斗呪金器中 變黑甲神兵 令二色合逐之 忽有蛟龍走出 疾遂瘳.
시당실유공주질병 고종청구어삼장 거통자대. 통수교별처 이백두일두주은기중 변백갑신병 축숭불극. 우이흑두일두주금기중 변흑갑신병 영이색합축지. 홀유교룡주출 질수료.
이때 당나라 황실의 공주가 병이 나서 고종(高宗)은 삼장에게 치료를 청하였고, 삼장은 자기 대신 혜통을 천거하였다. 혜통이 명을 받고 별실에 머물면서 흰 콩 한 말을 은그릇에 담아 주문을 외우자, 흰 갑옷을 입은 신병(神兵)으로 변하여 마귀를 쫓으려고 하였지만 이기지 못하였다. 그래서 다시 검은 콩 한 말을 금그릇에 넣고 주문을 외우자 검은 갑옷을 입은 신병으로 변하였다. 흰색과 검은색 신병에게 힘을 합쳐 마귀를 쫓게 하자, 홀연히 교룡이 달아났고 질병도 드디어 치료되었다.
龍怨通之逐己也 來本國文仍林 害命尤毒. 是時鄭恭奉使於唐 見通而謂曰 “師所逐毒龍 歸本國害甚 速去除之.” 乃與恭 以麟德二年乙丑 還國而黜之.
용원통지축지야 래본국문잉림 해명우독. 시시정공봉사어당 견통이위왈 “사소축독룡 귀본국해심 속거제지.” 내여공 이인덕이년을축 환국이출지.
용은 혜통이 자신을 쫓아내었다고 원망하여서, 신라의 문잉림(文仍林)으로 가서 사람들을 매우 독하게 해쳤다. 이 당시 정공(鄭恭)이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는데 혜통을 만나 이렇게 말하였다. “법사께서 쫓아낸 독룡이 본국으로 와서 해가 심합니다. 속히 가서 없애주십시오.” 그래서 혜통은 정공과 함께 인덕(麟德) 2년 을축(서기 665)에 귀국하여서 용을 쫓아버렸다.
龍又怨恭 乃托之柳生鄭氏門外. 恭不之覺 但賞其蔥密 酷愛之. 及神文王崩 孝昭卽位 修山陵 除葬路. 鄭氏之柳當道 有司欲伐之. 恭恚曰 “寧斬我頭 莫伐此樹.”
용우원공 내탁지유생정씨문외. 공부지각 단상기파밀 혹애지. 급신문왕붕 효소즉위 수산능제장로. 정씨지유당도 유사욕벌지. 공게왈 “영참아두 막벌차수.”
용은 이번엔 정공을 원망하여서 버드나무에 의탁해서 정공의 문 밖에 살았다. 정공은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버드나무가 무성한 것만 좋아하여 무척 아꼈다. 신문왕(神文王)이 세상을 떠나자 효소왕(孝昭王)이 왕위에 올라 신문왕의 왕릉을 만들고 장사 지낼 길을 닦았다. 그런데 정공의 버드나무가 길을 막고 있었으므로 관리가 버드나무를 베려고 하였다. 하지만 정공은 화를 내며 말하였다. “차라리 내 머리를 벨지언정 이 나무를 벨 수는 없소!”
有司奏聞 王大怒 命司寇曰 “鄭恭恃王和尙神術 將謀不遜 侮逆王命 言斬我頭 宜從所好.” 乃誅之 坑其家.
유사주문 왕대노 명사구왈 “정공시왕화상신술 장모불손 모역왕명 언참아두 의종소호.” 내주지갱기가.
관리가 왕에게 이러한 말을 고하자, 왕은 대단히 화가 나서 법관에게 명하였다. “정공이 왕화상의 신술을 믿고 불손한 일을 꾸미려고 왕명을 거역하며 자신의 머리를 베라고 하니, 마땅히 지가 좋아하는 대로 해주어야 하리라.” 그래서 정공을 베어 죽이고 집도 묻어버렸다.
朝議王和尙與恭甚厚 應有忌嫌 宜先圖之. 乃徵甲尋捕.
조의왕화상여공심후 응유기혐 의선도지. 내징감심포.
그러자 조정에서 논의하기를, 왕화상과 정공은 매우 친했기 때문에 왕화상이 이 일을 싫어할 것이니, 마땅히 먼저 왕화상을 없애야 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곧 갑옷 입은 병사들을 보내 잡아오게 하였다.
通在王望寺 見甲徒至 登屋携砂甁 硏朱筆而呼曰 “見我所爲!” 乃於甁項抹一畵曰 “爾輩宜各見項.” 視之皆朱畵 相視愕然. 又呼曰 “若斷甁項 應斷爾項 如何?”
통재왕망사 견갑도지 등옥휴사병 연주필이호왈 “견아소위!” 내어병항말일화왈 “이배의각견항.” 시지개주화 상시악연. 우호왈 “약단병항 응단이항 여하?”
혜통은 왕망사(王望寺)에 있었는데 갑옷 입은 병사들이 오는 것을 보고 지붕 위로 올라가 사기병과 붉은 먹을 묻힌 붓을 들고 외쳤다. 내가 하는 것을 보아라!” 병의 목에 한 획을 긋고는 다시 말하였다. “너희들은 각자의 목을 보아라.” 그들이 목을 보니 모두 붉은 획이 그어져 있었고 서로들 쳐다보고 크게 놀랐다. 혜통은 또 소리쳤다. “만약 병의 목을 자른다면 응당 너희들 목도 잘라질 것이다. 어찌 하겠느냐?”
其徒奔走 以朱項赴王 王曰 “和尙神通 豈人力所能圖.” 乃捨之.
기도분주 이주항부왕 왕왈 “화상신통 기인력소능도.” 내사지.
그러자 병사들이 달아나, 붉은 색 획이 그어진 목을 왕에게 보였다. 왕이 말하였다. “화상의 신통력을 어찌 사람의 힘으로 제압할 수 있겠느냐?” 그리고는 곧 내버려두었다.
王女忽有疾 詔通治之 疾愈. 王大悅 通因言 “恭被毒龍之汚 濫膺國刑.” 王聞之心悔 乃免恭妻孥 拜通爲國師.
왕녀홀유질 조통치지 질유. 왕대열 통인언 “공피독룡지오 남응국형.” 왕문지심회 내면공처노 배통위국사.
어느 날 왕의 딸이 갑자기 병이 생겨 왕이 혜통에게 명하여 치료하게 했더니 병이 나았다. 왕이 크게 기뻐하자 혜통이 말하였다. “정공은 독룡의 해를 입어 억울하게 나라의 형벌을 받았던 것입니다.” 왕은 이 말을 듣고 마음으로 뉘우치고는 곧 정공의 처자의 죄를 면해 주고, 혜통을 국사로 삼았다.
龍旣報寃於恭 往機張山爲熊神 慘毒滋甚 民多梗之. 通到山中 諭龍授不殺戒 神害乃息.
용기보원어공 왕기장산위웅신 참독자심 민다경지. 통도산중 유용수불살계 신해내식.
용은 정공에게 원수를 갚은 후 기장산(機張山)의 곰신이 되어서 해독을 더욱 심하게 끼치자 백성들이 너무나 괴로워하였다. 혜통이 그 산 속으로 들어가 용을 타이르고 살생하지 말라는 계를 주었더니, 그제서야 곰신의 해독이 없어졌다.
初神文王發疽背 請候於通 通至 呪之立活. 乃曰 “陛下曩昔爲宰官身 誤決臧人信忠爲隸. 信忠有怨 生生作報. 今玆惡疽 亦信忠所祟. 宜爲忠創伽藍 奉冥祐以解之.”
초신문왕발저배 청후어통 통지 주지입활. 내왈 “폐하낭석위재관신 오결장인신충위예. 신충유원 생생작보. 금자악저 역신충소숭. 의위충창가람 봉명우이해지.”
처음에 신문왕이 등창이 나서 혜통에게 치료해 주기를 청하였는데, 혜통이 주문을 외우자 즉시 나았다. 혜통이 말하였다. “폐하께서는 전생에 재상이셨는데, 양민인 신충(信忠)을 잘못 판결하여 종으로 만드셨습니다. 그래서 신충이 원한을 품고 윤회하여 태어날 때 마다 보복을 하는 것입니다. 지금 이 등창도 신충의 짓입니다. 마땅히 신충을 위해 절을 창건하시고 명복을 빌어서 원한을 풀어 주십시오.”
王深然之 創寺號信忠奉聖寺 寺成 空中唱云 因王創寺 脫苦生天 怨已解矣[或本載此事於眞表傳中 誤] 因其唱地 置折怨堂 堂與寺今存.
왕심연지 창사호신충봉성사 사성 공중창운 “인왕창사 탈고생천 원기해의.”[혹본재차사어진표전중 오] 인기창지 치절원당 당여사금존.
왕이 그 말을 매우 옳게 여겨서 절을 창건하고 신충봉성사(信忠奉聖寺)라고 하였다. 절이 다 완성되자 공중에서 이렇게 외쳤다. “임금님께서 절을 세워주셔서 괴로움에서 벗어나 하늘나라에서 태어났으니 원한은 이미 풀어졌습니다.”[어떤 책에는 이 일이 「진표전(眞表傳)」에 실려 있는데 잘못된 것이다.] 그래서 그 외친 곳에 절원당(折怨堂)을 세웠는데, 절원당과 절이 지금도 남아 있다.
先是密本之後有高僧明朗 入龍宮得神印[梵云文豆婁 此云神印] 祖創神遊林[今天王寺] 屢禳隣國之寇. 今和尙傳無畏之髓 遍歷塵寰 救人化物. 兼以宿命之明 創寺雪怨. 密敎之風於是乎大振 天磨之摠持嵓 母岳之呪錫院等 皆其流裔也.
선시밀본지후유고승명랑 입용궁득신인[범운문두루 차운신인] 조창신유림[금천왕사] 누양인국지구. 금화상전무외지수 편력진환 구인화물. 경이숙명지명 창사설원. 밀교지풍어시호대진 천마지총지암 모악지주석원등 개기유예야.
이보다 앞서 밀본법사의 뒤에 고승 명랑(明朗)이 용궁에 들어가 신인(神印)[범어로는 문두루(文豆婁)라 하는데 여기서는 神印이라고 하였다.]을 얻어 와서는, 신유림(神遊林)[지금의 천왕사(天王寺)이다.]을 처음으로 세우고, 여러 번 이웃나라의 침략을 기도로 물리쳤다. 그리고 무외삼장의 핵심 사상을 전하며 세속을 두루 다녀 사람들을 구제하고 만물을 교화시켰다. 아울러 타고난 밝은 지혜로 절을 창건하여 원한을 풀어주었다. 이리하여 밀교의 교화가 이 시대에 크게 떨쳐졌다. 천마산(天磨山)의 총지암(摠持嵓)과 모악(母岳)의 주석원(呪錫院) 등이 모두 그 후예이다.
或云通俗名尊勝角干. 角干乃新羅之宰相峻級 未聞通歷仕之迹. 或云射得豺狼 皆未詳.
혹운통속명존승각간. 각간내신라지재상준급 미문총역사지적. 혹운사득시랑 개미상.
어떤 사람은 혜통의 세속 이름은 존승(尊勝) 각간(角干)이었다고 한다. 각간은 곧 신라의 재상급인데 혜통이 벼슬을 지냈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다. 혹은 승냥이와 이리를 쏘아 잡았다고도 하지만, 모두 다 자세히 알 수 없다.
讚曰 山桃溪杏映籬斜 一徑春深兩岸花 賴得郞君閑捕獺 盡敎魔外遠京華.
찬왈 산도계행영이사 일경춘심양안화 뢰득낭군한포달 진교마외원경화.
다음과 같이 찬미한다.
산 복숭아와 시내의 살구가 울타리에 비치고 오솔길에 봄이 깊어 양쪽 언덕에 꽃이 피었다네.
혜통이 무심하게 수달을 잡은 인연으로 서울 밖 먼 곳의 마귀까지 모두 교화시켰다네.
密敎: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7092&cid=40942&categoryId=31534 참조할 것....
'三國遺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第五 感通 第七 - 仙桃聖母 隨喜佛事 (0) | 2020.06.24 |
---|---|
卷 第五 神呪 第六- 明朗神印 (0) | 2020.06.24 |
卷第五 神呪 第六- 密本摧邪 (0) | 2020.06.23 |
券 第四 義解 券五- 賢瑜珈 海華嚴 (0) | 2020.06.22 |
券 第四 義解 券五- 心地繼祖 (0) | 2020.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