義湘傳敎
의상전교
의상이 화엄종을 전하다.
法師義湘 考曰韓信 金氏. 年二十九 依京師皇福寺落髮 未幾西圖觀化 遂與元曉道出遼東邊. 戍邏之爲諜者 囚閉者累旬 僅免而還.[事在崔侯本傳及曉師行狀等]
법사의상 고왈한신 김씨. 연이십구세 의경사황복사낙발 미기서도관화 수여원효도출요동변. 수라지위첩자 수폐자누순 근면이환[사재최후본전급효사행장등]
법사 의상(義湘)의 아버지는 한신(韓信)이고 성은 김씨다. 나이 29세에 서울 황복사(皇福寺)에서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얼마 후 중국으로 가 부처의 교화를 보고 싶어서, 드디어 원효(元曉)와 함께 요동(遼東)으로 갔다. 그러나 국경을 지키는 병사들이 첩자로 여겨 갇혀 있은 지 수십 일만에 간신히 풀려나 돌아왔다.[이 일은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의상본전(義湘本傳)」과 원효대사의 「행장」 등에 실려 있다.]
永徽初 會唐使舡有西還者 寓載入中國. 初止揚州 州將劉至仁 請留衙內 供養豊贍. 尋往終南山至相寺 謁智儼. 儼前夕夢一大樹生海東 枝葉溥布 來蔭神州 上有鳳巢 登視之 有一摩尼寶珠 光明屬遠. 覺而驚異 洒掃而待 湘乃至. 殊禮迎際 從容謂曰 “吾昨者之夢 子來投我之兆.”
영휘초 회당사강유서환자 우재입중국. 초지양주 주장유지인 청유어내 공양풍섬. 심왕종남산지상사 알지엄. 엄전석몽일개수생해동 지엽박포 래음신주 상유봉소 등시지 유일마니보주 광명속원. 각이경이 쇄소이대 상지.지 수예영제 종용위왈 “오작자지몽 자래투아지조.”
영휘(永徽) 초년(서기 650) 마침 본국으로 돌아가는 당나라 사신의 배가 있어서 그 배를 타고 중국으로 갔다. 처음에는 양주(揚州)에 머물렀는데 양주의 장수 유지인(劉至仁)이 의상을 청하여 관청에 머무르게 하고 성대하게 대접하였다. 얼마 후에 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에 가서 지엄(智儼)을 뵈었다. 지엄은 그 전날 밤 꿈에 큰 나무 하나가 해동에서 생겨나 가지와 잎이 널리 퍼져서 중국까지 와서 덮었는데, 그 가지 위에 봉황의 둥지가 있어 올라가 보니 마니보주에서 나온 빛이 먼 곳까지 비치는 것이었다. 꿈에서 깨자 놀랍고 이상해서 청소를 하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의상이 곧 도착하였다. 지엄은 극진한 예로 그를 맞이하고 조용히 말하였다. “내가 어젯밤 꾼 꿈은 그대가 내게 올 징조였구려.”
許爲入室 雜花妙旨 剖析幽微. 儼喜逢郢質 克發新致. 可謂鉤深索隱 藍茜沮本色.
허위입실 잡화묘지 부석유미. 엄희봉정질 극발신치. 가위구심색은 람천저본색.
그리고 스승의 방에 들어와 수업하는 것을 특별히 허락하였다. 의상은 『화엄경(華嚴經)』의 미묘한 뜻을 그윽하고 은미한 곳까지 해석하였다. 지엄은 함께 학문을 논할 수 있는 사람을 만난 것을 기뻐하였고 또 새로운 이치도 터득하였다. 의상은 심오하고 은미한 사물의 이치를 찾아내었으니, 마치 남초와 천초가 그 본래의 색을 잃은 것과 같이 의상은 이미 스승의 경지를 넘어서고 있었다.
旣而本國承相金欽純[一作仁問]良圖等 往囚於唐. 高宗將大擧東征. 欽純等密遣湘誘而先之. 以咸享元年庚午還國 聞事於朝 命神印大德明朗 假設密壇法禳之 國乃免.
기이본국승상김흠순[일작인문]양도등 왕수어당. 고종장대거동정. 흠순등밀견상유이선지. 이함형원년경오환국 문사어조 명신인대덕명랑 가설밀단법양지 국내면.
이때 본국의 승상 김흠순(金欽純)[김인문(金仁問)이라고도 한다.]과 양도(良圖) 등이 당나라에 갇혀 있었다. 당나라 고종(高宗)이 크게 군사를 일으켜 신라를 치려고 하였다. 그래서 흠순 등이 몰래 의상에게 권유하여 먼저 돌아가도록 하였다. 의상은 함형(咸享) 원년 경오(서기 670)에 귀국하여 이 일을 조정에 알렸고, 왕은 신인종(神印宗)의 고승 명랑(明朗)에게 명하여 밀교 의식을 행할 단을 임시로 세우고 비법으로 기도해서 나라가 곧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儀鳳元年 湘歸大伯山 奉朝旨創浮石寺 敷敞大乘 靈感頗著. 終南門人賢首撰搜玄疏 送副本於湘處 幷奉書懃懇曰 “西京崇福寺僧法藏 致書於海東新羅華嚴法師侍者 一從分別 二十餘年 傾望之誠 豈離心首? 加以烟雲萬里 海陸千重 恨此一身不復再面 抱懹戀戀 夫何可言? 故由夙世同因 今生同業 得於此報 俱沐大經 特蒙先師 授玆奧典.
의봉원년 상귀대백산 봉조지창부석사 부창대승 영감파저. 종남문인현수찬수현소 송부본어상처 병봉서근간왈 “서경숭복사승법장 치서어해동신라화엄법사시자 일종분별 이십여년 경망지성 기리수심? 가이연운만리 해륙천중 한차일신불복재면 포회연연 부하가언? 고유패세동인 금생동업 득어차보 구목대경 특몽선사 수자오전.
의봉(儀鳳) 원년(서기 676)에 의상은 태백산(太白山)으로 가서 조정의 뜻을 받들어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하고 대승(大乘)의 교법을 펼쳤는데 영험이 많이 나타났다. 종남산 지엄의 제자인 현수(賢首)가 『수현소(搜玄疏)』를 지어서 한 부를 의상에게 보낸 뒤 은근한 뜻이 담긴 편지도 보내어 이렇게 말하였다. “서경(西京) 승복사(崇福寺)의 승려 법장(法藏)은 해동 신라의 화엄법사(華嚴法師)를 모시는 분에게 글을 드립니다. 한번 작별한 지 20여 년이 되었으니 사모하는 정이 어찌 마음과 머리에서 떠나겠습니까? 더욱이 연기와 구름이 만 리나 되고 바다와 육지가 천 겹이나 되어서, 이 몸이 다시 뵙지 못하는 것을 한스럽게 여기오니, 그리운 마음을 어찌 말로 다 표현할 수 있겠습니까? 전생에 인연을 같이했고 금세에 학업을 함께했으니, 업보=카르마를 얻어서 화엄경(華嚴經)을 함께하는 은택을 입어 특별한 스승님께 큰 은혜를 입어 오묘한 경전의 이치를 전수 받았습니다.
仰承上人歸鄕之後 開演華嚴 宣揚法界無碍緣起 重重帝網 新新佛國 利益弘廣 喜躍增深. 是知如來滅後 光輝佛日 再轉法輪 令法久住者 其唯法師矣. 藏進趣無成 周旋寡況 仰念玆典 愧荷先師. 隨分受持 不能捨離 希憑此業 用結來因.
앙승상인귀향지후 개연화엄 선양법계무애연기 중중제강 신신불국 이익홍광 희약증심. 시지여래멸후 광휘불일 재전법륜 영법구주자 기유법사의. 장진취무성 주선과황 앙념자전 괴하선사. 수분수지 불능사리 희빙차업 용결래인,
우러러 듣건대 스님께서 고향에 돌아가신 후에 화엄경을 강연하여 법계의 끝없는 연기(緣起)를 드날리고 겹겹의 제망(帝網)으로 불국토를 새롭게 하여 중생에게 이익을 주는 것이 크고 넓다고 하니, 기쁜 마음이 뛸 듯이 깊어집니다. 이로써 여래가 돌아가신 후로 불교를 빛내고 법륜을 다시 굴려, 불법을 오래 머물게 할 분은 오로지 법사뿐임을 알았습니다. 저는 진보하려고 해도 이룬 것이 없고 주선하는 것도 적었는데, 우러러 이 경전을 생각하니 선사께 부끄러울 뿐입니다. 분수에 따라 전수 받아 가진 것을 버릴 수도 없어서, 이 업에 의지해 내세의 인연을 맺고자 합니다.
但以和尙章疏 義豊文簡 致令後人多難趣入 是以錄和尙微言妙旨 勒成義記. 近因勝詮法師抄寫還鄕 傳之彼土. 請上人詳檢臧否 幸示箴誨.
단이화상장고 의풍문간 치영후인다난취입 시이록화상미언묘지 늑성의기. 근인승전법사초사환향 전지피토. 청상인상검장부 행시잠회.
다만 스님의 풀이는 뜻은 풍부하나 글이 간결하여 후세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스님의 은미한 말씀과 오묘한 뜻을 기록하여 『의기(義記)』를 만들었습니다. 근래에 승전법사(勝詮法師)가 옮겨 써서 고향에 돌아가 그 지방에 전할 것입니다. 청컨대 스님께서는 그 잘잘못을 상세히 검토하시어서 가르쳐 주시면 다행이겠습니다.
伏願當當來世 捨身受身 相與同於盧舍那 聽受如此無盡妙法 修行如此無量普賢願行. 儻餘惡業 一朝顚墜 伏希上人不遺宿昔 在諸趣中 示以正道. 人信之次 時訪存沒 不具[文載大文類].
복원당당래세 사신수신 상여동어노사나 청수여차무진묘법 수행여차무량보현원행. 당여악업일조전추 복희상인불유숙석 재제취중 시이정도. 인신지차 시방존몰 불구[문재대문류].
엎드려 바라옵건대, 마땅히 내세에서는 제 몸을 버리고 새 몸을 받아, 함께 노사나불께 이와 같은 끝없는 묘법을 듣고 이와 같은 무량한 보현보살의 원행을 수행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저에게는 악업이 남아 있어서 하루아침에 지옥에 떨어질지라도, 엎드려 바라옵건대 스님께서는 옛 일을 잊지 마시고 어디를 가나 올바른 도를 가르쳐 주십시오. 사람들이 믿던 말던 때때로 안부를 물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만 줄입니다.”[글은 대문류(大文類)에 실려 있다.]
湘乃令十刹傳敎 太伯山浮石寺 原州毗摩羅 伽耶之海印 毗瑟之玉泉 金井之梵魚 南嶽華嚴寺等是也.
상내영십찰전교 태백산부석사 원주비마라 가야지해인 비금지옥천 금정지범어 남악화엄사등시야.
의상은 곧 열 곳의 절에 교리를 전하게 하였으니, 태백산의 부석사, 원주(原州)의 비마라사(毗摩羅寺), 가야산(伽倻山)의 해인사(海印寺), 비슬산(毗瑟山)의 옥천사(玉泉寺), 금정산(金井山)의 범어사(梵魚寺), 남악(南嶽)의 화엄사(華嚴寺) 등이 이것이다.
又著法界圖書印 幷略疏 括盡一乘樞要 千載龜鏡 競所珍佩. 餘無撰述 嘗鼎味一臠足矣. 圖成 總章元年戊辰 是年儼亦歸寂. 如孔氏之絶筆於獲麟矣.
우저법계도서인 병약소 괄진일승수요 천재귀경 경소진패. 여무찬술 상정미일련족의. 도성 총장원년무진 시년엄역귀적. 여공씨지절필아획린의.
또 『법계도서인(法界圖書印)』과 『약소(略疏)』를 지어 일승(一乘)의 요점을 모두 실어 천년의 귀감이 되게 하였으므로, 여러 사람이 다투어 보배로 여겼다. 이 밖에 다른 저술이 없지만, 솥 안의 고기 맛을 알려면 한 점의 고기로도 충분할 것이다. 『법계도서인』은 총장(總章) 원년 무진(서기 668)에 완성되었는데, 이 해에 지엄이 세상을 떠났다. 이것은 마치 공자(孔子)가 죽어서 붓을 놓은 것과 같다.
世傳湘乃金山寶蓋之幻有也 徒弟悟眞智通表訓眞定眞藏道融良圓相源能仁義寂等十大德爲領首 皆亞聖也. 各有傳.
세전상내금산보개지완유야 도제오진지통표훈진정진장도융양원상원능인의적등십대덕위영수개아성야. 각유전.
세상에서 전하기를, 의상은 바로 부처님의 화신이라고 한다. 그의 제자인 오진(悟眞), 지통(智通), 표훈(表訓), 진정(眞定), 진장(眞藏), 도융(道融), 양원(良圓), 상원(相源), 능인(能仁), 의적(義寂) 등 10명의 고승들은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그들은 모두 성인에 버금갔다. 모두들 전기가 있다.
眞嘗處下柯山鶻嵓寺 每夜伸臂 點浮石室燈. 通著錐洞記 蓋承親訓 故辭多詣妙. 訓曾住佛國寺 常往來天宮. 湘住皇福寺時 與徒衆繞塔 每步虛而上 不以階升 故其塔不設梯磴. 其徒離階三尺 履空而旋 湘乃顧謂曰 “世人見此 必以爲怪 不可以訓世.” 餘如崔侯所撰本傳.
진상처하가산골암사 매야신비 점부석실등. 통저추동기 개승친훈 고사다지묘. 훈증주불국사 상주래천궁. 상주황복사시 여도중요탑 매보허이상 불이계승 고기탑부성제등. 기도이계삼척 복공이선 상지원위왈 “세인견차 필이위괴 불가이훈세.” 여여최후소찬본전.
오진은 일찍이 하가산(下柯山) 골암사(鶻嵓寺)에서 거처했는데, 밤마다 팔을 뻗쳐 부석사의 석등에 불을 켰다. 지통은 『추동기(錐洞記)』를 지었는데, 직접 의상의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에 그가 지은 글에는 오묘한 경지에 이른 것이 많았다. 표훈은 일찍이 불국사(佛國寺)에 머물면서 항상 하늘의 궁전을 오고갔다. 의상이 황복사(皇福寺)에 있을 때는 여러 사람들과 함께 탑을 돌았는데, 언제나 층계를 밟지 않고 허공을 밟고 올라갔고 층계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탑에는 사다리와 돌계단을 설치하지 않았다. 그 무리들도 층계에서 3척이나 떨어져 허공을 밟고 돌았는데, 의상은 그 무리들을 돌아보며 이렇게 말하였다. “세상 사람들이 이것을 보면 반드시 괴이하다 여길 것이니, 세상에 가르쳐서는 안 된다.”
이 나머지는 최치원이 지은 「의상본전」과 같다.
讚曰 披榛跨海冒烟塵 至相門開接瑞珍 采采雜花栽故國 終南太伯一般春.
찬왈 피진궤해모연진 지상문개접서진 채채잡화재고국 종남태백일반춘.
다음과 같이 기린다.
가시덤불 헤치고 연기 티끌 무릅쓰고 바다를 건너니 지상사가 문열고 귀한 손님 맞이했다네.
화엄 사상을 배워 고국에 심었으니 종남산과 태백산이 똑같은 봄빛이라.
'三國遺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券 第四 義解 券五- 眞表傳簡 (0) | 2020.06.20 |
---|---|
券 第四 義解 券五- 蛇福不言 (0) | 2020.06.20 |
券 第四 義解 券五- 元曉不覊 (0) | 2020.06.19 |
券 第四 義解 券五- 慈藏定律 (0) | 2020.06.18 |
券 第四 義解 券五-二惠同塵 (0) | 202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