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遺事

券 第三 塔像 第四- 魚山佛影

魚山佛影

 

古記云 萬魚山者 古之慈成山也 又阿耶斯山.[當作摩耶斯 此云魚也] 傍有呵囉國. 昔天卵下于海邊 作人御國 卽首露王. 當此時 境內有玉池 池有毒龍焉. 萬魚山有五羅刹女 往來交通. 故時降電雨 歷四年 五穀不成. 王呪禁不能 稽首請佛說法. 然後羅刹女受五戒 而無後害. 故東海魚龍 遂化爲滿洞之石 各有鍾磬之聲.”[已上古記]

고기운 만어산자 고지자성산야. 우아야사산[당작마이사 차운어야] 방유가라국 석천한하우해변 작인어국 즉수로왕. 당차시 경내유옥지 지유독룡언. 만어산유오나찰녀 왕래교통. 고시강전우 역사년 오곡불성. 왕주금불능 계수청불설법 .연후나찰녀수오계 이무후해. 고동해어룡 수화위만동지석 각유종경지성.”[이상고기]

 

고기(古記)에 이러한 기록이 있다. “만어산(萬魚山)은 옛날의 자성산(慈成山) 또는 아야사산(阿耶斯山)[마땅히 마야사(摩耶斯)라고 해야 한다. 이것은 물고기를 말한다.]이라고 한다. 그 옆에 가라국이 있었다. 옛날 하늘에서 알이 바닷가로 내려와 사람이 되어 나라를 다스렸으니, 곧 수로왕(首露王)이다. 그 당시에 국경 안에 옥지(玉池)가 있었는데 그 연못에는 독룡이 살고 있었다. 만어산에는 사람을 잡아 먹는 다섯 명의 나찰녀(羅刹女)가 있었는데, 독룡과 서로 오가며 사귀었다. 그 때문에 때때로 번개가 치고 비가 내려 4년 동안이나 오곡이 익지 않았다. 왕은 주술로써 금하려고 했지만 하지 못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부처님에게 설법을 청하였다. 그런 연후에야 나찰녀가 오계를 받았고 그 이후로 재해가 없어졌다. 그래서 동해의 물고기와 용이 드디어 골짜기 가득 돌로 변하여서, 각각 종과 경쇠 소리를 냈다.”[이상은 고기(古記)에 있다.]

 

又按 大定二十年庚子 卽明宗十一年也. 始創萬魚寺. 棟梁寶林狀奏 所稱山中奇異之迹. 與北天竺訶羅國 佛影事符同者有三. 一 山之側近地梁州界玉池 亦毒龍所蟄是也, 二 有時自江邊雲氣始出 來到山頂 雲中有音樂之聲是也, 三 影之西北有盤石 常貯水不絶 云是佛浣濯架裟之地是也.

우안 대정이십년경자 즉명종십일년야. 시창만어사. 동향보림상주 소칭산중기이지적. 여북천축가라국 불영사부동자유삼 일 산지측근지앵즈계옥지 역독룡소침시야, 이 유시자강변운기시출 래도산정 운중유음악지성시야, 삼 영지서북유반석 상저수불절 운시불완탁가사지지시야.

 

또 살펴보면, 대정(大定) 12년 경자(서기 1180)는 곧 고려 명종 11년이다. 이때 처음으로 만어사를 창건하였다. 동량(棟梁) 보림(寶林)이 임금님께 글을 올려 아뢰었다. “이 산 속에는 북천축 가라국의 부처님 영상과 같이 기이한 사적이 셋이 있습니다. 하나는 산 근처 양주(梁州) 경계에 있는 옥지인데 여기에도 독룡이 살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때때로 강가에서 구름이 일어나 산마루까지 이르는데 그 구름 속에서 음악 소리가 나는 것이고, 셋째는 그림자의 서북쪽에 반석이 있어 항상 물이 고여 마르지 않는데, 이곳은 부처님이 가사를 빨았던 곳이라고 한 것이 이것입니다.”

 

已上皆寶林之說. 今親來瞻禮 亦乃彰彰可敬信者有二. 洞中之石 凡三分之二 皆有金玉之聲是一也 遠瞻卽現 近瞻不見 或見不見等 是一也. 北天之文 具錄於後.

이상보림지설. 금친해첨예 역내창창가경신자유이. 동중지석 범삼분지이 개유금옥지석시일야 원첨즉현 근첨불견 혹견불견등 시일야. 북천지문 구록어후.

 

이상은 모두 보림의 말이다. 지금 직접 와서 예를 올리고 보니, 또한 분명히 공경하고 믿을 만한 일이 두 가지가 있다. 그것은 골짜기 속의 돌이 3분의 2는 금과 옥의 소리를 낸다는 것이 하나이고, 멀리서 보면 나타나고 가까이서 보면 보이지 않아서, 혹은 보이기도 하고 보이지 않기도 하는 것이 그 하나이다. 북천축의 글은 뒤에 자세히 기록하였다.

 

可函觀佛三昧經第七卷云 佛到耶乾訶羅國古仙山 薝葍花林毒龍之側 靑蓮花泉北 羅刹穴中 阿那斯山南. 爾時彼穴有五羅刹 化作女龍 與毒龍通. 龍復降雹 羅刹亂行 飢饉疾疫 已歷四年. 王驚懼 禱祀神祗 於事無益. 時有梵志 聰明多智 白言大王 伽毗羅淨飯王子 今者成道 號釋迦文.” 王聞是語 心大歡喜 向佛作禮曰 云何今日佛日已興 不到此國.”

가함관불삼매경제칠권운 불도아건가라국고선산 첨복화힘독룡지측 청연화천북 나찰혈중 아라사산남 이시피혈우오나찰 화착여룡 야독룡통 용복항박 나찰난행 기근질역 이역사년 왕경구도사신지 어사무익 시유범지 총명다지 백언대왕 가비라국정반왕자 금자성도 호석가문.” 왕문시어 심대환희 향불작예왈 운가금일불일이흥 부도차국.”

 

가자함(可字函)관불삼매경(觀佛三昧經)7권에는 이러한 기록이 있다. 부처님이 야건가라국(耶乾訶羅國) 고선산(古仙山)의 첨복화림(薝葍花林) 독룡의 옆이며 청련화천(靑蓮花泉)의 북쪽인 나찰혈(羅刹穴) 가운데 있는 아나사산(阿那斯山) 남쪽에 이르셨다. 이때 나찰혈에는 나찰 다섯이 있는데, 여룡으로 변하여 독룡과 정을 통하였다. 독룡이 우박을 내리고 나찰은 난폭한 행동을 하여서 기근과 전염병이 4년이나 계속되었다. 왕은 놀랍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여 천신과 지신에게 기도하고 제사를 지냈지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러자 총명하고 지혜가 많은 바라문이 대왕께 아뢰었다. “가비라국(伽毗羅國) 정반왕(淨飯王)의 왕자가 지금 도를 이루고 호를 석가문(釋迦文)이라 하였습니다.” 왕은 이 말을 듣고 마음 속으로 크게 기뻐하며 부처님이 계신 곳을 향해 예를 올리고 말하였다. “오늘날 불교가 이미 일어났다고 하는데, 어찌하여 이 나라에는 오시지 않으십니까?”

 

爾時如來 勑諸比丘 得六神通者 隨從佛後 受耶乾訶羅王弗婆浮提請. 爾時世尊 頂放光明 化作一萬諸大化佛 往至彼國. 爾時龍王及羅刹女 五體投地 求佛受戒. 佛卽爲說三歸五戒 龍王聞已 長跪合掌 勸請世尊常住此間 佛若不在 我有惡心 無由得成阿耨菩提.”

이시여래 칙제비구 득육신통자 수종불후 수야건아라왕불파부제청. 이시세존 정방광명 화작일만재대화불 왕지피국. 이시용왕급나찰녀 오체투지 구불수계. 불즉위설삼귀오계 용왕문이장궤합장 권청세존상주차간 불약부재 아유악심 무유득성아누보리.”

 

이때 석가여래는 여러 비구에게 명하여 여섯 가지 신통력을 얻은 이들에게 자신의 뒤를 따르게 하고 야건가라국의 왕 불파부제(弗婆浮提)의 청을 들어주기로 하였다. 그때 세존의 이마에서 빛이 나와 1만이나 되는 천신과 화불(化佛, 부처나 보살의 신통력으로 변해 나타난 부처)을 만들어 그 나라에 이르렀다. 이때 용왕과 나찰녀는 오체투지를 하며 부처님에게 계를 받기를 청하였다. 부처님은 곧 삼귀오계(三歸五戒)를 설법하였다. 용왕은 다 듣고 난 후에 꿇어앉아 합장을 하고 세존이 늘 이곳에 머물러 있기를 청하였다. “부처님께서 만일 이곳에 계시지 않으면 저에게는 악한 마음이 생길 것이니 최상의 진리를 얻을 길이 없습니다.”

 

時梵天王 復來禮佛請 婆伽婆爲未來世諸衆生 故莫獨偏爲此一小龍.”

시범천왕 복래예불청 바가바위미래세제중생 고막독편위차일소룡.”

 

이때 범천왕(梵天王)이 다시 와서 부처님께 예를 올리고 청하였다. “부처님께서는 미래 세상의 모든 중생들을 위하셔야 합니다. 이 작은 용만을 위해서는 안 됩니다.”

 

百千梵王皆作是請 時龍王出七寶臺 奉上如來 佛告龍王 不須此臺 汝今但以羅刹石窟 持以施我.” 龍歡喜[云云] 爾時如來 安慰龍王 我受汝請 坐汝窟中 經千五百歲.”

백천범왕개작시청 시용왕출칠보대 봉상여래 불고용왕 불수차대 여금단이나찰석굴 지이시아.”용환희[운운] 이시여래 안위용왕 아수여청 좌여굴중 경천오백세.”

 

그러자 모든 범왕들도 다 이와 같이 청을 하였다. 이때 용왕이 칠보대를 내어 부처님께 바치자 부처는 용왕에게 말하였다. “이 대는 필요 없으니, 너는 지금 다만 나찰이 있는 석굴을 가져다가 나에게 시주하여라.” 이 말을 들은 용왕은 기뻐하였다.[라고 한다.] 부처님이 용왕을 위로하여 말씀하셨다. “내가 네 청을 들어주어 네 굴 속에서 1,500년을 지내겠노라.”

 

佛湧身入石 猶如明鏡 人見面像. 諸龍皆現. 佛在石內 映現於外. 爾時諸龍合掌歡喜 不出其地 常見佛日. 爾時世尊結伽趺坐在石壁內 衆生見時 遠望卽現 近則不現. 諸天供養佛影 影亦說法 .

불용신입석 유여명경 인견면상. 제용개현. 불재석내 영현이외. 이시제용합장환희 불출기지 상견불일. 이시제존결가부좌재석벽내 중생견시 원망즉현 근즉불현. 제천공양불영 영역설법.

 

그리고는 부처님이 몸을 솟구쳐 돌 속으로 들어가자, 그 돌은 밝은 거울과 같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모든 용이 다 나타났다. 부처님은 돌 속에 있으면서 밖으로 형상이 내비치었다. 이때 모든 용은 합장하면서 기뻐하며, 그 땅을 떠나지 않고 늘 부처님을 보았다. 이때 부처님은 결가부좌하고 석벽 속에 앉아 있었는데, 중생들이 볼 때 멀리서 바라보면 보였지만 가까이서 보면 보이지 않았다. 제천이 부처님의 영상에 공양하였고 영상이 설법도 하였다.

 

又云 佛蹴嵓石之上 卽便成金玉之聲.”

우운 불취암석지상 즉변성금옥지성.”

 

또 이렇게 말하기도 하였다. “부처님이 바위 위를 밟자 문득 금과 옥 소리가 났다.”

 

高僧傳云 惠遠聞天竺有佛影 昔爲龍所留之影 在北天竺月支國那竭呵城南古仙人石室中[云云]

고승전운 혜원문천축유불영 석위용소유지영 재북천축월지국나알가성남고선인석실중[운운]

 

고승전(高僧傳)에는 이러한 기록이 있다. “혜원(惠遠)이 인도에 부처님의 그림자가 있다는 말을 들었다. 이것은 옛날 용을 위해 남겼던 그림자로, 북천국(北天竺) 월지국(月支國) 나갈가성(那竭呵城) 남쪽 고선인(古仙人)의 석실 속에 있었다고 한다.”

 

又法顯西域傳云 至那竭國界 那竭城南半由旬有石室 博山西南面 佛留影此中. 去十餘步觀之 如佛眞形 光明炳著 轉近轉微. 諸國王遣工摹寫 莫能髣髴. 國人傳云 賢劫千佛 皆當於此留影 影之西百步許 有佛在時剃髮剪爪之地.”[云云]

우법현서역전운 지나갈국계 나갈성남반유순유석실 박산서남면 유불영차중. 거십여보관지 여불진형 광명병저 전근전미. 제국왕견공모사 모능방불 국인전운 현겁천불 개당어차유영 영지서백보허 유불재시체발전과지지.”[운운]

 

또 법현(法顯)서역전(西域傳)에는 이러한 기록이 있다. “나갈국(那竭國) 국경에 이르면 나갈성(那竭城) 남쪽으로 15리쯤 되는 곳에 석실이 있는데, 박산(博山) 서남쪽으로 그 석실 속에 부처님이 영상을 남기셨다. 10여 보 떨어져 바라보면 부처님의 진짜 모습처럼 빛이 환하게 나타나지만 가까워질수록 점점 희미해진다. 여러 나라의 왕들이 화공을 보내어 그리게 하였지만, 비슷하게 그리지는 못하였다. 나라 사람들이 전하는 말에, 현겁의 1,000부처가 모두 다 이곳에 그림자를 남겼는데, 그림자 서쪽 100보 정도 되는 곳에 부처가 이 세상에 있을 때 머리를 깎고 손톱을 깎던 곳이 있다고 한다.”

 

星函西域記第二卷云 昔如來在世之時 此龍爲牧牛之士 供王乳酪 進奏失宜 旣獲譴嘖 心懷恚恨. 以金錢買花供養 授記窣堵婆 願爲惡龍 破國害王.’ 特趣石壁 投身而死. 遂居此窟爲大龍王 適起惡心 如來鑑此 變神通力而來至此 龍見佛 毒心遂止 受不殺戒. 因請 如來常居此穴 常受我供.

성함서역기제이권운 석여래재세지시 차용위목우지사 공왕유락 진주실의 기획견책 심회에한이금전매화골양 수기솔도파 원위악룡 파국해왕.’ 득취석벽 투신이사. 수거차굴위대용왕 적기악심. 여래람차 변신통력이래지차. 용견불 독심수지 수불살계. 인청 여래상거차형 상수아공.

 

성자함(星字函)서역기(西域記)2권에는 이러한 기록이 있다. “옛날에 부처가 이 세상에 있을 때, 이 용이 소 치는 사람이 되어 왕에게 소젖을 바쳤는데, 소젖을 바치다가 그만 실수를 해서 야단을 맞고는 마음 속으로 원망을 품었다. 그래서 돈을 주고 꽃을 사서 부처님께 공양하고, 솔도파(窣堵婆)원하옵건대 악룡이 되어 나라를 멸망시키고 왕을 해칠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하고는 곧바로 석벽으로 달려가 몸을 던져 죽었다. 그리고 마침내 이 굴에 살면서 대용왕이 되어 악한 마음을 일으켰던 것이다. 부처가 이것을 보고 신통력으로 이곳에 이르렀다. 용이 부처를 보고는 독한 마음을 드디어 멈추고 살생을 하지 않는 계를 받았다. 그리고 부처님이 이 동굴 속에 늘 계셔서 항상 자신의 공양을 받아주시기를 청하였다.

 

佛言 吾將寂滅 爲汝留影 汝若毒忿 常觀吾影 毒心當止.’ 攝神獨入石室 遠望卽現 近則不現. 又令石上蹴爲七寶[云云]

불언 오장적멸 위여유영 여약독분 상관오영 독심당지 섭신독입석실 원망즉현 근즉불현. 우영석상취위칠보[운운]

 

그러자 부처가 말하였다. ‘나는 열반에 들 것이다. 그러니 너를 위해 내 영상을 남겨둘 것이다. 네가 만일 독하고 분한 마음이 생기거든 나의 영상을 바라보아라. 독한 마음이 사라질 것이다.’ 그리고 부처는 정신을 가다듬고 석실로 들어갔는데, 멀리서 바라보면 나타났지만 가까이서 보면 나타나지 않았다. 또 돌 위에 발자국으로 칠보로 삼았다고 한다.[라고 한다.]”

 

已上皆經文 大略如此. 海東人名此山爲阿那斯 當作摩那斯. 此翻爲魚 盖取彼北天事而稱之爾.

이상개경문 대략여차. 해동인명차산위아나사 당작마나사. 차번위어 개취파북천사이칭지이.

 

이상은 모두 불경의 글인데 그 내용은 대략 위와 같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 산을 아나사(阿那斯)라고 하지만 마땅히 마나사(摩那斯)라고 해야 한다. 이를 번역하면 어()가 되니, 대개 저 북천축의 이야기를 취하여 산 이름을 지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