彌勒仙花 未尸郞 眞慈師
第二十四眞興王 姓金氏 名彡麥宗 一作深麥宗. 以梁大同六年庚申卽位. 慕伯父法興之志 一心奉佛 廣興佛寺 度人爲僧尼. 又天性風味 多尙神仙 擇人家娘子美艶者 捧爲原花. 要聚徒選士 敎之以孝悌忠信 亦理國之大要也.
제이십사진흥왕 성김씨 명삼맥종 일작심맥종. 이량대동육년경신즉위. 모백부법흥지지 일심봉불 광흥불사 도인위승니. 우천성풍미 다상신선 택인가랑자미염자 봉위원화. 요취도선사 교지이효제충신 역리국지대요야.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의 성은 김씨이고 이름은 삼맥종(彡麥宗)인데 심맥종(深麥宗)이라고도 한다. 양(梁)나라 대동(大同) 6년 경신(서기 540)에 왕위에 올랐다. 백부 법흥왕(法興王)의 뜻을 사모하여 한결같은 마음으로 불교를 받들어 널리 절을 세우고 많은 사람들이 승려가 되도록 하였다. 왕은 또 천성이 멋스러워 크게 신선(풍월도를 말한다.)을 숭상하여 민가의 아름다운 낭자를 선발하여 원화(原花)로 삼았다. 이것은 무리를 모아 사람을 뽑고 그들에게 효도와 우애, 충실과 신의를 가르치려는 의도에서였으니, 이 또한 나라를 다스리는 큰 요체였다.
乃取南毛娘姣貞娘兩花 聚徒三四百人. 姣貞者嫉妬毛娘 多置酒飮毛娘 至醉潛舁去北川中 擧石埋殺之. 其徒罔知去處 悲泣而散 有人知其謀者 作歌誘街巷小童 唱於街. 其徒聞之 尋得其尸於北川中 乃殺姣貞娘. 於是大王 下令廢原花.
내취남모랑교정랑양화 취도삼사백인. 교정자질투모랑 다치주음모항 지취잠여거불천중 거석매살지. 기도망지거처 비읍이산 유인지기모자 작가유가항소동 창어가. 기도문지 심득기시어불천중 내살교정랑. 어시대왕 하령원화.
이리하여 남모랑(南毛娘)과 교정랑(姣貞娘)의 두 원화를 뽑았는데 모여든 사람이 300~400명이었다. 그런데 교정이 남모를 질투해서 술자리를 마련해 남모에게 술을 마셔 취하게 하고는, 몰래 북천(北川)으로 메고 가서 돌로 묻어 죽였다. 그 무리들은 남모가 간 곳을 알지 못해 슬피 울면서 흩어졌는데, 이 음모를 아는 사람이 노래로 지어 동네 아이들을 꾀어 거리에서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를 들은 무리들은 북천 가운데에서 그 시체를 찾고는, 곧바로 교정랑을 살해하였다. 그러자 대왕은 명을 내려 원화제도를 폐지하였다.
累年 王又念欲興邦國 須先風月道. 更下令 選良家男子有德行者 改爲花郞. 始奉薛原郞爲國仙 此花郞國仙之始. 故竪碑於溟州. 自此使人焌惡更善 上敬下順 五常六藝 三師六正 廣行於代[國史 眞智王大建八年丙申 始奉花郞 恐史傳乃誤].
누년 왕우념욕흥방국 수선풍월도. 경하령 선양가나자유덕행자 개위화랑. 시봉설원군위국선 차화랑국선지시. 고수비어명주. 자차사인준악경선 상경하순 오상육예 삼사대정 광행어대[국사진지왕대건팔년병신 시봉화랑 공사전내오]
여러 해가 지난 후, 왕은 나라를 일으키려면 반드시 풍월도를 먼저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다시 영을 내려 양가의 남자 중 덕행이 있는 자를 뽑고 그 명칭을 고쳐 화랑이라 하였다. 이리하여 처음으로 설원랑(薛原郞)을 받들어 국선을 삼았으니, 이것이 화랑국선의 시초였다. 그래서 명주(溟州)에 비석을 세웠다. 이때부터 사람들에게 악행을 고쳐 선행을 하게 하며 윗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에게 순하게 하였으니, 오상(五常:五倫)과 육예(六藝: 예(禮)ㆍ악(樂)ㆍ사(射)ㆍ어(御)ㆍ서(書)ㆍ수(數)), 삼사(三師:태사(太師)ㆍ태부(太傅)ㆍ태보(太保))와 육정(六正:六正臣:성신(聖臣)ㆍ양신(良臣)ㆍ충신(忠臣)ㆍ지신(智臣)ㆍ정신(貞臣)ㆍ직신(直臣))이 이 왕의 시대에 널리 행하여졌다.[『국사(國史)』에서는 진지왕(眞智王) 대건 8년 병신에 처음으로 화랑을 받들었다고 했으니, 아마도 역사서에서 전하는 것이 잘못된 듯하다.]
及眞智王代 有興輪寺僧眞慈[一作貞慈也] 每就堂主彌勒像前 發願誓言 “願我大聖化作花郞 出現於世 我常親近晬容 奉以□周旋.” 其誠懇至 禱之情日益彌篤 一夕夢有僧謂曰 “汝往熊川[今公州]水源寺 得見彌勒仙花也.”
급진지왕대 유흥륜사승진자[일작정자야] 매취당주미륵상전 발원서언 “원아대성화작화랑 출현어세 아상친근수용 봉이*주선.” 기성간지 도지정일익미독 일석몽유승위왈 “여왕웅천[금공주]수원사 득견미륵선화야.”
진지왕(眞智王) 때에 이르러, 홍륜사(興輪寺)의 승려 진자(眞慈)[정자(貞慈)라고도 한다.]가 매번 법당의 주인인 미륵상 앞에 나아가 이렇게 발원하며 맹세하였다. “우리 부처님께서는 화랑으로 이 세상에 나타나시어, 제가 항상 부처님의 얼굴을 가까이서 뵙고 받들어 시중들 수 있게 해 주시옵소서.” 정성스럽고 간절하게 기도하는 마음이 날로 더욱 두터워졌는데, 어느 날 밤 꿈에 한 스님이 나타나 말하였다. “네가 웅천(熊川)[지금의 공주(公州)이다.] 수원사(水源寺)에 가면 미륵선화(彌勒仙花)를 볼 수 있을 것이다.”
慈覺而驚喜 尋其寺 行十日程 一步一禮 及到其寺 門外有一郞 濃纖不爽 盼倩而迎 引入小門 邀致賓軒 慈且升且揖曰 “郞君素昧平昔 何見待殷勤如此?” 郞曰 “我亦京師人也 見師高蹈遠屆 勞來之爾.”
자각이경희 심기사 행십일정 일보일례 급도기사 문외유일항 농섬불상 반천이영 인입소문 요치빈헌 자차승차읍왈 “낭군소매평석 허견시은근여차?” 낭왈 “아역경사인야 굔사고도원계 노래지이.
진자는 꿈에서 깨자 놀라고 기뻐하며 그 절을 찾아갔는데, 열흘 걸리는 길을 한 발자국마다 한 번씩 절을 하면서 그 절에 이르렀다. 문 밖에는 잘 생긴 소년이 있었다. 어여쁜 눈매와 입맵시로 진자를 맞이하고는 작은 문으로 데리고 들어가 객실로 안내하였다. 진자는 올라가며 인사하면서 말하였다. “그대는 평소 나를 모르는데 어찌 나를 대접하는 것이 이렇게 다정한가?” 그 소년이 말하였다. “저도 서울 사람입니다. 스님이 먼 곳에서 오시는 것을 보고 위로했을 뿐입니다.”
俄而出門 不知所在 慈謂偶爾 不甚異之 但與寺僧 叙曩昔之夢 與來之之意 且曰 “暫寓下榻 欲待彌勒仙花何如?” 寺僧欺其情蕩然 而見其懃恪 乃曰 “此去南隣有千山 自古賢哲寓止 多有冥感 盍歸彼居.”
아이출문 부지소재 자위우이 불심이지 단여사승 서낭석지몽 여래지지의 차왈 “잠우하탑 욕대미륵선화여하?” 사승기지정탕연 이견기근각 내왈 “차거남인유천산 자고현철우자 다유명감 개귀피거.”
얼마 후 소년은 문 밖으로 나갔는데 어디 갔는지 알 수 없었다. 진자는 우연한 일이라고만 생각하고는 그리 이상하게 여기지 않았다. 다만 절의 스님들에게 지난 번 꿈과 여기에 온 뜻만 이야기하고, 또 이렇게 말하다. “잠시 여기 머물면서 미륵선화를 기다리려고 하는데 괜찮겠습니까?” 절의 중들은 그의 말이 허황되다고 생각했지만 그의 성실한 모습을 보고 말하였다. “여기서 남쪽으로 가면 천산(千山)이 있는데, 예로부터 현인과 철인이 살고 있어서 감응이 많다고 하오. 그곳에 가는 것이 어떻겠소?”
慈從之 至於山下 山靈變老人出迎曰 “到此奚爲?” 答曰 “願見彌勒仙花爾.” 老人曰 “向於水源寺之門外 已見彌勒仙花 更來何求?”
자종지 지어산하 산영변노안출영왈 “도차해위?” 답왈 “우너견미륵선화이.” 노인왈 “향어수원사지문외이견미륵선화 경래하구?”
진자가 그 말대로 산 아래로 내려갔는데, 산신령이 노인으로 변신하고 나와 그를 맞이하면서 말하였다. “여기에 왜 왔는가?” “미륵선화를 보고 싶어 왔습니다.” 노인이 말하였다. “지난 번 수원사 문 밖에서 이미 미륵선화를 뵈었는데, 다시 와서 무엇을 구하려는 것인가?”
慈聞卽驚汗 驟還本寺 居月餘 眞智王聞之 徵詔問其由曰 郞旣自稱京師人 聖不虛言 盍覓城中乎 慈奉宸旨 會徒衆 遍於閭閻間.
자문즉경한 취환본가 거월여 진지왕문지 징조문기유왈 “랑기자칭경사인 성불허언 개멱성중호?” 자봉신지 회도중 편어여염간.
진자는 이 말을 듣고 놀라 급히 달려 본사로 돌아갔다. 그곳에서 한 달 이상을 머물고 있었는데, 진지왕이 이 일에 대해 듣고 진자를 불러 그 이유를 묻고는 이렇게 말하였다. “그 소년이 스스로 서울 사람이라 했으니, 성인은 거짓말을 하지 않소. 어찌하여 성 안을 찾아보지 않는 것이오?” 그래서 진자는 왕의 뜻을 받들어 무리를 모아 마을을 두루 찾아 다녔다.
物色求之 有一小郎子 斷紅齊具 眉彩秀麗 靈妙寺之東北路傍樹下 婆娑而遊 慈迓之驚曰 “此彌勒仙花也.” 乃就而問曰 “郎家何在 願聞芳氏?” 郞答曰 “我名未尸 兒孩時爺孃俱歿 未知何姓.”
물색구지 유일소낭자 단홍재구 미채수려 영묘사지동북로방수하 파사이유 자아지경왈 “차미륵선화야.” 내취이문왈 “랑가하재 원문방씨.” 랑답왈 “아명미시 아해시야양구몰 미지하성.”
그랬더니 단정한 복장에 잘 생긴 소년이 영묘사(靈妙寺) 동북쪽 길가 나무 아래에서 왔다갔다 하며 놀고 있었다. 진자는 깜짝 놀라 말하였다. “이 분이 미륵선화다.” 그리고 그 소년에게 가서 물었다. “그대의 집은 어디이며 성은 무엇인지 듣고 싶습니다.” 소년이 대답하였다. “제 이름은 미시(未尸)입니다. 어려서 부모님께서 모두 돌아가셔서 성을 모릅니다.”
於是肩輿而入見於王. 王敬愛之 奉爲國仙. 其和睦子弟 禮義風敎 不類於常. 風流耀世 幾七年 忽亡所在. 慈哀壞殆甚. 然飮沐慈澤 昵承淸化 能自悔改 精修爲道 晩年亦不知所終.
어시견여이입견어왕. 왕경애지 봉위국선. 기화목자제 예의풍교 불류어상. 풍류요새 기칠년 홀망소재. 자애괴태심. 연음휴자택 닐승청화 능자회개 정수위도 만년역부지소종.
그래서 진자는 소년을 가마에 태우고 와서 왕을 뵙게 하였다. 왕은 그를 존경하고 사랑하여서 받들어 국선으로 삼았다. 그는 여러 자제들과 화목하게 지냈으며 예의와 풍교가 남달랐다. 그의 풍류가 세상을 빛낸 지 7년이 되자 홀연히 간 곳을 알 수 없었다. 진자는 너무나 애타게 그리워하였다. 하지만 미시랑의 자비스러운 혜택을 많이 입었고 맑은 덕화를 직접 접했기 때문에 스스로 뉘우치고 정성을 다해 도를 닦았는데, 만년에는 그도 어디서 세상을 마쳤는지 알 수가 없었다.
說者曰 “未與彌聲相近 尸與力形相類 乃託其近似而相謎也 大聖不獨感慈之誠款也 抑有緣于玆土 故比比示現焉.”
설자왈 “미여미성상근 시여역형상류 내탁기슨사이상미야 대성부독삼자지성관야 억유연우가토고비비시현언.”
설명하는 사람이 이렇게 말하였다. “미(未)와 미(彌)는 소리가 서로 가깝고 시(尸)와 역(力)은 모양이 서로 비슷하다. 그래서 그 가깝고 비슷한 것을 취하여서 서로 바꾼 것이다. 부처님이 유독 진자의 정성에 감동되어서만은 아니었다. 이 땅에 인연이 있었기 때문에 나타났던 것이다.”
至今國人稱神仙 曰彌勒仙花 凡有媒係於人者 曰未尸 皆慈氏之遺風也. 路傍樹至今名見郞樹 又俚言似如樹[一作印如樹].
지금국인칭신선 왈미륵선화 범유모계어인자 왈미시 개자씨지유풍야. 노방수지금명견랑수 우리언사여수[일작인여수]
지금도 나라 사람들이 신선을 미륵선화라고 부르고 남에게 중매하는 사람을 미시라고 하는 것은 모두 다 진자의 유풍이다. 길가의 나무를 지금도 견랑수(見郞樹, 미시랑을 본 나무)라 하고 또 우리말로 사여수(似如樹)[인여수(印如樹)라고도 한다.]라고도 한다.
讚曰 尋芳一步一瞻風 到處栽培一樣功 驀地春歸無覓處 誰知頃刻上林紅.
찬왈 심방일보일첨풍 도처재배일양공 맥지춘귀무멱처 수지경각상림홍.
기리길
선화 찾아 한 번 걷고 한 번 풍모를 우러러보니 이르는 곳마다 길러낸 한결같은 공이여.
문득 봄은 가버려 찾을 곳 없으니 누가 알았겠는가, 상림원(上林苑)에 붉은 꽃 잠깐 필 줄을.
'三國遺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券 第三 塔像 第四- 芬皇寺 千手大悲 盲兒得眼 (0) | 2020.06.07 |
---|---|
券 第三 塔像 第四- 南白月 二聖 努肹夫得 怛怛朴朴 (0) | 2020.06.06 |
券 第三 塔像 第四- 前後所將舍利 (0) | 2020.06.05 |
券 第三 塔像 第四- 敏藏寺 (0) | 2020.06.04 |
券 第三 塔像 第四- 栢栗寺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