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十八 景文大王
王諱膺廉 年十八爲國仙 至於弱冠 憲安大王召郞 宴於殿中 問曰 “郞爲國仙 優遊四方 見何異事?” 郞曰 “臣見有美行者三.” 王曰 “請聞其說.” 郞曰 “有人爲人上者 而撝謙坐於人下其一也 有人豪富 而衣儉易 其二也 有人本貴勢 而不用其威者 三也.” 王聞其言 而知其賢 不覺墮淚而謂曰 “朕有二女 請以奉巾櫛.”
왕휘응렴 년십팔위국선 지어약관 헌안대왕소랑 연어전중 문왈 “낭위국선 우유사방견하이사?” 낭왈 “신견유미행자삼.” 왕왈 “청문기설.” 낭왈 “유인위신상자 이휘겸좌어인하기일야. 유인호부 이의검이 기이야. 유인본귀세 이불용기위자 삼야.” 왕문기언 이지기현. 불각추루이위왈 “짐유이녀 청이봉건즐.”
巾櫛: 아내나 첩이 됨.
왕의 이름은 응렴(膺廉)인데, 18세에 국선(國仙)이 되었다. 20세가 되자 헌안대왕(憲安大王)이 낭을 불러 궁전에서 잔치를 베풀면서 물었다. “낭(郞)이 국선이 되어 사방을 두루 유람하면서 이상한 일을 본 적이 있는가?” 낭이 아뢰었다. “신이 아름다운 행실이 있는 자 셋을 보았습니다.” 왕이 말하였다. “그 이야기를 듣고 싶구나.” “다른 사람의 윗자리에 앉을 만한 능력이 있는데도 겸손하여 다른 사람의 아래에 앉은 사람이 그 첫째이옵니다. 세력이 있고 부자이면서도 옷차림을 검소하게 하는 사람이 둘째이옵니다. 본래 귀하고 세력이 있으면서도 그 위세를 부리지 않는 사람이 그 세 번째입니다.” 왕은 그의 말을 듣고 그가 어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자신도 모르게 눈물을 떨구며 말하였다. “짐에게 두 딸이 있는데, 그대에게 시집을 보내고 싶소.”
郞避席而拜之 稽首而退 告於父母 父母驚喜 會其子弟 議曰 王之上公主貌寒寢 第二公主甚美 娶之幸矣.
낭피석이배지 계수이퇴 고어부모 부모경희 회기자제 의왈 “왕지상공주모한침 제이공주심미 취지행의.”
낭이 절을 드리고 머리를 조아린 채 물러나왔다. 그리고 부모에게 이 사실을 말하였다. 부모는 놀랍기도 하고 기쁘기도 해서 자식들을 모아놓고 의논하였다. “임금님의 맏공주는 얼굴이 매우 못생겼고 둘째 공주는 매우 아름다우니, 둘째에게 장가를 가는 것이 좋겠다.”
寒寢: 못생기고 못생겼다.
郞之徒上首範敎師者聞之 至於家 問郞曰 “大王欲以公主妻公 信乎?” 郞曰 “然” 曰 “奚娶?” 郞曰 “二親命我宜弟.” 師曰 “郞若娶弟 則予必死於郞之面前 娶其兄 則必有三美 誡之哉.” 郞曰 聞命矣.
낭지도상수범교사자문지 지어가 문낭왈 “대왕욕이공주처공 신호?” 낭왈 “연.” 왈 “해취” 낭왈 “이친명아의제.” 상왈 “낭약취제 즉여필사어랑지면전 취기형 즉필유삼미 계지지.” 낭왈 “문명의.”
그런데 낭의 낭도 중에 우두머리 범교사(範敎師)가 그 소문을 듣고는 낭의 집에 와서 물었다. “대왕께서 공주를 공에게 시집 보내려고 하신다는데 믿을만한 소식입니까?” 낭이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누굴 고르시렵니까?” 낭이 말하였다. “부모님께서 저에게 의당 동생에게 장가들라 하셨습니다.” 그러자 범교사가 이렇게 말하였다. “낭이 만약 동생에게 장가를 든다면, 저는 반드시 낭의 얼굴 앞에서 죽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언니에게 장가든다면 반드시 세 가지 좋은 일이 있을 것이니 잘 생각해야 합니다.” 답하길 “시키는 대로 하겠습니다.”
旣而王擇辰 而使於郞曰 “二女惟公所命 使歸以郞意?” 奏曰 “奉長公主爾.”
기이왕택진 이사어낭왈 “이녀유공소명 사귀이낭의?” 주왈 “봉장공주이.”
이윽고 왕이 날을 택하여서 낭에게 사신을 보내어 물었다. “두 딸은 오로지 그대가 명하는 대로 할 것이오.” 사신이 돌아가서 낭의 뜻을 아뢰어 말하였다. “맏공주님을 받들겠다고 합니다.”
旣而過三朔 王疾革 召群臣曰 “朕無男孫 窀穸之事 宜長女之夫膺廉繼之.” 翌日王崩 郞奉遺詔卽位 於是 範敎師詣於王曰 “吾所陳三美者 今皆著矣. 娶長故 今登位 一也 昔之欽艶弟主 今易可取 二也 娶兄故 王與夫人喜甚 三也.”
기이과삼삭 왕질혁 소군신왈 “짐무남계 둔석지사 의장녀지부응렴계지.” 익일왕붕 “낭봉유조즉위 어시 범교사지어왕왈 ”오소진삼미자 금개착의. 취장고 금등위 일야, 석지흠염제주 금이가취 이야. 취형고 왕여부인희심 삼야.“
그 후 세 달이 지나서 왕의 병이 위독하게 되자, 여러 신하들을 불러 이렇게 말하였다. “짐은 아들이 없으니, 내가 죽으면 마땅히 맏사위 응렴이 잇도록 하라.” 그리고 다음 날 세상을 떠났다. 낭은 명을 받들어서 왕위에 올랐다. 그러자 범교사가 왕에게 나아가 아뢰었다. “제가 말씀드린 세 가지 좋은 일이 지금 모두 다 이루어졌습니다. 맏공주에게 장가 들어서 지금 왕위에 오른 것이 하나요, 예전에 흠모하였던 둘째 공주도 이제 쉽게 얻을 수 있으니 두 번째요, 언니에게 장가 들었기 때문에 왕과 왕비께서 기뻐하신 것이 세 번째입니다.”
王德其言 爵爲大德 賜金一百三十兩. 王崩 諡曰景文.
왕덕기언 작위대덕 사금일백삼십냥. 왕붕 시왈경문.
왕은 그 말을 고맙게 여기고 그에게 대덕(大德) 벼슬을 내리고 금 130냥을 하사하였다. 왕이 세상을 떠나자 시호를 경문(景文)이라고 하였다.
王之寢殿 每日暮 無數衆蛇俱集 宮人驚怖 將驅遣之 王曰 寡人若無蛇 不得安寢 宜無禁 每寢吐舌滿胸鋪之.
왕지침전 매일모 무수중사구집 궁인경포 장구견지. 왕왈 “과인약무사 부득안침 의무금.” 매침토설만흉포지.
왕의 침전에 매일 저녁이면 무수히 많은 뱀들이 모여들었다. 궁인들이 놀라고 두려워하며 몰아내려고 했지만, 왕은 이렇게 말하였다. “과인은 뱀이 없으면 편히 잘 수가 없다. 그러니 마땅히 금하지 말라.” 왕이 잠을 잘 때면 매번 뱀들이 혀를 내밀어서 왕의 가슴을 덮었다.
乃登位 王耳忽長如驢耳 王后及宮人皆未知 唯幞頭匠一人知之 然生平不向人說 其人將死 入道林寺竹林中無人處 向竹唱云 吾君耳如驢耳 其後風吹 則竹聲云 吾君耳如驢耳 王惡之 乃伐竹而植山茱萸 風吹則但聲云 吾君耳長[道林寺 舊在入都林邊].
내등위 왕이홀장여려이 왕후급궁인개미지 유복두장일인지지 연생평불향인설 기인장사 입도림사죽림중무인처 향죽창운 “오군이여려이.” 기후풍취 즉죽성운 “오군이여려이.” 왕오지 내벌죽이식산수유 풍취즉단성운 “오군이장.”[도림사 구재입도림변].
왕위에 오르자 왕의 귀가 갑자기 길어져서 당나귀 귀처럼 되었다. 그러나 왕후와 궁인들 모두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오직 두건을 만드는 장인 한 사람만이 알고 있었다. 그러나 평생토록 사람들에게 말하지 않았다가, 죽을 때가 되어서야 도림사(道林寺)의 대나무 숲 속에 사람이 없는 곳으로 들어가서 대나무를 향해 이렇게 외쳤다. “우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처럼 생겼다” 그 후로 바람이 불 때마다 대나무 숲에서 이런 소리가 났다. “우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처럼 생겼다!” 왕이 이 소리를 싫어해서 곧 대나무를 베어버리고 산수유를 심었다. 그러자 바람이 불면 다만 이러한 소리만 났다. “우리 임금님 귀는 길다!”[도림사는 예전에 서울로 들어가는 곳의 숲 인근에 있었다.]
國仙邀元郞譽昕郞桂元叔宗郞等 遊覽金蘭 暗有爲君主理邦國之意. 乃作歌三首 使心弼舍知 授針卷 送大矩和尙處 令作三歌. 初名玄琴抱曲 第二大道曲 第三問群曲 入奏於王 王大喜稱賞 歌未詳.
국선요원랑예흔랑계원숙종랑등 유람금란 암유위군주리방지의. 내작가삼수 사심필사지 수침권 송대거화상처 영작삼가. 초명현금포곡 제이대도곡 제삼문군곡 입주어왕 왕대희칭상 가미상.
국선 여원랑(邀元郞), 예흔랑(譽昕郞), 계원(桂元), 숙종랑(叔宗郞) 등이 금란(金蘭)을 유람했을 때, 은연중에 임금님을 위해 나라를 다스릴 뜻을 품었다. 그래서 노래 세 수를 지어서, 심필(心弼) 사지(舍知)에게 초벌 원고를 주며 대구화상(大矩和尙)에게 보내게 하여 노래 세 곡을 짓도록 하였다. 첫째 노래의 이름은 「현금포곡(玄琴抱曲)」이고, 둘째는「대도곡(大道曲)」이고, 셋째는 「문군곡(問群曲)」이었다. 궁궐에 들어가 왕에게 아뢰었더니, 왕이 크게 기뻐하고 칭찬하며 상을 주었는데, 노래는 전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三國遺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券 第二 奇異 券二-眞聖女大王 居陀知 (0) | 2020.05.15 |
---|---|
券 第二 奇異 券二- 處容郞 望海寺 (0) | 2020.05.15 |
券 第二 奇異 券二 - 神武大王 閻長 弓巴 (0) | 2020.05.14 |
券 第二 奇異 券二- 鸚鵡 (0) | 2020.05.13 |
券 第二 奇異 券二- 早雪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