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二 南解王
南解居西干 亦云次次雄 是尊長之稱 唯此王稱之. 父赫居世 母閼英夫人 妃雲帝夫人[一作雲梯 今迎日縣西 有雲梯山聖母 祈旱有應] 前漢平帝元始四年甲子 卽位 御理二十一年 以地皇四年甲申崩. 此王乃三皇之第一云.
남해거서간 역운차차웅 시존장지칭 유차왕칭지. 부혁거세 모알영부인 비운제부인[일작운제. 금영일현서 유운제산성모 기한유응] 전한평제원시사년갑자 즉위 어리이십일년 이지황사년갑신붕. 차왕내삼황지제일운.
남해거서간(南解居西干)은 차차웅(次次雄)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존장(尊長)의 칭호로 오직 이 왕만을 이렇게 불렀다. 아버지는 혁거세이고 어머니는 알영부인이며, 비는 운제부인(雲帝夫人)이다.[운제(雲梯)라고도 한다. 지금의 영일현(迎日縣) 서쪽에 운제산성모(雲梯山聖母)가 있는데, 가물 때 기도를 하면 감응이 있다.] 전한 평제(平帝) 원시(元始) 4년 갑자(서기 4)에 왕위에 올라 나라를 다스린 지 21년 만인 지황(地皇) 4년 갑신(서기 24)에 세상을 떠났다. 이 왕이 곧 삼황(三皇)의 첫째라고 한다.
按三國史云 “新羅稱王曰居西干 辰言王也 或云 呼貴人之稱 或曰 次次雄 或作慈充.”
안삼국사운 “신라칭왕왈거서간 진언왕야 혹운 호귀인지칭 혹왈 차차웅 혹작자충.”
삼국사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신라는 왕을 거서간(居西干)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진한(辰韓)의 말로 왕이라는 뜻이다. 혹자는 ‘귀인을 부르는 칭호’라고도 한다. 혹은 차차웅(次次雄)이라고도 하고 자충(慈充)이라고도 한다.”
金大問云 “次次雄 方言謂巫也. 世人以巫事鬼神 尙祭祀 故畏敬之 遂稱尊長者爲慈充.” 或云 尼師今 言謂齒理也.
김대문운 “차차웅 방언위무야 세인이무사귀신 상제사 고외경지 수칭존장자위자충.” 혹운 이사금 언위치리야.
김대문(金大問)은 이렇게 말하였다. “차차웅은 우리말로 무당을 말한다. 세상 사람들이 무당이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숭상하기 때문에 그들을 두려워하고 공경하게 되어서 마침내 존장을 자충이라 하였다.” 혹은 이사금(尼師今)은 지금의 잇금(齒理)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初南解王薨 子弩禮讓位於脫解 解云 “吾聞聖智人多齒.” 乃試以餠噬之. 古傳如此.
초남해왕훙 자노례양위어탈해 해운 “오문성지인다치.” 내시이병서지. 고전여차.
처음에 남해왕이 죽자 아들 노례(弩禮)가 탈해(脫解)에게 왕위를 사양했는데, 탈해가 이렇게 말하였다. “나는 성스럽고 슬기로운 사람은 이빨이 많다고 들었다.” 그리고 곧 떡을 입으로 물어 시험해 보았다. 옛날부터 이렇게 전해왔다.
或曰 麻立干[立一作袖]. 金大問云 “麻立者 方言謂橛也 橛標准位而置 則王橛爲主 臣橛列於下 因以名之.”
혹왈 마립간[입일작수]. 김대문운 마립자 방언위궐야 궐표준위이차 즉왕궐위주 신궐열어하인이명지.
혹은 마립간(麻立干)[‘립(立)’은 ‘수(袖)’로도 되어 있다.]이라고도 한다. 김대문은, “마립이란 우리말로 서열을 말한다. 서열은 직위에 따라 설치하니, 임금의 서열은 그 주가 되고 신하의 서열은 그 아래가 되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 지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史論曰 新羅稱居西干次次雄者一 尼師今者十六 麻立干者四 羅末名儒崔致遠 作帝王年代曆 皆稱某王 不言居西干等 豈以其言鄙野不足稱之也 今記新羅事 具存方言 亦宜矣. 羅人凡追封者 稱葛文王 未詳.
사론왈 신라칭거서간차차웅자일 이사금자십육 마립간자사 나말명유최치원 작제왕연대력 개칭모왕 불언거서간등 이이기언비야부족칭지야 금기신라사 구존방언 역의의. 나인범추봉자칭갈문왕 미상.
사관은 이렇게 말하였다. “신라에서 거서간과 차차웅이라 부른 임금은 각각 한 명뿐이고, 이사금이라 부른 임금은 열여섯 명이고, 마립간이라 부른 임금은 네 명이다. 신라 말의 유명한 유학자인 최치원(崔致遠)이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을 만들 때 모두 다 ‘아무 왕’이라고만 부르고 거서간 등으로 말하지 않았으니, 이것은 어쩌면 그 말이 촌스러워서 부르기에 적당하지 않다고 여긴 것일까? 그러하지만 지금 신라의 역사를 기록하면서 우리나라 말을 모두 그대로 두는 것도 또한 옳을 것이다.” 신라 사람들은 죽은 뒤에 왕으로 봉해진 사람을 갈문왕(葛文王)이라 불렀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없다.
此王代 樂浪國人 來侵金城 不克而還. 又天鳳五年戊寅 高麗之裨屬七國來投.
차왕대 낙랑국인 래침금성 불극이환. 우천봉오년술인 고려지비속칠국래투.
남해왕 대에 낙랑국 사람들이 금성을 침략했지만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 또한 천봉 5년 무인(서기 18)에 고구려의 속국인 일곱 나라가 항복해 왔다.
'三國遺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第一 紀異 第一- 第四 脫解王 (0) | 2020.04.27 |
---|---|
卷第一 紀異 第一- 第三 弩禮王 (0) | 2020.04.27 |
卷第一 紀異 第一-新羅始祖 赫居世王 (0) | 2020.04.26 |
卷第一 紀異 第一-又四節遊宅 (0) | 2020.04.25 |
卷第一 紀異 第一- 辰韓 (0) | 2020.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