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史記

雜志 第六-百濟


 

百濟

 

後漢書云 三韓凡七十八國 百濟是其一國焉.” 北史云 百濟東極新羅 西南俱限大海 北際漢江 其都曰居拔城 又云固麻城 其外更有五方城.” 通典云 百濟南接新羅 北距高麗 西限大海.”

후한서운 삼한범칠십팔국 백제시시일국언. 북사운 백제동극신라 서남구한대해 북제한강 기도왈거발성 우운고마성 기외경유오방성. 통전운 백제남접신라 북거고려 서한대해.


후한서(後漢書)에는 삼한은 대략 78개 나라였는데 백제가 바로 그 가운데의 하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북사(北史)에는 백제가 동쪽으로는 신라에 닿았고 서쪽과 남쪽은 모두 큰 바다와 닿았으며, 북쪽은 한강에 접하였고 수도는 거발성(居拔城) 또는 고마성(固麻城)이라 하였으며, 그밖에 다시 오방성(五方城)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통전(通典)에는 백제는 남쪽으로는 신라에 닿았고 북쪽으로는 고구려에 이르며 서쪽으로는 큰 물을 경계로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舊唐書云 百濟 扶餘之別種 東北新羅 西渡海至越州 南渡海至倭 北高麗 其王所居 有東西兩城.” 新唐書云 百濟西界越州 南倭 皆踰海 北高麗.”

구당서운 백제 부여지별종 동북신라 서도해지월주 남도해지왜 북고려 기왕소거 유동서양성.” 신당서운 백제서계월주 남왜 개유해 북고려.”

구당서(舊唐書)에는 백제는 부여의 또 다른 종족으로서 동북쪽에 신라가 있으며 서쪽으로 바다를 건너면 월주(越州)에 이르고 남쪽으로 바다를 건너면 왜()에 이르며 북쪽에 고구려가 있고 그 나라 왕이 있는 곳에 동서의 두 성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당서(新唐書)에는 백제의 서쪽 경계는 월주이며 남쪽은 왜인데 모두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북쪽은 고구려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按古典記 東明王第三子溫祚 以前漢鴻嘉三年癸卯 自卒本扶餘至慰禮城 立都稱王 歷三百八十九年 至十三世近肖古王 取高句麗南平壤 都漢城 歷一百五年 至二十二世文周王移都熊川 歷六十三年 至二十六世聖王移都所夫里 國號南扶餘 至三十一世義慈王 歷年一百二十二.

안고전기 동명왕제삼자온조 이전한홍가삼년계묘 자졸본부여지위례성 입도칭왕 역삼백팔십구년 지십삼세근초고왕 취고구려남평양 도한성. 역일백오년 지이십이세문주왕이도웅천 역육십삼년 지이십육세성왕도소부리 국호남부여 지삼십일세의자왕 역년일백이십이.

고전기(古典記)에는 동명왕(東明王)의 셋째 아들 온조(溫祚)가 전한(前漢) 홍가(鴻嘉) 3년 계묘(기원전 18)에 졸본부여(卒本扶餘)로부터 위례성(慰禮城)에 도착하여 도읍을 세우고 왕이 되었다. 이로부터 389년이 지난 13대 근초고왕(近肖古王)에 이르러 고구려의 남평양을 빼앗고 한성(漢城)에 도읍을 정하여 105년을 지냈으며, 22대 문주왕(文周王)에 이르러 도읍을 웅천(熊川)으로 옮겨 63년을 지냈다. 26대 성왕(聖王)에 이르러 도읍을 소부리(所夫里)로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하였는데, 31대 의자왕(義慈王)에 이르기까지 122년을 지냈다.

 

至唐顯慶五年 是義慈王在位二十年 新羅庾信與唐蘇定方討平之 舊有五部 分統三十七郡 二百城 七十六萬戶 唐以其地 分置熊津馬韓東明等五都督府 仍以其酋長爲都督府刺史 未幾 新羅盡幷其地 置熊全武三州及諸郡縣 與高句麗南境及新羅舊地 爲九州.”

지당현경오년 시의자왕재위이십년 신라유신여당소정방토평지 구유오부 분통삼십칠년 이백성 칠십육만호 당이기지 분치웅진마한동명등오도독부 잉이기추장위도독부자사 미기 신라진병기지 치웅전무삼주급제군현 여고구려남경급신라구지 위구주.”

 

당 현경(顯慶) 5(서기 660)은 바로 의자왕 20년이었는데 이때 신라 유신이 당의 소정방과 함께 백제를 쳐서 평정하였다. 옛날 백제에는 5부가 있어서 37개 군, 2백 개 성, 76만 호를 나누어 통솔했었다. 그 후 당은 그 지역에 웅진(熊津), 마한(馬韓), 동명(東明) 등 다섯 개의 도독부를 설치하고 그곳 추장들을 도독부자사(都督府刺史)로 삼았으나, 얼마 되지 않아 신라가 그 지역을 모두 차지하여 웅주(熊州), 전주(全州), 무주(武州)3주와 여러 군현을 설치하였으니, 신라는 백제의 이 땅과 고구려의 남쪽 지역 그리고 신라의 본토를 합하여 9주를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熊川州[一云熊津] 熱也山縣 伐音支縣 西原[一云臂城 一云子谷] 大木岳郡 其買縣[一云林川] 仇知縣 加林郡 馬山縣 大山縣. 舌林郡 寺浦縣 比衆縣. 馬尸山郡 牛見縣 今勿縣 構郡 伐首只縣 餘村縣 沙平縣 所夫里郡[一云泗沘] 珍惡山縣 悅已縣[一云豆陵尹城 一云豆串城 一云尹城] 任存城 古良夫里縣 烏山縣 黃等也山郡 眞峴縣[一云貞峴] 珍洞縣 雨述郡 奴斯只縣 所比浦縣 結已郡 新村縣 沙尸良縣 一牟山郡 豆仍只縣 未谷縣 基郡 省大兮縣 知六縣 湯井郡 牙述縣 屈旨縣[一云屈直].

웅천주[일운웅진] 열야산현 벌음지현 서원[일운비성 일운자곡] 대목악군 기매현[일운임천] 구지현 가림현 마산현 대산현 설림군 사포현 비중현 마시산군 우현현 금물현. 구군 벌수지현 여촌현 사평현. 소부리군[일운사비] 진악산현 열이현[일운두릉이성 일운두곶성 일운윤성] 임존성 고량부리현 오산현. 황등야산군 진현현[일운정현] 진동현 우술현 노사지현 소비포현. 결이군 신촌현 사시량현. 일모산군 두잉이현 미곡현. 기군 성대혜현 지육현 탕정현 아술현 굴지현[일운굴직].

 

웅천주(熊川州)[웅진(熊津)이라고도 한다.]에는 열야산현(熱也山縣) 벌음지현(伐音支縣) 서원(西原)[비성(臂城) 또는 자곡(子谷)이라고도 한다.]이 속현이다. 대목악군(大木岳郡) 기매현(其買縣)[임천(林川)이라고도 한다.] 구지현(仇知縣) 가림군(加林郡) 마산현(馬山縣) 대산현(大山縣)이 속현이다. 설림군(舌林郡)은 사포현(寺浦縣) 비중현(比衆縣) 마시산군(馬尸山郡) 우견현(牛見縣) 금물현(今勿縣)이 속현이다. 구군(構郡)은 벌수지현(伐首只縣) 여촌현(餘村縣) 사평현(沙平縣) 소부리군(所夫里郡)[사비(泗沘)라고도 한다.] 진악산현(珍惡山縣) 열이현(悅已縣)[두릉윤성(豆陵尹城) 이라고도 하며 두곶성(豆串城) 또는 윤성(尹城)이라고도 한다.]이 속현이다. 임존성(任存城)엔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 오산현(烏山縣) 황등야산군(黃等也山郡) 진현현(眞峴縣)[정현(貞峴)이라고도 한다.] 진동현(珍洞縣)등이 속해있고 우술군(雨述郡)엔 노사지현(奴斯只縣) 소비포현(所比浦縣)이 속해있다. 결이군(結已郡)엔 신촌현(新村縣) 사시량현(沙尸良縣) 일모산군(一牟山郡) 두잉지현(豆仍只縣) 미곡현(未谷縣) 기군(基郡) 성대혜현(省大兮縣) 지륙현(知六縣)이 속현이고 탕정군(湯井郡) 아술현(牙述縣) 굴지현(屈旨縣)[굴직(屈直)이라고도 한다.]이 속현이다.

 

完山[一云比斯伐 一云比自火] 豆伊縣[一云往武] 仇智山縣 高山縣 南原[一云古龍郡]. 大尸山郡 井村縣 賓屈縣 也西伊縣. 古沙夫里郡 皆火縣 欣良買縣 上柒縣 進乃郡[一云進仍乙] 豆尸伊縣[一云富尸伊] 勿居縣 赤川縣. 德近郡 加知奈縣[一云加乙乃] 只良肖縣 共伐共縣 屎山郡[一云忻文] 甘勿阿縣 馬西良縣 夫夫里縣. 碧骨郡 豆乃山縣 首冬山縣 乃利阿縣 武斤縣 道實郡 礫坪縣 堗坪縣. 金馬渚郡 所力只縣 閼也山縣 干召渚縣 伯海郡[一云伯伊] 難珍阿縣 雨坪縣 任實郡 馬突縣[一云馬珍] 居斯勿縣.

완산[일운비사벌 일운비자화] 두이현[일운왕무] 구지산현 고산현 남원[일운고룡군] 대시산군 정촌현 빈굴현 여서이현 고사부리군 개화현 흔량매현 상칠현. 진내군[일운진잉을] 두시이현[일운부시이] 물거현 적천현. 덕근군 가지내현[일운가을내] 지량초현 공벌공현 시산군[일운흔문] 감물아현 마서량현 부부리현. 벽골군 두내산현 수동산현 내리아현 무근현. 도실군 역평현 돌평현. 금마저군 소력지현 알지산현 간소저현. 백해군[일운백이] 난진아현 우평현. 임실군 마돌현[일운마진] 거사물현.

 

완산(完山)[비사벌(比斯伐) 또는 비자화(比自火)라고도 한다.]에는 두이현(豆伊縣)[왕무(往武)라고도 한다.] 구지산현(仇智山縣) 고산현(高山縣) 남원(南原)[고룡군(古龍郡)이라고도 한다.]이 속현이다. 대시산군(大尸山郡)은 정촌현(井村縣) 빈굴현(賓屈縣) 야서이현(也西伊縣)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 개화현(皆火縣) 흔량매현(欣良買縣) 상칠현(上柒縣)이 속현이다. 진내군(進乃郡)[진잉을(進仍乙)이라고도 한다.]에는 두시이현(豆尸伊縣)[부시이(富尸伊)라고도 한다.] 물거현(勿居縣) 적천현(赤川縣)이 속현이다. 덕근군(德近郡)은 가지나현(加知奈縣)[가을내(加乙乃)라고도 한다.] 지량초현(只良肖縣) 공벌공현(共伐共縣) 시산군(屎山郡)[흔문(忻文)이라고도 한다.] 감물아현(甘勿阿縣) 마서량현(馬西良縣) 부부리현(夫夫里縣)이 속현이다. 벽골군(碧骨郡)은 두내산현(豆乃山縣) 수동산현(首冬山縣) 내리아현(乃利阿縣) 무근현(武斤縣)이 속현이다. 도실군(道實郡)은 역평현(礫坪縣) 돌평현(堗坪縣). 금마저군(金馬渚郡) 소력지현(所力只縣) 알야산현(閼也山縣) 간소저현(干召渚縣)이 속현이다. 백해군(伯海郡)[백이(伯伊)라고도 한다.]에는 난진아현(難珍阿縣) 우평현(雨坪縣)이 속한다. 임실군(任實郡) 마돌현(馬突縣)[마진(馬珍)이라고도 한다] 거사물현(居斯勿縣)이 속현이다.

 

 

武珍州[一云奴只] 未冬夫里縣 伏龍縣 屈支縣 分嵯郡[一云夫沙] 助助禮縣 冬老縣 豆肹縣 比史縣 伏忽郡 馬斯良縣 季川縣 烏次縣 古馬彌知縣 秋子兮郡 菓支縣[一云菓兮] 栗支縣 月奈郡 半奈夫里縣 阿老谷縣 古彌縣 古尸伊縣 丘斯珍兮縣 所非兮縣 武尸伊郡 上老縣 毛良夫里縣 松彌知縣 欿平郡[一云武平] 猿村縣 馬老縣 突山縣 欲乃郡 遁支縣 仇次禮縣 豆夫只縣

무진주[일운노지] 미동부리현 복룡현 굴지현 분차군[일운부사] 조조례현 동로현 두힐현 비사현 복홀군 마사량현 계천현 오차현 고마미지현. 추자혜군 과지현[일운과혜] 율지현. 월나군 반나부리현 아로곡현고미현 고시이현 구사진혜현 소비혜현. 무시이군 상로현 모량부리현 송미지현. 감평군[무평] 원촌현 마로현 돌산현 욕내군 둔지현 구차례현 두부지현.

 

무진주(武珍州)[노지(奴只)라고도 한다.]에는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 복룡현(伏龍縣) 굴지현(屈支縣)이 속현이다. 분차군(分嵯郡)[부사(夫沙)라고도 한다.]에는 조조례현(助助禮縣) 동로현(冬老縣) 두힐현(豆肹縣) 비사현(比史縣)이 속현이다. 복홀군(伏忽郡)에는 마사량현(馬斯良縣) 계천현(季川縣) 오차현(烏次縣)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이 속현이다. 추자혜군(秋子兮郡)에는 과지현(菓支縣)[과혜(菓兮)라고도 한다.] 율지현(栗支縣)이 속현이다. 월나군(月奈郡) 반나부리현(半奈夫里縣) 아로곡현(阿老谷縣) 고미현(古彌縣) 고시이현(古尸伊縣) 구사진혜현(丘斯珍兮縣) 소비혜현(所非兮縣)이 속현이다. 무시이군(武尸伊郡)에는 상로현(上老縣) 모량부리현(毛良夫里縣) 송미지현(松彌知縣)이 속현이다. 감평군(欿平郡)[무평(武平)이라고도 한다.]은 원촌현(猿村縣) 마로현(馬老縣) 돌산현(突山縣)이 속현이다. 욕내군(欲乃郡)은 둔지현(遁支縣) 구차례현(仇次禮縣) 두부지현(豆夫只縣)이 속현이다.

 

尒陵夫里郡[一云竹樹夫里 一云仁夫里] 波夫里郡 仍利阿縣[一云海濱] 發羅郡 豆肹縣 實於山縣 水川縣[一云水入伊] 道武郡 古西伊縣 冬音縣 塞琴縣[一云投濱] 黃述縣 勿阿兮郡 屈乃縣 多只縣 道際縣[一云陰海] 因珍島郡[海島也] 徒山縣[海島也 或云猿山] 買仇里縣[海島也] 阿次山郡 葛草縣[一云何老 一云谷野] 古祿只縣[一云開要] 居知山縣[一云安陵] 奈已郡

이릉부리군[일운죽수부리 일운인부리] 파부리군 잉리아현[일운해빈]. 발라군 두힐현 실어산현 수천현[일운수입이] 도무군 고서이현 동음현 새금현([일운투빈] 황술현 물아혜군 굴내현다지현 도제현[일운음해] 인진도군[해도야] 도산현[해도야 혹운원산] 매구리현[해도야] 아차산군 갈초현[일운하로 일운곡야] 고록지현[일운개요] 거지산현[일운안릉] 나이군.

 

이릉부리군(尒陵夫里郡)[죽수부리(竹樹夫里) 또는 인부리(仁夫里)라고도 한다.] 파부리군(波夫里郡)에는 잉리아현(仍利阿縣)[해빈(海濱)이라고도 한다.]이속현이다. 발라군(發羅郡)에는 두힐현(豆肹縣) 실어산현(實於山縣) 수천현(水川縣)[수입이(水入伊)라고도 한다.]이 속현이다. 도무군(道武郡)은 고서이현(古西伊縣) 동음현(冬音縣) 새금현(塞琴縣)[투빈(投濱)이라고도 한다.] 황술현(黃述縣)이 속현이다. 물아혜군(勿阿兮郡)은 굴내현(屈乃縣) 다지현(多只縣) 도제현(道際縣)[음해(陰海)라고도 한다.]이 속현이다. 인진도군(因珍島郡)[바다의 섬이다.]은 도산현(徒山縣)[바다의 섬이며 원산(猿山)이라고도 한다.] 매구리현(買仇里縣)[바다의 섬이다.]이 속현이다. 아차산군(阿次山郡) 갈초현(葛草縣)[하로(何老)라고도 하며 곡야(谷野)라고도 한다.] 고록지현(古祿只縣)[개요(開要)라고도 한다.] 거지산현(居知山縣)[안릉(安陵)이라고도 한다.]이 속현이다. 나이군(奈已郡)이 있다

 

右百濟州郡縣 共一百四十七 其新羅改名及今名 見新羅志

우백제주군현 공일백사십칠 기신라개명급금명 견신라지.

 

이상 백제의 주, , 현은 모두 147개이다. 신라에서 개칭한 것과 지금의 명칭들은 신라지(新羅志)에 실려 있다.


* 여기서 무슨 夫里라는 지명에 눈에 띈다.  동남아시아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일부에도 촌부리, 사라부리.... 부리라는 지명도 많다. 더더구나 백제가 越州 옆이라는 기록도 보이고.... 越州가 월남이라는 주장까지는 어거지라도 부리라는 공동 정서는 있지 않을까?


* 지명이란 원지명을 본딴 동명의 지명이 흔하다는 관점으로 본다면.... 현재 지명과 1:1로 비교하지 말고... 적어도 경덕왕이 개명하기 전 지명을 위치로 비정함이 옳다 본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志 第七-職官 上  (0) 2020.03.07
雜志 第六-三國有名未詳地分  (0) 2020.03.06
雜志 第六-高句麗  (0) 2020.03.05
雜志 第五- 新羅 武州  (0) 2020.03.04
雜志 第四-新羅 全州  (0) 202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