平原王
平原王(或云平崗上好王) 諱陽成(隋唐書作湯) 陽原王長子. 有膽力 善騎射. 陽原王在位十三年 立爲太子 十五年 王薨 太子卽位.
평원왕(혹운평강상호왕) 휘양성(수당서작탕) 양원왕장자. 유담력 선기사. 양원왕재위십삼년 입위태자. 십오년 왕훙 태자즉위.
평원왕(平原王 평강상호왕:平崗上好王)의 이름은 양성(陽成)(수당서(隋唐書)에는 탕(湯)으로 되어 있다.)이며, 양원왕(陽原王)의 맏아들이다. 그는 담력이 크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하였다. 양원왕 재위 13년(서기 557)에 태자가 되었다. 15년에 임금이 돌아가시자 태자가 왕위에 올랐다.
二年 春二月 北齊廢帝封王 爲使持節領東夷校尉遼東郡公高句麗王. 王幸卒本 祀始祖廟 三月 王至自卒本 所經州郡 獄囚除二死 皆原之.
이년 춘이월 불제폐제봉왕 위사지절영동이교위요동군공고구려왕. 왕행졸본 사시조묘. 삼월 왕지자졸본 소경주군 옥수제이사 개원지.
2년(서기 560) 봄 2월, 북제(北齊)의 폐제(廢帝)가 임금을 사지절영동이교위요동군공고구려왕(使持節領東夷校尉遼東郡公高句麗王)으로 책봉하였다. 임금이 졸본에 가서 시조의 사당에 제사를 지냈다.
3월, 임금이 졸본에서 돌아오다가 도중의 주, 군의 죄수들 중에서 2가지 사형 죄를 제외하고는 모두 풀어주었다.
三年 夏四月 異鳥集宮庭. 六月 大水. 冬十一月 遣使入陳朝貢.
삼년 하사월 이조집궁정. 유월 대수. 동십일월 견사입진조공.
3년(서기 561) 여름 4월, 이상한 새가 궁궐에 모여 들었다.
6월, 홍수가 났다.
겨울 11월, 진(陳)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四年 春二月 陳文帝詔授王寧東將軍.
사년 춘이월 진문제조수왕녕동장군.
4년(서기 562) 봄 2월, 진나라 문제(文帝)가 조서를 내려 임금에게 영동장군(寧東將軍)이라는 관작을 주었다.
五年 夏 大旱 王減常膳 祈禱山川.
오년 하 대한 왕명상선 기도산천.
5년(서기 563) 여름, 큰 가뭄이 들었다. 임금이 평상시의 음식을 줄이고, 산천에 기도하였다.
六年 遣使入北齊朝貢.
육년 견사입북제조공.
6년(서기 564), 북제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七年 春正月 立王子元爲太子. 遣使入北齊朝貢.
필년 춘정월 입왕자원위태자. 견사입북제조공.
7년(서기 565) 봄 정월, 왕자 원(元)을 태자로 삼았다. 북제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八年 冬十二月 遣使入陳朝貢.
팔년 동십이월 견사입진조공.
8년(서기 566) 겨울 12월,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十二年 冬十一月 遣使入陳朝貢.
십이년 동십일월 견사입진조공.
12년(서기 570) 겨울 11월,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十三年 春二月 遣使入陳朝貢. 秋七月 王畋於浿河之原 五旬而返. 八月 重修宮室 蝗旱 罷役.
십삼년 춘이월 견사입진조공. 추칠월 왕정어패하지원 오순이반. 팔월 중수궁실 황한 파역.
13년(서기 571) 봄 2월,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가을 7월, 임금이 패하(浿河) 벌판에서 사냥하다가 50일 만에 돌아왔다.
8월, 궁실을 중수하는 도중에 메뚜기떼가 생기고 날씨가 가물어 공사를 중단하였다.
十五年 遣使入北齊朝貢.
십오년 견사입북제조공.
15년(서기 573), 북제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十六年 春正月 遣使入陳朝貢
16년(서기 574) 봄 정월,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十九年 王遣使入周朝貢 周高祖拜王爲開府儀同三司大將軍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
십구년 왕견사입주조공 주고조배왕위개부의동삼사대장군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
19년(서기 577), 임금이 주(周)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주나라의 고조가 임금을 개부의동삼사대장군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開府儀同三司大將軍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으로 임명하였다.
二十三年 春二月晦 星隕如雨. 秋七月 霜雹殺穀. 冬十月 民饑 王巡行撫恤. 十二月 遣使入隋朝貢 高祖授王大將軍遼東郡公.
이십삼년 춘이월회 성운여우. 추칠월 상박살곡. 동시월 민기 왕순행무휼. 십이월 견사입수조공 고조수왕장군요동군공.
23년(서기 581) 봄 2월, 그믐에 유성이 비 내리듯 떨어졌다.
가을 7월, 서리와 우박이 떨어져서 곡식이 해를 입었다.
겨울 10월, 백성들이 굶주렸으므로 임금이 두루 살피고 돌아다니면서 그들을 위로하고 구제하였다.
12월, 수(隋)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수나라의 고조가 임금에게 대장군요동군공(大將軍遼東郡公)이라는 관작을 주었다.
二十四年 春正月 遣使入隋朝貢. 冬十一月 遣使入隋朝貢.
이십사년 춘정월 견사입수조공. 동십일월 견사입수조공.
24년(서기 582) 봄 정월,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겨울 11월,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二十五年 春正月 遣使入隋朝貢. 二月 下令 减不急之事 發使郡邑勸農桑. 夏四月 遣使入隋朝貢. 冬 遣使入隋朝貢.
이십오년 춘정월 견사입수조공. 이월 하령 감불급지사 발사군읍권농상. 하사월 견사입수조공. 동 견사입수조공.
25년(서기 583) 봄 정월,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2월, 임금이 급하지 않은 부역을 줄이고, 군과 읍에 사신을 파견하여 농사와 양잠을 권장토록 하였다.
여름 4월,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겨울,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二十六年春 遣使入隋朝貢. 夏四月 隋文帝宴我使者於大興殿.
이십육년춘 견사입수조공. 하사월 수문제연아사자어대흥전.
26년(서기 584) 봄,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여름 4월, 수나라의 문제(文帝)가 우리의 사신을 위하여 대흥전(大興殿)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二十七年 冬十二月 遣使入陳朝貢.
이십칠년 동십이월 견사입진조공.
27년(서기 585) 겨울 12월,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二十八年 移都長安城.
이십팔년 이도장안성.
28년(서기 586), 장안성(長安城)으로 도읍을 옮겼다.
三十二年 王聞陳亡 大懼 治兵積穀 爲拒守之策 隋高祖賜王璽書 責以 “雖稱藩附 誠節未盡.”
삼십이년 왕문진망 대구 치병적곡 위거수지책 수고조사왕새서 책이 “수치번주 성절미진.”
32년(서기 590), 진나라가 멸망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임금은 매우 두려워하였다. 임금은 병사를 훈련시키고, 군량미를 비축하여 국방을 강화할 대비책을 세웠다. 수나라의 고조(高祖)가 임금에게 조서를 내려 책망하였다. “비록 스스로 속국이라고 하면서도, 성의와 예절을 다하지 않는다.”
且曰 “彼之一方 雖地狹人少 今若黜王 不可虛置 終須更選官屬 就彼安撫. 王若洒心易行 率由憲章 卽是朕之良臣 何勞別遣才彦? 王謂遼水之廣 何如長江 高句麗之人 多少陳國 朕若不存含育 責王前愆 命一將軍 何待多力 殷勤曉示 許王自新耳.”
차왈 “피지일방 수지협인소 금약출왕 불가허치 종수경선관속 취피안무. 왕약쇄심역행 솔유헌장 즉시짐지양신 하노별견재언 왕위요수지광 하여장강 고구려지인 자소진국 짐약부존함육 책왕전건 명일장군 하대다력 은근효시 허왕자신이.”
그리고 다시 말하였다. “그쪽 지방이 비록 협소하고 인구도 적지만, 이제 내가 만약 왕을 쫓아낸다면 그 자리를 비워둘 수는 없을 것이므로, 결국엔 다시 관리를 선택하여 그곳을 안정시켜야 할 것이다. 왕이 만약 마음을 단정히 하고 행동을 고쳐서 우리의 법도를 따른다면, 그때는 곧 나의 좋은 신하가 될 것이고 왜 힘을 들여 다른 인재를 보내겠는가? 요수(遼水)의 넓이가 장강(長江)과 비교하여 어떠한지, 고구려 인구가 진나라와 비교하여 어떠한지를 왕은 말하여 보라. 내가 왕을 용서하려는 심정이 없고 왕의 과거의 잘못을 추궁하기로 한다면, 장군 하나 에게 정벌을 명령해도 될 것이니, 어찌 큰 힘이 필요하겠는가? 내가 간곡한 말로 타이르는 것은 왕이 스스로 자신을 새롭게 바꾸도록 하려는 데에 있다.”
王得書惶恐 將奉表陳謝而未果 王在位三十二年 冬十月 薨 號曰平原王(是開皇十年 隋書及通鑑書 高祖賜璽書於開皇十七年 誤也.)
왕득서황공 장봉표진사이미과 왕재위삼십이년 동시월 훙 호왈평원왕 (시개황십년 수당급통감서소조사새서어개황십칠년 오야.)
임금이 이를 보고 황공하여 편지를 올려 사의를 표하려다가 실행하지 못하고, 재위 32년 겨울 10월에 돌아가셨다. 호를 평원왕(平原王)이라 하였다. (이때는 수나라의 문제 개황(開皇) 10년이다. 수서(隋書)와 통감(通鑑)에 ‘고조가 개황 17년에 조서를 주었다.’는 기록은 잘못이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高句麗本紀 第八-榮留王 (0) | 2020.01.30 |
---|---|
高句麗本紀 第八-嬰陽王 (0) | 2020.01.28 |
高句麗本紀 第七-陽原王 (0) | 2020.01.27 |
高句麗本紀 第七-安原王 (0) | 2020.01.27 |
高句麗本紀 第七-安藏王 (0) | 2020.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