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第五 - 中川王


中川王

 

中川王(或云中壤) 諱然弗 東川王之子 儀表俊爽 有智略. 東川十七年 立爲王太子. 二十二年 秋九月 王薨 太子卽位. 冬十月 立掾氏爲王后. 十一月 王弟預物奢句等 謀叛伏誅.

중천왕(혹운중양) 휘연불 동천왕지자 의표준상 유지략. 동천십칠년 입위왕태자. 이십이년 추구월 왕훙 태자즉위. 동시월 입연씨위왕후. 십일월 왕제예물사구등 모반복주.

 

중천왕(中川王 혹은 중양 中壤)의 이름은 연불(然弗)이며, 동천왕(東川王)의 아들이다. 모습과 자태가 준수하고 지략이 많았다. 동천왕 17년에 왕태자가 되엇다. 22년 가을 9월에 임금이 돌아가시자 태자가 왕위에 올랐다.

겨울 10, 연씨(掾氏)를 왕후로 삼았다.

11, 임금의 동생 예물(預物), 사구(奢句) 등이 반역을 도모하다가 처형되었다.

 

三年 春二月 王命相明臨於漱 兼知內外兵馬事.

삼년 춘이월 왕명상명임어수 겸지내외병마사.

 

3(서기 250) 2, 임금이 국상(國相) 명림어수(明臨於漱)에게 명하여 내외의 병마에 관한 사무를 겸하여 맡아보게 하였다.

 

四年 夏四月 王以貫那夫人置革囊 投之西海 貫那夫人 顔色佳麗 髮長九尺. 王愛之 將立以爲小后 王后椽氏 恐其專寵 乃言於王曰 妾聞西魏求長髮 購以千金 昔我先王 不致禮於中國 被兵出奔 殆喪社稷 今王順其所欲 遣一個行李 以進長髮美人 則彼必欣納 無復侵伐之事.”

사년 하사월 왕이관나부인치혁낭 투지서해 관나부인 안색가려 발장구척. 왕애지 장립이위소후 왕후연싸 공가전총 내언어왕왈 첩문서위구장발 구이천금 석아선갱 불치예어중국 피병출분 대상사직 금왕순기소욕 견일개행이 이진장발미인 즉피필흔납 무복침벌지사

 

4(서기 251) 여름 4, 임금이 관나부인(貫那夫人)을 가죽 주머니에 넣어 서해로 던졌다. 관나부인은 얼굴이 아름답고 머리카락의 길이가 아홉 자나 되었다. 임금이 그녀를 사랑하여 장차 소후(小后)를 삼으려 하자, 왕후 연씨는 그녀가 임금의 사랑을 독차지할 것을 걱정하여 임금에게 말하였다. “제가 듣기로 서쪽 위나라에서 긴 머리카락을 천금을 주고 산다고 합니다. 옛날에 우리 선왕이 중국에 물건으로 예를 다하지 않아, 병사의 침입을 받고 달아나 사직을 거의 잃을 뻔 했습니다. 그러하니 이제 임금께서는 위나라가 하고자 하는 대로 사신을 보내 긴 머리의 미인을 진상하면, 그들은 흔쾌히 받아들이고 다시는 침범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王知其意 黙不答 夫人聞之 恐其加害 反讒后於王曰 王后常罵妾曰 田舍之女 安得在此 若不自歸 必有後悔 意者后欲伺大王之出 以害於妾 如之何?”

왕지기의 묵부답 부인문지 공기가래 반참루왕왈 왕후상독첩왈 전사지녀 안득재차 약불자귀 필유후회 의자후욕사대왕지출 가해어첩 여지하?”

왕은 그녀가 말하는 의도를 알고 묵묵히 대답하지 않았다. 관나부인이 이 말을 듣고 자기에게 해를 가할까 걱정되어, 도리어 임금에게 왕후를 참소하여 말하였다. “왕후가 항상 저를 꾸짖어 말했습니다. ‘농사짓는 집의 계집이 어찌 여기에 있느냐? 만약 스스로 돌아가지 않으면 반드시 후회하리라.’ 대왕이 나가셨을 때 왕후가 저를 해치려고 하는 뜻을 품은 듯하옵니다. 어찌하오리까?”

 

後 王獵于箕丘而還 夫人將革囊迎哭曰 后欲以妾盛此 投諸海 幸大王賜妾微命 以返於家 何敢更望侍左右乎?”

후 왕렵우지구이환 부인장혁낭영곡왈 후욕이첩성차 투제해 행대왕사첩미명 이반어가 가감경망시좌우호?”

 

후에 임금이 기구(箕丘)에서 사냥을 하고 돌아오자, 관나부인이 가죽 주머니를 들고 왕을 맞아 울면서 말하였다. “왕후가 저를 이 주머니에 담아 바다에 던지려고 합니다. 대왕께서 작은 목숨을 살려주시어 집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주신다면, 어찌 감히 옆에서 다시 모시기를 바라겠습니까?”

 

王問知其詐 怒謂夫人曰 汝要入海乎使人投之.

왕문지기사 노위부인왈 여요입해호 사인투지.

 

임금이 거짓말임을 알고, 노하여 관나부인에게 말하였다. “네가 꼭 바다속으로 들어가고 싶은가 보구나!” 그리고 사람을 시켜 그녀를 바다에 던지게 하였던 것이다.

 

七年 夏四月 國相明臨於漱卒 以沸流沛者陰友爲國相. 秋七月 地震.

칠년 하사월 국상명립어수졸 이비류패자음우위국상. 추칠월 지진.

7(서기 254) 여름 4, 국상 명림어수가 죽자 비류(沸流)의 패자 음우(陰友)를 국상으로 삼았다.

가을 7, 지진이 났다.

 

八年 立王子藥盧爲王太子 赦國內.

팔년 입왕자약로위왕태자 사국내.

 

8(서기 255)에 왕자 약로(藥盧)를 왕태자로 삼았다. 나라 안에 사면령을 내렸다.

 

九年 冬十一月 以掾那明臨笏覩 尙公主 爲駙馬都尉. 十二月 無雪 大疫.

구년 동십일월 이연나명립홀도 상공쥬 위부마도위. 십이월 무설 대역.

 

9(서기 256) 겨울 11, 연나(掾那) 명림홀도(明臨笏覩)를 공주에게 장가들게 하여 부마도위(駙馬都尉)로 삼았다.

12, 눈이 내리지 않았다.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

 

十二年 冬十二月 王畋于杜訥之谷 魏將尉遲楷(名犯長陵諱)將兵來伐 王簡精騎五千 戰於梁貊之谷 敗之 斬首八千餘級.

십이년 동십이월 왕정우두눌지곡 위장위지해(명범장릉휘)장병내벌 황간정기오천 전어양맥지곡 패지 참수팔천여급.

 

12(서기 259) 겨울 12, 임금이 두눌(杜訥) 골짜기에서 사냥을 하였다. 위나라 장수 위지해(尉遲楷: 이름()이 장릉(長陵, 고려 인종)의 이름에 저촉된다)가 병사를 거느리고 쳐들어왔다. 임금이 정예 기병 5천 명을 선발하여 양맥(梁貊)의 골짜기에서 싸워 이기고, 8천여 명을 참수하였다.

 

十三年 秋九月 王如卒本 祀始祖廟.

십삼년 추구월 왕여졸본 사시조묘.

 

13(서기 260) 가을 9, 임금이 졸본에 가서 시조의 사당에 제사를 지냈다.

 

十五年 秋七月 王獵箕丘 獲白獐. 冬十一月 雷 地震.

십오년 추칠월 왕렵기구 획백장. 동십일월 뢰 지진.

 

15(서기 262) 가을 7, 임금이 기구(箕丘)에서 사냥하다가 흰 노루를 잡았다.

겨울 11, 우레가 치고 지진이 났다.

 

二十三年 冬十月 王薨 葬於中川之原 號曰中川王.

이십삼년 동시월 왕훙 장어중천지원 호왈중천왕.

 

23(서기 270) 겨울 10, 임금이 돌아가셨다. 중천(中川)의 벌판에 장례를 지내고, 호를 중천왕(中川王)이라 하였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高句麗本紀 第五 - 烽上王  (0) 2020.01.20
高句麗本紀 第五 - 西川王  (0) 2020.01.19
高句麗本紀 第五 - 東川王  (0) 2020.01.18
高句麗本紀 第四 - 山上王  (0) 2020.01.17
高句麗本紀 第四 - 故國川王  (0) 2020.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