虞堯典01
왈약계고제요 왈방훈 흠명문사안안 윤공극양 광피사표
옛 요임금에 대하여 상고해 보면 문장에 밝아 생각은 온후하여 진실로 공순하고 늘 자신을 낮출 줄 알아 그 현명함이 천지사방을 덮는다.
格于上下 克明俊德 以親九族 九族旣睦 平章百姓 百姓昭明 協和萬邦 黎民於變時雍 격우상하 극명준덕 이친구족 구족기목 평장백성 백성소명 협화만방 여민어변시옹
또한 위아래를 구분할줄 아는 고결한 마음가짐을 추구하여 가족을 아우르게 하고 공정하게 치우침없이 사람들의 삶을 바로세우니 온 나라가가 화목하고 사람들이 다툼이 아닌 화합되게 하는 변화를 이루었다. -여기서 구족이란 고조할아버지 이하 일가친척을 이르는 말.... |
虞堯典02
乃命羲和 欽若昊天 曆象日月星辰 敬授人時
내명희화 흠야호천 역상일월성신 경수인시
희화씨들에게 명하여 천기를 관측하여 일월성신의 변화로 사람들에게 시기를 알게 하셨다.
分命羲仲 宅嵎夷曰暘谷 寅賓出日 平秩東作 日中星鳥 以殷仲春 厥民析 鳥獸孶尾
분명희중 댁우이왈양곡 인빈출일 평질동작 일중성조 이은중춘 궐민석 조수자미
희중씨에게 따로 명하여 양곡이라 불리는 곳에 머물라하고 일출을 관장하게하니 동쪽이요 볕이 따스한지라 사람들이 번성하고 금수들도 그러하다.
申命羲叔 宅南交 曰明都 平秩南訛 敬致 日永星火 以正仲夏 厥民因 鳥獸希革
신명희숙 댁남교 왈명도 평질남와 경치 일영성화 이정중하 궐민인 조수희혁
희숙씨에겐 명도라 불리는 남쪽에 봉하니 남쪽 오랑캐들이 공경을 알게 하고 해는 길고 별이 빛나는 한여름같아 사람들은 고통받고 짐승들도 거죽이 드러러난 지역이다.
分命和仲 宅西曰昧谷 寅餞納日 平秩西成 宵中星虛 以殷仲秋 厥民夷 鳥獸毛毨
분명화중 댁서왈매곡 인전납일 평질서성 소중성허 이은중추 궐민이 조수모선
따로 희중씨에게 명하여 매곡이라 불리는 서쪽에 자리하게 하니 어두컴컴하고 별도 안보이니 가을이요 사람들이 거칠고 금수도 털이 길더라.
申命和叔 宅朔方曰幽都 平在朔易 日短星昴 以正仲冬 厥民隩 鳥獸氄毛
신명화숙 댁삭방왈유도 평재삭역 일단성묘 이정중동 궐민오 조수용모
화숙씨에게 명하여 유도라는 삭방(북쪽)에 봉하니 해는 짧고 별자리는 묘성이요 무척 추워 사람들은 움추러들고 짐승들은 털이 무성하더라.
帝曰咨 汝羲曁和 朞三百有六旬有六日 以閏月 定四時成歲 允釐百工 庶績咸熙
제왈자 여희기화 기삼백유륙순유륙일 이윤월 정사시성세 윤리백공 서적함희
요임금이 희화씨들에게 이르길 366일 즉 윤달을 더해 한 해를 정하므로 모든 일을 마무리하니 기쁨으로 마무리 되었다.
희화(羲和): 당대 천문을 관측하던 4형제.
-이 본문은 인간사에 제일 중요한 질서가 바로 시간 그리고 사방 분간임을 말해주며 희중 희숙 화중 화숙이란 명칭도 사람을 지칭하기 보단 상징적인 의인화로 봄이 옳다 보인다.
3
帝曰 疇咨若時 登庸 放齊曰胤子朱啓明
제왈 주자약시 등용 방제왈윤자주계명
지금 이런 판에 누굴 등용하랴 물으니 방제가 아들인 주가 유력하다 했다.
帝曰吁 嚚訟可乎
제왈우 은송가호
요임금은 탄식하며 말하길 떠벌이에 말장난꾼이다.
帝曰疇咨若予采 驩兜曰都 共工方鳩僝功
제왈주자야여채 환두왈도 공공방구잔공
요임금이 말하길 내 누구를 골라야 하나... 환두가 답하길 공공이 사람들을 잘 조련하는 능력이됩니다 했다.
帝曰吁 靜言庸違 象恭滔天
제왈우 정언용위 상공도천
임금은 다시 탄식하며 옳은 말은 하지만 말에 어긋나고 자세는 공순하나 교만이 하늘을 찌른다 했다.
이 장은 소위 요순선양 堯舜禪讓 (평화로운 왕위 이양)을 말하는 걸로 회자된다.
그러한 선양도 올바른 사람을 가려볼 안목이 없으면 오히려 분란만 키우는 것...
여기 나오는 아들 주 그리고 공공을 거론하는 이유가 혈통이 왕의 자질을 보증하는 것 아니고 공부가 왕의 자질을 보증하는게 아니라는 가르침...
4
帝曰咨四岳 湯湯洪水方割 蕩蕩懷山襄陵 浩浩滔天 下民其咨 有能俾乂
僉曰於鯀哉
帝曰吁咈哉 方命圮族
岳曰异哉 試可乃已
帝曰往欽哉 九載 績用弗成
제왈자사악 탕탕홍수방할 탕탕회산양능 호호도천 하민기자 유능비예
첨왈어곤재
제왈우불재 방명비족
악왈이재 시가내이
제왈왕흠재 구재 적용불성
요임금이 사악에게 묻길 홍수가 극심해 사방에 해가 크고 산을 돌아 언덕넘어 하늘에 이를지경이니 누구에게 이를 다스리라 시킬꼬... 여럿이 한목소리로 곤이 있읍니다 하니
요임금이 아니라며 말을 끊더라 사악이 말하길 한 번 시험삼아라도 하시지요.
요임금이 9년을 살펴보아도 되지않더라.
여기서 鯀은 요임금시대 20년 홍수를 다스리려한 사람이나... 결국 실패한 인물...
이 문장이 말하는 바는 제왕=우두머리 된 자의 자질은 인재를 알아보는 능력...
중지를 모아 선발함도 중요하나 중지가 곧 정답은 아니라는 교훈
5
帝曰咨四岳 朕在位七十載 汝能庸命 巽朕位
제왈자사악 짐재위칠십재 여능용명 손짐위
요임금이 사악에게 묻길 내 70년 임금이었고 자네가 명령을 잘 준행하니 왕위를 물려주련다.
岳曰 否德 忝帝位 曰明明 揚側陋 師錫帝曰有鰥在下 曰虞舜
악왈 부덕 첨제위 왈명녕 양측누 사석제왈유환재하 왈우순
사악이 답하길 덕이 없습니다. 분명히 한다고 외려 비천함만 드러낼듯합니다. 왕에게 천거하길 밖에 우순이라는 홀아비가 있습니다.
帝曰兪 予聞如何
제왈유 여문여하
왕이 솔깃하여 묻길 네 듣기론 어떠하냐?
岳曰 瞽子 父頑母嚚 象傲 克諧以孝 烝烝乂 不格姦
악왈 고자 부완모은 상오 극해이효 증증예 부격간
사악이 답하길 곧은 사람입니다. 아비는 고루하고 어미는 막무가내에 하는 짓도 오만합니다만 효성으로 낮붉히지 않고 섬기기를 극진히 하야 다툼이 없게 한 사람입니다
帝曰 我其試哉 女于時 觀厥刑于二女 釐降二女于嬀汭 嬪于虞 帝曰欽哉
제왈 아기시재 여우시 관궐형우이녀 리강이녀우규예 빈우우 제왈흠재.
요임금이 말하길 내 시험해보마 여자가 있어 두 여자를 잘 보듬는지 두 여자를 잘 거리는지 우에게 궁녀를 보내 살펴보게 했다.
이 장 마지막 구절이 보통은 요임금의 두딸을 우에게 시집보낸 걸로 읽히지만...
姦이란 글자에 주목해 여자들 성화로 다툼이 생긴다는 걸 연상해보면...
아내를 얻게하여 소위 침대송사에 말려드는지를 시험한 것으로 보는게 옳다.
즉, 속이 올곧은지를 시험한 것으로 읽는게 옳을듯...
刑于란 단어를 상호존중 즉, 처첩 사이를 잘 어우러지게 하느냐로 읽어본다.
이는 시경에 나오는 해석을 따온 것...
舜
1
曰若稽古帝舜 曰重華 協于帝 濬哲文明 溫恭允塞 玄德升聞 乃命以位
왈약계고제순 왈중화 협우제 준철문명 온공윤색 현덕승문 내명이위
엤날 순임금 중화씨에 대해 말하자면 요임금에 복종하고 글에 밝고 공순하며 착실하여 높ㅇ느 덕으로 이름높아 왕위에 오른 분이다.
愼徽五典 五典克從 納于百揆 百揆時叙 賓于四門 四門穆穆
신휘오전 오전극종 납우백규 백규시서 빈우사문 사문목목
5경전을 철저히 따르므로 모든 관원들이 때에 맞고 질서 정연하므로 사방에 손이오고 화목하더라
納于大麓 烈風雷雨 弗迷
납우대록 열풍뇌우 불미
그런 비바람 거센 밀림같은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은 분이다.
2
帝曰 格汝舜 詢事考言 乃言底可績 三載
제왈 격여순 순사고인 내언저가적 3재
요임금이 순에게 말하길 행사와 언행을 살피니 가히 업적을 이룰만하다 본게 3년 일세...
汝陟帝位 舜讓于德 弗嗣
여척제위 순양우덕 불사
자네가ㅏ 왕위를 물려받으시게 순이 사양의 덕을 보이며 이어받지 않더라
正月上日 受終于文祖 在璿璣玉衡 以齊七政
정월상일 수종우문조 재선기옥형 이제7정
정월에 마침내 문조(현명한자)로서 이어받아 천기에 함당하여 七政 (북두7성처럼) 중심이 잡혀있다.
肆類于上帝 禋于六宗 望于山川 徧于羣神
사류우상제 인우6종 망우산천 편우군신
하늘님처럼 처세하고 六宗(6 사당)에 제사하고 산천을 고루 살피고 신명을 섬겼다.
이 장에서 묘사되는 것은 순임금의 공명정대함을 말하는 것....
자기 소신이 분명하되 천기를 어려워하는 겸허함이 있었다는 말...
3
輯五瑞 旣月 乃日覲四岳羣牧 班瑞于羣后
집오서 기월 내일근사악군목 반서우군후
실권을 잡자 각 지역 제후들의 서열을 정하셨다.
五瑞 (5 제후를 인증할 자격)
歲二月 東巡守于岱宗 柴 望秩于山川 肆覲東后 協時月 正日 同律度量衡 修五禮 五玉 三帛 二生 一死贄 如五器 卒乃復
세이월 동순수우대종 시 망질우산천 사근동후 협시월 정일 동률도량형 수오례 오옥 삼백 이생 일사지 여오기 졸내복
2월 동쪽 큰 산들을 순시하여 제사지내고 동쪽 제후를 알현하여 도량형 법을 같이하기로 했으며 5가지 제사법을 배우고 실권과 조공물을 드리니 실질적 실권이 돌아오게 되었다.
이 장엔 불명한 단어들이 많다. 또한 동쪽여행을 말하는데 쓰인 단어들 역시 특이하다 예를들면 사근동후라는 말... 도량형을 같이하고 5가지 제사를 배운다는등...
앞으로 읽어가며 밝힐 숙제이다.
4
五月 南巡守 至于南岳 如岱禮
5월 남순수 자우남악 여대례
5월엔 남쪽을 돌며 남악(형산)에 이르러 산제를 드리고
八月 西巡守 至于西岳 如初
8월 서순수 지우서악 여초
8월엔 사쪽으로 돌아 서악(화산)에 이르러 전과 같이 했다.
十有一月 朔巡守 至于北岳 如西禮 歸格于藝祖用特
십유일월 삭순수 지우북악 여서례 귀격우예조용특
십일월엔 북으로 북악(항산)에 이르러 서쪽에서 처럼 산제를 드렸고 돌아와선 요임금께 특별제를 올렸다.
五載一巡守 羣后四朝 敷奏以言 明試以功 車服以庸 肇十有二州 封十有二山 濬川
오재일순수 군후사조 부주이언 명시이공 거복이용 조십이유주 봉십유이산 준천
5년마다 그리함으로 제후들의 의견을 듣고 공은 밝히 드러내주고 수레와 옷을 챙겨주고 12주와 12산을 정하고 하천을 정비했다.
象以典刑 流宥五刑 鞭作官刑 扑作敎刑 金作贖刑 眚災肆赦 怙終賊刑 欽哉欽哉 惟刑之恤哉
상이형전 류유오형 편작관형 복작교형 금작속형 생재사사 호종적형 흠재흠재 유형지휼재
형법을 정비해 5가지 형을 늦춰서 매로 나라의 형으로 회초리로 교화형을 돈으로 속해주며 실수나 재앙으로 인한 건 형을 면하고 부모를 상하거나 반역은 형벌에 처하며 이르길 살피고 또 살펴라 형벌이란 긍휼해하는 마음이다 했다.
5
流共工于幽洲 放驩兜于崇山 竄三苗于三危 殛鯀于羽山 四罪而天下咸服
유공공우유주 방환두우숭산 찬삼묘우삼위 극곤우우산 사죄이천하함복
공공은 유주로 보내고 환두를 숭산에 놓아주고 세 묘족을 삼위로 숨기고 곤을 우산에 가두었다 이러한 책임추궁에 천하가 수긍했다.
고문을 읽는다는게 어려운 일이라는 절감하는 장....
공공은 염제 후손으로 부주산을 들이받아 천하를 흩었다는 가공의 인물...
환두는 요에게 순대신 공공을 천거한 인물 3묘는 묘족의 3차 이동....
곤은 치수에 실패한 당대 실세들...
그들을 중앙에서 변방으로 배치했음을 말하는 것...
한 마디로 중앙집권을 이룩한다는 말...
6
二十有八載 帝乃殂落 百姓如喪考妣 三載四海遏密八音
이십유팔재 제내조낙 백성여상고비 삼재사해알밀팔음
28년이 지나 요임금이 죽으니 백성들이 마치 어미잃은듯 장례치루고 3년간 은밀히라도 음악을 금했다.
月正元日 舜格于文祖 詢于四岳 闢四門 明四目 達四聰
월정원일 순격우문조 순우사악 벽사문 명사목 달사총
어느날 순임금이 사악의 현명함을 빌어 가르침을 구하였고
咨十有二牧曰 食哉惟時 柔遠能邇 惇德允元 而難任人 蠻夷率服
자십유이목왈 식재유시 유원능이 돈덕윤원 이난임인 만이율복
12제후를 초대하여 소외된 이를 부드러이 대하여야 가까이 다루는게 덕의 근본이요 기까운 사람들이 제멋대로 못하게 하여야 오랑캐들이 복종한다 했다.
이 장에서 순임금의 통치 이념을 보면 소외된 이를 없이하고 가차이 있으며 기고만장하는 (관료들을) 삼가해야함을 말한다.
외진데서 먹고 살기 힘든 무리가 오랑캐 도적으로 변하는 법...
이는 앞 장에서 요임금시대 인물들을 멀리내친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7
舜曰咨四岳 有能奮庸 熙帝之載 使宅百揆 亮采惠疇
순왈자사악 유능분용 희제지재 사택백규 양채혜주
순임금이 사악에게묻되 왕을 기쁘게 분발하도록 벼슬아치들로 아름답게 행하도록 하고 싶은데 물으니
僉曰伯禹 作司空
첨왈백우 작사공
모두 우를 꼽아 '그로 하게 하소서'했다
帝曰兪咨禹 汝平水土 惟時懋哉
제왈유자우 여평수토 유시무재
순임금이 동의하며 우에게 '네가 수리를 맡아 애써주시오'했다.
禹拜稽首 讓于稷契曁皐陶
우배계수 양우직설기고도
우가 머리를 조아리며 직,설 그리고 고도에게 시킬 것을 아룄다.
帝曰兪 汝往哉
제왈유 여왕재
순임금이 그럼 자네는 물러가시게 했다.
帝曰棄 黎民阻飢 汝后稷 播時百穀
제왈지 여민조기 여후직 파시백곡
순임금이 기에게 이르길 '백성들이 굶주리니 네가 농업 장관으로 여러 곡식을 기르게 하라.
帝曰契 百姓不親 五品不遜 汝作司徒 敬敷五敎在寬
제왈설 백성불친 오품불손 여작사도 경부오교재관
순임금이 설에게 이르길 백성들이 제각각이요 윤리도 법도도 없으니 네가 가르쳐 윤리를 널리 중시하도록 만들어라
帝曰皐陶 蠻夷猾夏 寇賊姦宄 汝作士 五刑有服 五服三就 五流有宅 五宅三居 惟明克允
제왈고도 만이활하 구전간귀 여작사 오형유복 오복삼취 오류유택 오택삼거 유명극윤
고도에게 이르길 오랑캐들이 이런저런 모양으로 우리 땅을 침범하니 너로 담당자로 세우니 형법에 따르고 5 제의 ( 참최(斬衰), 재최(齋衰), 대공(大功), 소공(小功), 시마(緦麻))가 三就(세번 이루다=정착되다)되도록하고 유형법등이 확실히 자리잡아 분명해지도록 해라.
* 여기서 五服三就 五流有宅 五宅三居 숫자 5와 3이 가지는 관념의 차이를 돌아 봄이 필요할듯....
곁가지지만 이스라엘은 12를 완전수로 아라비아는 10을 마야인들은 20진법을 썼다.
물론 오늘날 컴퓨터는 2진법을 사용하고....
이런 예에 비추어 중국인들 완전수 개념은 5, 3이란 완전수 개념은 동이 것이란다면...
중국적 완전개념을 아직도 동이의 완전수와 혼용하는 것 아니겠는가?
즉, 중국화를 걷는 과정으로 볼 일...
즉, 전대 3황시대완 다른....
8
帝曰疇若予工 僉曰垂哉
제왈주약여공 첨왈수재
순임금이 이르길 누가 나와 함께 일을 마치리 하니 모두가 수를 꼽더라
帝曰兪咨垂 汝共工 垂拜稽首 讓于殳斨曁伯與
제왈유자수 여공공 수배계수 양우수장기백여
왕이 반색하여 수에게 너가 나와 함께하겠나 하니 수가 머리를 조아리며 殳斨曁伯(창,도끼를 다루는 사람들)과 함께하렵니다.
帝曰兪 往哉汝諧
제왈유 왕재여해
순임글이 공감하며 말하되 가서 네가 잘 협력하라 하더라
帝曰疇若予上下草木鳥獸 僉曰益哉
제왈주약여공상하초목금수 첨왈익재
순임금이 이르길 온 나라를 나와 함께 돌아보랴하니 모두 익을 꼽더라
帝曰兪咨益 汝作朕虞 益拜稽首 讓于朱虎熊羆
제왈유자익 여작짐우 익배계수 양우주호웅비
왕이 기뻐 익에게 묻길 네가 나에 우와같은 사람 되려나하니 익이 머리를 조아리며 답하길 朱虎熊羆=무사들을 권하더라.
帝曰兪 往哉汝諧
제왈유 왕재여해
임금이 말하길 가서 잘 협력하라 하더라
이장에서 의미하는 바는 왕이니 영웅이 아닌 조직을 정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본다.
즉, 각 부족의 수장들과 연합하던 정치가 관료화로 넘어가는 과정의 주역이 순임금이라는 기록...
9
제왈자사악 유능전짐3례 참왈백이
순임금이 사악에 묻되 내 예법 정신을 따를만한 이가 있는가 모두 답하길 백이를 천거하더라
帝曰兪咨伯 汝作秩宗 夙夜惟寅 直哉惟淸 伯拜稽首 讓于夔龍 帝曰兪 往欽哉
제왈유자백 여작질종 숙야유인 직재유청 백배계수 양우기룡 제왈유 왕흠재
순임금이 기뻐 백이에게 묻길 널 질서수호자로 할 터이니 주야로 힘써서 올곧고 깨끗하여라 하니 백이가 머리 조아리며 기롱을 천거하더라 순임금이 가서 잘 살펴보거라하더라.
帝曰夔 命汝典樂 敎胄子 直而溫 寬而栗 剛而無虐 簡而無傲 詩言志 歌永言 聲依永 律和聲 八音克諧 無相奪倫 神人以和
제왈기 명여전악 교주자 직이온 관이율 강이무학 간이무오 시언지 가영언 성의여 율화성 팔음극해 무상탈륜 신인이화
순임금이 기에게 말하길 널 세자에게 음악을 가르치는 자로 삼을터이니 곧되 온화하고 관대하되 견실하게 강하되 잔혹하지않고 단순하되 오만하지않게하라.
시란 속내를 드러내는 말이고 노래란 대화를 노래로 한 것이고 소리란 곡조를 따르고 운률에 맞아야하고 8음이 어우러져야 격의가 없어지니 신명과 사람이 화합하게 하라.
夔曰於 予擊石拊石 百獸率舞
기왈어 여격석부석 백수솔무
기가 답하되 내가 돌쪼아 다듬는 노력으로 뭇짐승을 춤추게 할 정도로 음악을 세우리다.
帝曰龍 朕堲讒說殄行 震驚朕師 命汝作納言 夙夜出納朕命 惟允.
제왈룡 짐즉참설진행 진경짐사 명여작납언 숙야출납짐명 유윤
순임금이 용에게 이르길 난 남 헐뜯는 행동을 혐오하니 날 단단히 가르칠 스승으로 널 바른 말하는 관리로 임명할 터이니 낮밤을 가리지 말고 충실히 내게 바른 말 해주라 했다.
이 장에서 보이는 순임금의 자질은 적어도 원칙이 선 사람으로 재주 가진 사람을 등용하고 소위 조직화를 이룩한 왕으로 보인다.
10
帝曰咨 汝二十有二人 欽哉 惟時亮天功 三載考績 三考黜陟幽明 庶績咸熙 分北三苗
제왈자 여이십유이인 흠재 유시량천공 삼재고적 삼고출척유명 서적함희 분북삼묘
순임금은 22인을 하늘 이치(정치)를 잘 해내도록 3년간 관찰을 토대로 과오를 잘 분별하여 인재를 가려쓰니 기쁨이 넘치고 북쪽 3 묘족을 잘 통치했다.
舜生三十 徵庸三十 在位 五十載 陟方乃死
순생삼십 징용30 재위 오십재 척방내사
순임금은 30여관직을 만들고 잘 활용하며 50년 통치후 돌아가셨다.
순임금의 치적을 요약하면 전제적 군주가 아닌 기능적 체계를 세운 임금으로 임금의 역할은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함이라는 원칙을 세운 분이라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