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經]十有一年春王三月 公至自晉
[傳]十一年春王三月 公至自晉 晉人以公爲貳於楚 故止公 公請受盟 而後使歸
십일년춘왕삼월 공지자진 진인이공위이어초 고지공 공청수맹 이후사귀
11년 봄 주왕력 3월 성공이 진나라에서 돌아왔는데 진나라 사람들이 성공이 초나라와 양다리 걸친다고 생각하여 억류했던 탓이다. 성공이 동맹을 맺자고 청하니 돌아가도록 해준 것이다.
[經]晉侯使郤犫來聘 己丑 及郤犫盟
진후사극주래빙 을축 급극주맹
진나라 지도자가 극구로 하여금 노나라로 오게하여 을축일 극주와 동맹서를 작성하였다
[傳]郤犫來聘 且涖盟
극주래빙 차리맹
극주가 방문하여 다시 확인차 리맹하였다.
* 涖盟 : 涖盟은 相對國에 가서 結盟하는 것이다. 涖는 位이다. 我國이 相對國과 協商해 結盟하기로 決定한 뒤에 我國이 相對國에 大夫를 보내어 結盟하는 것을 ‘涖盟’이라 하고, 相對國이 我國과 協商해 結盟하기로 決定한 뒤에 相對國이 我國에 大夫를 보내어 와서 結盟하는 것을 ‘來盟’이라 한다. 兩者의 協商으로 盟約의 條件이 이미 決定되었기 때문에 단지 協商代表의 자리(位)로 가서 盟約을 맺을 뿐이다
[傳]聲伯之母不聘 穆姜曰 吾不以妾爲姒
성백지모불빙 목강왈 오불이첩위사
성백(공손 영제=叔肹)의 어미가 혼례를 올리지 않았으니 목강이 이르길 ‘난 첩과는 동서지간이 될 수 없다’하였다.
* 穆姜은 宣公의 夫人이다. 宣公과 叔肹은 同母兄弟이다.
生聲伯而出之 嫁於齊管于奚 生二子而寡 以歸聲伯
생성백이출지 가어제관우해 생이자이과 이귀성백
성백을 낳고 폐출되었는데 제나라 땅 해지역의 관(管仲)씨에게 재가하여 두아들을 낳고 과부가 되어 성백에게 돌아왔다.
聲伯以其外弟爲大夫 而嫁其外妹於施孝叔
성백이기외제위대부 이가기외매어시효숙
성백이 그 아비 다른 동생을 대부로, 아비 다른 누이를 시효숙에게 주었다.
* 孝叔은 魯惠公의 五世孫이다.
郤犫來聘 求婦於聲伯 聲伯奪施氏婦以與之
극주래빙 구부어성백 성백찰시씨부이여지
극주가 와서 성백에게 아내감을 구해달라하니 시씨에게 주었던 배다른 누이를 극주에게 주었다.
婦人曰 鳥獸猶不失儷 子將若何 曰 吾不能死亡 婦人遂行 生二子於郤氏
부인왈 오수유불실려 자장약하 왈 오불능사망 부인수행 생이자어극씨
부인(배다른 누이)이 시씨에게 말하길 ‘짐승도 제 짝은 챙기는 법인데 장차 어쩔 생각이냐?’하니 이르길 ‘난 죽고싶지 않다’하니 부인이 극씨에게 가서 두 아들을 낳고 살았다.
郤氏亡 晉人歸之施氏 施氏逆諸河 沈其二子
극씨망 진인귀지시씨 시씨역제하 침기이자
극씨 일파가 멸문하고 진나라 사람들이 부인을 시씨에게 돌려보내자 시씨는 강에서 만난 극씨 두 아들을 빠트려 죽였다.
婦人怒曰 己不能庇其伉儷而亡之 又不能字人之 孤而殺之 將何以終 遂誓施氏
부인노왈 기불능비기항려이망지 우불능자인지 고이살지 장하이종 수서시씨
부인이 분노하여 ‘제 짝도 보호하지 않고 피하고 정실로 맞아주지도 않아 외롭게 하고 아이들 마저 죽이니 결말이 좋을 리 있나?’하며 시씨 집안으로 돌아가지 않겠다 서약하였다.
[經]夏 季孫行父如晉
하 계손행보여진
[傳]夏 季文子如晉 報聘 且涖盟也
하 계문자여진 보빙 차리맹야
여름 계문자가 진나라로 답방하고 동맹을 확증하였다.
[傳]周公楚惡惠襄之偪也 且與伯與爭政 不勝 怒而出 及陽樊 王使劉子復之 盟于鄄而入 三日 復出奔晉
주공초오혜양지핍야 차여백여쟁정 불승 노이출 급양번 왕사유복지 맹우견이입 삼일 복출분진
주나라 공 초가 혜공과 양공 일족을 핍박하고 백여와 정권을 다투었으나 이기지 못하니 화가 나서 주나라를 떠나 진나라 땅 양번에 이르자 주나라 지도자가 유자를 보내 돌아오게하여 견(주나라 영토)에서 동맹을 맺었으나 3일만에 진나라로 도망하였다.
[經]秋 叔孫僑如如齊
추 숙손교여여제
가을 숙손(말 그대로 삼촌의 손자) 교여가 진나라로 갔다.
[傳]秋 宣伯聘于齊 以脩前好
추 선백빙우제 이수전호
가을 선백(숙손교여)가 제나라를 방문하여 지난 날 우호관계를 연장하였다.
[經]冬十月
동시월
[傳]晉郤至與周爭鄇田 王命劉康公單襄公訟諸晉
진극지여주쟁후전 왕명유강공선양공송제진
진나라 극지와 주나라가 후전을 차지하려 다투니 주나라 왕이 유강공 선양공을 진나라에 소송하게 하였다.
郤至曰 溫 吾故也 故不敢失 劉子單子曰 昔周克商 使諸侯撫封 蘇忿生以溫爲司寇 與檀伯達封于河 蘇氏卽狄 又不能於狄而奔衛 襄王勞文公而賜之溫
극지왈 온 오고야 고불감실 유자선자왈 석주극상 사제후무봉 소분생이온위사구 여단백달대우하 소씨즉적 우불능어적이분위 양왕노문공이사지온
극지가 말하길 ‘온 땅은 우리 옛 봉지이므로 잃을수 없다’하니 유자와 선자가 말하길 ‘예전 주나라가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제후들에게 봉지로 나눠준건데 당시 소분생(주나라 무왕 당시 사구 소공)이 온을 봉지로 받아 주나라의 사구로 일했고 단백(단족의 지도자) 달과 함께 황하 근처에 봉해졌는데 나중에 오랑캐와 연합하고 관계가 틀어지자 위나라로 도망한 거고 양왕이 진문공을 위로하려 온땅을 봉지로 준 것이다.
狐氏陽氏先處之 而後及子 若治其故 則王官之邑也 子安得之
고씨양씨선처지 이후급자 약치기고 즉왕관지읍야 자안득지
고씨와 양씨가 먼저 살았고 이제 그대가 차지한 것이니 주인을 따지자면 본디 주나라 왕의 땅이다 어찌 그대 차지라 하는가?’하니
晉侯使郤至勿敢爭
진후사극지물감쟁
진나라 제후가 극지에게 다투지 말라 하였다.
[傳]宋華元善於令尹子重 又善於欒武子
송화원선어영윤자중 우선어난무자
송나라 화원이 초나라 영윤(재상)자중과 친하고 진나라 난무자와도 친했다.
聞楚人旣許晉糴茷成 而使歸復命矣
문초인기허진적패성 이사귀복명의
초나라 사람들이 진나라 적패와 화친하고 보고한 걸 듣고
冬 華元如楚 遂如晉 合晉楚之成
동 화원여초 수여진 합진초지성
겨울 화원이 초나라와 진나라를 방문하여 진나라 초나라 화친에 합류하였다.
[傳]秦晉爲成 將會于令狐
진진위성 장회우영호
진나라와 진나라가 화친하고자 영호에서 회합하려하였다.
晉侯先至焉 秦伯不肯涉河 次于王城 使史顆盟晉侯于河東
진후선지언 진백불긍섭하 차우왕성 사사과맹진후우하동
진나라 지도자가 먼저 도착하여 진나라 지도자가 황하를 건너지 않겠다며 왕성에 머물며 사절 과를 건너 보내 화친하게 했다.
晉郤犫盟秦伯于河西
진극주맹진백우하서
晉나라 극주가 황하를 건너 秦나라 지도자와 동맹을 맺었다.
范文子曰 是盟也何益 齊盟 所以質信也 會所 信之始也 始之不從 其〈可〉質乎
범문자왈시맹야 하익 제맹 소이질신야 회소 신지시야 시지불종 기[가]질호
범문자가 이르길 ‘이 동맹이 무슨 이익이 있나 진중하게 동맹을 맺는다는 건 신뢰에 바탕해야하는데 만나는 장소가 상호신뢰의 시작이고 시작부터 어긋나는게 신뢰의 바탕인가?’하였다.
秦伯歸而背晉成
진백귀이배진성
역시나 秦나라 지도자는 돌아가자 마자 조약을 배반하였다.
12년
[經]十有二年春 周公出奔晉
[傳]十二年春 王使以周公之難來告 書曰周公出奔晉 凡自周無出 周公自出故也
십이년춘 왕사이주공지난래고 서왈주공출분진 범자주무출 주공자출고야
12년 봄 주나라 왕이 사신을 보내 주공의 난을 고하였다. 기록엔 주공이 진나라로 도망하였다라 되어있지만 보통은 주나라로부터 도망하면 출이라 하지만 주공이 스스로 떠난 때문이다.
[經]夏 公會晉侯衛侯于瑣澤
하 공회진후위후우쇄택
여름 성공이 진나라 위나라 지도자와 쇄택에서 회맹하였다.
[傳]宋華元克合晉楚之成
송화원극합진초지성
송나라 화원이 진나라 초나라 화친을 克(어려움을 이기고) 이뤘다
夏五月 晉士燮會楚公子罷許偃 癸亥 盟于宋西門之外曰 凡晉楚無相加戎 好惡同之 同恤菑危 備救凶患 若有害楚 則晉伐之 在晉 楚亦如之 交贄往來 道路無雍 謀其不協 而討不庭 有渝此盟 明神殛之 俾隊其師 無克胙國 鄭伯如晉聽成 會于瑣澤 成故也
하오월 진사섭회초공자파허언 계해 맹우송서문지외왈 범진초무상가율 호오동지 동휼재위 비구흉환 약유해초 즉진벌지 재진 초역여지 교지왕래 도로무옹 모기불협 이토부정 유투차맹 명신극지 비대기사 무극조국 정백여진청성 회우쇄택 성고야
여름 5월 진나라 사섭과 초나라 공자 파 그리고 허언과 회동하고 계해일 송나라 서쪽 성문밖에서 회맹하고 이르길 ‘무릇 진과 초나라는 서로 무기를 겨누지않고 같은 마음으로 재해를 서로 돕고 흉사와 환란에 대비하며 초나라에 害가 있으면 진나라가 즉각 토벌하며 진나라가 그런 경우라면 초나라도 그리 할 것이요 서로 선물을 나누고 길을 막지 않고 협조하지 않으려 하면 不庭(영향력 아래 있는 국가)들을 토벌한다 또한 이 동맹을 어기면 신명이 벌하실 것이요 그 군대를 천시하여 무리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하겠다’ 하니 정나라 지도자가 진나라에 가서 쇄택에서 회맹하게된 상황을 청취했다.
[經]秋 晉人敗狄于交剛
[傳]狄人間宋之盟以侵晉 而不設備 秋 晉人敗狄于交剛
적인간송지맹이침진 이불설비 추 진인패적우교강
오랑캐들이 송나라에서의 초나라와 진나라가 화친하는 사이 진나라를 침공하여 정비하지 못하는 사이 진나라가 교강에서 오랑캐를 무찔렀다.
[經]冬十月 동시월
[傳]晉郤至如楚聘 且涖盟 楚子享之 子反相 爲地室而縣焉
극지지여초빙 차리맹 초자향지 자반상 위지실이현언
극지가 초나라를 예방하여 리맹하였다. 초나라 지도자가 잔치를 열었고 자반이 주최자로 지하실에 악기들을 배치하였다.
郤至將登 金奏作於下 驚而走出
극지장등 금주작어하 경이주출
극지가 단으로 오를 때 지하에서 편종을 치니 극지가 놀라 달아나려 했다.
子反曰 日云莫矣 寡君須矣 吾子其入也
자반왈 일운막의 과군수의 오자기입야
자반이 말하길 날이 저물어가고 우리 지도자가 기다리시니 같이 들어가십시다 하였다.
賓曰 君不忘先君之好 施及下臣 貺之以大禮 重之以備樂 如天之福 兩君相見 何以代此 下臣不敢
빈왈 군불망선군지호 시급하신 황지이대례 중지이비악 여천지복 양군상견 하이대차 하신불감
극지가 답하길 ‘초나라 군주가 선대의 우호관계를 잊지않고 불초 소신에게 호의를 베푸시어 잔치를 열어주시고 음악을 준비하여주시니 하늘이 내리시는 복이요 양쪽 군주들이 만나신들 이보다 더하겠습니까 불초 소신으론 감당하기 어렵군요 하더라
子反曰 如天之福 兩君相見 無亦唯是 一矢以相加遺焉 用樂
자반왈 여천지복 양군상견 무역유시 일시이상가유언 용악
자반이 이르길 하늘의 복으로 두 지도자가 만나도 이리는 못하지만 한 번 맺은 약속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니 풍악을 울릴 것입니다.
寡君須矣 吾子其入也
과군수의 오자기입야
우리 군주가 그리하였으니 함께 드십시다 하더라
賓曰 若讓之以一矢 禍之大者 其何福之爲
빈왈 약양지이일시 화지대자 기하복지위
극지가 이르길 한 번의 약속을 깨면 화가 클 것이요 무슨 복이겠습니까?
世之治也 諸侯間於天子之事 則相朝也 於是乎有享宴之禮 享以訓共儉 宴以示慈惠
세지치야 제후간어천자지사 즉상조야 어시호유향연지례 향이훈공검 연이시자혜
세상이 잘 다스려질 때는 제후들이 하늘을 섬길 때이니 서로 만나기도 했지만 풍악을 울리며 잔치함으로 서로 만족하지 못해도 그 마음을 보여주는 겁니다
共儉以行禮 而慈惠以布政 政以禮成 民是以息 百官承事 朝而不夕 此公侯之所以扞城其民也
공검이행례 이자혜이포정 정이예성 민시이식 백관승사 조이불석 차공후지소이한성기민야
모자란 대로 보이는 성의가 다스리는 이치요 그런 다스림으로 예를 갖추는 것이니 백성들이 편안하고 모든 관리들이 아침부터 저녁을 넘어 일을 이어가니 이가 제후와 관리들이 영역을 지키고 백성을 지키는 도리입니다 하였다.
故詩曰 赳赳武夫公侯干城 及其亂也 諸侯貪冒 侵欲不忌 爭尋常以盡其民 略其武夫 以爲己腹心 股肱爪牙
고시왈 규규무부공후간성 급기난야 제후탐모 침욕불기 쟁심상이진기민 약기무부 이위기복심고굉조아
옛말에 용맹한 무사들과 제후들이 위기에도 성을 지킨다 하였으니 탐관오리(貪冒)들이 백성들의 진기를 빨아먹으려 다투면 그런 무사들이 꼭 필요한 인재(股肱爪牙)입니다.
故詩曰 赳赳武夫 公侯腹心 天下有道 則公侯能爲民干城而制其腹心 亂則反之
고시왈 규규무부 공후복심 천하유도 즉공후능위민간성이제기복심 난즉반지
옛말에 그런 올곧은 무사들이 제후들의 속내요 천하의 이치이니 지도자들은 능히 성을 지켜주려는 마음이 있고 난리가 나면 진압하는 겁니다.
今吾子之言 亂之道也 不可以爲法 然吾子 主也 至敢不從遂入 卒事
금오자지언 난지도야 불가이위법 연오자 주야 지감불종수입 졸사
지금 내가 그대에게 하는 말은 난세에 있어야할 도리이나 꼭 법은 아니니 그대와 내가 주역이니 따르지 않고 들어가지 않으면 일을 망치는 겁니다 하였다.
歸以語范文子 文子曰 無禮 必食言 吾死無日矣夫
귀이어범문자 문자왈 무례 필식언 오사무일의부
돌아와 범문자에게 전하니 범문자가 ’이치에 안 맞고 분명 말을 바꿀 것이다 우리는 곧 죽을 것이다‘하더라
冬 楚公子罷如晉聘 且涖盟
동 초공자파여진빙 차리맹
겨울 초나라 공자 파가 진나라를 답방하여 리맹하고
十二月 晉侯及楚公子罷盟于赤棘
십이월 진후급초공자파맹우적극
12월 진나라 지도자와 초나라 공자 파가 적극에서 동맹하였다.
13년
[經]十有三年春 晉侯使郤錡來乞師
[傳]十三年春 晉侯使郤錡來乞師 將事不敬
십삼년춘 진후사극기래걸사 장사불경
13년 봄 진나라 지도자가 극기를 보내 병력을 청하는데 마치 將事(왕의 명령을 전하는 것)하듯 하여 불경스러웠다.
孟獻子曰 郤氏其亡乎 禮 身之幹也 敬 身之基也 郤子無基 且先君之嗣卿也 受命以求師 將社稷是衛 而惰 棄君命也 不亡何爲
맹헌자왈 극씨기망호 예 신지간야 경 신지기야 극자무기 차선군지사경야 수명이구사 장사직시위 이타 기군명야 불망하위
맹헌자가 이르길 ‘극씨는 망할 것이다 예란 몸의 척추와 같고 경의 태도는 몸의 기초나 같은데 극자는 그런 기본이 안되어있다 또한 선대 임금의 후예로 벼슬아치로 명을 받아 병력을 빌리려 함은 사직을 보호하기 위한 것인데 불경스러우니 임금의 명을 어긴 것이니 어찌 망하지 않겠는가?’하더라
[經]三月公如京師
[傳]三月 公如京師 宣伯欲賜 請先使 王以行人之禮禮焉 孟獻子從 王以爲介而重賄之
삼월 공여경사 선백욕사 청선사 왕이행인지예예언 맹헌자종 왕이위개이중회지
3월 성공이 경사(여기선 주나라 서울)로 갈 때 선백(교여)이 하사품을 노리고 선행 사절로 가길 원했으나 주나라 왕이 일반 사절로 대우하고 성공을 수행한 맹헌자를 왕의 대리로 인정해 크게 예우하였다.
公及諸侯朝王 遂從劉康公成肅公會晉侯伐秦
공급제후조왕 수종유강공성소공회진후벌진
성공과 제후들이 입조하고 유강공 성소공과 진나라와 회합하여 진나라 토벌을 논의했다.
成子受脤于社 不敬 劉子曰 吾聞之 民受天地之中以生 所謂命也 是以有動作禮義威儀之則 以定命也
성자수신우사 불경 유자왈 오문지 민수천지지중이생 소위명야 시이유동작예의위의지칙 이정명야
성자가 사직에서 신(자개그릇에 담은 제사음식)을 받을 때 존경함이 없으니 유자가 이르길 ‘듣기에 사람이란 하늘과 땅사이의 삶을 받았으니 그걸 명이라 하고 이는 행동 예의 상하의 예의의 법칙이 있으니 정명이라 한다.
能者養之以福 不能者敗以取禍
능자양지이복 불능자패이취화
정명을 잘지키면 복을 키우고 지키지 못하면 화를 부르게 되는 것이다.
是故君子勤禮 小人盡力
시고군자근예 소인진력
이래서 군자들이 예에 힘쓰는 것이고 소인배들은 힘자랑이나 하는 것이다.
勤禮莫如致敬 盡力莫如敦篤
근례막여치경 진역막여돈독
예를 다한다는 것을 치경이라하고 애쓰는 것은 돈독함만 못하다.
敬在養神 篤在守業
경재양신 독재수업
공경함은 신기를 키우고 돈독함은 제 역할을 다함이다.
國之大事 在祀與戎 祀有執膰 戎有受脤 神之大節也
국지대사 쟈사여융 사유집번 융유수신 신지대절야
무리의 큰 일은 제사와 국방에 있으니 제사는 희생을 마련함에 있고 국방은 신(자개 그릇에 담은 제사음식)을 받음(충성됨)에 있으니 신명을 대하는 큰 예법이다.
今成子惰 棄其命矣 其不反乎
금성자타 기기명의 기불반호
지금 성자가 나태함은 하늘이 준 명을 버리는 것이니 이번 출전에서 돌아오지 못할 것이다’ 하였다.
[傳]夏四月戊午 晉侯使呂相絶秦 曰 昔逮我獻公及穆公 相好 戮力同心 申之以盟誓 重之以昏姻
하사월무오 진후사여상절진 왈 석체아헌공급목공 상호 륙력동심 신지이맹세 중지이혼인
여름 4월 무오일 진나라 제후가 여상을 시켜 진나라와 절연하게하며 말하길 ‘예전에 헌공과 목공 때에는 서로 관계가 좋아 힘을 합쳐 같은 마음으로 맹세를 펼치고 혼인으로 이를 도탑게 했다.
天禍晉國 文公如齊 惠公如秦 無祿 獻公卽世 穆公不忘舊德 俾我惠公用能奉祀于晉 又不能成大勳 而爲韓之師 亦悔于厥心 用集我公 是穆之成也
천화진국 문공여제 혜공여진 무록 헌공즉세 목공불망구덕 비아혜공용능봉사우진 우불능성대훈 이위한지사 역회우궐심 용집아공 시목지성야
하늘의 화가 진나라에 이르러 문공이 제나라로. 혜공은 진나라로 갔고 복이 없어 헌공이 죽으니(卽世) 목공이 옛 베푼 덕을 잊지않고 우리 혜공으로 진나라에서 제사를 받들게 하였으나 왕으로 세우는 공훈을 이루지 못하고 한에서 싸움을 벌여 혜공을 왕으로 세우진 못하고 우리 문공을 진나라 지도자로 세우는데 도움이 된 것은 바로 목공의 도움입니다.
文公躬擐甲冑 跋履山川 踰越險阻 征東之諸侯 虞夏商周之胤 而朝諸秦 則亦旣報舊德矣
문공궁환갑주 발리산천 유월험조 정동지제후 우하상주지윤 이조제진 즉역기보구덕의
문공이 온 몸에 갑주를 두르고 산천을 밟고 험지를 지나 동쪽 제후들을 정벌하여 우,하,상,주나라 제후들의 후예들이 진나라에 입조하게하니 목공의 베품을 이미 갚은 것입니다.
鄭人怒君之疆場 我文公帥諸侯及秦圍鄭 秦大夫不詢于我寡君 擅及鄭盟 諸侯疾之 將致命于秦
정인노군지강장 아문공수제후급진위정 진대부불순우아과군 천급정맹 제후질지 장치명우진
정나라 사람들이 진나라 땅을 침범하여 지도자를 분노하게 했으니 우리 문공이 제후를 이끌고 진나라로 정나라를 포위하게 하고 진나라 대부가 우리 군주에게 묻지도 않고 정나라와 동맹하니 제후들이 마뜩치 않게 여겨 진나라 정벌에 목숨을 거는 겁니다.
文公恐懼 綏靜諸侯 秦師克還無害 則是我有大造于西也
문공공구 수정제후 진사극환무해 즉시아유대조우서야
우리(晉나라) 문공이 염려하여 제후들을 토닥여 진나라 군들이 무사 귀환하게 하였으니 이것이 서국(秦나라)에 큰 역할을 해준 겁니다.
無祿 文公卽世 穆爲不弔 蔑死我君 寡我襄公 迭我殽地 奸絶我好 伐我保城 殄滅我費滑 散離我兄弟 撓亂我同盟 傾覆我國家
무록 문공즉세 목위불조 멸사아군 과아양공 질아효지 간절아호 벌아보상 진멸아비활 산이아형제 요란아동맹 경복아국가
복없게도 문공이죽었음에도 목공이 조문하지 않으니 우리 군주의 죽음을 무시한 것이고 우리 양공을 깐보고 우리 땅 효를 범하고 우리와의 교류를 단절하며 우리 보성을 정벌하고 우리의 비활을 진멸시켜 우리 골육을 흩고 동맹간관계를 소란하게 하여 우리 국가를 전복하려 하였다
我襄公未忘君之舊勳 而懼社稷之隕 是以有殽之師
아양공미망군지구훈 이구사직이운 시이유효지사
우리 양공이 귀국의 은혜를 잊지않고 사직의 안위를 걱정하니 효에서 전투를 치룬 것입니다.
猶願赦罪于穆公 穆公不聽 而卽楚謀我
유원사죄우목공 목공불청 이즉초모아
오직 목공에게 사죄하기 바랐으나 목공이 듣지 않고 초나라와 우리를 치려 합니다.
天誘其衷 成王隕命 穆公是以不克逞志于我
천유기충 성왕운명 목공시이불극령지우아
하늘이 도우사 초나라 성왕이 죽으니 목공이 우리를 치려던 것이 무산되었습니다.
穆襄卽世 康靈卽位
목양즉세 강영즉위
晉나라 양공괴 秦나라 목공 둘다 죽고 각각 영공(晉)과 강공(秦)이 즉위하였다.
康公 我之自出 又欲闕翦我公室 傾覆我社稷 帥我蝥賊以來 蕩搖我邊疆 我伐[是]以有令狐之役
강공 아지자출 우욕궐전아공실 경리아사직 수아모적이래 탕요아변강 아벌[시]이유영호지역
강공은 우리의 생질인데도 우리 공실(왕실)에 손해를 끼치고 사직을 전복하고자 하여 우리에게 해충과 같은 이들을 몰고와 우리 변경에 소란을 일으키니 영호지역에서 싸움을 벌인 것이다
康猶不悛 入我河曲 伐我涑川 俘我王官 翦我羈馬
강유불전 입아하곡 벌아속천 부아왕관 전아기마
강공은 고칠 생각은 않고 우리 하곡과 속천을 정벌하여 우리 지도자의 관리들을 잡아가고 패마지역을 떼어갔다
我是以有河曲之戰 東道之不通 則是康公絶我好也
아시이유하곡지전 동도지불통 즉시강공절아호야
그래서 우리가 하곡 싸움을 한 것이고 晉과 秦의 소통이 끊어지니 이는 강공이 우리의 호의를 끊어버린 탓이다
及君之嗣也 我君景公引領西望曰 庶撫我乎 君亦不惠稱盟 利吾有狄難 入我河縣 焚我箕郜 芟夷我農功 虔劉我邊垂
급순지사야 아군경공인영서망왈 서무아호 군역불혜칭맹 이오유적난 입아하현 분아기고 삼이아농공 건유아변수
秦 환공이 이제 후사를 잇게 되니 우리 지도자 경공이 서쪽(秦나라)만 바라보며 말하길 ‘아마 우리를 달래줄 것이다’ 하고있는데 환공께서 우리와 회맹도 하지않고 오랑캐의 침입을 틈타 우리 하현에 침입해 기읍과 고읍을 불태우고 우리 농산물을 망치고 변경 백성을 죽였습니다.
我是以有輔氏之聚
아시이유보씨이취
우리로선 이런 이유로 보씨에서 전투를 벌인 겁니다.
君亦悔禍之延 而欲徼福于先君獻穆 使伯車來命我景公曰 吾與女同好棄惡 復修舊德 以追念前勳 言誓未就 景公卽世
군역회화지연 이욕요복우선군헌목 사백거래명아경공왈 오여여동호기오 복수구덕 이추념전훈
언서미취 경공즉세
환공께서도 전쟁이 길어짐을 염려하여 선대 헌공과 목공의 덕을 되살리기 위해 백거로 하여금 사신으로 우리 경공에게 이르길 ‘ 나는 그대와 증오를 버리고 화친하여 선대 군주들의 덕을 되살리고자 한다’했으나 그 맹서가 이뤄지기 전에 우리 경공이 죽었다.
我寡君是以有令狐之會
아과군시이유영호지회
우리 지도자(여공)이 영호에서 회맹한 것입니다.
君又不祥 背棄盟誓
군우불상 배기맹서
그러나 환공께서 불순한 마음으로 그 맹서를 파기했습니다.
白狄及君同州 君之仇讐 而我昏姻也 君來賜命曰 吾與汝伐狄 寡君不敢顧昏姻 畏君之威 而受命于吏
백적급군동주 군지구서 이아혼인야 군래사명왈 오여여벌적 과군불감고혼인 외군지위 이수명우리
같은 지역의 백적은 환공과는 원수요 우리와는 혼인한 사이인데 군주께서 사자를 보내 ‘같이 백적을 치자’하니 우리 지도자로서는 혼인의 연을 무시하고 환공의 권위에 눌려 명을 받들었습니다.
君有二心於狄 曰晉將伐女 狄應且憎 是用告我
군유이심어적 왈진장벌여 적응차증 시용고아
그러나 환공께서 적에게 이간하여 이르길 ‘晉이 너희를 치려한다’하니 적도 증오의 마음으로 우리에게 물어왔습니다.
楚人惡君之二三其德也 亦來告我曰 秦背令狐之盟 而來求盟于我 昭告昊天上帝 秦三公楚三王曰 余雖與晉出入 余唯利是視
초인오군지이삼기덕야 역래고아왈 진배영호지맹 이래구먕우아 소고호천상제 진삼공초삼왕왈 여수여진출입 여유리시시
초나라 사람들도 환공의 변덕스러움을 알고 우리에게 이르길 ‘秦나라가 영호에서의 회맹을 배신하니 우리 晉과 동맹하자 하면서 하늘님에 걸고 秦나라의 3공과 초나라 3왕이 있는 자리에서 이르길 ’내 진나라와 교류하지만 이익에 따른 것 일 뿐이다‘하였습니다.
不穀惡其無成德 是用宣之 以懲不一
불곡오기무성덕 시용선지 이징불일
不穀(초나라 지도자의 별칭)이 秦나라 군주에게 미덕이 없음을 싫어하여 이를 공개하여 한결같지 않은 이들을 징계하고자 한다’하였다.
諸侯備聞此言 斯是用痛心疾首 暱就寡人
제후비문차언 사시용통심질수 닐취과인 제후들이 이 말을 듣고 마음이 심란함이 극에 달해 과인에게 온 것입니다.
寡人帥以聽命 唯好是求 君若惠顧諸侯 矜哀寡人 而賜之盟 則寡人之願也 其承寧諸侯以退 豈敢徼亂
과인수이청명 유호시구 군약혜고제후 긍애과인 이사지맹 즉과인지원야 기승녕제후이퇴 기감요란
과인이 이리 군대를 몰고와서 귀하의 명을 기다림은 오직 화친을 구함이요 귀하가 제후들을 돌아보고 과인을 긍휼한 마음으로 동맹하시는 것이 과인의 바라는 바입니다. 그리 하신다면 재후들을 물러서게 할 것이니 소란을 바라는 것이 아닌 탓입니다’
君若不施大惠 寡人不佞 其不能以諸侯退矣
군약불시대혜 과인불녕 기불능이제후퇴의
귀하가 동맹하지 않는다면 괴인도 아첨하지 않고 제후들과 물러설 길 이 없습니다.
敢盡布之執事 俾執事實圖利之
감진포지집사 비집사길도리지
감히 내 속내를 다 보였으니 섬기려는 사람의 속내를 알아 도움되는 길을 가시기 바랍니다.
[經]夏五月 公自京師遂會晉侯齊侯宋公衛侯鄭伯曹伯邾人滕人伐秦
하오월 공자경사수회진후제후송공위후정백조백주인등인벌진
여름 5월 성공이 경사에서 진나라, 제나라, 송나라, 위나라, 정나라, 조나라 지도자, 그리고 주나라 등나라 사람들과 진나라 토벌에 대해 논의했다.
[經]曹伯廬[盧]卒于師
조백려[노]졸우사
조나라 지도자 려가 군사들 안에서 죽었다.
秦桓公旣與晉厲公爲令狐之盟 而又召狄與楚 欲道以伐晉 諸侯是以睦於晉
진환공기여진여공위영호지맹 이우소적여초 욕도이벌진 제후시이목어진
진나라 환공은 진나라 여공과 동맹을 맺고도 초나라, 오랑캐를 불러 진나라 정벌에 나서니 제후들이 이를 알고 진나라에 가까운 정을 느낀 것이다.
晉欒書將中軍 荀庚佐之 士燮將上軍 郤錡佐之 韓厥將下軍 荀罃佐之 趙旃將新軍 郤至佐之 郤毅御戎 欒鍼爲右
진난서장중군 수경좌지 사섭장상군 극기좌지 한궐장하군 순앵좌지 조전장신군 극지좌지 극의어융 난침위우
진나라는 난서가 중군을 지휘하고 순경이 보좌하며 사섭이 상군을 지휘하고 욕기가 보좌하며 한궐이 하군을 지휘하고 순앵이 보좌하며 조전이 신군을 지휘하고 욕지가 보좌하며 극의가 오랑캐군을 통솔하며 난침이 우장을 맡았다.
孟獻子曰 晉帥乘和 師必有大功
맹헌자왈 진수승화 사필유대공
맹헌자가 이르길 ’진나라 군대가 화합이 되어있으니 큰 공을 세우리라‘하였다.
五月丁亥 晉師以諸侯之師及秦師戰于麻隧
오월정해 진사이제후지사급진사전우마수
5월 정해일에 진나라 군대와 제후들 군대가 진나라 군대와 마수에서 맞 싸웠다.
秦師敗績 獲秦成差及不更女父
진사패적 획진성차급불경여부
진나라 군은 패전을 거듭하니 진나라 성차와 불경(작위 이름)
曹宣公卒于師
조선공졸우사
조나라 선공이 軍中애서 죽었다.
師遂濟涇 及侯麗而還 迓晉侯于新楚
사수제경 급후여이환 아진후우신초
군대가 경수를 건너 후려까지 갔다 돌아와 신초에서 진나라 지도자를 맞이했다.
成肅公卒于瑕
성소공졸우하
성소공(주 문왕의 아들 성백(成伯))이 하에서 죽었다.
[傳]六月丁卯夜 鄭公子班自訾求入于大宮 不能 殺子印子羽 反軍于市
유월정묘야 정송자반자자구입우대궁 불능 살자인자우 반군우시
6월 정묘일 밤 정나라 공자 반이 자땅에서 대궁(정나라 사직묘)으로 들어가길 청하였으나 불가능해지니 목공의 아들들인 자인과 자우를 죽이고 시내에 주둔하였다.
己巳 子駟帥國人盟于大宮 遂從而盡焚之 殺子如子駹孫叔孫知
기사 자사수국인맹우대궁 수종이진분지 살자여자방손숙교여
기사일 목공 아들 자사가 무리를 이끌고 대궁에서 동맹을 맺고 쫒아가 모두 불살라 버리고 자여와 아들 손숙, 자방과 그 아들 손지를 죽였다.
[經]秋七月 公至自伐秦
추칠월 공지자벌진‘
가을 7월 성공이 진나라 토벌에서 돌아왔다
[經]冬 葬曹宣公
동 장조선공
겨울 조나라 선공의 장례가 있었다.
[傳]曹人使公子負芻守 使公子欣時逆曹伯之喪
조인사공자부추수 사공자흔시역조백지상
조나라 사람들이 공자 부추로 성에 머물게하고 공자 흔시에게 조나라 백작(선공)의 관을 가져오게 하였다.
秋 負芻殺其大子而自立也 諸侯乃請討之 晉人以其?[役]之勞 請俟他年
추 부추살기대자이자립야 제후내청토지 진인이기삽[역]지노 청사타년
가을 부추가 태자를 죽이고 스스로 군주가 되니 제후들이 토벌하자고 하니 진나라 사람들이 마수의 전투를 핑계로 다음 해를 기다리자 하였다.
冬 葬曹宣公 旣葬 子臧將亡 國人皆將從之
동 장조선공 기장 자장장망 국인개장종지
겨울 조나라 선공의 장례를 치루고 아들 장이 도망하려하니 모든 무리가 따르려 하였다.
成公乃懼 告罪 且請焉 乃反 而致其邑
성공내구 고죄 차청언 급반 이치기읍
조나라 성공(負芻)이 그를 염려하여 죄를 실토하고 청하니 장이 돌아와 그 채읍을 바쳤다.(군주로 인정하였다)
14년
14년
[經]十有四年春王正月 莒子朱卒
십유사년춘왕정월 거자주래
14년 봄 주왕력 정월 거나라 자작 주가 방문하였다.
[經]夏 衛孫林父自晉歸于衛
하 위손임보자진귀우위
여름 위나라 손임보가 진나라로부터 위로 돌아왔다.
[傳]十四年春 衛侯如晉 晉侯强見孫林父焉 定公不可
십사년춘 위후여진 진후강견손임보언 정공불가
14년 봄 위나라 지도자가 진나라로 가자 진나라 지도자가 손임보를 만날 것을 강권함에도 위나라 정공은 불가하다 하였다. (손임보를 돌려보내려는 뜻)
夏 衛侯旣歸 晉侯使郤犫送孫林父而見之 衛侯欲辭
하 위후기귀 진후사극주송손임보이견지 위후욕사
여름 위 정공이 귀국하니 진후가 극주에게 손임보를 위나라로 호송하게 하였으나 위나라 정공은 사영하고자 하였다.
定姜曰 不可 是先君宗卿之嗣也 大國又以爲請 不許 將亡 雖惡之 不猶愈於亡乎 君其忍之 安民而宥宗卿 不亦可乎
정강왈 불가 시선군종경지사야 대국우이위청 불허 장망 수오지 불유유어망호 군기인지 안민이유종경 불역가호
부인 정강이 말하길 ‘안됩니다 손임보가 선대 임금의 宗卿(으뜸가는 정승)의 후손이고 대국이 거듭 청하는데 허락지 않으면 나라가 망할 겁니다. 비록 밉지만 나라가 망해 후회할 수 없으니 참고 만나십시오 백성들을 안심시키자면 정승 후손에게 너그러워지는게 낫지 않습니까’하였다.
衛侯見而復之
위후견이복지
위나라 지도자가 접견하고 복권시켜주었다.
衛侯饗苦成叔 寗惠子相 苦成叔傲
위후향고성숙 영혜자상 고성숙오
위나라 정공이 극주(고성숙)을 위해 잔치를 열 때 영혜자가 주관하였는데 극주가 오만하게 굴었다.
寗子曰 苦成家其亡乎 古之爲享食也 以觀威儀 省禍福也
영자왈 고성가기망호 고기위향식야 이관위의 성화복야
영혜자(영식)가 이르길 ‘고성숙 집안은 망할 것이다. 예부터 음식을 먹으며 그 사람됨을 살피고 유리할지를 살피는 법이다.’
故詩曰 兕觵其觩 旨酒思柔 彼交匪傲 萬福來求
고시왈 시굉기구 지주사유 피교비오 만복래구
옛말에 ‘술은 구부러진 뿔잔에 담겼지만 향기로운 술은 생각을 너그럽게 하여 그 사람의 오만함이 사라지니 온갖 복이 오리라’했습니다.
今夫子傲 取禍之道也
금부자오 취화지도야
‘지금 저 사람은 오만하니 화를 부르게 될 것이다’ 하였다
[經]秋 叔孫僑如如齊逆女
추 숙손교여여재역녀
가을 숙손교여가 제나라로 가서 부인을 맞이하다
[傳]秋 宣伯如齊逆女 稱族 尊君命也
추 선백여제역녀 칭족 존군명야
가을 선백이 제나라로 가 부인을 맞이하였다 숙손이라 부름은 군주의 명을 존중하는 것이다
[經]鄭公子喜帥師伐許
정공자희수사벌허
정나라 공자 희가 병력을 이끌고 허나라를 정벌하였다.
[傳]八月 鄭子罕伐許 敗焉
팔월 정자한벌허 패언
8월 정나라 자한이 허나라를 토벌하려다 패배하였다.
戊戌 鄭伯復封[伐]許 庚子 入其郛 許人平以叔申之封
무술 정백복공[벌]허 경자 입기부 허인평이숙신지봉
무술일 정나라 지도자가 허나라를 재차 토벌하여 경자일 그 외성까지 진입하니 허나라 사람들이 숙신의 봉지를 주고 평화를 얻었다.
[經]九月 僑如以夫人婦姜氏至自齊
구월 교여이부인부강씨지자제
9월 교여가 부인 부강씨와 제나라로부터 왔다.
[傳]九月 僑如以夫人婦姜氏至自齊 舍族 尊夫人也
구월 교여이부인부강씨지자제 사족 존부인야
9월 교여의 부인 부강씨와 제나라로부터 돌아왔는데 이름을 밝히지 않음은 부인을 존중함이다.
故君子曰 春秋之稱 微而顯 志而晦 婉而成章 盡而不汙 懲惡而勸善 非聖人 誰能脩之
고군자왈 춘추지칭 미이현 지이회 완이성장 진이불오 징악이권선 비성인 수능유지
고로 학자들이 말하길 ‘역사에서의 호칭은 작게나마 진실을 드러내고 뜻은 에둘러 표현하며 어법에 맞게 꾸미고 전부를 다 기록하되 난삽하지 않게 하고 악을 징계하여 선을 권장하니 성인이 아니고서야 누가 그리 할 수 있겠는가’하였다.
[經]冬十月庚寅 衛侯臧卒
동시월경인 위후장졸
겨울 10월 경인 일에 위나라 지도자(侯爵) 장이 죽었다.
[傳]衛侯有疾 使孔成子寗惠子立敬姒之子衎以爲大子
위후유질 사공성지영혜자입경사지자간이위대자
위나라 지도자가 병이 나자 공성자와 영혜자에게 경사의 아들 간을 태자로 세우게 하였다.
* 孔成子는 孔達의 孫子이고, 敬姒는 衛定公의 妾이고, 衎은 衛 獻公이다.
[經]秦伯卒
진백졸
진나라 지도자(伯爵)가 죽었다.
冬十月 衛定公卒
동시월 위정공졸
겨울 10월 위나라 정공이 죽었다.
夫人姜氏旣哭而息 見大子之不哀也 不內酌飮 歎曰 是夫也 將不唯衛國之敗 其必始於未亡人 嗚呼 天禍衛國也夫 吾不獲鱄也使主社稷
부인강씨기곡이식 견대자지불애야 불납작음 탄왈 시부야 장불유위국지패 지필시어미망인 명호 천화위국야부 오불획전야사주사직
부인 강씨가 곡에 지쳐 태자가 슬퍼하지 않음에 먹고마시지 않고 ‘이 놈은 위나라를 망하게 하고 나를 대하는데서 시작할 거다 하늘이 위나라에 이르렀구나 내 전(둘째)에게 사직을 맡기지 못한게 한이다’하니
大夫聞之 無不聳懼
대부문지 무불용구
대부들이 듣고 두려워하였다.
孫文子自是不敢舍其重器於衛 盡寘諸戚 而甚善晉大夫
손문자자시불감사기중기어위 진치제척 이심선진대부
손문자는 이로부터 중요한 물건들을 위나라에 두지않고 모두 척읍에 두며 진나라 대부들과 좋게 지냈다.
15년
[經]十有五年春王二月 葬衛定公
십유오년춘왕이월 장위정공
15년 봄 주왕력 2월 위나라 정공을 장례하였다.
[經]三月乙巳 仲嬰齊卒
삼월을사 중영제졸
3월 을사일 중씨 영제가 죽었다.
* 仲嬰齊는 襄仲의 아들이고 公孫歸父의 아우이다. 宣公 18년에 東門氏를 逐出하고서, 얼마 뒤에 다시 嬰齊로 하여금 그 뒤를 잇게 하고 ‘仲氏’라 稱하였다.
[經]癸丑 公會晉侯衛侯鄭伯曹伯宋世子成齊國佐邾人同盟于戚
계축 공회진후위후정백조백송세자성제국좌주인동맹우척
계축일 성공이 진, 위, 정, 조나라 지도자, 송나라 세자 성, 제나라 국좌(정승), 주나라사람들과 척에서 회맹하였다.
晉侯執曹伯 歸于京師
진후집조백 귀우경사
진나라 지도자가 조나라 지도자를 잡아 경사(여기선 주나라)로 돌아갔다.
[傳]十五年春 會于戚 討曹成公也 執而歸諸京師
십오년춘 회우척 토조성공야 집이귀제경사
15년 봄 척에서 회맹함은 조나라 성공을 토벌하기 위함으로 조나라 성공을 잡아 경사(주나라)로 돌아갔다
書曰 晉侯執曹伯 不及其民也
서왈 진후집조백 불급기민야
기록은 진나라 지도자가 조나라 지도자를 사로잡았지만 무리들은 건들지 않았다고 되어있다.
凡君不道於其民 諸侯討而執之 則曰 某人執某侯 不然則否
범군부도어기민 제후토이집지 즉왈 모인집모후 불연즉부
대체로 지도자가 백성들에게 무도하면 제후들이 그 지도자를 체포하니 보통 누가 어떤 지도자를 체포했다고 되어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토벌이 아니다.
諸侯將見子臧於王而立之 子臧辭曰 前志有之曰 聖達節 次守節 下失節 爲君 非吾節也 雖不能聖 敢失守乎
제후장견자장어왕이립지 자장사왈 전지유지왈 성달절 차수절 하실절 위군 비오절야 수불능성 감실수호
제후들이 자장을 우두머리로 세우려 하니 자장이 사양하며 이르길 ‘전하길 성인이면 모든 행사가 절도에 맞고, 그 아래면 절도를 지키며 하급이면 절도를 잃어버린다 했으니 우두머리가 됨은 내 분수에 어긋나고 그나마 절도조차 잊을까 합니다.’하고
遂逃奔宋
수도분송
송나라로 도망하였다.
[經]公至自會
공지자회
성공이 회맹에서 돌아왔다
[經]夏六月 宋公固卒
하유월 송공고졸
여름 6월 송나라 지도자 고가 죽었다.
[傳]夏六月 宋共公卒
하유월 송공공졸
여름 6월 송나라 공공(= 고)이 죽었다
[傳]秋八月 葬宋共公
추팔월 장송공공
가을 8월 송나라 공공의 장례가 있었다.
於是華元爲右師 魚石爲左師 蕩澤爲司馬 華喜爲司徒 公孫師爲司城 向爲人爲大司寇 鱗朱爲少 司寇 向帶爲大宰 魚府爲少宰
어시화원위우사 어석위좌사 탕택위사마 화희위사도 공손사위사성 향위인위대사구 인주위소사구 화대위대재 어부위소재
당시 화원이 우사(우군 장수) 어석이 자사 탕택이 사마(오늘날 무기담당) 화희가 사도(군율 담당) 공손사가 사성(성을 수비) 향위인이 대사구(치안) 인주가 소사구 향대가 대재(재상) 어부가 소재(차관)
蕩澤弱公室 殺公子肥 華元曰 我爲右師 君臣之訓 師所司也 今公室卑而不能正 吾罪大矣 不能治官 敢賴寵乎 乃出奔晉
탕택약공실 살공자비 화원왈 아위우사 군신지훈 사소사야 금공실비이불능정 오비대의 불능치관 감뢰총호 내출분진
탕택이 왕실을 약화하고자 문공의 공자 비를 죽이니 화원이 이르길 ‘내 우사로서 군주와 신하를 경계하는게 맡은 바인데 지금 공실이 비하되는 데도 바로잡지 못하니 내 죄가 크고 관리들을 다스리지 못하니 감히 총애를 바라겠는가?’하며 진나라로 도망하였다.
二華 戴族也 司城 莊族也 六官者 皆桓族也
이화 대족야 사성 장족야 육관자 개환족야
두 화씨는 戴공의 자손이며 사성은 莊공의 후손이며 6관료(魚石, 蕩澤, 向爲人, 鱗朱, 向帶, 魚府)는 모두 桓공의 후손이다
魚石將止華元 魚府曰 右師反 必討 是無桓氏也
어석장지화원 어부왈 우사반 필토 시무환씨야
어석이 화원의 출분을 막아서니 어부가 이르길 ‘우사(화원)이 돌아오면 반드시 토벌할 터이니 우리 환씨 일족은 없어지리라’하니
魚石曰 右師苟獲反 雖許之討 必不敢
어석왈 우사구획반 수허지토 필불감
어석이 말하길 ‘우사가 돌아오더라도 누가 토벌하도록 두겠는가 그러지 못할 것이다’하였다
且多大功 國人與之 不反 懼桓氏之無祀於宋也 右師討 猶有戌在 桓氏雖亡 必偏 魚石自止華元于河上 請討 許之乃反 使華喜公孫師帥國人攻蕩氏 殺子山
차다대공 국인여지 불반 구환씨지무사어송야 우사토 유유수재 환씨수망 필편 어석자지화원우하상 청토 허지내반 사화희공손사수국인공탕씨 살자산
또한 공이 크고 많아 국민들이 따르니 돌아오지 못하게 하면 환공의 제사가 송나라에서 끊어질까 두렵다 화원이 토벌하여 향술이 있으니 환공의 후손들이 망하더라도 일부는 살아남을 것이다 어석이 황하에서 화원의 진나라행을 막고 토벌을 청하니 동의하고 돌아와 화희와 공손에게 병력을 이끌고 탕씨를 공격하게 하여 자산(蕩澤)을 죽였다.
書曰宋殺其大夫山 言背其族也
서왈 송살기대부산 언배기족야
기록에 송나라가 대부 산을 죽인 걸로 기록하며 탕택이 일족을 배신했음을 말하는 것이다.
魚石向爲人麟[鱗]朱向帶魚府出舍於睢上 華元使止之 不可
어석향위인린주향대어부출사어수상 화원사지지 불가
어석 향위인 인주 향대 어부가 수강 가에서 도망하려 하니 화원이 멈추게하였으나 불가능하였다.
冬十月 華元自止之 不可 乃反
동시월 화원자지지 불가 내반
겨울 10월에 화원이 직접 말리러 갔지만 안되자 돌아왔다.
魚府曰 今不從 不得入矣 右師視速而言疾 有異志焉 若不我納 今將馳矣 登丘而望之則馳
어부왈 금불종 부득입의 우사시속이언질 유이지언 약불아납 금장치의 등구이망지즉치
어부가 이르길 ‘지금 쫒아가지 않으면 다시는 들어갈 기회가 없을 것이다 화원이 눈을 굴리며 말이 사나우니 분명 다른 뜻이 있는게 분명하다 우리를 용납한게 아니라면 말을 달릴 것이다’하고 언덕에 올라 보니 정말 달리고 있었다.
騁而從之 則決睢澨 閉門登陴矣
빙이종지 즉결수서 폐문등비의
달려 쫒아가니 수강을 막고 성문을 닫고 성벽 위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左師二司寇二宰遂出奔楚
좌사이사그이재수출분초
좌사(어석)와 2 사구, 2 재상들이 모두 초나라로 도망 하였다.
華元使向戌爲左師 老佐爲司馬 樂裔爲司寇 以靖國人
화원사향술위좌사 노좌위사마 낙예위사구 이정국인
화원이 향술에게 좌사를 시키고 노좌(대공의 5세손)를 사마를 악예를 사구로 임용하여 국민들은 안정시켰다.
[經]楚子伐鄭
초자벌정
초나라 지도자가 정나라를 토벌하였다.
[傳]楚將北師 子囊曰 新與晉盟而背之 無乃不可乎 子反曰 敵利則進 何盟之有
초장북사 자낭왈 신여진맹이배지 무내불가호 자반왈 적리즉진 하맹지유
초나라가 북쪽으로 출병하여 정나라와 위나라를 치려하니 자낭(楚나라 莊王의 아들 公子 貞)이 이르길 ‘새롭게 진나라와 결맹하였는데 배반하는 꼴이니 불가한 것 아닙니까?’하니 자반이 ‘적의 상황이 우리에게 유리하면 진군하는 거지 뭔 동맹이란 말인가?’ 하니
申叔時老矣 在申 聞之曰 子反必不免 信以守禮 禮以庇身 信禮之亡 欲免得乎
신숙시노의 재신 문지왈 자반필불면 신이수례 예이비신 신에지망 욕면득호
신숙시가 벼슬을 그만 두고(老=致仕) 신 지역에 있다가 그 말을 듣고 이르길 ‘자반은 반드시 죄를 면하기 어렵겠다 신의로 예를 갖추고 에의란 몸을 낮추는 건데 신의도 예의도 없으면서 죄를 면하겠는가?’ 하였다.
楚子侵鄭 及暴隧 遂侵衛 及首止
초자침정 금폭수 수침위 급수지
초나라 지도자(자작)이 정나라를 침공하고 포추에 이르러 위나라를 침공하여 수지까지 침입하였다.
鄭子罕侵楚 取新石
정자한침초 취신석
정나라 자한은 초나라를 침공해 신석 읍을 탈취했다.
欒武子欲報楚 韓獻子曰 無庸 使重其罪 民將叛之 無民 孰戰
난무자욕보초 한헌자왈 무용 사중기죄 민장반지 무민 숙전
진나라 대부 난무자가 초나라에 보복하려하자 한헌자가 이르길 ‘무용하다 그 죄라 중하여 지면 백성들이 반란할 거고 백성이 없으면 누가 싸울 것인가?’하더라
[經]秋八月庚辰 葬宋共公
추팔월경진 장송공공
가을 8월 경진일 송나러 공공의 장례가 있었다.
[經]宋華元出奔晉
송화원출분진
송나라 화원이 진나라로 피신하였다.
[經]宋華元自晉歸于宋
송화원자진귀우송
화원이 진나라로부터 송나라로 돌아왔다.
[經]宋殺其大夫山
송살기대부산
송나라 사람들이 대부 산을 죽였다
[經]宋魚石出奔楚
송어석출분초
송나라 어석(公子 目夷의 曾孫)이 초나라로 피신하였다.
[傳]晉三郤害伯宗 譖而殺之 及欒弗忌 伯州犂奔楚
진삼극해백종 참이살지 급난불기 백주려분초
진나라 대부 극씨 3형제가 백종의 현명함을 모해하고 참소하여 죽이고 난불기에게 까지 이르니 백종의 일가가 초나라로 도망하였다.
韓獻子曰 郤氏其不免乎 善人 天地之紀也 而驟絶之 不亡何待
한헌자왈 극씨기불면호 선인 천지지기야 이취절지 불망하대
한헌자 이르길 ‘극씨들은 화를 면치 못하리라 착한 사람은 천하의 벼리인데 신속히 제거했으니 망하는 것 말고 뭘 기대하겠나’하더라
初 伯宗每朝 其妻必戒之曰 盜憎主人 民惡其上 子好直言 必及於難
초 백종매조 기처필계지왈 도증주인 민오기상 자호직언 필급어난
애초에 백종이 입조할 때 부인이 매일 경계의 말을 하길 ‘도둑은 주인을 증오하고 백성은 지도자를 미워하는 법이요 공은 직언을 즐기니 어려움에 처할겝니다.’ 하였다.
[經]冬十有一月 叔孫僑如會晉士燮齊高無咎宋華元衛孫林父鄭公子鰌邾人 會吳于鍾離
동십유일월 숙손교여회진사섭제고무구송화원위손임보정공자추주인 회오우종리
겨울 11월 숙손교여가 진나라 사섭, 제나라 고무구, 송나라 화원, 위나라 손임보, 정나라 공자 추, 주나라 사람들과 종리에서 회맹하였다.
[傳]十一月 會吳于鍾離 始通吳也
십일월 회오우종리 시통오야
11월 종리에서 오나라와 회합하여 교통을 시작하였다.
[經]許遷于葉
허천우엽
허나라가 엽으로 천도하였다.
[傳]許靈公畏偪于鄭 請遷于楚 辛丑 楚公子申遷許于葉
허영공외핍우정 청천우초 신축 초공자신천허우엽
허나라 영공이 정나라의 핍박을 두려워하여 초나라에 천도를 청하여 신축일 초공자 신이 허나라가 엽으로 천도하도록 허가하였다.
16년
[經]十有六年春王正月 雨 水[木]冰
십유육년춘왕정월 우 수빙
16년 봄 주왕력 정월 비가 내리고 얼음이 얼었다. (우리 달력으로는 4월에 발생한 일)
[傳]十六年春 楚子自武城使公子成 以汝陰之田求成于鄭 鄭叛晉 子駟從楚子盟于武城
십육년춘 초자자무성사공자성 이여음지전구성우정 정반진 자사종초자맹우무성
16년 봄 초나라 지도가자 무성에서 공자 성을 보내어 여음(汝水 아래) 땅을 정나라에 주고 화친을 청하였고 정나라는 진나라를 배반하고 자사가 무성으로 가서 동맹하였다.
[經]夏四月辛未 滕子卒
하사월신미 등자졸
여름 4월 신미일 등나라 지도자가 죽었다
[傳]夏四月 滕文公卒
하사월 등문공졸
여름 4월에 등나라 문공이 죽었다.
[經]鄭公子喜帥師侵宋
정공자희스사침송
정나라의 공자(=왕자)가 병력을 이끌고 송나라를 침공하였다.
[傳]鄭子罕伐宋 宋將鉏樂懼敗諸汋陂 退 舍於夫渠 不儆 鄭人覆之 敗諸汋陵 獲將鉏樂懼 宋恃勝也
정자한벌송 송장서악구패제작파 퇴 사어부거 불경 벙인 복지 패제작능 획장서악구 송시승야
정나라 자한(樂喜) 이 송나라를 토벌하니 송나라 장서와 악구(樂懼는 宋戴公의 六世孫이다. 將鉏도 樂氏의 宗族이다)가 작파(汋陂)에 사는 족속들을 토벌하고 부거에 머물며 방비를 하지 않으니 정나라 군대가 매복하여 작릉을 패배시키고 장서와 악구를 사로잡았는데 이는 송나라가 다 이긴 전투라 본 탓이다.
鄭人聞有晉師 使告于楚 姚句耳與往
정인문유진사 사고우초 요구이여왕
정나라 사람들이 진나라 군대 이야기를 듣고 초나라에 보고하였는데 요구이(정나라대부)가 함께갔다
楚子救鄭 司馬將中軍 令尹將左 右尹子辛將右
초자구정 사마장중군 영윤장좌 우윤자신장우
초나라 지도자가 정나라를 도우려고 사마(자반)로 중군을 지휘하고 영윤(자중)에게 좌군을 우윤 자신(공자 임부)에게 오른쪽을 맡겼다.
過申 子反入見申叔時曰 師其何如 對曰 德刑詳義禮信 戰之器也 德以施惠 刑以正邪 詳以事神 義以建利 禮以順時 信以守物 民生厚而德正 用利而事節 時順而物成 上下和睦 周旋不逆 求無不具 各知其極
과신 자반입견신숙시왈 사기여하 대왈 덕형산의예신 전지기야 덕이시혜 형이정사 상이사신 의이건리 예이순시 신이수물 민생후이덕정 용리이사절 시순이물성 상하화목 주선불역 구무불구 각지기극
신읍을 지나면서 자반이 신숙을 만나러 들어가 묻기를 ‘이번 전투가 어떨 것 같소?하니 답하길 덕, 형, 상, 의, 예, 신은 전쟁의 바탕인데 덕으로 은혜를 베풀고, 형벌로서 바름과 잘못을 가리고, 신을 섬김에 치밀히 하며, 의로서 이득을 취하고, 예절로 시의에 적절하며, 신의로서 물자를 지켜내면 백성들의 삶이 풍족하고, 덕이 바로 서며, 이득을 절도있게 쓰며, 시의에 적절히 물자를 다루면 물자들도 잘 구비되니 상하가 갈등할 일 없고, 행동에 거스림이 없으니 구하면 얻어지고 각 개인들이 자기 한계를 다하게 된다
故詩曰 立我烝民 莫匪爾極 是以神降之福 時無災害 民生敦厖 和同以聽 莫不盡力以從上命 致死以補其闕 此戰之所由克也
고시왈 입아증민 막비이극 시이신강지복 시무재해 민생돈방 화동이덕 막부진력이종상명 치사이보기궐 차전지소유극야
옛말에 “자신을 바로 세움이란 상대의 지극함을 경시하지 않음”이니 신명이 복을 주고 재해가 피하여 백성들의 삶이 크게 발전하는 법이다. 서로 덕으로 합하면 명령을 따름에 전력을 다하지 않음이 없으니 죽음으로 대궐을 지키는 법이니 이것이 전쟁의 원인을 이기는 길이다
今楚內棄其民 而外絶其好 瀆齊盟 而食話言 奸時以動 而疲民以逞
금초내기기민 이외절기호 목제맹 이식화언 간시이동 이피민이영
지금 초나라는 백성들을 홀대하며 선한 외교를 단절하고 제나라 회맹을 우습게 여겨 식언하며 시절의 법을 간사히 여겨 움직이니 백성들의 곤고함을 크게 만드는 것이다.
民不知信 進退罪也
민불지신 진퇴죄야
백성들이 믿음이 없으니 죄를 오가는 것이요
人恤所底 其誰致死 子其勉之 吾不復見子矣
인휼소저 기수치사 자기면지 오불복견자의
사람을 가엽게 여김이 바닥을 치니 누구든 죽을 수밖에 없는 지경을 면하고자 하지만 모두 죽을 수 밖에 없다. 우리가 그런 사람을 다시 볼 수 없을 수밖에 없다.’ 하였다.
姚句耳先歸 子駟問焉
요구이선귀 자사문언
대부 요구이가 먼저 귀국하니 정나라 자사가 물으니
對曰 其行速 過險而不整 速則失志 不整 喪列 志失列喪 將何以戰 楚懼不可用也
대왈 기행속 과험이부정 속즉실지 부정 상열 지실열상 장하이전 초구불가용야
답하길 ‘초나라 군대는 서두르며 위험한 지역을 통과함에도 신중하지 않습니다. 서두르면 본 뜻을 잃어버리고 본 뜻을 모르면 줄줄이 죽을 뿐입니다 그러니 뭔 전투를 합니까? 초나라를 두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하더라
五月 晉師濟河 聞楚師將至 范文子欲反 曰 我僞逃楚 可以紓憂 夫合諸侯 非吾所能也以遺能者 我若群臣輯睦以事君 多矣
오월 진사제하 문초사장지 범문자욕반 왈 아위도초 가이서우 부합제후 비오소능야이유능자 아약군신집목이사군 다의
5월 진나라 군대가 황하를 건너 초나라 군대가 다가온다는 소리를 듣고 범문자가 회군하고자 하여 이르길 ‘우리가 기만전술로 초나라군을 피하면 근심을 덜 수 있을겁니다. 제후들을 모으는 건 인력으로 안되는 일이니 그런 능력되는 자에게 맡기고 우리는 군신들이 서로 화목하며 임금을 섬기는 것으로 충분합니다’하니
武子曰 不可
무자왈 불가
무자가 답하길 ‘안된다’하더라
六月 晉楚遇於鄢陵 范文子不欲戰 郤至曰 韓之戰 惠公不振旅 箕之役 先軫不反命 邲之師 荀伯不復從 皆晉之恥也 子亦見先君之事矣 今我辟楚 又益恥也
유월 진초우어언능 범문자불욕전 극지왈 한지전 혜공부진여 기지역 선진불반명 필지사 순백불목종 개진지치야 자역견선군지사의 금아피초 우익치야
6월 진나라군과 초나라군이 언능에서 조우했는데 범문자가 싸울을 피하려드니 극지가 말하길 ‘한에서의 전투에서 혜공이 개선하지 못했고 기에서 전투에서 선진이 전사하므로 돌아와 보고하지 못했고 순임보가 추격하지 못한 것이 모두 진나라로선 창피한 일이다. 자네(범문자)가 그런 선대 지도자들을 보고도 초나라를 피하면 창피를 더하는 것이다’하더라
文子曰 吾先君之亟戰也 有故 秦狄齊楚皆彊 不盡力 子孫將弱 今三彊服矣 敵楚而已 唯聖人能外內無患 自非聖人 外寧必有內憂 盍釋楚以爲外懼乎
문자왈 오선군지극전야 유고 진적제초개강 부진력 자손장약 금삼강보의 적초이이 유성인능외내무환 자비성인 외녕필유내우 합석초이위외구호
범문자가 답하길 ‘우리 선대 지도자들이 자주 전쟁한 이유는 진나라 오랑캐 제나라 초나라가 모두 강국이었으니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후대가 쇠약해질 것 때문이었고 이제 3강은 굴복하여 초나라 하나만 강국이고 오직 성인만이 외우내환을 다스릴 수 있는데 성인이 아니고서야 외부가 편안하면 내환이 있는 법이니 차라리 초나라를 그대로 두어 내부를 단도리하는게 좋지 않소?’하더라
[經]六月丙寅朔 日有食之
유월병인삭 일유식지
6월 초 하루 병인일 일식이 있었다.
[經]晉侯使欒黶來乞師
진후사난염래걸사
진나라 지도자가 난염을 보내 병력을 청했다
[傳]衛侯伐鄭 至于鳴鴈 爲晉故也
위후벌정 지우명안 위진고야
위나라 지도자가 정나라를 토벌하여 명안땅까지 이르렀으니 정나라가 진나라에 기운 때문이다.
[傳]晉侯將伐鄭 范文子曰 若逞吾願 諸侯皆叛 晉可以逞 若唯鄭叛 晉國之憂 可立俟也
진후장벌정 범문자왈 약영오원 제후개반 진가이영 약유정반 진국지우 가립사야
진나라 지도자가 정나라를 토벌하려하자 범문자가 이르길 ‘우리의 바람대로라면 제후들이 모두 배반하여 진나라가 흔들리지 않는 것입니다만 정나라가 배반하면 진나라의 근심은 잠간 멈춰질 것이다’하고
欒武子曰 不可以當吾世而失諸侯 必伐鄭 乃興師
난무자왈 불가이당오세이실제후 필벌정 내흥사
난무자는 ‘우리 시대인데 제후들의 인준을 잃을수 없으니 반드시 정나라를 쳐야 합니다’하며 병력을 일으켰다.
欒書將中軍 士燮佐之 郤錡將上軍 荀偃佐之 韓厥將下軍 郤至佐新軍 荀罃居守
난서장중군 사섭좌지 극기장상군 순언좌지 한궐장하군 극지좌신군 순앵거수
난서가 중군을 지휘하고 사섭이 보좌하고, 극기가 상군을 지휘하고 순언이 보좌하며, 한궐이 하군을 지휘하고 극지가 신군을 보좌하며 순앵이 수비를 전담하였다.
郤犫如衛 遂如齊 皆乞師焉
극주여위 수여제 개걸사언
극주가 위나라로 갔다 제나라로 간 이유는 원병을 얻으려는 것이었다.
欒黶來乞師 孟獻子曰 有勝矣
난염래걸사 맹헌자왈 유승의
난염이 노나라로 와서 원병을 청하자 맹헌자가 이르길 ‘진나라가 이기리라’했다
戊寅 晉師起
무인 진사기
무인일 병력이 출병하였다.
[經]甲午晦 晉侯及楚子鄭伯戰于鄢陵 楚子鄭師敗績
갑오회 진후금초자정백전우언릉 초자정사패속
그믐 갑오일 진나라 지도자와 초나라 지도자와 정나라 지도자가 언릉에서 싸워 초나라 지도자 정의 군대가 연패하였다.
[傳]
甲午晦 楚晨壓晉軍而陳 軍吏患之
갑오회 초신압진군이진 군리환지
갑오일 그믐 초나라군이 새벽에 진나라군을 압박하자 군사들이 근심하였다.
范匄趨進曰 塞井夷竈 陳於軍中 而疏行首 晉楚唯天所授 何患焉
범개추진왈 색정이조 진어군중 이소행수 진초유천소수 하환언
범개(사섭의 아들)이 달려나와 이르길 ‘우물을 메우고 부뚜막을 부수고 군대로 진을 치되 서로 멀리 두시오 진나라든 초나라든 다 하늘로부터 인준을 받은 나라인데 뭘 걱정하십니까?’하니
文子執戈逐之 曰 國之存亡 天也 童子何知焉
문자집과축지 왈 국지존망 천야 동자하지언
범문자가 창을 들고 쫒아와 이르길 ‘나라의 존망은 하늘 뜻인데 어린 놈이 하늘 뜻이 뭔지 안단 말인가?’하니
欒書曰 楚師輕窕 固壘而待之 三日必退 退而擊之 必獲勝焉
난서왈 초사경조 고루이대지 삼일필퇴 퇴이격지 필획승언
난서가 이르길 ‘초나라 군대는 경솔하니 3일만 성루를 지키면 퇴진할 것이고 따라가 공격하면 당연히 승리를 얻을 것입니다’하더라
郤至曰 楚有六間 不可失也 其二卿相惡 王卒以舊 鄭陳而不整 蠻軍而不陳 陳不違晦 在陳而囂 合而加囂 各顧其後 莫有鬪心 舊不必良 以犯天忌 我必克之
극지왈 초유육간 불가실야 기이경성오 왕졸이구 정진이부정 만군이불진 진불위회 재진이효 합이가효 각고기후 막유투심 구불필양 이범천기 아필극지
극지가 이르길 ‘초나라 군대엔 허점이 6개 있으니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두 정승이 반목하고 왕의 군대는 늙고 정나라군은 진법이 정교하지 못하고 오랑캐 군은 진법조차 몰라 그믐날을 조심하지하지 않고 진중에서 소란스럽고 두 군대가 합쳐지면 더 소란합니다. 군사들은 후원군을 기다리고 투지가 없고 늙은 병사들은 좋은 군대라 하기 힘들고 하늘을 범하여 시기를 받으니 우리가 반드시 이기고도 남습니다’ 하였다.
楚子登巢車 以望晉軍 子重使大宰伯州犂侍子[于]王後
초자등소거 이망진군 자중사대제백주려시자[우]왕후
초나라 지도자가 소거(망루가 설치된 수레)에 올라 진군을 바라보니 자중이 태제 백주려(伯州犂는 晉나라 伯宗의 아들로 前年에 楚나라로 出奔한 자이다)로 왕의 뒤에서 시자로 모시게 했다.
王曰 騁而左右 何也 曰 召軍吏也
왕왈 빙이좌우 하야 왈 소군리야
왕이 묻길 ‘진나라 군이 좌우로 달리는 것이 왜냐?’하니 답이 ‘군리(행정병)를 불러모으는 겁니다’하더라
皆聚於中軍矣 曰 合謀也
개취어중군의 왈 합모야
‘모두 중군으로 모였다’하니 답이 ‘모여 회의하는 겁니다’하니
張幕矣 曰 虔卜於先君也
장막의 왈 건복어선군야
‘장막을 친다’하니 ‘선대 지도자들에게 점을 보는 겁니다’하고
徹幕矣 曰 將發命也
철막의 왈 장발명야
장막을 철거한다 하니 ‘군령을 내리려는 겁니다’하였다.
甚囂 且塵上矣 曰 將塞井夷竈而爲行也
심효 차진상의 왈 장색정이조이위행야
심히 떠들썩하고 먼지도 인다하니 ‘취사도구를 치우고 출병하는 겁니다’하더라
皆乘矣 左右執兵而下矣 曰 聽誓也
개승의 좌우집병이하의 왈 청서야
모두 수레에 오르고 거좌(장수)와 거(창병)우는 하차한다 하니 ‘알림을 들으려는 것입니다’하였다.
戰乎 曰 未可知也
전호 왈 미가지야
싸우려는 거냐 하니 ‘아직 모릅니다’하고
乘而左右皆下矣 曰 戰禱也
승이좌우개하의 왈 전도야
병거에 오른 좌우 모두 하차한다 하니 ‘승전을 위한 기도를 드리는 겁니다’하였다.
伯州犂以公卒告王 苗賁皇在晉侯之側 亦以王卒告
백주려이공졸고왕 묘분황재진후지측 역이왕졸고
백주려가 공졸(진나라 여왕의 친위대)에 대해 알려주고 묘분황(苗賁皇은 楚나라 鬪椒의 아들로 宣公 4년에 晉나라로 出奔한 자)이 진나라 지도자 옆에서 초나라 친위병의 움직임을 알려주고 있었다.
皆曰 國士在 且厚 不可當也
개왈 국사재 차후 불가당야
모두 말하길 국사(백주려)가 있고 든든하니 당할 수 없습니다‘하더라
苗賁皇言於晉侯曰 楚之良 在其中軍王族而已 請分良以擊其左右 而三軍萃於王卒 必大敗矣[之]
묘분황언어진후왈 초지양 재기중군왕족이이 청분량이격기좌우 이삼군췌어왕졸 필대패의[지]
묘분황이 진나라 지도자에게 이르길 초나라의 정예는 중군의 왕족들 뿐이니 정예군을 좌우로 나누어 공격하고 친위대를 공격하면 크게 이길 수 있습니다.’하더라
公筮之 史曰 吉
공무지 사왈 길
진나라 지도자가 태사에게 점을 치게하니 ‘대길합니다’하더라
其卦遇復☷☳ 曰南國蹙 射其元王 中厥目
기괘우복☷☳ 왈남국축 사기원왕 중궐목
그 괘는 복괘로 ‘남쪽 무리는 쪼그라들고 으뜸인 왕에게 호라을 쏘면 눈을 맞춘다’라고 나왔다 하였다.
國蹙王傷 不敗何待 公從之
국축왕상 불패하대 공종지
무리가 쪼그라들고 왕이 다치면 패배말고 뭘 바라겠습니까 하니 진나라 지도자는 싸움을 시작하기로 했다.
有淖於前 乃皆左右相違於淖
유도어전 내개좌우상위어도
진나라 군 앞에 늪이 펼쳐져있어 좌우로 피해갔다.
步毅御晉厲公 欒鍼爲右 彭名御楚共王 潘黨爲右 石首御鄭成公 唐苟爲右
보의어진여공 난침위우 팽명어초공왕 반당위우 석수어정성공 당구위우
진나라는 보의(극의)가 진여공을 모시고 난침이 창병으로, 초나라는 팽명이 공왕을 모시고 석수가 정나라 성공을 모시며 당구가 창병으로 시립했다.
欒范以其族夾公行 陷於淖 欒書將載晉侯
난범이기족협공행 함어도 난서장재진후
난서와 범문자가 그 무리를 이끌고 여공과 합류하여 가는데 진후의 수레가 늪에 빠지 난서가 진나라 지도자를 태우려 했다
鍼曰 書退
침왈 서퇴
난침이 ‘난서는 물러서시오
國有大任 焉得專之
국유대임 언득전지
무리에게는 각자 책임이란게 있는데 왜 독주하려 하는가
且侵官 冒也 失官 慢也 離局 姦也 有三罪焉 不可犯也 乃掀公以出於淖
차침관 모야 실관 만야 이국 간야 유삼죄언 불가범야 내흔공이출어도
다른 사람의 소임을 침범하는 걸 모함이라 하고 자기 소임을 버리는 걸 오만함이라 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걸 간사함이라 하는 겁니다 이 세가지 죄는 절대 저질러선 안되는 겁니다.’하고 공을 안아 늪에서 꺼냈다.
癸巳 潘尫之黨與養由基蹲甲而射之 徹七札焉 以示王 曰 君有二臣如此 何憂於戰 王怒曰 大辱國 詰朝爾射 死藝
계사 반왕지당여양유기준갑이사지 철칠찰언 이시왕 왈 군유이신여차 하우어전 왕노왈 대욕국 힐조이사 사예
계사일 반왕의 아들 반당이 양유기와 함께 갑옷을 겹쳐두고 활을 쏘아 7겹을 뚫고는 왕에게 보여주며 말하길 ‘지도자에겐 이런 신하가 둘이나 있으니 전쟁에 대해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하니 왕이 노하여 이르길 ‘(힘만 믿는 것은) 나라를 크게 모욕하는 짓이요 내일 아침 전투에서 활 재주는 죽는 재주일 뿐이다’하였다.
呂錡夢射月中之 退入於泥 占之 曰 姬姓 日也 異姓 月也 必楚王也 射而中之 退入於泥 亦必死矣
여기몽사월중지 퇴입어니 점지 왈 희성 일야 이성 월야 필초왕야 사이중지 퇴입어니 역필사의
진나라 여기가 꿈에 달을 쏘아 맞추고 진흙으로 돌아간 것을 점을 치니 이르길 ‘’희씨성은 해요 다른 성씨는 달이고 초왕을 의미하니 명중했으니 반드시 죽일 것인데 늪으로 돌아갔으니 당신도 죽을 것입니다‘하더라
及戰 射共王中目
급전 사공왕중목
전투에서 초나라 공왕의 눈을 맞췄다.
王召養由基 與之兩矢 使射呂錡 中項伏弢 以一矢復命
왕소양유기 여지양실 사사여기 중항복깃 이일시복명
왕이 양유기를 불러 화살 두 개를 주어 여기를 쏘게하니 중항=여기가 활집에 엎어져 죽고 남은 화살 하나를 들고와 보고하였다.
郤至三遇楚子之卒 見楚子 必下 免冑而趨風
극지삼우초자지졸 견초자 필하 면주이추풍
극지가 초나라 지도자의 친위대를 3번 마주했는데 초나라 지도자를 보면 반드시 말에서 내려 투구를 벗고 잰 걸음으로 지나갔다.
楚子使工尹襄問之以弓 曰 方事之殷也 有韎韋之跗 君子也 識見不穀而趨 無乃傷乎
초자사공윤배문지이궁 왈 방사지은야 유매위지부 군자야 식견불곡이추 무내상호
초나라 지도자가 공윤배에게 극지에게 활을 선물로 주게하며 말하길 ’전투가 치열할 때 매위로 지은 갑옷을 입은 이가 지도자였는데 불곡(진나라 이전 왕의 자기를 부르는 칭호)을 보자마자 잰걸음으로 다녔는데 넘어지지 않았는가? 물었다
郤至見客 免冑承命 曰 君之外臣至 從寡君之戎事 以君之靈 間蒙甲冑 不敢拜命 敢告不寧君命之辱
극지견객 면주승명 왈 군지외신지 종과군지융사 이군지령 간몽갑주 불감배명 감고불녕군명지욕
극지가 공윤배=사신을 보자 투구를 벗고 명을 받으며 말하길 ‘지도자를 흠모하는 외신지(직접 수하가 아닌)로 진나라 지도자의 전투에 따라와 갑옷을 입는 은혜를 입은지라 감히 초나라 지도자에게 절할 수 없었고 그 명을 받들 수 없었으니 감히 군주의 명을 지키지 못한 욕을 당하였습니다’하더라
爲事之故 敢肅使者 三肅使者而退
위사지고 감숙사자 삼숙사자이퇴
전쟁상황으로 사자에게 세 번의 숙배(무릎을 꿇지 않는 절)를 하고 물러갔다.
欒鍼見子重之旌 請曰 楚人謂夫旌 子重之麾也 彼其子重也
난침견자중지기 청왈 초인위부기 자중지휘야 피기자중야
난침이 자중의 깃발을 보고 진나라 지도자에게 청하길 포로로 잡힌 초나라 사람이 깃발에 대해 말했는데 저 깃발은 자중의 지휘기라 합니다 자중이 확실합니다.
日臣之使於楚也 子重問晉國之勇 臣對曰 好以衆整 曰 又何如 臣對曰 好以暇
일신지사어초야 자중문진국지용 신대왈 호이중정 왈 우하여 신대왈 호이가
전에 제가 초나라 사신으로 갔을 때 자중이 진나라의 진용에 대해 묻길래 소신이 답하길 ‘잘 정돈된 걸 좋아합니다’ 하니 ‘다른 것은 없냐?’길래 소신이 답하길 ‘여유로움을 좋아합니다’ 하였습니다.
今兩國治戎 行人不使 不可謂整 臨事而食言 不可謂暇 請攝飮焉 公許之
금양국치융 행인불사 불가위정 임사이식언 불가위가 청섭음언 공허지
지금 양국이 병력을 겨루는데 사신(행인)을 보내지 않으면 정돈되지 못함이요 일을 함에 식언(말 바꾸기)하면 여유롭지 못한 것이니 청하건대 술을 내리십시오 하니 공이 허락하였다.
使行人執榼承飮 造于子重 曰 寡君乏使 使鍼御持矛 是以不得犒從者 使某攝飮
사행인집합승음 조우자중 왈 과군핍사 사침어지모 시이부득호종자 사모섭음
사신이 상자에 술을 담아 자중에게 주면서 이르길 ‘우리 지도자가 사람이 없어 난침에게 창을 들어 시중하게 하고 병사들을 위로하게 할 사람이 없어 저를 시켜 술을 보내셨습니다’하도록 하였다.
子重曰 夫子嘗與吾言於楚 必是故也 不亦識乎 受而飮之 免使者而復鼓
자중왈 부자상여오언어초 필시고야 불역식호 수이음지 면사자이복고
자중이 이르길 ‘부자(상대에 대한 경칭=난침)가 초나라에서 만난 적 있어 그런 모양일세 기억력이 좋군’하며 받아 마시고 사자를 돌려보내고 다시 북을 울렸다(공격하였다)
旦而戰 見星未已
단이전 견성미이
아침에 전투를 시작하여 별이 떴는데도 끝나질 않았다.
子反命軍吏察夷傷 補卒乘 繕甲兵 展車馬 雞鳴而食 唯命是聽
자반명군리찰이상 보졸승 선갑병 전거마 계명이식 유명시청
자반이 병사에게 명하여 부상자를 살펴 병사들을 보충하고 무기들을 수선하고 말들을 풀어주게 하고 아침에 식사후 명령을 받으라 해두었다.
晉人患之 苗賁皇徇曰 蒐乘補卒 秣馬利兵 脩陳固列 蓐食申禱 明日復戰 乃逸楚囚
진인환지 묘분황순왈 수승보졸 말마이병 수진고열 욕식신도 명일복전 내일초수
진나라 사람들이 걱정하니 묘분황이 돌아다니며 이르길 ‘탈것들을 모으고 병사들이 쉬게하며 말을 먹여 병사들에게 이롭도록 하고 전열을 정비하여 내일 새벽 식사후 준비하라 내일 다시 전투하리라’ 하며 초나라 포로들을 놓아 주었다.
王聞之 召子反謀 穀陽豎獻飮於子反 子反醉而不能見 王曰 天敗楚也夫
왕문지 소자반모 곡양수헌음어자반 자반취이불능견 왕왈 천패초야부
초나라 왕이 이를 듣고 자반을 불러 상의하려하니 자반이 곡양이란 종이 준 술에 취해 나타나지 않으니 왕이 이르길 하늘이 초나라를 버리시는구나 하였다.
余不可以待 乃宵遁
여불가이대 내소둔
내 그 꼴을 기다릴 수 없다며 야음을 틈타 도주하였다.
晉入楚軍 三日穀
진입초군 삼일곡
진나라 군이 초나라 군대 진지로 들어가 남기고 간 음식을 3일간 먹고 쉬었다.
范文子立於戎馬之前曰 君幼 諸臣不佞 何以及此 君其戒之 周書曰 惟命不于常 有德之謂
범문자입어융마지전왈 군유 제신불영 하이급차 군기계지 주서왈 유명불우상 유덕지위
범문자가 전차 앞에서 이르길 ‘왕이 어리고 신하들이 무능한데 어째 이런 일이 있는가? 왕은 경계를 늦추지 마소서 주나라 역사서에 이르길 하늘이 주는 소명은 아무데나 있지않고 덕있는 사람에게만 주어집니다’하더라
[經]楚殺其大夫公子側
초살기대부공자측
초나라가 그 공자(위를 이을 아들)요 대부인 측을 죽였다.
楚師還 及瑕 王使謂子反曰 先大夫之覆師徒者 君不在 子無以爲過 不穀之罪也
초사환 급하 왕사위자반왈 선대부지복사도자 군부재 자무이위과 불곡지죄야
초나라 군대가 철수하여 하지역에 이르자 왕이 자반에게 사람을 시켜 말하길 ‘선대부(자반의 아비 자옥)가 패전으로 군대를 잃은 건 임금이 전장에 없어서이다 너는 허물이 없고 전장을 비운 내(不穀: 왕이 자신을 칭하는 호칭)죄다’하니
子反再拜稽首曰 君賜臣死 死且不朽 臣之卒實奔 臣之罪也
자반재배계수왈 군사신사 사차불후 신지졸실분 신지죄야
자반이 거듭절하고 계수하며 말하길 ‘지도자께서 죽음을 내리셔도 죽어도 썩지 않을 겁니다(은혜를 잊지않을 것입니다) 제 부하들이 도망한 것은 신하인 저의 죄입니다’하였다.
子重使謂子反曰 初隕師徒者 而亦聞之矣 盍圖之 對曰 雖微先大夫有之 大夫命側 側敢不義 側亡君師 敢忘其死
자중사위자반왈 초운사도자 이역문지의 합도지 대왈 수미선대부유지 대부명측 측감불의 측망군사 감망기사
자중이 자반에게 사람을 시켜 이르길 ‘옛날 군사를 잃은 장수(아비 자옥의 죽음)의 이야기를 듣지 않았느냐 그리해야하지 않겠나?’ 하니 답이 ‘비록 아버지의 경우 아니라도 대부께서 자신(측)에게 명하시는데 따르지 않겠습니까 제가 지도자의 군대를 망쳤으니 죽음을 잊을수 있나요’ 하고
王使止之 不及而卒
왕사지지 불급이졸
왕이 멈추려 사람을 보냈으나 도착 전에 이미 죽었다.
戰之日 齊國佐高無咎至于師 衛侯出于衛 公出于壞隤
전지일 제국좌고무구지우사 위후출우위 공출위괴퇴
전투하는 날 제나라 국좌 고무구가 군대에 합류하고 위나라 지도자는 위에서 성공은 괴퇴에서 출발하였다.
宣伯通於穆姜 欲去季孟而取其室
선백통어목강 욕거계맹이취기실
선백(숙손교여)이 목강(성공의 어머니)와 사통하고 계문자와 맹헌자(三桓중 두 사람)를 내몰고 두 집안을 차지하려 하였다.
將行 穆姜送公 而使逐二子 公以晉難告 曰 請反而聽命 姜怒
장행 목강송공 이사축이자 공이진난고 왈 청반이청명 강노
성공이 출발할 때 목강이 성공을 환송하며 두 사람을 축출하라 하니 성공이 진나라와의 회합을 얘기하면서 돌아와 명을 받겠다 하니 강이 노했다.
公子偃公子鉏趨過 指之曰 女不可 是皆君也
공자언공자서추과 지지왈 여불가 시개군야
공자 언과 서가 바르게 지나가니 가리키며 이르길 ‘네가 싫다면 저 아이들이 지도자가 될 것이다(널 축출하겠다) 했다.
公待於壞隤 申宮儆備 設守而後行 是以後
공대어괴퇴 신궁경비 설수이후행 시이후
공이 괴퇴에서 궁(왕실=공실)을 경비를 강화하고야 출발하여 늦은 것이다.
使孟獻子守于公宮
사맹헌자수우공궁
맹헌자에게 공실을 지키라 명했다.
[經]秋 公會晉侯齊侯衛侯宋華元邾人于沙隨 不見公
추 송회진후제후위후송화원주인우사수 불견공
가을 성공이 진나라 제나라 위나라 송나라 대부 화원, 주나라 사람들과 사수에서 만났으나 성공이 무시당했다.
전] 秋 會于沙隨 謀伐鄭也
추 회우사수 모벌정야
가을 사수에서 회맹하고 정나라 토벌을 논의했다.
宣伯使告郤犫曰 魯侯待于壞隤 以待勝者
선백사고극주왈 노후대우괴퇴 이대승자
선백이 사람을 시켜 극주에게 이르길 ‘노나라 지도자가 괴퇴에서 대기한 것은 진나라와 초나라 전쟁의 승자를 기다린 것이다’하니
郤犫將新軍 且爲公族大夫 以主東諸侯 取貨于宣伯 而訴公于晉侯 晉侯不見公
극주장신군 차위공족대부 이주동재후 취화우선백 이소공우진후 진후불견공
극주가 신군을 지휘하며 공족대부를 위하여 동쪽 제후들을 주장하였는데 선백에게 돈을 주어 성공을 진나라 지도자에게 참소하니 진나라 지도자가 성공을 알현하지 않았다.
[傳]曹人請于晉曰 自我先君宣公卽世 國人曰 若之何 憂猶未弭 而又討我寡君 以亡曹國社稷之鎭公子 是大泯曹也
조인청우진왈 자아선군선공즉세 국인왈 약지하 우유미미 이우토아과군 이망조국사직지진공자 시대민조야
조나라 사람들이 진나라에 청하길 ‘우리 지도자 선공이 세상을 떠나니 “사람들이 이를 어쩌냐 염려”하는 중인데 귀국이 우리 지도자 선공을 토벌하신다니 우리 조나라 사직에 중요한 공자를 도망가게 하시니 우리 조나라를 크게 망하려 하시는 겁니다.
先君無乃有罪乎 若有罪 則君列諸會矣 君唯不遺德刑 以伯諸侯 豈獨遺諸敝邑 敢私布之
선군무내유죄호 약유죄 즉군열제회의 군유불유덕형 이백제후 기독유제폐읍 감사포지
우리 선공에게 죄가 있어서 입니까? 죄가 있다면 귀하는 회맹에 세우셔야지요 귀하가 덕과 법의 엄정한 집행이 없이 제후들의 우두머리로서 각 나라들을 깨뜨리신다 감히 개인의 생각을 표합니다’하더라
[傳]七月 公會尹武公及諸侯伐鄭
칠월 공회윤무공급제후벌정
7월 성공이 윤무공과 제후들과 함께 정나라 토벌했다.
將行 姜又命公如初 公又申守而行
장행 강우명공여초 공우신수이행
출전하려할 때 목강(어머니)가 예전의 주장을 되풀이하자 성공이 공실=왕실 수비를 펼치고 출발했다.
諸侯之師次于鄭西 我師次于督揚 不敢過鄭
제후지사차우정서 아사차우독양 불감과정
제후의 군대가 정나라 서쪽에 주둔하고 우리 군대는 독양에 주둔하였는데 감치 정나라를 관통하지 못했다.
子叔聲伯使叔孫豹請逆于晉師 爲食於鄭郊 師逆以至
자숙성백사숙손표청역우진사 위식어정교 사역이지
공자의 숙부인 성백(公孫 嬰齊)이 숙손(영제의 손자)표를 시켜 진나라 군대가 노나라 군대와 합류하길 청하고 정나라 근교에서 식사를 준비하니 진나라 군대가 도착하였다.
聲伯四日不食以待之 食使者 而後食
성백사일불식이대지 식사자 이후식
성백이 4일간 식사하지 않고 기다렸는데 사자부터 먹이고 비로소 식사하였다.
[傳]諸侯遷于制田
제후천우제전
제후들이 제전으로 옮겨갔다.
知武子佐下軍 以諸侯之師侵陳 至于鳴鹿 遂侵蔡
지무자좌하군 이제후지사침진 지우명록 수침채
지무자(荀罃)이 하군의 부장으로 제후들 연합군을 몰고 진나라를 침공하여 명록까지 쳐들어가 채나라를 침공하였다.
未反 諸侯遷于潁上
미반 제후천우영상
지무자가 돌아오기 전에 제후 군대는 영강 북쪽으로 옮겨갔다.
戊午 鄭子罕宵軍之 宋齊衛皆失軍
무오 정자한소군지 송제위개실군
무오일 정나라 자한이 야음을 틈타 군대를 몰고 습격하여 송,제,위나라 군사들이 당했다.
[傳]曹人復請于晉 晉侯謂子臧 反 吾歸而君
조인복청우진 진후위자장 반 오귀이군
조나라 사람들이 진나라에 청하자 진나라 지도자가 자장에게 이르길 ‘네가 돌아가면 나도 지도자를 돌려보내겠다’하니
子臧反 曹伯歸
자장반 조백귀
자장이 돌아가니 조나라 지도자도 귀환하였다.
子臧盡致其邑與卿而不出
자장진치기읍여경이불출
자장이 자기 채읍과 정승벼슬을 조나라 지도자에게 주고 두문불출 하였다.
[經]公至自會
공지자회
성공이 회합에서 돌아왔다.
[經]公會尹子晉侯齊國佐邾人伐鄭
공회운자진후제국좌주인벌정
성공이 윤자(주나라 재상)와 진나라 지도자 제나라 정승, 주나라 사람들을 만나 정나라를 정벌했다.
[經]曹伯歸自京師
조백귀자경사
조나라 지도자가 경사(주나라)에서 돌아왔다.
[經]九月 晉人執季孫行父 舍之于苕丘
구월 진인집계손향보 사지우초구
9월 진나라 사람들이 계손행보를 사로잡아 초구에 잡아 두었다.
[經]冬十月乙亥 叔孫僑如出奔齊
동시월을해 숙손교여출분제
겨울 10월에 숙손교여가 제나라로 망명하였다.
[經]十有二月乙丑 季孫行父及晉郤犫盟于扈
십유이월을축 계손행보급진극주맹우호
12월 을축일 계손행보와 진나라 대부 극주가 호에서 동맹하였다.
[傳]宣伯使告郤犫曰 魯之有季孟 猶晉之有欒范也 政令於是乎成 今其謀曰 晉政多門 不可從也 寧事齊楚 有亡而已 蔑從晉矣 若欲得志於魯 請止行父而殺之 我薨[斃]蔑也 而事晉 蔑有貳矣 魯不貳 小國必睦 不然 歸必叛矣
선백사고극주왈 노지유계맹 유진지유극범야 정령어시호성 금기모왈 진정다문 불가종야 영사제초 유망이이 멸종진의 약욕득지어노 청지행보이살지 아훙[폐]멸야 이사진 멸유이의 노불이 소국필목 불연 귀필반의
선백이 극주에게 사람을 보내 말하길 ‘노나라에는 계씨와 맹씨 대부들이 있듯 진나라에는 난씨와 범씨 대부들이 있어 명령계통이 이들을 통해 이뤄지는데 제후들이 모의하길 “진나라 명령계통이 여럿이니 일일이 따르기 어렵다 차라리 제나라 초나라를 따르다 망할지언정 진나라를 따르지 맙시다”합니다. 귀국이 노나라의 뜻을 얻자면 행보를 죽이지 않으시면 우리는 공자 멸을 폐하고 진나라를 섬기겠습니다. 공자 멸은 두 마음을 품고있어도 노나라는 그렇지 않습니다. 작은 나라들과 서로 화목하지 않으면 배반으로 귀결될 것입니다’하더라
九月 晉人執季文子于苕丘 公還 待于鄆 使子叔聲伯請季孫于晉
구월 진인집계문자우초구 공환 대우운 사자숙성백청계손우진
9월 진나라 사람들이 계문자를 초구에 억류하니 성공이 돌아오는 길에 운에서 기다리며 공자의 삼촌 성백을 진나라로 보내 계손을 풀어주기를 청했다.
郤犫曰 苟去仲孫蔑而止季孫行父 吾與子國 親於公室
극주왈 구거중손멸이지계손행보 오여자국 친어공실
극주가 이르길 ‘만약 중손 멸을 제거하고 계손 행보를 억류하면 귀하에게 권력을 주고 공실보다 더 끈끈한 관계를 맺겠소’하더라
對曰 僑如之情 子必聞之矣 若去蔑與行父 是大棄魯國 而罪寡君也. 若猶不棄 而惠徼周公之福 使寡君得事晉君 則夫二人者 魯國社稷之臣也 若朝亡之 魯必夕亡 以魯之密邇仇讐 亡而爲讐 治之何及
대왈 교여지정 자필문지의 약거멸여행보 시대기노국 이죄과군야 약유불기 이혜요주공지복 사과군득사진군 즉부이인자 노국사직지신야 약조망지 노필석망 이노지밀이구수 망이위수 치지하급
극주가 답하길 ‘교여의 사정은 그대도 들었을 겁니다 만약 멸과 행보를 제거하면이는 노나라를 버리고 우리 주군을 벌하는 겁니다. 만약 버리지 않고 주나라 지도자의 은혜를 바라고 진나라를 섬기게 한다면 저 두 사람은 노나라 사직을 수호하는 신하로 아침에 저들을 없애면 저녁엔 나라가 망할 겁니다 노나라는 진나라의 원수인 제나라 초나라와 가까우니 망하면 원수가 될 터인에 어찌 다스릴 수 있습니까?’하더라
郤犫曰 吾爲子請邑 對曰嬰齊 魯之常隷也 敢介大國 以求厚焉 承寡君之命以請 若得所請 吾子之賜多矣 又何求
극주왈 오위자청읍 대왈영제 노지상예야 감개대국 이구후언 승과군지명이청 약득소청 오자지사다의 우하구
극주가 이르길 ‘나는 그대에 읍을 청하는 바이다’하니 답하길 ‘나 영제는 노나라의 하급관리로 감히 대국의 영향으로 후의를 바라겠습니까 우리 지도자의 명을 받들어 청하는데 청이 받아들여지면 저로선 많은 걸 얻는 것인데 뭘 더 바라겠습니까?‘
范文子謂欒武子曰 季孫於魯 相二君矣 妾不衣帛 馬不食粟 可不謂忠乎
범문자위난무자왈 계손어노 상이군의 첩불의백 마불식속 가불위충호
범문자가 난무자에게 이르길 ’노나라 계손은 두 지도자의 재상을 지낸 사람인데 첩에게 비단 옷을 입히지않고 말 모이도 먹이지 않았으니 충신이라 하지 않을 이유가 뭔가요?
信讒慝而棄忠良 若諸侯何
신참특이기충량 약제후하
사악하게 참소하는 말을 믿고 어질고 충성된 신하를 버린다면 제후들에게 무슨 본이 되나요
子叔嬰齊 奉君命無私 謀國家不貳 圖其身不忘其君 若虛其請 是棄善人也 子其圖之 乃許魯平 赦季孫
자숙영제 봉군명무사 모국가불이 도기신불망기군 약허기청 시기선인야 자기도지 내허노평 사계손
공자의 삼촌 영제는 사심없이 지도자의 명을 받들었고 무리들의 안위를 도모함에 딴 생각이 없어 자신을 위한 일보다 지도자를 먼저 생각했습니다. 그들을 풀어달라는 요청을 허투루 듣는다면 좋은 인재를 잃는 것이니 잘 생각하시기 바랍니다‘하니 난무자가 노나라와 화평을 승인하고 계손 행보를 사면하였다.
冬十月 出叔孫僑如而盟之 僑如奔齊
동시월 출숙손교여이맹지 교여분제
겨울 10월 숙손교여를 방출하고 회맹하니 교여가 제나라로 도망했다.
十二月 季孫及郤犫盟于扈 歸刺公子偃
십이월 계손급극주맹우호 귀자공자언
12월 계손행보와 극주가 호에서 회맹하고 귀국하여 공자 언을 죽였다.
*공자 언과 서가 목강의 편에 섰던 일 때문
召叔孫豹于齊而立之
소숙손표우제이립지
숙손 표를 제나라에서 불러 왕으로 세웠다.
[經]公至自會
공지자회
성공이 회합에서 돌아왔다.
[經]乙酉 刺公子偃
을유 자공자언
을유일 노나라가 공자 언을 죽였다.
[傳]齊聲孟子通僑如 使立於高國之間 僑如曰 不可以再罪 奔衛 亦間於卿
제성맹자통교여 사립어고국지간 교여왈 불가이재죄 분위 역간어경
제나라 영공의 어머니 성맹자가 교여와 사통하고 그 지위를 대부 고씨와 국씨 중간에 두도록 하자 교여왈 ‘다시 죄 지을 순 없다(교여는 魯나라에서 穆姜과 姦淫하여 罪를 얻었으니, 齊나라에서 다시 聲孟子과 姦淫하여 罪를 얻을 수 없다고 여긴 것이다)’면서 위나라로 도망하였는데 다시 경의 반열에 들었다.
[傳]晉侯使郤至獻楚捷于周
진후사극지천초첩우주
진나라 지도자가 극지에게 시켜 초나라와 전투에서 얻은 전리품을 주나라 왕에게 바쳤다.
與單襄公語 驟稱其伐 單子語諸大夫曰 溫季其亡乎 位於七人之下 而求掩其上 怨之所聚 亂之本也 多怨而階亂 何以在位 夏書曰 怨豈在明 不見是圖 將愼其細也 今而明之 其可乎
여선양공어 취칭기벌 선자어제대부왈 온계기망호 위어칠인지하 이구엄지상 원지소위 난지본야 다원이개란 하이재위 하서왈 원기재명 불견시도 장신기세야 금이명지 기가호
선양공과 대화중 자기 자랑을 하니 선양공이 대부들에게 말하길 ‘온계=극지는 이미 망조가 든 사람이다. 新軍의 보좌역이니 서열이 8위임에도 웃 사람들의 공을 가리우니 이는 원망을 살 일이고 재난의 시작이 될 것이다. 그리 원망이 쌓이면 필경 재난이 되는 법이니 어찌 자리를 보전하겠는가? 하서(하나라 역사)에 이르길 “원망이 드러나면 올바른 노력이 아니니 신중히 세세한 부분을 따져야 한다”라 했는데 지금 그리 훤히 드러났으니 성할 리 있겠는가?’하였다.
17년
[經]十有七年春 衛北宮括帥師侵鄭
십유칠년춘 위북궁괄수사침정
17년 봄 위나라 북궁괄((魯)나라의 맹희자(孟喜子)의 차남)이 군대를 몰고 정나라를 침공하였다.
[傳]十七年春王正月 鄭子駟侵晉虛滑 衛北宮括救晉侵鄭 至于高氏
십칠년춘왕정월 정자사침진허활 위북궁괄구진침정 지우고지
17년 봄 周王력 정월에 정나라의 대부 자사가 진나라의 허읍, 활읍을 침공하니 위나라 북궁 괄이 진나라를 구하려 정나라 고지땅까지 이르렀다.
* 여기서 북궁은 주나라의 동서남북 궁궐중 하나로 위나라 땅에 있었고 그 궁을 지키는 대부들이 소위 북궁씨로 성을 삼은 것... 본디는 노나라 사람이다.
[經]夏 公會尹子單子晉侯齊侯宋公衛侯曹伯邾人伐鄭
하 공회윤자선자진후제후송공위후조백주인벌정
여름 성공이 윤자,선자, 진나라 지도자, 송나라 지도자, 위나라 지도자, 조나라 지도자, 주나라 사람들과 정나라를 쳤다.
[傳]夏五月 鄭大子髡頑侯獳爲質於楚 楚公子成公子寅戍鄭
하오월 정대자곤완후유위질어초 초공자성공자인수정
여름 5월 정나라가 태자 곤완과 대부 후유를 초나라에 인질로 보내니 초나라 공자 성과 인이 와서 정나라를 지켜주었다.
[傳]公會尹武公單襄公及諸侯伐鄭 自戲童至于曲洧
공회윤무공선양공급제후벌정 자희동지우곡유
성공이 윤무공 선양공등 제후들과 정나라를 토벌하여 희동에서 곡유까지 이르렀다.
[傳]晉范文子反自鄢陵 使其祝宗祈死 曰 君驕侈而克敵 是天益其疾也 難將作矣 愛我者惟 祝我 使我速死 無及於難 范氏之福也
진범문자반자언릉 사기축종기사 왈 군교치이극적 시천익기질야 난장작의 애아자유 축아사아속사 무급어난 범씨지복야
진나라 범문자가 언릉에서 돌아와 종축(宗祝은 祭祀에서 祈禱를 主管하는 자이다)에게 죽음을 빌도록 명하며 말하길 지도자가 교만함에도 적을 이겼으니 이는 하늘이 그 죄를 커지도록 하는 것이니 곧 난리가 날 것이다 나를 아낀다면 난리에 휩쓸리기 전에 죽도록 하는 것이 범씨 일가에 복이다 하였다
六月戊辰 士燮卒
유월무진 사섭졸
6월 무진일에 사섭이 죽었다.
[經]六月乙酉 同盟于柯陵
유월을유 동맹우가릉
6월 을유일 정나라 서쪽 땅 가릉에서 회맹하였다.
[傳]乙酉 同盟于柯陵 尋戚之盟也
을유 동맹우가릉 심척지맹야
을유일 가릉에서 동맹을 맺으니 이는 척에서의 동맹을 되새기는 것이었다.
[傳]楚子重救鄭 師于首止 諸侯還
초자중구정 사우수지 제후환
초나라 지도자가 다시 정나라를 도우려 수지에 주둔하니 제후 연합군이 환국하였다.
[經]秋 公至自會
추 공지자회
가을 성공이 회맹에서 돌아왔다.
[經]齊高無咎出奔莒
제고무구출분거
제나라 대부 고무구가 거나라로 도망하였다.
[傳]齊慶克通于聲孟子 與婦人蒙衣乘輦而入于閎 鮑牽見之 以告國武子 武子召慶克而謂之 慶克久不出 而告夫人曰 國子謫我 夫人怒
제경극통우성맹자 여귀인몽의승연이입우굉 포견견지 이고국무자 무자소경극이위지 경극구불출 이고부인왈 국자적아 부인노
제나라 경극이 성맹자와 사통하고는 부인 복장으로 가마를 타고 동리 입구로 들어가는데 포숙아의 손자인 포견이 보고는 국무자에게 고하니 무자가 경극을 불러 타이르니 경극이 오래도록 집안에 머물면서 부인에게 이르길 ‘국자가 저를 꾸짖어 그럽니다’하니 부인이 노하였다.
國子相靈公以會 高鮑處守乃[及]
국자상영공이회 고포처수내[급]
국자가 영공의 재상으로 회맹에 참가하고 고무구와 포견은 남아 나라를 지켰다.
還將至 閉門而索客 孟子訴之曰 高鮑將不納君 而立公子角 國子知之
환장지 폐문이색객 맹자소지왈 고포장불납군 이립공자각 국자지지
돌아가는 길에 마을 문에서 손님들을 검색하니 성맹자가 영공에게 참소하길 ‘고무구와 포견이 지도자를 들이지 않고 공자 각을 세우려하고 국자도 그걸 알고있습니다’하였다.
秋七月壬寅 刖鮑牽而逐高無咎 無咎奔莒 高弱以盧叛
추칠월임인 월포견이축고무구 무구분거 고약이노반
가을 7월 임인일 포견의 발을 자르는 월형을 내리고 고무구를 내쫒으니 무구가 거나라로 도망하였다 그 아들 고약이 노읍 사람들과 반란하였다.
齊人來召鮑國而立之
제인래소포국이립지
제나라 사람들이 와서 포국을 불러 포씨의 후계로 삼았다.
初 鮑國去鮑氏而來 爲施孝叔臣 施氏卜宰 匡句須吉
초 포국거포씨이래 위시효숙신 시씨복재 광구수길
애초에 포국이 포씨를 떠나 노나라의 시효숙(노나라 혜공의 5대손)의 신하가 되어 시씨일가의 재(총 집사)를 점치니 광구수가 좋다고 나왔다.
施氏之宰 有百室之邑 與匡句須邑 使爲宰 以讓鮑國而致邑焉
시씨지재 유백실지읍 여광구수읍 사위재 이양포국이치읍언
시씨 집안의 집사는 100호 정도의 식읍을 갖는데 광구수에게 식읍으로 주며 집사를 시키려하니 포국에게 모두 양보하였다.
施孝叔曰 子實吉 對曰 能與忠良 吉孰大焉
시효숙왈 자실길 대왈 능여환량 길숙대언
시효숙이 말하길 ‘네가 좋다고 나왔다’하니 답하길 ‘충성되고 선량한 이에게 줄 수 있으니 가장 좋은 것 아닙니까’하더라
鮑國相施氏忠
포국상시씨충
포국이 시씨의 집사로 충성을 다하였다.
故齊人取以爲鮑氏後
고제인취이위포씨후
그래서 제나라 사람들이 포국을 포씨 가문의 후계로 삼았다
仲尼曰 鮑莊子之知不如葵 葵猶能衛其足
중니왈 포장자지지불여규 규유능위기족
중니가 이르길 ‘포장자의 지혜는 규만 못하다 규라는 식물은 오히려 뿌리를 지킨다’하였다.
[經]九月辛丑 用郊
구월신축 용교
9월 신축일 교제를 올렸다.
[經]晉侯使荀罃來乞師
진후사순앵래걸사
진나라 지도자가 순앵(진나라 정승 순수의 아들)을 보내 군사를 청하였다.
[經]冬 公會單子晉侯宋公衛侯曹伯齊人邾人伐鄭
동 공회선자진후송공위후조백제인주인벌정
겨울 성공이 선자, 진나라 지도자 송나라, 위나라,조나라 지도자들과 제나라 사람 주나라 사람을 이끌고 정나라를 벌하였다.
[經]十有一月 公至自伐鄭
십유일월 공지자벌정
11월 성공이 정나라 정벌에서 돌아왔다.
[經]壬申 公孫嬰齊卒于貍脤
임신 공손영제졸우리신
임신일 공손 영제가 리신에서 죽었다.
[傳]冬 諸侯伐鄭
동 제후벌정
겨울 제후들이 정나라를 토벌하였다.
十月庚午 圍鄭 楚公子申救鄭 師于汝上
시월경오 위정 초공자신구정 사우여상
10월 경오일 정나라를 포위하니 초나라 공자 신이 정나라 구원을 위해 여강가에 진을 쳤다.
十一月 諸侯還
십일월 제후환
11월 제후들이 돌아왔다.
[傳]初 聲伯夢涉洹 或與己瓊瑰 食之 泣而爲瓊瑰 盈其懷 從而歌之 曰 濟洹之水 贈我以瓊瑰 歸乎歸乎 瓊瑰盈吾懷乎
초 성백몽섭원 혹여기경괴 식지 읍이위경괴 영기회 종이가지 왈 제원지수 증아이경괴 귀호귀호 경과영오회호
애초 성백이 원강을 건너는 꿈에 누군가 자기에게 귀한 걸 주어 삼켰고 눈물이 구슬이 되어 마음에 가득했기에 노래하길 ‘원강을 건너는데 내게 귀한 걸 얻었으니 돌아가리라 품에 가득 귀한 걸 얻었으니..’하며 깼다.
懼不敢占也
회불감점야
생각은 있어도 감히 점을 칠 수 없었다.
還自鄭 壬申 至于貍脤而占之曰 余恐死 故不敢占也 今衆繁而從余三年矣니 無傷也
환자정 임신 지우리신이점지왈 여공사 고불감점야 금중번이종여삼년의 무상야
정나라로부터 돌아오는 길에 임신일 리신에서 점을 치며 이르길 ‘내가 죽을까봐 점을 치지 못했다 이제 3년이나 나를 따르는 무리가 많으니 설마 다치겠는가?’하더라
言之之莫而卒
언지지모이졸
그 말을 한 저녁 죽었다.
[傳]齊侯使崔杼爲大夫 使慶克佐之 帥師圍盧
제후사최자위대부 사경극좌지 수사위노
제나라 지도자가 최자를 대부로 임명하고 경극을 보좌로 임명하여 병력을 이끌고 노읍을 포위하게 하였다.
國佐從諸侯圍鄭 以難請而歸 遂如盧師 殺慶克 以穀叛
국좌종제후위정 이난청이귀 수여노사 살경극 이곡반
국좌는 제후들과 정나라를 포위하고 있었는데 고국의 변을 이유로 귀국을 청하여 노읍으로 가서 경극을 죽이고 곡읍 사람들과 반란하였다.
齊侯與之盟于徐關而復之
제후여지맹우서관이복지
제나라 지도자가 국좌와 서관에서 동맹하고 국좌를 복위시켰다.
十二月 盧降 使國勝告難于晉 待命于淸
십이월 노항 사국승고난우진 대명우청
12월 노읍이 항복하자 국승을 시켜 진나라에 변고를 보고하고 청에서 대기하도록 하였다.
* 勝은 國佐의 아들
[經]十有二月丁巳朔 日有食之
십유이월정사삭 일유식지
12월 초하루 정사일에 일식이 있었다.
[經]邾子貜且卒
주자확차졸
주나라 지도자 확차가 죽었다.
[經]晉殺其大夫郤錡郤犫郤至
진살기대부극기극주극지
진나라가 대부 극기, 극주, 극지를 죽였다.
[傳]晉厲公侈 多外嬖
진여공치 다외폐
진나라 여공은 관심끌기를 좋아해 아는 대부들이 많았다.
反自鄢陵 欲盡去群大夫而立其左右
반자언릉 욕진거군대부이립기좌우
언릉에서 돌아오자 기존의 대부들을 쫒아내고 다른 대부들을 세우고자 했다
胥童以胥克之廢也 怨郤氏 而嬖於厲公
서동이서극지폐야 원극씨 이폐어여공
서동은 아비 서극의 퇴출 건으로 극씨 집안에 원한을 품고 있었는데 여공의 총애를 받았다.
郤錡奪夷陽五田 五亦嬖於厲公 郤犫與長魚矯爭田 執而梏之 與其父母妻子同一轅 旣 矯亦嬖於厲公
극기탈이양오전 오역폐어여공 극주여장어교쟁전 집이곡지 여기부모처자동일원 기 교역폐어여공
극기가 이양오의 땅을 탈취한 적이 있는데 양오 역시 여공의 총애를 받았고 극주가 장어교와 땅을 다툴 때 장어교를 잡아다 차꼬를 채워 그 일가룰 모두 묶었는데 장어교 역시 여공의 총애를 받았다.
欒書怨郤至 以其不從己而敗楚師也 欲廢之 使楚公子茷告公曰 此戰也 郤至實召寡君 以東師之未至也 與軍帥之不具也 曰 此必敗 吾因奉孫周以事君
난서원극지 이기부종기이패초사야 욕폐지 사초공자벌고공왈 차전애 극지실고과군 이동사지미지야 여군수지불구야 왈 차필패 오인봉손주이사군
난서는 극지가 자기 의견을 따르지 않아 초나라에 패했다고 원한을 품고 극지를 퇴출하기 바랬다. 초나라 공자 벌을 시켜 여공에게 전하길 ‘이 전쟁은 극지가 우리 초나라 군대를 끌어들인 거요 동쪽 제후군이 도착하지 않은데다 장수가 임명되지 않았으니 반드시 패주할 것이니 주나라 후손을 데리고 초나라 왕을 섬기겠다’라 말하게 했다
公告欒書 書曰 其有焉 不然 豈其死之不恤而受敵使乎 君盍嘗使諸周而察之
공고난서 서왈 기유언 불연 기기사지불휼이수적사호 군합상사제주이찰지
여공이 난서에게 전하니 난서가 ‘그런 일이 있을지도 모르지요 그렇지 않으면 죽을지도 모르면서 적의 사신을 만났겠습니까 주군께선 왜 주나라의 반응을 살피시지 않는지요’ 하더라
郤至聘于周 欒書使孫周見之
극지빙우주 난서사손주견지
厲公田 與婦人先殺而飮酒 後使大夫殺
여공전 여부인선살이음주 후사대부살
여공이 사냥에 나가 부인과 먼저 사냥하여 술 마시며 대부들에게 사냥하도록 하였다.
郤至奉豕 寺人孟張奪之 郤至射而殺之 公曰 季子欺余
극지봉시 사인맹장탈지 극지사이살지 공왈 계자기여
극지가 멧돼지를 바치려는데 사인=환관 맹장이 가로채려하니 극지가 쏴 죽였다 공왈 ‘극지(계자)가 날 속이려드는 구나’하였다.
厲公將作難 胥童曰 必先三郤 族大多怨 去大族 不偪 敵多怨 有庸
여공장작난 서동왈 필선삼극 족대다원 거대족 불핍 적다원 유용
여공이 난리를 일으키려하자 서동이 말하길 ‘먼저 극씨 3형제부터 처리하소서 일족이 거대하고 원한 산 일이 많으니 그 일가를 없애면 공실+왕실이 핍박받을 일 없고 원한이 많은 적을 이용하기 좋습니다.’하니
公曰 然
공왈 연
공이 말하길 ‘그렇지’하더라
郤氏聞之 郤錡欲攻公曰 雖死 君必危 郤至曰 人所以立 信知勇也 信不叛君 知不害民 勇不作亂 失玆三者 其誰與我 死而多怨 將安用之 君實有臣而殺之 其謂君何
극씨문지 극기욕공공왈 수사 군필위 극지왈 인소이립 신지용야 신불반군 지불해민 용불작난 실자삼자 기수여아 사이다원 장안용지. 군실유신이살지 지위군하
극씨 일가가 그를 듣고 극기가 여공을 공격하려 말하길 ‘비록 우리가 죽더라도 여공도 위기에 처할 것이다’하니 극지가 말하길 ‘사람답게 사는 건 신의 지식 용기로 신의란 지도자에 반란하지 않음이요 지식이란 백성을 해치지 않음이요 용기라 난리를 만들지 않는 것이니 이 세가지가 없으면 누가 우리를 지지하겠습니까? 원한을 사며 죽으면 장차 뭔 안전이 있습니까? 지도자가 신하를 죽인들 누가 뭐라 하겠습니까?
我之有罪 吾死後矣 若殺不辜 將失其民 欲安得乎 待命而已 受君之祿 是以聚黨 有黨而爭命 罪孰大焉
아지유죄 오사후의 약살불고 장실기민 욕안득호 대명이이 수군지록 시이취당 유당이쟁명 죄숙대언
우리의 죄는 우리 죽은 후에는 밝혀질 거고, 허물없는 사람을 죽이면 백성들의 신임을 잃고 안정을 얻기 힘들겁니다. 그러니 하늘의 명을 기다릴 뿐입니다. 지도자의 녹봉을 받아 무리를 이뤘으니 사사로이 무리를 동원해 항명하면 이보다 큰 죄가 있읍니까’하더라.
극지가 주나라로 가니 난서가 손주(주나라 후손)에게 접견토록 하였다
公使覘之 信 遂怨郤至
공사첨지 신 수원극지
여공이 염탐하여 사실 확인후 극지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다.
壬午 胥童夷羊五帥甲八百 將攻郤氏 長魚矯請無用衆 公使淸沸魋助之
임오 서동이양오수갑팔백 장공극씨 장어교청무용중 공사청비퇴조지
임오일 서동과 이양오가 갑병 800을 이끌고 극씨 일가를 치려는데 장어교가 군대를 동원하지 말기를 청하니 공이 청비퇴에게 장어교를 돕게 했다.
抽戈結衽 而僞訟者
추과결임 이위송자
창 머리를 옷깃에 감추고 판결을 받는 것으로 위장하고
三郤將謀於榭 矯以戈殺駒伯苦成叔於其位
삼극장모어사 교이과살구백고성국어기위
세 극씨형제가 사(연무장:훈련소)에서 대비책을 강구하는데 장어교가 창날을 꺼내 구백(극기)과 고성숙(극주)을 죽였다.
溫季曰 逃威也 遂趨 矯及諸其車 以戈殺之 皆尸諸朝
온계왈 도위야 수추 교급제기거 이과살지 개시제조
극지가 말하길 ‘위협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도망하니 장어교가 수레까지 따라가 창으로 죽이고 모든 시신을 조정에 갖다 놓았다.
胥童以甲劫欒書中行偃於朝
서동이갑겁난서중행언어조
서동은 갑병을 데리고 난서와 중행언을 조정에서 몰아세우고 있었다.
矯曰 不殺二子 憂必及君 公曰 一朝而尸三卿 余不忍益也 對曰 人將忍君 臣聞亂在外爲姦 在內爲軌 御姦以德 御軌以刑 不施而殺 不可謂德 臣偪而不討 不可謂刑 德刑不立 姦軌竝至
교왈 불살이지 우필급군 공왈 일조이시삼경 여불인익야 대왈 인장인군 신문난재외위간 재내위궤 어간이덕 어궤이형 불시이살 불가위덕 신핍이불토 불가위형 덕형불립 간궤병지
장어교가 이르길 ‘이 둘을 죽이지 않으면 진나라 여공에게 화가 미칠 것이다’하니 여공이 이르길 ‘하루 아침에 3 정승을 주검을 만들었으니 나로선 더 보기 싫구나’하니 답하길 ‘저 사람들은 장차 고난을 가져올 겁니다. 소신이 들은 바로는 “외부에서 생긴 난은 간이라 하고 내부에서 생긴 난은 궤라 부르는데 간은 덕으로 궤는 벌로서 통제하는 거”라 했습니다. 덕을 베풀지 않고 죽였으니 덕이라 할 수 없고 신하로서 지도자를 핍박하는데 벌 주지 않음은 형벌제도라 할 수 없습니다. 덕과 벌이 바로 서지 않으면 내우외환이 같이하는 법입니다’하며
臣請行 遂出 奔狄
신청행 수출 분적
제가 떠나겠습니다 하곤 오랑캐땅으로 도망하였다.
公使辭於二子 曰 寡人有討於郤氏 郤氏旣伏其辜矣 大夫無辱 其復職位
공사사어이자 왈 과안유토어극씨 극씨기복기고의 대부무욕 기복직위
공이 두사람을 사하고 말하길 ‘과인이 극씨를 벌하여 극씨는 이미 그 죄로 죽었다. 그러니 두 대부는 욕을 당하지 않아도 된다.’하고 본디 지위를 돌려주었다.
皆再拜稽首曰 君討有罪 而免臣於死 君之惠也 二臣雖死 敢忘君德 乃皆歸
개재배계수왈 군토유죄 이면신어사 군지혜야 이신수사 감망군덕 내계귀
두 사람이 모두 손모아 절하며 말하길 ‘군주가 죄를 따지면서 우리 목숨을 구하시니 군주의 은혜입니다 저희 두사람은 죽더라도 군주의 흔혜를 잊지 않을 것입니다’ 하곤 집으로 돌아갔다.
公使胥童爲卿
공사서동위경
여공이 서동을 정승으로 삼았다.
公遊于匠麗氏 欒書行中偃遂執公焉 召士匄 士匄辭
공유우장려씨 난서중행언수집공언 소사개 사개사
여공이 대부 장려의 집으로 놀러가자 난서와 중행언이 여공을 체포하려 사개(진나라 정승)를 불렀으나 사개가 사양하였다.
召韓厥 韓厥辭 曰 昔吾畜於趙氏 孟姬之讒 吾能違兵 古人有言曰 殺老牛 莫之敢尸 而況君乎 二三子不能事君 焉用厥也
소한궐 한궐사 왈 석오축어조씨 맹희지참 오능위병 고인유언왈 살노우 막지감시 이황군호 이삼자불능사군 언용궐야
한궐을 부르니 한궐도 사양하길 ‘지난 날 내 조씨씨의 신세를 진 일 있는데 맹희의 참소로 조씨를 치려 활 때도 병기를 들지 않았다 옛 사람들 말에 ’늙은 소를 잡더라도 난도질은 하지 말라 했거늘 하물며 군주임에랴 여러분이 군주를 잘 모시지 못하면서 그 일에 나를 쓰려는 이유가 뭔가?’ 하였다.
[經]楚人滅舒庸
초인멸서용
초나라가 동맹이던 서용국을 멸망시켰다.
[傳]舒庸人以楚師之敗也 道吳人圍巢 伐駕 圍釐虺. 遂恃吳而不設備 楚公子槖師襲舒庸滅之
서용인이초사지패야 도오인위소 벌가 위리훼 수시오이불설비 초공자탁사습서용멸지
서용국이 초나라 군대에 패한 틈을 타서 오나라 사람들과 소읍을 포위하고 가읍을 정벌하고 리읍과 훼읍을 포위하였다. 오나라를 믿고 방비를 하지 않으니 초나라 공자 탁이 군대를 읶르고 습격하여 서용국을 멸망시켰다.
[傳]閏月乙卯晦 欒書中行偃殺胥童
윤월을묘회 난서중행언살서동
윤달 그믐 을묘일에 난서와 중행언이 서동을 죽였다.
民不與郤氏 胥童道君爲亂
민불여극씨 서동도군위란
백성들이 극씨 일가를 좋아한 것 아니지만 서동이 임금을 꼬드겨 난을 일으킨 것 때문이다.
故皆書曰 晉殺其大夫
고개서왈 진살기대부
고로 모든 역사가 이르길 ‘진나라 사람들이 그 대부를 죽였다’기록한 것이다.
극씨일가를 죽인 진나라 여공, 난서와 중행언이 서동을 죽였음에도 진나라가 대부들을 처단한 것으로 한 이유는 옳지 않은 동기를 부각하려는 것이다.
魯成公 18년
經]十有八年春王正月 晉殺其大夫胥童
십유팔년춘왕정월 진살기대부서동
18년 주왕력 정월 봄 진나라가 대부 서동을 죽였다.
[經]庚申 晉弑其君州蒲
경신 진시기군주포
경신일 진나라 지도자 주포를 시해당하였다.
[傳]十八年春王正月庚申 晉欒書中行偃使程滑弑厲公 葬之于翼東門之外 以車一乘
십팔년춘왕정월경신 진난서중행언사정골시여공 장지우익동문지외 이거일승
18년 봄 주왕력 정월 경신일 진나라 대부 난서와 중행언이 사골을 시켜 여공을 시해하고 익읍 동문 밖에 수레로 시신만 거두어 묻었다.
使荀罃士魴逆周子于京師而立之 生十四年矣
사순앵사방역주자우경사이립지 생십사년의
순앵과 사방을 시켜 경사(여기선 주나라 지역)에 가서 주자(: 진나라 도공)을 맞아들여 군주로 세우니 14살이었다.
大夫逆于淸原 周子曰 孤始願不及此 雖及此 豈非天乎 抑人之求君 使出命也 立而不從 將安用君 二三子用我今日 否亦今日 共而從君 神之所福也
대부역우청원 주자왈 고시원불급차 수급차 기비천호 억인지구군 사출명야 입이부종 장안용군 이삼자용아금일 부역금일 공이종군 신지소복야
대부들이 청원에서 맞이하니 주자가 이르길 ‘난 이걸 바란 적 없으니 이리 되는 것은 하늘의 뜻이 아니다. 사람들의 뜻을 억누르고 주군을 구하여 명을 받들기 위함인데 주군으로 세우고도 따르지 않으면 주군을 잘 모시는 것인가 사람들이 지금은 따르지만 따르지 않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모두가 지도자를 따른다면 신이 주는 복이다’하였다.
對曰 群臣之願也 敢不唯命是聽
대왈 군신지원야 감불유명시청
모두 답하길 ‘신하들의 소원입니다 명을 받잡지 않을 이유 없습니다’ 하더라
庚午 盟而入 館于伯子同氏
경오 맹이입 관우백자동씨
경오일 주자와 대부들이 협정을 하고 백자동의 집에 머물렀다.
辛巳 朝于武宮 逐不臣者七人
신사 조우무궁 축불신자칠인
신사일 무궁에서 조회하고 따르지 않는 신하 7명을 축출하였다.
周子有兄而無慧 不能辨菽麥 故不可立
주자유형이무혜 불능변숙맥 고불가입
주자에게 형이 있었지만 콩과 보리도 구분못할 정도로 어리석었기에 지도자로 세울 수 없었다.
[經]齊殺其大夫國佐
제살기대부국좌
제나라가 대부이자 정승 국무자를 죽였다.
[傳]齊爲慶氏之難 故 甲申晦 齊侯使士華免以戈殺國佐于內宮之朝 師逃于夫人之宮
제위경씨지난 고 갑신회 제후사사화면이과살국좌우내궁지조 수도우부인지궁
제나라가 작년에 국좌가 경극을 죽인 걸 빌미로 그믐 갑신일 제나라 제후가 대부 화면을 시켜 국좌를 궁정내 조정에서 창으로 찔러죽이니 무리들이 부인의 집으로 도망하였다.
書曰齊殺其大夫國佐 棄命 專殺 以穀叛故也
서왈제살기대부국좌 기명 전살 이곡반고야
역사에 제나라가 대부며 국좌(재상)을 죽임은 군주의 명을 어기고 살인을 저지르고 곡지방 사람들과 반란을 일으킨 탓이다.
使淸人殺國勝 國弱來奔 王湫奔萊
사청인살국승 국약래분 왕추분래
재후가 청읍 사람을 시켜 국승을 죽이니 동생 국약이 도망해오고 왕추(국승의 무리)는 래로 도망하였다.
慶封爲大夫 慶佐爲司寇
경봉위대부 경우위사구
경극의 아들 형제 경봉을 대부로 삼고 경좌를 사구(오늘날로 경찰청장)로 임명하였다.
旣 齊侯反國弱 使嗣國氏 禮也
기 제후반국약 사사국씨 예야
이미 제나라 지도자가 국약을 불러들여 국씨의 제사를 받들게 하니 예에 합당하다.
[傳]二月乙酉朔 晉悼公卽位于朝 始命百官 施舍已責 逮鰥寡 振廢滯 匡乏困 救災患 禁淫慝 薄賦歛 宥罪戾 節器用 時用民 欲無犯時
이월을유삭 진도공즉위우조 시명백관 시사이책 체환과 진폐체 광핍곤 구재환 금음닉 박부감 유죄려 절기용 시용민 욕무범시
2월 그믐 을유일에 진나라 도공이 조정에서 즉위하며 백관을 임명하고 이왕의 죄를 사해주고 과부와 홀아비들에게도 미치게 하고 폐출되거나 진급에 적체된 이들을 풀어주고, 궁핍한자를 널리 살피며 재난을 당하고 환자를 구제하고 뒷 수작부리는 걸 금하며 조세를 가볍게 해주며 죄인들을 풀어주며 계량법을 절도있게 하여 백성들이 욕심을 발하지 못하게 하였다.
使魏相士魴魏頡趙武爲卿 荀家荀會欒黶韓無忌爲公族大夫 使訓卿之子弟共儉孝弟
사위상사방위목조무위경 순가순회난염한무기위공족대부 사훈경지자제공검효제
위상과 사방 위목 조무등을 재상으로 삼고 순가 순회 난염 한무기를 공족 대부로 삼고 재상들의 자제를 검소하고 효와 형제간의 우의를 진작하였다.
使士渥濁爲大傅 使脩范武子之法 右行辛爲司空 使脩士蔿之法 弁糾御戎 校正屬焉 使訓諸御知義 荀賓爲右 司士屬焉
사사악탁위대부 사수범무자지법 우행신위사공 사수사위지법 변규어융 교정속언 사훈재어지의 순빈위우 사사속언
사악탁을 큰 스승으로 범무자(한무자)의 법을 공부하게 하며 우행신을 사공(오늘날 범무 감찰)으로 사위(진 헌공때 법무 감찰이었던)의 법을 연구하게 하고 변규를 어융(수비대장?)으로 삼아 교정(경찰?)을 통솔하게 하여 각 수비대장들을 훈련하여 정의란 걸 알게 하였고 순빈을 우장으로 삼아 사사(청와대 사정관?)을 총괄하게 하여
使訓勇力之士時使 卿無共御 立軍尉以攝之 祁奚爲中軍尉 羊舌職佐之 魏絳爲司馬 張老爲候奄 鐸遏寇爲上軍尉 籍偃爲之司馬 使訓卒乘 親以聽命
사훈용역지사시사 경무공어 입군위이섭지 기해위중군위 양설직좌지 위강위사마 장노위후엄 탁알구위상군위 적언위지사마 사훈졸승 친이청명
장사들을 훈련하여 재상들이 함부로 다루지 못하게 하고 부대 질서를 잡았다 기해를 중군위로 양설직을 좌장으로 하며 위강을 사마(병참)을 관장하며 장노를 후엄(척후대)로 탁알구를 상군위로 임명하여 적언을 상군의 사마로 삼아 기마병을 훈련함에 명령체계를 따르게 하였다.
程鄭爲乘馬御 六騶屬焉 使訓群騶知禮 凡六官之長 皆民譽也 擧不失職
정정위승마어 육추속언 사훈군추지예 범육관지장 개민예야 거부실직
정정을 승마어(전차병)으로 임명하여 여섯 종류의 말을 몰게하며 모든 기수들의 예를 세워 6관리의 수장들이 백성들의 존중을 받게 하였으며 직분을 잊지 않도록 하였다.
官不易方 爵不踰德 師不陵正 旅不偪師 民無謗言 所以復霸也
관불역방 작불유청 사불능정 여불핍사 민언방언 소이복패지
관원들이 선을 넘지 않고 장수들이 덕을 잃지 않게 하여 사(2500명의 장수)가 올바름을 능욕하지 않게 하니 여(500명 부대장)이 상관인 사에게 덤벼들지 못하게 하니 백성들이 흠 잡지 못하니 다시 진나라의 패권을 회복하였다.
==
[經]公如晉
공여진
성공이 진나라로 갔다.
[傳]公如晉 朝嗣君也
공여진 조사군야
성공이 진나라로 왕위 계승자의 조정회의에 입조하였다.
[經]夏 楚子鄭伯伐宋
하 초자정백벌송
여름 초나라 군주(자작), 정나라 지도자(백작)이 송나라를 쳤다.
宋魚石復入于彭城
송어석복입우팽성
송나라 어석이 진나라 읍 팽성에 무력으로 복귀하였다.
[傳]夏六月 鄭伯侵宋 及曹門外 遂會楚子伐宋 取朝郟
하유월 정백참송 급조문와 수회초자벌송 취조겹
여름 6월 정나라 백작이 송나라를 침공하여 조문(송나라 정문) 밖에서 초나라 자작 송나라 침략군과 조우하여 조겹땅을 취했다.
楚子辛鄭皇辰侵城郜 取幽丘 同伐彭城 納宋魚石向爲人鱗朱向帶魚府焉 以三百乘戍之而還
초자신정황진침성고 취유구 동벌팽성 납송어석향위인린주향대어부언 이삼백승수지이환
초나라 자신과 정나라 황진이 고 성을 침공하고 유구를 차지하고 같이 팽성을 정벌하고 송나라에 어석 향위인 인주 향대 오부를 파견하고 전차병 300대로 수비하도록 하고 철수하였다.
書曰復入 凡去其國 國逆而立之曰入 復其位曰復歸 諸侯納之曰歸 以惡曰復入
서왈복입 범거기국 국역이립지왈입 복기위왈복귀 제후납지왈귀 이오왈복입
사서에 다시 돌아왔다라 기록한 것은 통상 무리밖으로 나갔다 돌아온 사람을 맞아들이는 걸 입이라 하고 본래 직위로 세우는 걸 귀라하고 제후로 받아들임을 귀라하며 나쁘게 말하면 복입이라 하는 것이다,
宋人患之 西鉏吾曰 何也 若楚人與吾同惡 以德於我 吾固事之也 不敢貳矣 大國無厭 鄙我猶憾 不然 而收吾憎 使贊其政 以間吾釁 亦吾患也 今將崇諸侯之姦而披其地 以塞夷庚 逞姦而攜服 毒諸侯而懼吳晉 吾庸多矣 非吾憂也 且事晉何爲 晉必恤之
송인환지 서서오왈 하야 약초인여오동오 이덕어아 오고사지야 불감이의 대국무염 비아유감 불연 이수오증 사찬기정 이간오흔 역오환야 금장숭제후지간이피기지 이색이경 영간이휴복 독제후이구오진 오용다의 비오우야 차사진하위 진필휼지
송나라 사람들이 초나라를 근심하니 서서오가 이르길 ‘뭐하러 걱정하는 가? 하며 초나라 사람들이 우리처럼 5사람을 미워하여 우리에게 덕을 베풀면 우리가 초나라를 섬겼으니 굳이 양다리라 걱정할 필요없고 큰 나라의 미움을 사지 않는 것이니 우리를 하찮게 여겨 신경쓰지 않음입니다. 그렇지 않고 우리의 미워하는 사람들로 다스림을 격려하여 우리를 틈타게 한다면 근심거리 일 것입니다. 지금 장차 제후의 간신들을 존중하여 그 땅을 헤집고 이경(교통요지)를 막으려하고 간신 무리를 반겨 복종하는 사람들을 붙잡고 제후들로 오나라와 진나라를 두려워하게 하니 우리로선 유리함이 많은 것이지 근심거리는 아닙니다. 또 우리가 진나라를 섬기는 이유가 뭡니까 진나라가 우리를 도울 것입니다’ 하였다.
[經]公至自晉
공지자진
성공이 진나라로부터 돌아왔다.
[經]晉侯使士匄來聘
진후사사개래빙
진나라 제후가 대부 사개=범선자를 친선방문하게 시켰다.
[傳]公至自晉
공지자진
성공이 진나라로부터 돌아오다.
晉范宣子來聘 且拜朝也
진범원자래빙 차배조야
진나라 범선자가 친선방문하여 성공이 진나라에 입조한 것에 감사를 표했다.
君子謂晉於是乎有禮
군자위진어시호유례
군자(학자)들이 진나라가 행한 것을 예라고 평하였다.
[經]秋 杞伯來朝
추 기백래조
가을 기나라 지도자가 입조하였다.
[傳]秋 杞桓公來朝 勞公 且問晉故 公以晉君語之 杞伯於是驟朝于晉 而請爲昏
추 기환공래조 노공 차문진고 공이진군어지 기백어시취조우진 이청위혼
가을 기나라환공이 입조하여 성공을 치하하고 진나라의 사정을 물었다. 성공이 진나라 지도자에 대해 이야기하니 기나라 백작(지도자)가 진나라로 서둘러 입조하여 국혼을 청하였다.
[傳]七月 宋老佐華喜圍彭城 老佐卒焉
칠월 손노좌화희위팽성 노좌졸언
7월 송나라 송나라 노좌와 화희가 팽성을 포위하였다가 노좌가 전장에서 죽었다.
[經]八月 邾子來朝
팔월 주자래조
8월 주나라 지도자 子爵이 입조하였다.
[傳]八月 邾宣公來朝 卽位而來見也
팔월 주선공래조 즉위이해견야
8월 주나라 선공이 입조하니 이는 그가 즉위 인사차 온 것이다.
[經]築鹿囿
축녹유
사슴 정원을 만들었다.
[傳]築鹿囿 書 不時也
출녹유 서 불시야
사슴공원을 만들자 역사서는 시기에 맞지 않다 하였다.
[經]己丑 公薨于路寢
기축 공훙우노침
기축일 성공이 임금의 정전(노침)에서 붕어하였다.
[傳]己丑 公薨于路寢 言道也
기축 공훙우노침 언도야
기축일에 성공이 침전에서 돌아가시니 합당하다 기록했다.
[經]冬 楚人鄭人侵宋
동 초인정인침송
겨울 초나라와 정나라가 송나라를 침공하였다.
[傳]冬十一月 楚子重救彭城 伐宋 宋華元如晉告急
동십일월 초자중구팽성 벌송 송화원여진고급
겨울 11월에 초나라 지도자 중이 와서 팽성을 도와달라하고 송나라를 치니 송나라 화원이 진나라에 위급함을 알렸다.
韓獻子爲政 曰 欲求得人 必先勤之 成霸安疆 自宋始矣
한헌자위정 왈 욕구득인 필선근지 성패안강 자송시의
한헌자가 진나라 정승으로 말하길 ‘사람을 얻자면 먼저 수고해야 하고 세상을 안정하자면 송나라 구원부터 해야 한다’ 했다
晉侯師于台谷以救宋
진후사우대곡이구송
진나라 지도자가 병력을 대곡으로 발동하여 송나라를 돕고자 했다.
遇楚師於靡角之谷 楚師還
우초사어미각지곡 초사환
초나라 군사를 송나라 땅 미각 골짜기서 만나니 초나라 군사가 회군하였다.
[傳]晉士魴來乞師
진사방래걸사
진나라 사방이 와서 병력을 요청하니
季文子問師數於臧武仲 對曰 伐鄭之役 知伯實來 下軍之佐也 今彘季亦佐下軍 如伐鄭可也 事大國 無失班爵而加敬焉 禮也
계문자문사수어장무중 대왈 벌정지역 지백실래 하군지좌야 금체계역좌하군 여벌정가야 사대국 무실반작이가경언 예야
계문자가 장무중에게 얼마나 보내야하냐 하니 답이 ‘정나라 토벌시 지백(荀罃)이 와서 병력을 요청할 때 하군좌(하군의 부장)이었습니다. 지금 체계(士魴)역시 하군의 부장이니 정나라 토벌 때와 동수로 하면 가합니다. 대국을 대우할 때 작위를 무시하지 않음이 예입니다.’
從之
종지
따르더라
[經]晉侯使士魴來乞師
진후사사방래걸사
진나라 지도자(侯爵지위)가 사장을 보내 병력을 청하였다.
[經]十有二月 仲孫蔑會晉侯宋公衛侯邾子齊崔杼同盟于虛朾
십유이월 중손멸회진후송공위후주자제최저동맹우허정
12월 중손(둘째 손자)멸이 진나라, 송나라, 위나라, 주나라 지도자들과 제나라 최저와 허정에서 동맹하였다.
[經]丁未 葬我君成公
정미 장아공성공
정미일 성공을 장례하였다.
[傳]十二月 孟獻子會于虛朾 謀救宋也 宋人辭諸侯 而請師以圍彭城
십이월 맹헌자회우허정 모구송야 송인사제후 이청사이위팽성
12월 맹헌자가 허정으로 가서 송나라 원조를 상의하려 했으나 송나라가 제후들은 사양하고 병력만 청해 팽성을 포위하였다.
孟獻子請于諸侯 而先歸會葬
맹헌자청우제후 이선귀회장
맹헌자가 제후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성공의 장례에 참여하기 위해 먼저 귀국하였다.
丁未 葬我君成公
정미 장아군성공
정미일 성공의 장례가 있었다.
書 順也
서 순야
역사는 이를 순리에 맞다고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