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符經
天符經 天帝桓國 口傳之書也. 桓雄大聖尊 天降後 命神誌赫德 以鹿圖文 記之. 崔孤雲致遠 亦嘗見神誌篆古碑 更復作帖 而傳於世者也.
천부경 천제환국 구전지서야. 환웅대성존 천강후 명신지혁덕 이녹도문 기지. 최고운치원 역상견신지전고비 경복작첩 이전어세자야.
천부경은 천제 환국 때부터 구전되던 글이다. 환웅대성존께서 하늘의 뜻을 받들어 내려오신 뒤에, 신지(神誌) 혁덕(赫德)에게 명하여 녹도문(鹿圖文)으로 이를 기록하게 하였는데, 고운(孤雲) 최치원이 일찍이 신지의 전서[神誌篆]로 씌인 오래된 비석을 보고 첩(帖)으로 만들어 세상에 전한 것이다.
然 至本朝 專意儒書 更不與皀衣相聞 而欲存者 具亦恨哉. 以故 特表而出之 以示後來.
연 지본조 전의유서 경불여조의상문 이욕존자 구역한재. 이고 특표이출지 시이후래.
그러나 지금 조선에 이르러, 세상 사람들이 오로지 유가 경전에만 뜻을 두고, 皀衣 정신을 되살려 다시 서로 들어 보고 보존하려는 자가 없으니 이 또한 참으로 한스러운 일이다. 그러므로 특별히 이를 들춰 내어 후손에게 전하고자 한다.
* 皀衣: 단순히 직급 이름이 아닌 일종의 수련집단으로 이론과 실천을 겸하는 집단....
天符經 八十一字
一始無始一 析三極 無盡本.
일시무시일 석삼극 무진본.
하나의 시작이라지만 하나에서 시작하는게 아니고 3 극점(아바타)으로 나뉘어도 본질을 상하지 않는다.
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一積十鉅 無匱化三.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일적십거 무궤화삼.
하늘과 땅 사람을 하나로 보아 순번을 매기면 (물건들도 순번을 매기게 되니) 그 하나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으나 단지 천지인 3으로만 보자.
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大三合六 生七八九.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대삼합육 생칠팔구.
그리 아바타로 변형된 걸 셋으로 보면 그 개념들과 원래 천지일이 더해져 6개로 보이고 그에 따라 다음 순번 7,8,9로 정해진다.
運三四成 環五七 一妙衍萬往萬來 用變不動本 本心本.
운삼사성 환오칠 일묘연만왕만래 영뱐부동본 본심본.
처음 천지인을 묶어 4로 만들어 처음 천지인과 합쳐 5라고 하고 다음 소위 복사본(아바타) 천지일과 합쳐 7개라 하면 그 신묘함이 모든 만물에 적용되어 쓰임은 변하지만 처음 천지인이 바뀌는 건 아니고 본래 천지인은 그대로 근본은 중심이 되는 근본 그대로다.
太陽昻明 人中天地一 一終無終一
태양앙명 인중천지일 일종무종일.
태양이란 최고(昻) 지혜가 비추듯 사람들 깨달음 속에 천지(正,反)가 합쳐지니 (合)결과가 최종 결론은 아니다.(사람마다 나름의 合을 가지게 되니 결론이 다 똑같은 건 아니다.)
三皇內文經 紫府先生 授軒轅 使之洗心歸義者也. 先生 嘗居三淸之宮 宮在靑邱國大風山之陽. 軒侯 親朝蚩尤 路經名華 有是承聞也.
삼황내문경 자부선생 수헌원 사지세심귀의자야. 선생 상거삼청지궁 궁재청구국대풍산지양.
삼황내문경은 자부선생이 헌원에게 주어 그로 하여금 마음을 닦아 올바름=깨우침을 이루게 한 책이다. 선생은 일찌기 삼청궁에 산 적이 있는데, 삼청궁은 청구국 대풍산의 남쪽에 있었다. 당시 제후이던 헌원이 몸소 치우천왕을 배알하고 가는 길에 선생의 명성을 듣고 찾아가서 가르침을 전해 들은 것이다.
經文 以神市鹿書記之 分爲三篇
경문 이신시녹서기지 분위삼편
경문은 신시 시대의 녹서로 기록되어 세편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 鹿書: 사슴 발자국에서 영감받아 만들어진 글자 수메르 문자와 비슷한 형태???
後人推演加注 別爲神仙陰符之說
후인추연가주 별위신선음부지설.
후세 사람들이 이 글을 주석한다며 따로 신선음부(道家)의 설을 만들었다.
周秦以來 爲道家者流之所托 間有鍊丹服食 許多方術之說 紛秉雜出 而多惑溺.
주진이래 위도가자유지소탁 간유연단복식 허다방술지설 분병잡출 이다혹익.
주나라와 진나라 이래로 도가 학파들이 이런 說에 의탁하여 이따금 단약을 만들어서 불사약으로 먹기도 하였고, 그 외 허다한 방술의 설이 어지러이 뒤섞여 나돌아 이에 미혹되어 빠지는 자가 속출하였다.
至於徐福韓終 亦以淮泗之産 素有叛秦之志 至是 ‘入海求仙’爲言 仍逃不歸.
지어서복한종 역이회사지산 소유반진지지 지시 입해구선위언 잉도불귀.
회사지역 출신인 서복한이 마지막 순간 진나라에 모반하려는 의지로 ‘바다로 들어가 신선을 찾는다’고 말하고는 도망쳐서 돌아오지 않았다.
장생불사 이론이 허상임을 알고 도망친 것
서복한으로 읽는 이유는 韓=汗이 혼용되고 일종의 직위라 본 탓...즉, 그 정도 위치로 출세한 사람이 각종 방술이 허망한 것을 깨달아 도망한 것으로 본다. 여기서 海란 바다가 아닌 물의 총칭으로 여기서는 큰 강물로 보고 일종의 국경선을 의미하므로....
日本紀 伊有徐市題名之刻 伊國新宮有徐市墓祠云. 徐福 一稱徐市 市福音混也.
일본기 이유서불개명지각 이국신궁유서불묘사운. 서복 일칭서불 불복음혼야.
일본기록에 서불의 이름을 새겨 놓은 조각이 있다고 하고 그 나라에 새로운 궁에 서불의 무덤과 사당이 있다고 전한다. 서복은 일명 서불(徐市)이라 부르는데, 이는 불(市)과 福의 음이 비슷하여 혼동된 것이다.
복의 중국어 발음은 푸...
'桓檀古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太白逸史-蘇塗經典本訓- 神誌秘詞 (0) | 2020.07.28 |
---|---|
太白逸史 - 蘇塗經典本訓 - 三一神誥 (0) | 2020.07.27 |
太白逸史 - 蘇塗經典本訓 1 (0) | 2020.07.26 |
太白逸史- 三韓管境本紀- 番韓世家 上 下(합본) (0) | 2020.07.24 |
太白逸史-三韓管境本紀- 馬韓世家 上, 下 (0) | 2020.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