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史記

列傳 第四-居柒夫

居柒夫

 

居柒夫[或云荒宗]姓金氏 奈勿王五世孫. 祖仍宿角干 父勿力伊飡.

거칠부[혹운황종]성김씨 내물왕오세손. 조잉숙각간 부물력이찬.

 

거칠부(居柒夫)[혹은 황종(荒宗)이라고도 한다.]의 성은 김()씨이고, 내물왕(奈勿王)5세손이다. 조부는 각간 잉숙(仍宿)이요, 아버지는 이찬 물력(勿力)이다.

 

居柒夫少跅弛有遠志 祝髮爲僧 遊觀四方. 便欲覘高句麗 入其境. 聞法師惠亮開堂說經 遂詣聽講經. 一日 惠亮問曰 沙彌從何來?” 對曰 某新羅人也.” 其夕 法師招來相見 握手密言曰 吾閱人多矣 見汝容貌 定非常流 其殆有異心乎?”

거칠부소적이유원지 축발위승 유관사방. 편욕점고구려 입기경. 문법사혜량개당설경 수지청강경. 일일 혜량문왈 사미종하래?” 대왈 모신라인야.” 기석 법사초래상견 악수밀언왈 오열인다의 견여용모 정비상류 기태유이심호?”

 

거칠부는 젊었을 때 세속에 얽매이지 않는 원대한 뜻이 있어 삭발하고 중이 되어 사방을 유람하였다. 문득 고구려를 엿보고 싶은 생각이 들어 그 나라 경내로 들어갔다. 법사(法師) 혜량(惠亮)이 강당을 열고 불경을 설명한다는 말을 듣고 그곳으로 가서는 불경 강론을 들었다. 하루는 혜량이 물었다. “사미(沙彌, 수행승)는 어디서 왔는가?” 거칠부가 대답하였다. “저는 신라인입니다.” 그날 저녁에 법사가 그를 불러 놓고 손을 잡으며 은밀히 말했다. “내가 사람을 많이 보았는데 너의 용모를 보니 분명코 범상치가 않다. 아마도 다른 마음을 품고 있지 않느냐?”

 

答曰 某生於偏方 未聞道理 聞師之德譽 來伏下風 願師不拒 以卒發蒙.” 師曰 老僧不敏 亦能識子 此國雖小 不可謂無知人者 恐子見執 故密告之 宜疾其歸.”

답왈 모생어편방 미문도리 문사지덕예 래복하풍 원사불거 이졸발몽.” 사왈 노승불민 역능식자 차국수소 불가위무지인야 공자견집 고밀고지 의질기귀.”

 

거칠부가 대답하였다. “제가 변방에서 태어나 참된 도리를 듣지 못하였는데, 스님의 높으신 덕망을 듣고 와서 말석에 참여하였습니다. 스님께서는 거절하지 마시고 끝까지 저의 어리석음을 깨우치게 하여 주십시오.” 법사가 말했다. “노승이 둔하고 재빠르지 못하지만 그대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 수 있다. 이 나라가 비록 작지만 사람을 알아보는 자가 없다고 할 수 없다. 그대가 잡힐까 염려되어 은밀히 일러 주는 것이니, 그대는 빨리 돌아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居柒夫欲還 師又語曰 相汝鷰頷鷹視. 將來必爲將帥 若以兵行 無貽我害.” 居柒夫曰 若如師言 所不與師同好者 有如皦日.” 遂還國返本從仕 職至大阿飡.

거칠부욕환 사우어왈 상여연함응시 장래필위장수 약이병행 무이아해 거칠부왈 약여사언 소불여사동호자 유여교일 수환국반본종사 직지대아찬.

 

거칠부가 돌아가려 하니 법사가 또 말했다. “너의 상을 보니 제비 턱에 매 눈이라, 앞으로 반드시 장수가 될 것이다. 만약 병사를 거느리고 오게 되거든 나에게 해를 끼치지 말라!”

거칠부가 말했다. “만일 스님의 말씀과 같은 일이 생긴다면, 이는 스님과 제가 모두 좋아할 만한 일이 아닙니다. 밝은 해를 두고 맹세하겠습니다.” 그는 마침내 귀국하여 본심대로 벼슬길에 나아가 직위가 대아찬에 이르렀다.

 

眞興大王六年乙丑 承朝旨 集諸文士 修撰國史 加官波珍飡.

진흥대왕육년을축 승조지 집제문사 수찬국사 가관파진찬.

 

진흥대왕(眞興大王) 6(서기 554) 을축에 그는 왕명을 받들어 여러 문사(文士)들을 소집하여 신라의 국사를 편찬하였고, 벼슬이 파진찬으로 올라갔다.

 

十二年辛未 王命居柒夫及仇珍大角飡比台角飡耽知迊飡非西迊飡奴夫波珍飡西力夫波珍飡比次夫大阿飡未珍夫阿飡等八將軍 與百濟侵高句麗. 百濟人先攻破平壤 居柒夫等 乘勝取竹嶺以外 高峴以內十郡. 至是 惠亮法師 領其徒 出路上.

십이년신미 왕명거칠부급구진대각찬비태각찬탐지잡찬비서잡찬노부파진찬서력부파진찬비차부대아찬미진부아찬등팔장군 여백제침고구려. 백제인선공차평양 거칠부등 승승취죽령이외 고현이내십군. 지시 혜량법사 영기도 출노상.

 

진흥왕 12(서기 551) 신미에 왕이 거칠부와 대각찬 구진(仇珍), 각찬 비태(比台), 잡찬 탐지(耽知)ㆍ비서(非西), 파진찬 노부(奴夫)와 서력부(西力夫), 대아찬 비차부(比次夫), 아찬 미진부(未珍夫) 등 여덟 장군을 시켜서 백제와 함께 고구려를 공격하도록 명령하였다. 백제인들이 먼저 평양을 격파하고, 거칠부 등은 승세를 몰아 죽령(竹嶺) 이북 고현(高峴) 이내의 10개 군을 빼앗았다. 이때 혜량법사가 무리를 이끌고 길가에 나와 있었다.

 

居柒夫下馬 以軍禮揖拜 進曰 昔 遊學之日 蒙法師之恩 得保性命 今 邂逅相遇 不知何以爲報對曰 今 我國政亂 滅亡無日 願致之貴域.”

거칠부하마 이군예집배 진왈 석 유학지일 몽법사지은 득보성명 금 해후상우 부지하이위보.” 대왈 금아국정란 멸망무일 원치지귀역.”

 

거칠부가 말에서 내려 군례로써 인사하고 앞으로 나아가 말하였다. “옛날 유학할 때 법사님의 은혜를 입어 목숨을 보전하였는데, 지금 뜻밖에 만나게 되니 어떻게 보답하여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법사가 대답하였다. “지금 우리나라는 정사가 어지러워 멸망할 날이 머지않았으니, 귀국으로 데려가 주기를 바라오.”

 

於是 居柒夫同載以歸 見之於王 王以爲僧統 始置百座講會及八關之法 眞智王元年丙申 居柒夫爲上大等 以軍國事務自任 至老終於家 享年七十八.

어시 거칠부동재이귀 견지어왕 왕이위승통 시치백좌강회급팔관지법 진지왕원년병신 거칠부위상대등 이군국사무자임 지노종어가 향년칠십팔.

 

이에 거칠부가 같이 수레에 타고 돌아와서 왕에게 배알시켰다. 왕이 그를 승통(僧統, 승려의 가장 높은 지위)으로 삼고 처음으로 백좌강회(百座講會)와 팔관법회(八關法會)를 열었다.

진지왕(眞智王) 원년(서기 576) 병신에 거칠부가 상대등이 되어 군국사무를 자임(自任)하다가 늙어 자기 집에서 죽으니 향년 78세였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列傳 第四-異斯夫  (0) 2020.03.18
列傳 第四-居道  (0) 2020.03.18
列傳 第四-乙支文德  (0) 2020.03.17
列傳 第三-金庾信 下  (0) 2020.03.16
列傳 第二-金庾信 中  (0) 2020.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