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句麗,百濟
高句麗百濟職官 年代久遠 文墨晦昧 是故不得詳悉. 今但以其著於古記及中國史書者 爲之志.
고구려백제직관 연대구원 문묵회매 시고부득상실. 금단이기저어고기급중국사거자 위지지.
고구려와 백제의 관직은 연대가 오래 되었으며 기록이 모호하여 자세히 알 수 없다. 이제 다만 옛 기록과 중국의 역사서에 나타나 있는 것을 기록하여 지(志)를 만든다.
隋書云 “高句麗官 有太大兄次大兄次小兄次對盧次意侯奢次烏拙次太大使者次大使者次小使者次褥奢次翳屬次仙人 凡十二等 復有內評外評五部褥薩.
수서운 고구려관 유태대형차대형차소형차대노차의후사차오졸차태대사자차대사자차소사자차욕사차예속차선인 범십이등 복유내평외평오부욕살.”
수서(隋書)에는 “고구려 관직에 태대형(太大兄)이 있고, 다음은 대형(大兄), 다음은 소형(小兄), 다음은 대로(對盧), 다음은 의후사(意侯奢), 다음은 오졸(烏拙), 다음은 태대사자(太大使者), 다음은 대사자(大使者), 다음은 소사자(小使者), 다음은 욕사(褥奢), 다음은 예속(翳屬), 다음은 선인(仙人) 등 12등급이 있으며, 또한 내평(內評), 외평(外評)과 5부욕살(五部褥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新唐書云 “高句麗官凡十二級 曰大對盧 或曰吐捽 曰鬱折 主圖簿者 曰太大使者 曰皂衣頭大兄 所謂皂衣者 仙人也 秉國政 三歲一易 善職則否 凡代日 有不服則相攻 王爲閉宮守 勝者聽爲之 曰大使者 曰大兄 曰上位使者 曰諸兄 曰小使者 曰過節 曰先人 曰古鄒大加.” 又云 “莫離支大莫離支中裏小兄中裏大兄.”
신당서운 “고구려관범십이급 왈대태로 혹왈토졸 왈울절 주도부자 왈태대사자자 왈조의두대형 소위조의자 선인야 병국정 삼세일역 선직즉부 범대일 유불복즉상공 왕위폐궁수 승자청위지왈대사자 왈대형 왈상위사자 왈제형 왈소사자 왈과절 왈선인 왈고추대가.” 우운 “막리지대막리지중리소형중리대형.”
신당서(新唐書)에는 “고구려의 관직은 12등급이 있는데 첫째는 대대로(大對盧) 혹은 토졸(吐捽)이라 하며, 다음은 울절(鬱折)이니 도서(圖書)와 문부(文簿)를 주관한다. 다음은 태대사자라 한다. 다음은 조의두대형(皂衣頭大兄)이니 이른바 조의란 곧 선인(仙人)으로서 국정을 담당하는데, 3년에 한번 씩 교체하되 직책을 잘 처리하면 교체하지 않는다. 대체로 교대하는 날 복종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로 공격을 하는데 왕은 대궐문을 닫고 지키다가 승리하는 자에게 정권을 맡긴다. 다음은 대사자, 다음은 대형, 다음은 상위사자(上位使者), 다음은 제형(諸兄), 다음은 소사자, 다음은 과절(過節), 다음은 선인(先人), 다음은 고추대가(古鄒大加)들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밖에도 “막리지(莫離支), 대막리지(大莫離支), 중리소형(中裏小兄), 중리대형(中裏大兄)이라는 관직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冊府元龜云 “高句麗 後漢時其國置官 有相加對盧沛者古鄒大加[古鄒大加 高句麗掌賓客之官 如大鴻臚也]主簿優[一作于]台使者皂衣先人 一說 大官有大對盧 次有太大兄大兄小兄意俟奢烏拙太大使者小使者褥奢翳屬仙人 幷褥薩 凡十二等 復有內評外評 分掌內外事焉.” 右見中國歷代史.
책부원귀운 “고구려 후한시기국치관 유상가대노패자고추대가[고추대가 고구려장빈객지관 여대홍려야] 주부[일작우]태사자조의선인 일설 대관유대대로 차유태대형대형소형의사사오졸태대사자소사자욕예속선인 병욕살 범십이등 복유내평외평 분장내외사언.” 우견중국역대사.
책부원귀(冊府元龜)에는 “고구려는 후한 시대에 관직을 설치하였는데 상가(相加), 대로(對盧), 패자(沛者), 고추대가[고추대가는 고구려의 빈객 접대를 맡는 관리로서 대홍려(大鴻臚)와 같은 것이다.], 주부(主簿), 우태(優台)[우(于)로도 쓴다.], 사자, 조의, 선인 등이 있으며, 일설에는 대관으로서 대대로(大對盧)가 있고 다음에 태대형, 대형, 소형, 의사사, 오졸, 태대사자, 소사자, 욕사, 예속, 선인과 욕살을 합하여 12등급이 있으며, 또한 내평과 외평을 두어 내외의 사무를 나누어 맡게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상은 중국의 역대 사서에서 참고한 것이다.
左輔右輔大主簿國相九使者中畏大夫. 右見本國古記.
좌보우보대주부국상구사자중외대부. 우견본국고기.
좌보(左輔), 우보(右輔), 대주부(大主簿), 국상(國相), 구사자(九使者), 중외대부(中畏大夫)등이 있는데 이상은 본국 고기(古記)에 보인다.
廣評省匡治奈[今侍中]徐事[今侍郞]外書[今員外郞]兵部大龍部[謂倉部]壽春部[今禮部]奉賓部[今禮賓省]義刑臺[今刑部]納貨府[今大府寺]調位府[今三司]內奉省[今都省]禁書省[今秘書省]南廂壇[今將作監]水壇[今水部]元鳳省[今翰林院]飛龍省[今太僕寺]物藏省[今少府監]史臺[掌習諸譯語]植貨府[掌栽植菓樹]障繕府[掌修理城隍]珠淘省[掌造成器物]正匡元輔大相元尹佐尹正朝甫尹軍尹中尹 右弓裔所制官號.
광평성광치나[금시중], 서사[금시랑], 외서[금원외랑], 병부대룡부[위창부], 수춘부[금예부], 봉빈부[금예빈성], 의형대[금형부], 납화부[금대부사], 조위부[금삼사], 내봉성[금도성], 금서성[금비서성], 남상단[금장작감], 수단[금수부], 원봉성[금한림원], 비룡성[금태복시], 물장성[금소부감], 사대[장습제역어], 식화부[장제식과수], 장선부[장수리성황], 주도성[장조성기물], 정광, 원보, 대상, 원윤, 좌윤, 정조, 보윤, 군윤, 중윤. 우궁예소제관호.
광평성(廣評省), 광치나(匡治奈)[지금의 시중(侍中)], 서사(徐事)[지금의 시랑(侍郞)], 외서(外書)[지금의 원외랑(員外郞)], 병부(兵部), 대룡부(大龍部)[창부(倉部)를 말함.], 수춘부(壽春部)[지금의 예부(禮部)], 봉빈부(奉賓部)[지금의 예빈성(禮賓省)], 의형대(義刑臺)[지금의 형부(刑部)], 납화부(納貨府)[지금의 대부사(大府寺)], 조위부(調位府)[지금의 삼사(三司)], 내봉성(內奉省)[지금의 도성(都省)], 금서성(禁書省)[지금의 비서성(秘書省)], 남상단(南廂壇)[지금의 장작감(將作監)], 수단(水壇)[지금의 수부(水部)], 원봉성(元鳳省)[지금의 한림원(翰林院)], 비룡성(飛龍省)[지금의 태복시(太僕寺)], 물장성(物藏省)[지금의 소부감(少府監)], 사대(史臺)[모든 외국어 학습을 맡은 기관], 식화부(植貨府)[과수 재배를 맡은 기관], 장선부(障繕府)[성황(城隍)의 수리를 맡은 기관], 주도성(珠淘省)[기물의 제작을 맡은 기관], 정광(正匡), 원보(元輔), 대상(大相), 원윤(元尹), 좌윤(佐尹), 정조(正朝), 보윤(甫尹), 군윤(軍尹), 중윤(中尹). 이상은 궁예(弓裔)가 제정한 관직명이다.
北史云 百濟官有十六品 左平五人一品 達率三十人二品 恩率三品 德率四品 扞率五品 奈率六品 將德七品 施德八品 固德九品 季德十品 對德十一品 文督十二品 武督十三品 佐軍十四品 振武十五品 剋虞十六品. 自恩率以下 官無常員 各有部司 分掌衆務 內官有前內部穀內部內 部外 部馬部刀部功德部藥部木部法部後宮部 外官有司軍部司徒部司空部司寇部點口部外舍部綢部日官部市部 長吏三年一交代.
북사운 “백제관유 십육품 좌평오인일품, 달솔삼십인이품, 은솔삼품, 덕솔사품, 한솔오품, 나솔육품, 장덕칠품, 시덕팔품, 고덕구9품, 계덕십품, 대덕십일품, 문독십이품, 무독십삼품, 좌군십사품, 진무십오품, 극우십육품. 자은솔이하 관무상원 각유부사 분장중무. 내관유전내부곡내부내 부외 부마부도부공덕부약부목부법부후궁부 부외 부마부도부공덕부약부목부법부후궁부. 외관유사군부사도부사공부사구부점구부와서부조부일관부시부 장리삼년일교대.
『북사(北史)』에는 “백제의 관직에는 16품이 있었다. 좌평(左平) 5명은 1품, 달솔(達率) 30명은 2품, 은솔(恩率)은 3품, 덕솔(德率)은 4품, 한솔(扞率)은 5품, 나솔(奈率)은 6품, 장덕(將德)은 7품, 시덕(施德)은 8품, 고덕(固德)은 9품, 계덕(季德)은 10품, 대덕(對德)은 11품, 문독(文督)은 12품, 무독(武督)은 13품, 좌군(佐軍)은 14품, 진무(振武)는 15품, 극우(剋虞)는 16품이다. 은솔 이하의 관직에는 정원이 없고 각각 부서를 두어 여러 가지 사무를 분담하였다. 내직에는 전내부(前內部), 곡내부(穀內部), 내경부(內部), 외경부(外部), 마부(馬部), 도부(刀部), 공덕부(功德部), 약부(藥部), 목부(木部), 법부(法部), 후궁부(後宮部)가 있으며, 외직에는 사군부(司軍部), 사도부(司徒部), 사공부(司空部), 사구부(司寇部) 점구부(點口部), 외사부(外舍部), 주부(綢部), 일관부(日官部), 시부(市部)가 있고, 책임관은 3년에 한번 씩 교체하였다.
都下有方 各爲五部 曰上部前部中部下部後部 部有五巷 士庶居焉 部統兵五百人 五方各有方領一人 以達率爲之 方佐貳之 方有十郡 郡有將三人 以德率爲之 統兵一千一百人以下七百人以上.
도하유방 각위오부 왈상부전부중부하부후부. 부유오항 사서거언 부통병오백인 오방각유방령일인 이달솔위지 방좌이지. 방유십군 군유장삼인 이덕솔위지 통병일천일백인이하칠백인이상.”
서울에는 방을 두고 각각의 방을 5부로 나누었는데, 이를 상부(上部), 전부(前部), 중부(中部), 하부(下部), 후부(後部)라 하였다. 부에는 5개의 항을 두었는데 이곳에 평민들이 거주하였다. 부는 군사 5백 명을 통솔하며 5방에 방령(方領)을 각각 1명씩 두었는데, 달솔을 이에 임명하고 방좌(方佐)를 두어 그를 보좌케 하였다. 방에는 10개 군이 있고 군에는 장수 3명을 두었는데 덕솔을 이에 임명하여 군사 1천1백 명 이하 7백 명 이상을 통솔하게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隋書云 百濟官有十六品 長曰左平 次大率 次恩率 次德率 次扞率 次奈率 次將德 次施德 次固德 次季德 次對德 次文督 次武督 次佐軍 次振武 次剋虞 五方各有方領一人 方佐貳之 方有十郡 郡有將.
수서운 “백제관유십육품 장왈좌평 차대솔 차은솔 차덕솔 차한솔 차나솔 차장덕 차시덕 차고덕 차계덕 차대덕 차문독 차무독 차좌군 차진무 차극우 오방각유방령일인 방좌이지 방유십군 군유장.”
수서(隋書)에는 “백제의 관직에는 16품이 있었는데 우두머리를 좌평(左平)이라 하고, 다음은 대솔(大率), 다음은 은솔(恩率), 다음은 덕솔(德率), 다음은 한솔(扞率), 다음은 나솔(奈率), 다음은 장덕(將德), 다음은 시덕(施德), 다음은 고덕(固德), 다음은 계덕(季德), 다음은 대덕(對德), 다음은 문독(文督), 다음은 무독(武督), 다음은 좌군(佐軍), 다음은 진무(振武), 다음은 극우(剋虞)라 하였다. 5방에 각각 방령(方領) 1명을 두고 방좌(方佐)를 두어 그들을 보좌케 하였다. 방에는 10개 군이 있고 군에는 장수를 두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唐書云 “百濟所置內官 曰內臣佐平 掌宣納事 內頭佐平 掌庫藏事 內法佐平 掌禮儀事 衛士佐平 掌宿衛兵事 朝廷佐平 掌刑獄事 兵官佐平 掌外兵馬事.” 右見中國歷代史.
당서운 백제소치내관 왈내신좌평 장선납사. 내두좌평 장고장사. 내법좌평 장예의사. 위사좌평 장숙위병사. 조정좌평 장형옥사. 병관좌평 장외병마사 우견중국역대사.
당서(唐書)에는 “백제에서 두었던 내직으로서 내신좌평(內臣佐平)은 명령의 출납을 맡고, 내두좌평(內頭佐平)은 창고의 저장 사무를 맡고, 내법좌평(內法佐平)은 의례에 관한 사무를 맡고, 위사좌평(衛士佐平)은 숙위 군사에 관한 일을 맡고, 조정좌평(朝廷佐平)은 형벌과 옥사에 관한 일을 맡고, 병관좌평(兵官佐平)은 지방 군사에 관한 사무를 맡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상은 중국 역대 사서에서 참고한 것이다.
左輔右輔左將上佐平北門頭 右見本國古記.
좌보우보좌장상좌평북문두 우견본국고기.
좌보(左輔), 우보(右輔), 좌장(左將), 상좌평(上佐平), 북문두(北門頭) 이상은 본국(고려???) 고기(古記)에 나오는 관명이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列傳 第二-金庾信 中 (0) | 2020.03.14 |
---|---|
列傳 第一 -金庾信 上 (0) | 2020.03.13 |
雜志 第九-신라 外官 (0) | 2020.03.12 |
雜志 第九-신라 武官 3 (0) | 2020.03.11 |
雜志 第九-신라 武官 2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