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史記

雜志 第九-신라 外官


신라 외관

 

都督九人 智證王六年 以異斯夫爲悉直州軍主 文武王元年 改爲摠管 元聖王元年 稱都督 位自級飡至伊飡爲之.

도독구인 지증왕육년 이이사부위실직구군주 문무왕원년 개위총관 원성왕원년 칭도독 위자급찬지이찬위지.

 

도독(都督)9명으로 지증왕 6(서기 505)에 이사부(異斯夫)를 실직주군주(悉直州軍主)로 삼았고 문무왕 원년(서기 661)에 총관(摠管)으로 개칭하였다가 원성왕 원년(서기 785)에 도독이라고 바꿨는데 임용대상은 급찬으로부터 이찬까지이다.

 

仕臣[或云仕大等]五人 眞興王二十五年始置 位自級飡至波珍飡爲之.

사신[헉운사대등]오인 진흥왕이십오년시치 위자급찬지파진찬위지.

 

사신(仕臣)[혹은 사대등(仕大等)이라 한다.] 5명을 진흥왕 25(서기 564)에 처음으로 두었고 임용 대상은 급찬으로부터 파진찬까지이다.

 

州助[或云州輔]九人 位自奈麻至重阿飡爲之.

조주[혹운주보]구인 위자나마지중아찬위지.

 

주조(州助)[혹은 주보(州輔)라 한다.]9명인데 임용자격은 나마로부터 중아찬까지이다.

 

郡太守百十五人 位自舍知至重阿飡爲之.

군태수백십오인 위자사지지중아찬위지.

 

군태수(郡太守)115명인데 자격은 사지로부터 중아찬까지이다.

 

長史[或云司馬]九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장사(長史)[혹은 사마(司馬)라 한다.]9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仕大舍[或云少尹]五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사대사[혹운소윤]오인 위자사지지대나마위지.

 

사대사(仕大舍)[혹은 소윤(少尹)이라 한다.]5명인데 임용자격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外司正百三十三人 文武王十三年置 位未詳.

외사정백삼십삼인 문무왕십삼년치 위미상.

 

외사정(外司正)133명인데 문무왕 13(서기 673)에 두었고 관등은 분명치 않다.

 

少守[或云制守]八十五人 位自幢至大奈麻爲之.

소수[헉운제수]팔십오인 위자당지대나마위지.

 

소수(少守)[혹은 제수(制守)라 한다.]85명인데 자격은 당으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縣令二百一人 位自先沮知至沙飡爲之.

현령이백일인 위자선저지지사찬위지.

 

현령(縣令)201명인데 자격은 선저지로부터 사찬까지이다.

浿江鎭典 頭上大監一人 宣德王三年 始置大谷城頭上 位自級飡至四重阿飡爲之 大監七人 位與太守同 頭上弟監一人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弟監一人 位自幢至奈麻爲之 步監一人 位與縣令同 少監六人 位自先沮知至大舍爲之.

패강진전 두상대감일인 선덕왕삼년 시치대곡성두상 위자급찬지사중아찬위지. 대감칠인 위여태수동. 두상제감일인 위자사지지대나마위지. 제감일인 위자당지나마위지. 보감일인 위여현령동. 소감육인 위자선저지지대사위지.

 

패강진전(浿江鎭典)의 두상대감(頭上大監)1명을 두었다. 선덕왕 3(서기 782)에 처음으로 대곡성두상(大谷城頭上)을 두었고 관등은 급찬으로부터 사중아찬까지이다. 대감(大監) 7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태수와 동일하다. 두상제감(頭上弟監)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제감(弟監)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당으로부터 나마까지이다. 보감(步監)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현령과 동일하다. 소감(少監) 6명을 두었는데 자격은 선저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外位 文武王十四年 以六徒眞骨出居於五京九州 別稱官名 其位視京位 嶽干視一吉飡 述干視沙飡 高干視級飡 貴干視大奈麻 選干[一作撰干]視奈麻 上干視大舍 干視舍知 一伐視吉次 彼日視小烏 阿尺視先沮知.

외위 문무왕십사년 이육도진골출거어오경구주 별칭관명 기위시경위 악간시일길찬 술간시사찬 고간시급찬 귀간시대나마 선간[일작찬간]시나마. 상간기대사 간시사지 일벌시길찬 피일시오조 아척시선저지.

 

외위(外位)는 문무왕 14(서기 674)에 육도(六徒)의 진골로서 5경과 9주에 나가 있던 관직의 별칭이다. 관등은 서울에 있는 관등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악간(嶽干)은 일길찬에 준하고, 술간(述干)은 사찬에 준하고, 고간(高干)은 급찬에 준하고, 귀간(貴干)은 대나마(大奈麻)에 준하고, 선간(選干)[찬간(撰干)이라고도 한다.]는 나마에 준하고, 상간(上干)은 대사에 준하고, ()은 사지(大舍)에 준하고, 일벌(一伐)은 길차(吉次)에 준하고, 피일(彼日)은 소오(小烏)에 준하고, 아척(阿尺)은 선저지(先沮知)에 준한다.

 

高句麗人位 神文王六年 以高句麗人授京官 量本國官品授之. 一吉飡本主簿 沙飡本大相 級飡本位頭大兄從大相 奈麻本小相狄相 大舍本小兄 舍知本諸兄 吉次本先人 烏知本自位.

고구려인위 신문왕육년 이고구려인수경관 양본국관품수지 일길찬본주부 사찬본대상 금찬본위두대형종대상 나마본소상저상 대사본소형 사자본제형 길차본선인 조지본자위.

 

고구려 출신 관리 신문왕 6(서기 686)에 고구려 사람들에게 중앙의 관위를 주었는데 고구려의 관품에 준하였다. 일길찬은 고구려의 주부(主簿), 사찬은 고구려의 대상(大相), 급찬은 고구려의 위두대형(位頭大兄)과 종대상(從大相), 나마는 고구려의 소상(小相)과 적상(狄相), 대사는 고구려의 소형(小兄), 사지는 고구려의 제형(諸兄), 길차는 고구려의 선인(先人), 오지는 고구려의 자위(自位)에 준하도록 하였다.

 

百濟人位 文武王十三年 以百濟來人授內外官 其位次視在本國官銜 京官 大奈麻本達率 奈麻本恩率 大舍本德率 舍知本扞率 幢本奈率 大烏本將德 外官 貴干本達率 選干本恩率 上干本德率 干本扞率 一伐本奈率 一尺本將德.

백제인위 문무왕십삼년 이백제래인수내외관 기위차시재본국관함 경관 대나마본달솔 나마본은솔 대사본덕솔 사지본한솔 당본나솔 대조본장덕 외관 귀간본달솔 선간본은솔 상간본덕솔 간본한솔 일벌본나솔 일척본장덕.

 

백제 사람들의 관위: 문무왕 13(서기 673)에 백제에서 온 사람들에게 내외의 관직을 주었는데 관등은 백제의 관직에 준하였다. 중앙 관직으로서 대나마는 백제의 달솔(達率), 나마는 백제의 은솔(恩率), 대사는 백제의 덕솔(德率), 사지는 백제의 한솔(扞率), 당은 백제의 나솔(奈率), 대오는 백제의 장덕(將德)에 준하였다. 외관으로서 귀간(貴干)은 백제의 달솔, 선간(選干)은 백제의 은솔, 상간(上干)은 백제의 덕솔, ()은 백제의 한솔, 일벌(一伐)은 백제의 나솔, 일척(一尺)은 백제의 장덕에 준하였다.

 

其官銜見於雜傳記 而未詳其設官之始及位之高下者 書之於後.

기관함견어잡전기 이미상기설관지시급위지고하자 서지어후.

 

관직명이 여러 전기에 보이는데 그 관직을 두었던 시기와 관등의 높고 낮음이 분명치 않은 것을 다음에 기록한다.

 

葛文王檢校尙書左僕射上柱國知元鳳省事興文監卿太子侍書學士元鳳省待詔記室郞瑞書郞孔子廟堂大舍錄事參軍右衛將軍功德司節度使安撫諸軍事州都令佐丞上舍人下舍人中事省南邊第一

갈문왕, 검교, 상서, 좌복야, 상주국, 지원봉성사, 흥문감경, 태자시서학사, 원봉성대조, 기실랑, 서서랑, 공자묘당대사, 녹사, 참군, 우위장군, 공덕사, 절도사, 안무제군사, 주도령, , , 상사인, 하사인, 중사성, 남변제일.

 

갈문왕(葛文王), 검교(檢校), 상서(尙書), 좌복야(左僕射), 상주국(上柱國), 지원봉성사(知元鳳省事), 흥문감경(興文監卿), 태자시서학사(太子侍書學士), 원봉성대조(元鳳省待詔), 기실랑(記室郞), 서서랑(瑞書郞), 공자묘당대사(孔子廟堂大舍), 녹사(錄事), 참군(參軍), 우위장군(右衛將軍), 공덕사(功德司), 절도사(節度使), 안무제군사(安撫諸軍事), 주도령(州都令), (), (), 상사인(上舍人), 하사인(下舍人), 중사성(中事省), 남변제일(南邊第一)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列傳 第一 -金庾信 上  (0) 2020.03.13
雜志 第九-高句麗,百濟  (0) 2020.03.12
雜志 第九-신라 武官 3  (0) 2020.03.11
雜志 第九-신라 武官 2  (0) 2020.03.10
雜志 第九-신라 武官 1  (0) 202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