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무관 3
凡軍號 二十三 一曰六停 二曰九誓幢 三曰十幢 四曰五州誓 五曰三武幢 六曰罽衿幢 七曰急幢 八曰四千幢 九曰京五種幢 十曰二節末幢 十一曰萬步幢 十二曰大匠尺幢 十三曰軍師幢 十四曰仲幢 十五曰百官幢 十六曰四設幢 十七曰皆知戟幢 十八曰三十九餘甲幢 十九曰仇七幢 二十曰二罽 二十一曰二弓 二十二曰三邊守 二十三曰新三千幢.
범군호이십삼. 일왈육정, 이왈구서당, 삼왈십당, 사왈오주서, 오왈삼무당, 육왈계금당, 칠왈급당, 팔왈사천당, 구왈경오종당, 십왈이절말당, 십일왈만보당, 십이왈대장척당, 십삼왈군사당, 십사왈중당, 십오왈백관당, 십육왈사설당, 십칠왈개지극당, 십팔왈삼십구여갑당, 십구왈구칠당, 이십왈이계, 이십일왈이궁, 이십이왈삼변수, 이십삼왈신삼천당.
모든 군대의 칭호는 23종이었다. 1은 육정, 2는 구서당(九誓幢), 3은 십당(十幢), 4는 오주서(五州誓), 5는 삼무당(三武幢), 6은 계금당, 7은 급당(急幢), 8은 사천당, 9는 경오종당, 10은 이절말당(二節末幢), 11은 만보당(萬步幢), 12는 대장척당(大匠尺幢), 13은 군사당, 14는 중당, 15는 백관당(百官幢), 16은 사설당(四設幢), 17은 개지극당(皆知戟幢), 18은 삼십구여갑당(三十九餘甲幢), 19는 구칠당(仇七幢), 20은 이계(二罽), 21은 이궁(二弓), 22는 삼변수(三邊守), 23은 신삼천당(新三千幢)이라 한다.
六停 一曰大幢 眞興王五年始置 衿色紫白. 二曰上州停 眞興王十三年置 至文武王十三年 改爲貴幢 衿色靑赤. 三曰漢山停 本新州停 眞興王二十九年 罷新州停 置南川停 眞平王二十六年 罷南川停 置漢山停 衿色黃靑. 四曰牛首停 本比烈忽停 文武王十三年 罷比烈忽停 置牛首停 衿色綠白. 五曰河西停 本悉直停 太宗王五年 罷悉直停 置河西停 衿色綠白. 六曰完山停 本下州停 神文王五年 罷下州停 置完山停 衿色白紫.
육정 일왈대당 진흥왕오년시치 금색자백. 이왈상주정 진흥왕십삼년치 지문무왕십삼년 개위귀당 금색청적. 삼왈한산정 본신라정 진흥왕이십구년 파신라정 치남천정 진평왕이십육년 차남천정 치한산정 금색황청. 사왈우수정 본비열홀정 문무왕십삼년 파비열홀정 치우수정 금색녹백. 오왈하서정 본실직정 태종왕오년 파실직정 치하서정 금색녹백. 육왈완산정 본하주정 신문왕오년 파하주정 치완산정 금색백자.
육정(六停)의 1은 대당으로 진흥왕 5년(서기 544)에 처음으로 두었다. 금(衿)의 색깔은 자백색이다. 2는 상주정으로 진흥왕 13년(서기 552)에 두었다가 문무왕 13년(서기 673)에 귀당으로 고쳤는데 금의 색깔은 청적색이다. 3은 한산정으로 원래는 신주정(新州停)이다. 진흥왕 29년(서기 568)에 신주정을 폐지하여 남천정을 두었다가 진평왕 26년(서기 604)에 남천정을 폐지하여 한산정을 두었는데 금의 색깔은 황청색이다. 4는 우수정으로 원래의 비열홀정(比烈忽停)이다. 문무왕 13년(서기 673)에 비열홀정을 폐지하여 우수정을 두었는데 금의 색깔은 녹백색이다. 5는 하서정으로 원래의 실직정(悉直停)이다. 태종왕 5년(서기 658)에 실직정을 폐지하고 하서정을 두었는데 금의 색깔은 녹백색이다. 6은 완산정으로 원래는 하주정(下州停)이다. 신문왕 5년(서기 685)에 하주정을 폐지하고 완산정을 두었는데 금의 색깔은 백자색이다.
九誓幢 一曰綠衿誓幢 眞平王五年始置 但名誓幢 三十五年 改爲綠衿誓幢 衿色綠紫. 二曰紫衿誓幢 眞平王四十七年 始置郞幢 文武王十七年 改爲紫衿誓幢 衿色紫綠. 三曰白衿誓幢 文武王十二年 以百濟民爲幢 衿色白靑. 四曰緋衿誓幢 文武王十二年 始置長槍幢 孝昭王二年 改爲緋衿誓幢. 五曰黃衿誓幢 神文王三年 以高句麗民爲幢 衿色黃赤. 六曰黑衿誓幢 神文王三年 以靺鞨國民爲幢 衿色黑赤. 七曰碧衿誓幢 神文王六年 以報德城民爲幢 衿色碧黃. 八曰赤衿誓幢 神文王六年 又以報德城民爲幢 衿色赤黑. 九曰靑衿誓幢 神文王七年 以百濟殘民爲幢 衿色靑白.
구서당 일왈녹금서당 진평왕오년시치 단명서당 삼십오년 개위녹금서당 금색녹자. 이왈자금서당 진평왕사십칠년 시치낭당 문무왕십칠년 개위자금서당 금색자록. 삼왈백금서당 문무왕십이년 이백제민위당 금색백청. 사왈비금서당 문무왕십이년 시치장창당 효소왕이년 개위비금서당. 오왈황금서당 신문왕삼년 이고구려민위당 금색황적. 육왈흑금서당 신문왕삼년 이말갈국민위당 금색흑적. 칠왈벽금서당 신문왕육년 이보덕성민위당 금색벽황. 팔왈적금서당 신문왕육년 우이보닥성민위당 금색적흑. 구왈청금서당 신문왕칠년 이백제잔민위당 금색청백.
구서당(九誓幢)의 1은 녹금서당(綠衿誓幢)으로 진평왕 5년(서기 583)에 처음으로 두어 서당으로만 부르다가 35년에 녹금서당으로 고쳤는데 금의 색깔은 녹자색이다. 2는 자금서당(紫衿誓幢)으로 진평왕 47년(서기 625)에 처음으로 낭당을 두었다가 문무왕 17년(서기 677)에 자금서당으로 고쳤는데 금의 색깔은 자녹색이다. 3은 백금서당(白衿誓幢)으로 문무왕 12년에 백제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금의 색깔은 백청색이다. 4는 비금서당(緋衿誓幢)으로 문무왕 12년(서기 672)에 처음으로 장창당(長槍幢)을 두었다가 효소왕 2년(서기 693)에 비금서당으로 개칭한 것이다. 5는 황금서당(黃衿誓幢)으로 신문왕 3년(서기 683)에 고구려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금의 색깔은 황적색이다. 6은 흑금서당(黑衿誓幢)으로 신문왕 3년에 말갈국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금의 색깔은 흑적색이다. 7은 벽금서당(碧衿誓幢)으로 신문왕 6년(서기 686)에 보덕성(報德城)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금의 색깔은 벽황색이다. 8은 적금서당(赤衿誓幢)으로 신문왕 6년에 역시 보덕성 사람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금의 색깔은 적흑색이다. 9는 청금서당(靑衿誓幢)으로 신문왕 7년(서기 687)에 백제의 남은 백성으로 당을 만들었는데 금의 색깔은 청백색이다.
十停[或云三千幢] 一曰音里火停 二曰古良夫里停 三曰居斯勿停 衿色靑 四曰參良火停 五曰召參停 六曰未多夫里停 衿色黑 七曰南川停 八曰骨乃斤停 衿色黃 九曰伐力川停 十曰伊火兮停 衿色綠 並眞興王五年置.
십정[혹운삼천종] 일왈음리화정. 이왈고량부리정. 삼왈거사홀정 금색청, 사왈삼량화정. 오왈소삼정. 육왈미다부리정 금색흑. 칠왈남천정. 팔왈골내근정 금색황. 구왈벌역천정. 십왈이화혜정 금색녹 병진흥왕오년치.
십정(停)[혹은 삼천당(三千幢)이라 한다.]의 1은 음리화정, 2는 고량부리정, 3은 거사물정이니 금의 색깔은 청색이다. 4는 삼량화정, 5는 소삼정(召參停), 6은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이니 금의 색깔은 흑색이다. 7은 남천정, 8은 골내근정이니 금의 색깔은 황색이다. 9는 벌력천정, 10은 이화혜정이니 금의 색깔은 녹색이다. 모두 진흥왕 5년(서기 544)에 두었다.
五州誓 一曰菁州誓 二曰完山州誓 三曰漢山州誓 衿色紫綠 四曰牛首州誓 五曰河西州誓 衿色綠紫 並文武王十二年置.
오주서 일왈청주서 이왈완산주서 삼왈한산주서 금색자록 사왈우수주서 오왈하서주서 금색녹자 병문무왕오십이년치.
오주서(五州誓)의 1은 청주서, 2는 완산서, 3은 한산주서이니 금의 색깔은 자녹색이다. 4는 우수주서, 5는 하서주서이니 금의 색깔은 녹자색이다. 모두 문무왕 12년(서기 672)에 설치했다.
三武幢 一曰白衿武幢 文武王十五年置 二曰赤衿武幢 神文王七年置 三曰黃衿武幢 九年置.
삼무당 일왈금무당 문무왕십오년치 이왈적금무당 신문왕칠년치 삼왈황금무당 구년치.
삼무당(三武幢)의 1은 백금무당이니 문무왕 15년(서기 675)에 두었으며, 2는 적금무당이니 신문왕 7년(서기 687)에 두었고, 3은 황금무당이니 신문왕 9년에 두었다.
罽衿幢 太宗王元年置 衿色罽.
계금당 태종왕원년치 금색계.
계금당(罽衿幢)은 태종왕 원년(서기 654)에 두었고 금의 색깔은 계색이다.
急幢 眞平王二十七年置 衿色黃綠.
급당 진평왕이십칠년치 금색황록.
급당(急幢)은 진평왕 27년(서기 605)에 두었고 금의 색깔은 황녹색이다.
四千幢 眞平王十三年置 衿色黃黑.
사천당 진평왕십삼년치 금색황흑.
사천당(四千幢)은 진평왕 13년(서기 591)에 두었고 금의 색깔은 황흑색이다.
京五種幢 衿色 一靑綠 二赤紫 三黃白 四白黑 五黑靑.
경오종당 금색 일청록 이적자 삼황백 사백흑 오흑청.
경오종당(京五種幢)의 금의 색깔은 1은 청녹색, 2는 적자색, 3은 황백색, 4는 백흑색, 5는 흑청색이다.
二節末幢 衿色 一綠紫 二紫綠.
이절말당 금색 일녹자 이자녹.
2절말당(二節末幢)의 금의 색깔은 1은 녹자색, 2는 자녹색이다.
萬步幢 九州各二 衿色 沙伐州 靑黃靑紫 歃良州 赤靑赤白 菁州 赤黃赤綠 漢山州 黃黑黃綠 牛首州 黑綠黑白 熊川州 黃紫黃靑 河西州 靑黑靑赤 武珍州 白赤白黃.
만보당 구주각이 금색 사벌주 청황청자 삽량주 적청적백 청주 적황적록 한산주 왕흑황록 우수주 흑록흑백 웅천주 황자황청 하서주 청흑청적 무진주백적백황.
만보당(萬步幢)은 9주에 각각 2개씩 있었다. 금의 색깔이 사벌주는 청황색과 청자색, 삽량주는 적청색과 적백색, 청주는 적황색과 적녹색, 한산주는 황흑색과 황녹색, 우수주는 흑녹색과 흑백색, 웅천주는 황자색과 황청색, 하서주는 청흑색과 청적색, 무진주는 백적색과 백황색이다.
大匠尺幢 無衿.
대장척당 무금.
대장척당(大匠尺幢)은 금(衿)이 없다.
軍師幢 眞平王二十六年始置 衿色白.
군사당 진평왕이십육년시치 금색백.
군사당(軍師幢)은 진평왕 26년(서기 604)에 처음으로 두었고 금의 색깔은 백색이다.
仲幢 文武王十一年始置 衿色白.
중당 문무왕십일년시치 금색백.
중당(仲幢) 문무왕 11년(서기 671)에 처음으로 두었고 금의 색깔은 백색이다.
百官幢 無衿.
백관당 무금.
백관당(百官幢)은 금이 없다.
四設幢 一曰弩幢 二曰雲梯幢 三曰衝幢 四曰石投幢 無衿.
사설당 일왈노당 이왈운제당 삼왈충당 사왈석투당 무금.
사설당(四設幢)은 1은 노당, 2는 운제당, 3은 충당, 4는 석투당이다. 금은 없다.
여기나오는 사설당은 우리로 말하면 攻城戰에 필요한 부대...기계활=노, 사다리, 성문파괴용 무기 충, 투석기부대....
* 이런 부대가 주로 山城인 반도 상황에서 필요한가?
皆知戟幢 神文王十年始置 衿色黑赤白.
개지극당 신문왕십년시치 금색흑적백.
개지극당(皆知戟幢)은 신문왕 10년(서기 690)에 처음으로 두었고, 금의 색깔은 흑색,적색, 백색 배합이다.
* 극당: 槍아니 엄밀히 戟부대.... 기마병을 공격하는 무기...
三十九餘甲幢 無衿[謂京餘甲小京餘甲外餘甲等也 其數未詳]
삼십구여갑당 무금[위경여감소경여갑외여갑등야 기수미상]
삼십구여갑당(三十九餘甲幢)은 금이 없다.[경여갑, 소경여갑, 외여갑 등을 말한 것이나 그 수는 분명치 않다.]
* 갑당: 방패부대... 역시 기마병을 막는 수비대...
仇七幢 文武王十六年始置 衿色白.
구칠당 문무왕십육년시치 금색백.
구칠당(仇七幢)은 문무왕 16년(서기 676)에 처음으로 두었고, 금의 색깔은 백색이다.
二罽幢[或云外罽] 一曰漢山州罽幢 太宗王元年置 二曰牛首州罽幢 文武王十二年置 衿色皆罽.
이계당[혹운외계] 일왈황산주계당 태종왕원년치 이왈우수주계당 문무왕십이년치 금색개계.
이계당(二罽幢)[혹은 외계(外罽)라 한다.]의 1은 한산주계당(漢山州罽幢)으로 태종왕 원년(서기 654)에 두었으며, 2는 우수주계당(牛首州罽幢)으로 문무왕 12년(서기 672)에 두었다. 금은 모두 계색이다.
二弓[或云外弓] 一曰漢山州弓尺 眞德王六年置 二曰河西州弓尺 眞平王二十年置 無衿.
이궁[혹운외궁] 일왈한산주궁척 진덕왕욱년치 이왈하서주궁척 진평왕이십년치 무금.
이궁(二弓)[혹은 외궁(外弓)이라 한다.]의 1은 한산주궁척(漢山州弓尺)으로 진덕왕 6년(서기 652)에 두었으며 2는 하서주궁척(河西州弓尺)으로 진평왕 20년(서기 598)에 두었고 금은 없다.
三邊守幢[一云邊守] 神文王十年置 一曰漢山邊 二曰牛首邊 三曰河西邊 無衿
삼변수당[일운변수] 신문왕십년치 일왈한산벼 이왈우수변 삼왈하서변 무금.
삼변수당(三邊守幢)[변수(邊守)라고도 한다.]는 신문왕 10년(서기 690)에 두었다. 1은 한산변(漢山邊) 2는 우수변(牛首邊) 3은 하서변(河西邊)이며 금은 없다.
邊守: 국경수비대: 이는 보통 죄인들을 보냈다.
新三千幢[一云外三千] 一曰牛首州三千幢 二曰奈吐郡三千幢 文武王十二年置 三曰奈生郡三千幢 十六年置 衿色未詳.
신삼천당[일운외삼천] 일왈우수주삼천당 이왈나토군삼천당 문무왕십이년치 삼왈나생군삼천당 십육년치 금색미상.
신삼천당(新三千幢)[외삼천(外三千)이라고도 한다.]의 1은 우수주삼천당(牛首州三千幢) 2는 나토군삼천당(奈吐郡三千幢)으로 문무왕 12년(서기 672)에 두었으며, 3은 나생군삼천당(奈生郡三千幢)으로 문무왕 16년(서기 676)에 설치하였다. 금의 색깔은 분명치 않다.
衿 蓋書傳所謂徽織. 詩云 ‘織文鳥章’ 箋云 “織 徽織也, 鳥章 鳥隼之文章 將帥以下 衣皆著焉.” 史記漢書 謂之旗熾 熾與織 字異音同 周禮司常九旗 所畵異物者 徽織 所以相別. 在國以表朝位 在軍又象其制而爲之 被之以備死事. 羅人徽織 以靑赤等色爲別者 其形象半月 罽亦著於衣上 其長短之制未詳.
금 개서전소위휘직 시운 ‘직문조장’ 전운 “직 휘직야, 조장 조준지문장 장수이하 의개착언.” 사기한서 위지기치 치여직 자이음동. 주례사상구기 소화이물자 휘직 소이상별. 재국이표조위 재군우상기제이위지 피지이비사사. 라인휘직 이청적등색위별자 기형상반월 계역헉어의상 기장단지제미상.
금(衿)이란 대략 『서전(書傳)』에서 말하는 휘직(徽織)이라는 것이다. 시경(詩經)에 ‘직문조장(織文鳥章)’이라 하였는데 그 주석에 “직(織)은 수를 놓아 짠 직물이며 조장(鳥章)은 새나 새매의 무늬이니 장수 이하가 모두 옷에 그러한 무늬를 달았다.”고 되어 있다. 사기와 한서에는 기치(旗幟)라고 하였는데 치(幟)와 직(織, 직과 치의 두 음이 있음.)은 글자는 다르지만 음은 동일하다. 주례 사상조(司常條)의 아홉 가지 깃발에 그린 여러 가지 물건은 휘직(徽織)인데 이로써 각각의 소속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었다. 조정의 지위를 표시하고 군사에서는 그 조직을 상징한 것으로서 그것을 입고 전투에 대비하였다. 신라 사람들의 휘직은 띠를 푸르거나 붉거나 하는 등의 색깔로 구분하였고 모양은 반달의 형상을 취하였다. 계(罽) 또한 옷에 다는 것인데 그 길이의 길고 짦음에 대한 제도는 분명하지 않다.
大將軍花 三副 長九寸 廣三寸三分 上將軍花 四副 長九寸五分 下將軍花 五副 長一尺 大監花 大虎頰皮 長九寸 廣二寸五分 鈴黃金 圓一尺二寸 弟監花 熊頰皮 長八寸五分 鈴白銀 圓九寸 少監花 鷲尾 鈴白銅 圓六寸 火尺花 與少監同 鈴鐵 圓二寸.
대장군화 삼부 장구촌 광삼촌삼분. 상장군화 사부 장추촌오분. 하장군화 오부 장일척. 대감화 대호협피 장구촌 광이촌오분 영황금 원일척이촌. 제감화 웅협피 장팔촌오분 영백은 원구촌. 소감화 취미 영백동 원육촌. 화척화 여소감동 영철 원이촌.
대장군(大將軍)의 화(花)는 세 쪽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가 9치 너비가 3치 3푼이다. 상장군(上將軍)의 화는 네 쪽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가 9치 5푼이다. 하장군(下將軍)의 화는 다섯 쪽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가 1자이다. 대감(大監)의 화는 큰 호랑이의 얼굴 가죽인데 길이가 9치 너비가 2치 5푼이고, 방울은 황금인데 둘레가 1자 2치이다. 제감(弟監)의 화는 곰의 얼굴 가죽인데 길이가 8치 5푼, 방울은 백은인데 둘레가 9치이다. 소감(少監)의 화는 독수리 꼬리이고 방울은 백동인데 둘레가 6치이다. 화척(火尺)의 화는 소감과 같고 방울은 철인데 둘레가 2치이다.
* 花;맹수의 가죽이나 독수리의 깃으로 만들어 깃대 위에 다는 것
軍師幢主花 大虎尾 長一尺八寸 軍師監花 熊胸皮 長八寸五分 大匠尺幢主花 熊臂皮 長七寸[一云中虎額皮 長八寸五分] 鈴黃金 圓九寸. 三千幢主花 大虎尾 長一尺八寸. 三千監花 鷲尾. 諸著衿幢主花 大虎尾 長一尺八寸五分. 花以猛獸皮若鷲鳥羽作之 置杠上 若所謂豹尾者 今人謂之面槍. 將軍花 不言物名 其數或多或少 其義未詳. 鈴 行路置馱馬上 或云鐸.
군사당주화 대호미 장일척팔촌. 군사감화 웅흉피 장팔촌오분. 대장척당주화 웅견피 장칠촌[일운중호협피 장팔촌오분] 영황금 원구촌. 삼천당주화 대호미 장일척팔촌. 삼천감화 취미. 제착금당화주 대호미 장일척팔촌오분. 화이맹수피약취오약작지 치강상 약소위표미자 금인위지면창 장군화 불언물명 기수혹가혹소 기의미상. 영 행로치태마상 혹운택.
군사당주(軍師幢主)의 화는 큰 호랑이의 꼬리인데 길이가 1자 8치이다. 군사감(軍師監)의 화는 곰의 가슴 가죽인데 길이가 8치 5푼이다. 대장척당주(大匠尺幢主)의 화는 곰의 어깨 가죽인데 길이가 7치[혹은 중 호랑이의 이마 가죽인데 길이가 8치 5푼이라고도 한다.]이고 방울은 황금인데 둘레가 9치이다. 삼천당주(三千幢主)의 화는 큰 호랑이의 꼬리인데 길이가 1자 8치이다. 삼천감(三千監)의 화는 독수리 꼬리이다. 모든 착금당주(著衿幢主)의 화는 큰 호랑이의 꼬리인데 길이가 1자 8치 5푼이다. 화(花)는 맹수의 가죽이나 독수리의 깃으로 만들어 깃대 위에 다는 것이니 소위 표범의 꼬리 같은 것으로서 지금 사람들은 면창(面槍)이라고 한다. 장군의 화는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를 말하지 않았으며 그 수도 혹은 많고 혹은 적은데 그 이유는 알 수가 없다. 방울(鈴)은 길을 갈 때 말에 매다는 것인데 탁(鐸)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政官[或云政法典] 始以大舍一人 史二人爲司 至元聖王元年 初置僧官 簡僧中有才行者 充之 有故則遞 無定年限.
정관[혹운정법전] 시이대사일인 사이인위사 지원성왕원년 초치승관 간승중유재행자 충지 유고즉체 무정년한.
정관(政官)[혹은 정법전(政法典)이라 한다.]는 처음에는 대사(大舍) 1명과 사(史) 2명으로 구성되었는데 원성왕 원년(서기 785)에 처음으로 승관(僧官)을 두고 중 가운데에서 재주와 덕행이 있는 자를 선발하여 이에 충당하되 사고가 있으면 교체하였고 근무 기한은 정하지 않았다.
國統一人[一云寺主] 眞興王十二年 以高句麗惠亮法師爲寺主. 都唯那娘一人阿尼大都唯那一人. 眞興王始以寶良法師爲之 眞德王元年加一人. 大書省 一人 眞興王以安臧法師爲之 眞德王元年 加一人 少年書省 二人 元聖王三年 以惠英梵如二法師爲之.
국통일인[일운사주] 진흥왕십이년 이고구려혜량법사위사주. 도유나랑일인아니대고유나일인. 진흥왕시이보량법사위지 진덕왕원년가일인 대서성일인 진흥왕이안장법사위지 진덕왕원년 가일인 소년서성 이인 원성왕삼년 이혜영범여이법사위지.
국통(國統)은 1명[사주(寺主)라고도 한다.]이고 진흥왕 12년(서기 551)에 고구려의 혜량법사(惠亮法師)를 사주로 삼았다. 도유나랑(都唯那娘)은 1명으로 아니(阿尼)요, 대도유나(大都唯那)도 1명을 두었다. 진흥왕 때 처음으로 보량법사(寶良法師)를 이에 임명하였다. 진덕왕 원년(서기 647)에 1명을 더하였다. 대서성(大書省)은 1명인데 진흥왕 때 안장법사(安臧法師)를 이에 임명하였고 진덕왕 원년(서기 647)에 1명을 더하였다. 소년서성(少年書省)은 2명인데 원성왕 3년(서기 787)에 혜영(惠英)과 범여(梵如) 두 법사를 이에 임명하였다.
州統 九人 郡統 十八人.
주통 구인 군통 십팔인.
주통(州統)은 9명, 군통(郡統)은 18명이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志 第九-高句麗,百濟 (0) | 2020.03.12 |
---|---|
雜志 第九-신라 外官 (0) | 2020.03.12 |
雜志 第九-신라 武官 2 (0) | 2020.03.10 |
雜志 第九-신라 武官 1 (0) | 2020.03.10 |
雜志 第八 -신라 궁정관부 1 (0) | 202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