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중앙관부 4
大日任典 太宗王四年置 景德王合典京府. 大都司六人 景德王改爲大典儀 後復故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小都司二人 景德王改爲小典儀 後復故 位自舍知至大舍爲之. 都事大舍二人 景德王改爲大典事 後復故 位自舍知至奈麻爲之.
대일임전 태종왕사년치 경덕왕합전경부. 대도사육인 경덕왕갸위대전의 후복고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소도사이인 경덕왕개위소전의 후복고 위자사지지대사위지. 도사대사이인 경덕왕개위대전사 후복고 위자사지지나마위지.
대일임전(大日任典)은 태종왕 4년(서기 657)에 설치하였는데 경덕왕 때 전경부(典京府)에 통합시켰다. 대도사(大都司) 6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대전의(大典儀)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소도사(小都司)가 2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소전의(小典儀)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고 임명대상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도사대사(都事大舍)는 2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대전사(大典事)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고 임용대상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都事舍知四人 景德王改爲中典事 後復故 位自舍知至大舍爲之. 都謁舍知八人 景德王改爲典謁 後復故 位自舍知至大舍爲之. 都引舍知一人 景德王改爲典引 後復故 位與弩舍知同. 幢六人 景德王改爲小典事 後復故 位與調府史同. 都事稽知六人 都謁稽知六人 都引稽知五人[或云都引幢 或云少典引] 比伐首十人.
도사사지사인 경덕왕개위중전사 후복고 위자사지지대사위지. 도알사지팔인 경덕왕갸위전알 후복고 위자사지지대사위지. 도인사지일인 경덕왕개위전인 후복고 위여노사지동. 당육인 경덕왕개위소전사 후복고 위여조부사동. 도사계지육인 도알계지육인 도인계지오인[혹운도인당 혹운소전인] 비벌수십인.
도사사지(都事舍知)는 4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중전사(中典事)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도알사지(都謁舍知)는 8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전알(典謁)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도인사지(都引舍知)는 1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전인(典引)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노사지와 동일하였다. 당(幢)은 6명인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소전사(小典事)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관등은 조부(調府)의 사와 동일하다. 도사계지(都事稽知)는 6명 도알계지(都謁稽知)는 6명 도인계지(都引稽知)는 5명[혹은 도인당(都引幢) 혹은 소전인(少典引)이라고 한다.] 비벌수(比伐首)는 10명을 두었다.
工匠府 景德王改爲典祀署 後復故. 監一人 神文王二年置 位自大奈麻至級飡爲之. 主書二人[或云主事 或云大舍] 眞德王五年置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공장부 경덕왕개위전사서 후복고. 감일인 신문왕이년치 위자대나마지급찬위지. 주서이인[혹운주사 혹운대사] 진덕왕오년치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사사인.
공장부(工匠府)는 경덕왕 때 전사서(典祀署)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감(監) 1명을 신문왕 2년(서기 682)에 두었는데 관등은 대나마로부터 급찬까지이다. 주서(主書) 2명[혹은 주사(主事) 혹은 대사(大舍)라고 한다.]를 진덕왕 5년(서기 651)에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史)는 4명을 두었다.
彩典 景德王改爲典彩署 後復故. 監一人 神文王二年置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主書二人 眞德王五年置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三人[一云四人].
채전 경덕왕개위전채서 후복고. 감일인 신문왕이년치 위자나마지대나마위지. 주서이인 진덕왕오년치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사삼인[일운사인]
채전(彩典)은 경덕왕 때 전채서(典彩署)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감(監) 1명을 신문왕 2년(서기 682)에 두었는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주서(主書) 2명을 진덕왕 5년(서기 651)에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史)는 3명[4명이라고도 한다.]를 두었다.
左司祿館 文武王十七年置. 監一人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主書二人[或云主事]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좌사록관 문무왕십칠년치. 감일인 위자나마지대나마위지 주서이인[혹운주사]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사사인.
좌사록관(左司祿館)은 문무왕 17년(서기 677)에 설치하였다. 감(監)은 1명인데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주서(主書)가 2명[혹은 주사(主事)라고도 한다.]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史)는 4명을 두었다.
右司祿館 文武王二十一年置 監一人 主書二人 史四人.
우사록관 문무왕이십일년치 감일인 주사이인 사사인.
우사록관(右司祿館)은 문무왕 21년(서기 681)에 설치하였는데 감(監) 1명, 주서(主書) 2명, 사(史) 4명을 두었다.
典祀署 屬禮部 聖德王十二年置. 監一人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大舍二人 眞德王五年置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四人.
전사서 속예부 성덕왕십이년치. 감일인 위자나마지대나마위지. 대사이인 진덕왕오년치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사사인.
전사서(典祀署)는 예부(禮部)에 속하였다. 성덕왕 12년(서기 713)에 설치하였다. 감(監)이 1명인데 임용대상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대사(大舍) 2명을 진덕왕 5년(서기 651)에 두었는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史)는 4명을 두었다.
新宮 聖德王十六年置 景德王改爲典設館 後復故. 監一人 位與典祀署監同. 主書二人 位與典祀署大舍同. 史三人.
신궁 성덕왕십육년치 경덕왕개위전설관 후복고. 감일인 위여전사서감동. 주서이인 위여전사서대사동. 사삼인.
신궁(新宮)은 성덕왕 16년(서기 717)에 설치하였다. 경덕왕 때 명칭을 전설관(典設館)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감(監)이 1명인데 관등은 전사서의 감과 동일하다. 주서(主書)가 2명인데 관등은 전사서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史)는 3명을 두었다.
東市典 智證王九年置. 監二人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事 後復稱大舍 位自舍知至奈麻爲之. 書生二人 景德王改爲司直 後復稱書生 位與調府史同. 史四人.
동시전 지증왕구년치. 감이인 위자나마지대나마위지. 대사이인 경덕왕개위주사 후복칭대사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서생이인 경덕왕개위사직 후복칭서생 위여조부사동. 사사인.
동시전(東市典)은 지증왕 9년(서기 508)에 설치하였다. 감(監)이 2명인데 임용대상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2명의 대사(大舍)를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주사(主事)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고 임명대상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2명의 서생(書生)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사직(司直)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서생이라 하였고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사(史)는 4명을 두었다.
西市典 孝昭王四年置. 監二人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事 後復稱大舍. 書生二人 景德王改爲司直 後復稱書生. 史四人.
서시전 효소왕사년치. 감이인 대사이인 경덕왕개위주사 후복칭대사. 서생이인 경덕왕개위사직 후복칭서생. 사사인.
서시전(西市典)은 효소왕 4년(서기 695)에 설치하였다. 여기에는 감(監) 2명, 대사(大舍)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주사(主事)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2명의 서생(書生)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사직(司直)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서생이라 하였다. 사(史)는 4명을 두었다.
南市典 亦孝昭王四年置. 監二人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事 後復稱大舍. 書生二人 景德王改爲司直 後復稱書生. 史四人.
남시전 역효소왕사년치. 감이인 대사이인 경덕왕개위주사 후복칭대사. 서생이인 경덕왕개위사직 후복칭서생. 사사인.
남시전(南市典)은 효소왕 4년(서기 695)에 설치하였다. 감(監) 2명, 대사(大舍)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대사를 주사(主事)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2명의 서생(書生)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사직(司直)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서생이라 하였다. 사(史)는 4명을 두었다.
司範署 屬禮部 大舍二人[或云主書] 景德王改爲主事 後復稱大舍 位與調府舍知同. 史四人.
사범서 속예부 대사이인[혹운주서] 경덕왕개위주사 후복칭대사 위여조부사지동. 사사인.
사범서(司範署)는 예부(禮部)에 속하였다. 대사(大舍)[혹은 주서(主書)라고 한다.] 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이 명칭을 주사(主事)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고 임명 대상은 관등은 조부의 사지와 동일하다. 사(史)는 4명을 두었다.
京都驛 景德王改爲都亭驛 後復故 大舍二人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二人.
경도역 경덕왕개위도정역 후복고 대사이인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사이인.
경도역(京都驛)은 경덕왕 때 도정역(都亭驛)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고 대사(大舍) 2명을 두었는데 대상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사(史)는 2명을 두었다.
漏刻典 聖德王十七年始置 博士六人 史一人.
누각전 성덕왕십칠년시치 박사육인 사일인.
누각전(漏刻典)은 성덕왕 17년(서기 718)에 처음으로 설치하였는데 박사(博士) 6명, 사(史) 1명을 두었다.
六部少監典[一云六部監典] 梁部沙梁部 監郞各一人 大奈麻各一人 大舍各二人 舍知各一人. 梁部 史六人 沙梁部 史五人. 本彼部 監郞一人 監大舍一人 舍知一人 監幢五人 史一人. 牟梁部 監臣一人 大舍一人 舍知一人 監幢五人 史一人. 漢祗部習比部 監臣各一人 大舍各一人 舍知各一人 監幢各三人 史各一人.
6부소감전[6부감전] 양부사량부 감랑각일인, 대나마각일인, 대사각이인, 사지각일인. 양부 사육인, 사량부 사오인. 본피부 감랑일인, 감대사일인, 사지일인, 감당오인, 사일인. 모량부 감신일인, 대사일인, 사지일인, 감당오인, 사일인. 한기부습비부 감신각일인, 대사각일인, 사지각일인, 감당각삼인, 사일인.
6부소감전(六部少監典)[6부감전(六部監典)이라고도 한다.]는 양부(梁部)와 사량부(沙梁部)에 감랑(監郞) 각 1명, 대나마(大奈麻) 각 1명, 대사(大舍) 각 2명, 사지(舍知) 각 1명을 두었다. 양부에 사(史) 6명, 사량부에 사(史) 5명을 두었다. 본피부(本彼部)에 감랑 1명, 감대사(監大舍) 1명, 사지 1명, 감당(監幢) 5명, 사(史) 1명을 두었다. 모량부(牟梁部)에 감신(監臣) 1명, 대사 1명, 사지 1명, 감당 5명, 사 1명을 두었다. 한기부(漢祗部)와 습비부(習比部)에 감신 각 1명, 대사 각 1명, 사지 각 1명, 감당 각 3명, 사(史) 는 각 1명을 두었다.
食尺典 大舍六人 史六人.
식척전 대사육인 사육인.
식척전(食尺典)은 대사(大舍) 6명, 사(史) 6명을 두었다.
直徒典 大舍六人 舍知八人 史二十六人.
직도전 대사육인 사지팔인 사이십육인.
직도전(直徒典)은 대사(大舍) 6명, 사지(舍知) 8명, 사(史) 26명을 두었다.
古官家典 幢[一云稽知]四人 鉤尺六人 水主六人 禾主十五人.
고관가전 당[일운계지]사인 구척육인 수주육인 화주십오인.
고관가전(古官家典)은 당[계지(稽知)라고도 한다.] 4명, 구척(鉤尺) 6명, 수주(水主) 6명, 화주(禾主) 15명을 두었다.
* 幢 파견대 정도로 보면....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志 第九-신라 武官 1 (0) | 2020.03.10 |
---|---|
雜志 第八 -신라 궁정관부 1 (0) | 2020.03.09 |
雜志 第七 - 신라 중앙관부 3 (0) | 2020.03.08 |
雜志 第七- 신라 중앙관부 2 (0) | 2020.03.07 |
雜志 第七-職官 上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