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史記

雜志 第七- 신라 중앙관부 2


신라 중앙관부 2

 

京城周作典 景德王改爲修城府 惠恭王復故 令五人 聖德王三十一年置. 位自大阿飡至大角干爲之. 卿六人 聖德王三十二年置. 位與執事侍郞同. 大舍六人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大舍. 位自舍知至大奈麻爲之. 舍知一人 景德王改爲司功 惠恭王復稱舍知. 位自舍知至大舍爲之 史八人 位與調府史同.

경성주작전 경덕왕개위수성부 혜공왕복고, 영오인 성덕왕삼십일년치. 위자대아찬지대각간위지. 경육인 성덕왕삼십이년치 위여집사시랑동 대사육인. 경덕왕개위주부 혜공왕복칭대사. 위자사지지대나마위지. 사지일인 경덕왕개위사공 혜공왕복칭사지. 위자사지지대사위지 사팔인 위여조부사동.

 

경성주작전(京城周作典:경주 주위의 성곽을 보수하거나 새로 쌓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은 경덕왕 때 수성부(修城府)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5명의 영()을 성덕왕(聖德王) 31(서기 732)에 두었다.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대각간까지이다. 6명의 경()을 성덕왕 32년에 두었다. 관등은 집사성의 시랑과 동일하다. 대사(大舍)6인으로,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主簿)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라고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사지(舍知)1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사공(司功)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사지라고 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대사까지이다. ()8명인데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四天王寺成典 景德王改爲監四天王寺府 惠恭王復故. 衿荷臣一人 景德王改爲監令 惠恭王復稱衿荷臣 哀莊王又改爲令 位自大阿飡至角干爲之.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卿 惠恭王復稱上堂 哀莊王又改爲卿. 位自奈麻至阿飡爲之. 赤位一人 景德王改爲監 惠恭王復稱赤位. 靑位二人 景德王改爲主簿 惠恭王復稱靑位 哀莊王改爲大舍 省一人.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二人.

사천왕사성전 경덕왕개위감사천왕사부 해공왕복고. 금하신일인 경덕왕개위감령 혜공왕복칭금하신 애장왕우개위령 위자대하찬지각간위지. 상당일인 경덩왕개위걍 혜공왕복칭상당. 애장왕우개위경. 위자나마지아찬위지. 적위일인 경덕왕개위감 혜공왕복칭작위. 청위이인 경덕왕개위주부 혜공왕복칭청위 애장왕개위대사. 성일인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사이인.

 

사천왕사성전(四天王寺成典)은 경덕왕 때 감사천왕사부(監四天王寺府)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1명의 금하신(衿荷臣)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감령(監令)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금하신이라 하였고, 애장왕(哀莊王) 때 영()으로 고쳤다.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상당(上堂)1명이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경()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상당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다시 경으로 고쳤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아찬까지이다. 적위(赤位)1명이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감()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적위라고 하였다. 청위(靑位)2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主簿)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청위라 하였으며, 애장왕 때는 대사로 고치고 1명을 감원하였다.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2명이었다.

 

奉聖寺成典 景德王改爲修營奉聖寺使院 後復故 衿荷臣一人 景德王改爲檢校使 惠恭王復稱衿荷臣 哀莊王改爲令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副使 後復稱上堂 赤位一人 景德王改爲判官 後復稱赤位 靑位一人 景德王改爲錄事 後復稱靑位 史二人 景德王改爲典 後復稱史.

봉성사성전 경덕왕개위수영봉성사사원 후복고 금하신일인. 경덕왕개위검교사 혜공왕복칭금하신 애장왕개위령. 상당일인 경덕왕개위부사 후복칭상당. 적위일인 경덕왕개위판관 후복칭적위. 청위일인 경덕왕개녹사 후복칭청위. 사이인 경덕왕개위전 후복칭사.

 

봉성사성전(奉聖寺成典)은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수영봉성사사원(修營奉聖寺使院)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의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1명의 금하신(衿荷臣)이 있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검교사(檢校使)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금하신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영()으로 고쳤다. 상당(上堂)1명이었는데 경덕왕 때 부사(副使)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상당으로 고쳤다. 적위(赤位)1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판관(判官)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적위라고 하였다. 청위(靑位)1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녹사(錄事)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청위라고 하였다. ()2명인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전()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라고 하였다.

 

感恩寺成典 景德王改爲修營感恩寺使院 後復故. 衿荷臣一人 景德王改爲檢校使 惠恭王復稱衿荷臣 哀莊王改爲令.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副使 惠恭王復稱上堂 哀莊王改爲卿[一云省卿置赤位]. 赤位一人 景德王改爲判官 後復稱赤位. 靑位一人 景德王改爲錄事 後復稱靑位. 史二人 景德王改爲典 後復稱史.

감은사성전 경덕왕개위수영감은사사원 후복고, 금하신일인 경덕왕개위검교사 혜공왕복칭금하신 애장왕개위령. 상당일인 경덕왕개위부사 혜공왕복칭상당 애장왕개위경[일운성경치적위]. 적위일인 경덕왕개칭판관 후복칭적위. 청위일인 경덕왕개위녹사 후복칭청위. 사이인 경덕왕개위전 후복칭사.

 

감은사성전(感恩寺成典)은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수영감은사사원(修營感恩寺使院)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금하신(衿荷臣)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검교사(檢校使)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금하신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영()으로 고쳤다. 상당(上堂)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부사(副使)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상당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경()으로 고쳤다.[혹은 경을 없애고 적위를 두었다고도 한다.] 적위(赤位)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판관(判官)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적위라고 하였다. 청위(靑位)1명인데 경덕왕 때 녹사(錄事)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청위라고 하였다. ()2명인데 경덕왕 때 전()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라고 하였다.

 

奉德寺成典 景德王十八年 改爲修營奉德寺使院 後復故. 衿荷臣一人 景德王改爲檢校使 惠恭王復稱衿荷臣 哀莊王又改爲卿.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副使 惠恭王復稱上堂 哀莊王又改爲卿. 赤位一人 景德王改爲判官 惠恭王復稱赤位 靑位二人 景德王改爲錄事 惠恭王復稱靑位 史六人 後省四人 景德王改爲典 惠恭王復稱史.

봉덕사성전 경덕왕십팔년 개위수영봉덕사사원 후복고. 금하신일인 경덕왕개위검교사 혜공왕복칭금하신 애장왕우개위경. 상당일인 경덕왕개위부사 혜공왕복칭상당 애장왕우개위경 적위일인 경덕왕개위판관 혜공왕복칭적위. 청위이인 경덕왕개위녹사 혜공왕복칭청위. 사육인 후성사인 경덕왕개위전 혜공왕복칭사.

 

봉덕사성전(奉德寺成典)은 경덕왕 18년에 그 명칭을 수영봉덕사사원(修營奉德寺使院)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금하신(衿荷臣)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검교사(檢校使)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금하신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다시 경()으로 고쳤다. 상당(上堂)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부사(副使)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상당이라 하였고 애장왕 때 다시 경으로 고쳤다. 적위(赤位)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판관(判官)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적위라고 하였다. 청위(靑位)2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녹사(錄事)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청위라 하였다. ()6명을 두었는데 뒤에 4명을 감원하였다.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전()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사라고 하였다.

 

奉恩寺成典 衿荷臣一人 惠恭王始置 哀莊王改爲令. 副使一人 惠恭王始置 尋改爲上堂 哀莊王又改爲卿. 大舍二人 史二人.

봉은사성전 금하신일인 혜공왕시치 애장왕개위령. 부사일인 혜공왕시치 심개위상당 애장왕우개위경. 대사이인 사이인.

 

봉은사성전(奉恩寺成典)은 금하신(衿荷臣) 1명을 혜공왕 때 처음으로 두었고, 애장왕 때 영()으로 고쳤다. 부사(副使) 1명을 혜공왕 때 처음으로 두었고 얼마 후에 상당(上堂)으로 개칭하였으며 애장왕 때 경()으로 고쳤다. 대사(大舍)2, () 2명을 두었다.

 

靈廟寺成典 景德王十八年 改爲修營靈廟寺使院 後復故. 上堂一人 景德王改爲判官 後復稱上堂. 靑位一人 景德王改爲錄事 後又改爲大舍. 史二人.

영묘사성전 경덕왕십팔년 개위수영영묘사사원 후복고. 상당일인 경덕왕개위판관 후복칭상당. 청위일인 경덕왕개위녹사 후우개위대사. 사이인.

 

영묘사성전(靈廟寺成典)은 경덕왕 18(서기 759)에 수영영묘사사원(修營靈廟寺使院)으로 고쳤다가 뒤에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상당(上堂)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판관(判官)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상당이라고 하였다. 청위(靑位)1명인데 경덕왕 때 녹사(錄事)로 고쳤다가 뒤에 대사(大舍)로 개칭하였다. ()2명이었다.

 

永興寺成典 神文王四年始置 景德王十八年 改爲監永興寺館. 大奈麻一人 景德王改爲監 史三人

영흥사성전 신문왕사년시치 경덕왕십팔년 개위감영흥사관. 대나마일인 경덕왕개위감 사삼인.

영흥사성전(永興寺成典)은 신문왕 4(서기 684)에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경덕왕 18(서기 759)에 그 명칭을 감영흥사관(監永興寺館)으로 개칭하였다. 여기에는 대나마(大奈麻)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감()으로 고쳤다. ()3명을 두었다.


 

倉部 昔者 倉部之事 兼於稟主 至眞德王五年 分置此司. 令二人 位自大阿飡至大角干爲之. 卿二人 眞德王五年置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景德王改爲侍郞 惠恭王復稱卿. 位與兵部大監同 大舍二人 眞德王置 景德王改爲郞中 惠恭王復稱大舍. 位與兵部大舍同 租舍知一人 孝昭王八年置 景德王改爲司倉 惠恭王復故. 位與弩舍知同. 史八人 眞德王置 文武王十一年 加三人 十二年 加七人 孝昭王八年 加一人 景德王十一年 加三人 惠恭王加八人.

창부 석자 창부지사 겸어품주 지진덕왕오년 분치차사. 영이인 위자대아찬지대각간위지 경이인 잔덕왕오년치 문무왕십오년 가일인 경덕왕개위시랑 혜공왕복칭경. 위여병부대감동. 대사이인 진덕왕치 경덕왕개위낭중 혜공왕복칭대사. 위여병부대사동. 조사지일인 효소왕팔년치 경덕왕개위사창 혜공왕복고. 위여노사지동 사팔인 진덕왕치 문무왕십일년 가삼인 십이년 가칠인 효소왕팔년 가일인 경덕왕십일년 가삼인 혜공왕가팔인.

 

창부(倉部). 옛날에는 창부의 일을 품주(稟主)에 겸임시켰는데 진덕왕 5(서기 651)에 이 기관을 나누었다. 여기에는 영() 2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대각간까지이다. 진덕왕 5년에 경() 2명을 두었고 문무왕 15(서기 675)1명을 증원하였으며, 경덕왕 때 시랑(侍郞)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경이라고 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감과 동일하다. 대사(大舍) 2명을 진덕왕 때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낭중(郞中)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효소왕 8(서기 699)에 조사지(租舍知) 1명을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사창(司倉)으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되었다. 관등은 노사지(弩舍知)와 동일하다. () 8명을 진덕왕 때 두었고 문무왕 11년에 3, 12년에 7, 효소왕 8년에 1, 경덕왕 11(서기 752)3, 혜공왕 때 8명을 증원하였다.

 

禮部 令二人 眞平王八年置 位與兵部令同. 卿二人 眞德王二年[一云五年]置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位與調府卿同 大舍二人 眞德王五年置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與調府大舍同. 舍知一人 景德王改爲司禮 後復稱舍知. 位與調府舍知同 史八人 眞德王五年 加三人 位與調府史同.

예부 영이인 진평왕팔년치 위여병부령동. 경이인 진덕왕이년[일운오년]치 문무왕십오년 가일인 위여조부경동 대사이인 진덕왕오년치 경덕왕개위주부 후복칭대사. 위여조부대사동 사지일인 경덕왕개위사례 후복칭사지. 위여조부사지동 사팔인 진덕왕오년 가삼인 위여조부사동.

 

예부(禮部)는 영() 2명을 진평왕 8(서기 586)에 두었는데 관등은 병부의 영과 동일하다. () 2명을 진덕왕 2(서기 648)[5년이라고도 한다.]에 두었다가 문무왕 15(서기 675)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경과 동일하다. 대사(大舍) 2명을 진덕왕 5년에 두었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主簿)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지(舍知)1명인데 경덕왕 때 사례(司禮)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지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지와 동일하다. ()8명이었는데 진덕왕 5(서기 651)3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乘府 景德王改爲司馭府 惠恭王復故. 令二人 眞平王六年置 位自大阿飡至角干爲之. 卿二人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位與調府卿同. 大舍二人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與兵部大舍同 舍知一人 景德王改爲司牧 後復稱舍知 位與調府舍知同. 史九人 文武王十一年 加三人. 位與調府史同.

승부 경덕왕개위사어부 혜공왕복고 영이인 진평왕육년치 위자대아찬지각간위지. 경이인 문무왕십오년 가일인. 위여조부경동. 대사이인 경덕왕개위주부 후복칭대사. 위여병부대사동 사지일인 경덕왕개위사목 후복칭사지 위여조부사지동 사구인 문무왕십일년 가삼인 위여조부사동.

 

승부(乘府)는 경덕왕 때 사어부(司馭府)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 2명을 진평왕 6(서기 584)에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경은 2명인데 문무왕 15(서기 675)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경()과 동일하다. 대사(大舍)2명인데 경덕왕 때 주부(主簿)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지(舍知)1명인데 경덕왕 때 사목(司牧)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지라 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지와 동일하다. ()9명인데 문무왕 11(서기 671)3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조부의 사와 동일하다.

 

司正府 太宗王六年置 景德王改爲肅正臺 惠恭王復故. 令一人 位自大阿飡至角干爲之. 卿二人 眞興王五年置 文武王十五年 加一人. 位與乘府卿同. 佐二人 孝成王元年 爲犯大王諱 凡丞皆稱佐. 景德王改爲評事 後復稱佐 位自奈麻至大奈麻爲之 大舍二人 位自舍知至奈麻爲之 史十人 文武王十一年 加五人.

사정부 태종왕육년치 경덕왕개위숙정대 혜공왕복고. 영일인 위자대아찬지각간위지. 경이인 진흥왕오년치 문무왕십오년 가일인. 위여승부경동. 좌이인 효성왕원년 위범대왕휘 범승개칭좌. 경덕왕개위평사 후복칭좌 위자나마지대나마위지 대사이인 위자사지지나마위지. 사십인 문무왕십일년 가오인.

 

사정부(司正府)는 태종왕 6(서기 659)에 설치하였는데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숙정대(肅正臺)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여기에는 영() 1명을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진흥왕 5(서기 544)에 경() 2명을 두었는데 문무왕 15(서기 675)1명을 증원하였다. 관등은 승부의 경과 동일하다. () 2명을 두었다. 효성왕 원년(서기 737)에는 대왕의 휘와 같다고 하여 모든 승()을 좌로 개칭하였다. 경덕왕 때 그 명칭을 평사(評事)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좌라고 하였다. 관등은 나마로부터 대나마까지이다. 대사(大舍)2명인데 관등은 사지로부터 나마까지이다. ()10명인데 문무왕 11(서기 671)5명을 증원하였다.

 

例作府[一云例作典] 景德王改爲修例府 惠恭王復故. 令一人 神文王六年置 位自大阿飡至角干爲之. 卿二人 神文王置 位與司正卿同. 大舍四人 哀莊王六年 省二人 景德王改爲主簿 後復稱大舍. 位與兵部大舍同. 舍知二人 景德王改爲司例 後復稱舍知 位與弩舍知同. 史八人.

열작부[일운열작전] 경덕왕개위수열부 혜공왕복고. 영일인 신문왕육년치 위자대아찬지각간위지. 경이인 신문왕치 위여사정경동. 대사사인 애장왕육년 성이인 경덕왕개위주부 후복칭대사. 위여병부대사동. 사지이인 경덕왕개위사열 후복칭사지 위여노사지동. 사팔인.

 

예작부(例作府)[예작전(例作典)이라고도 한다.]는 경덕왕 때 수례부(修例府)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이전 명칭으로 회복시켰다. () 1명을 신문왕 6(서기 686)에 두었는데 관등은 대아찬으로부터 각간까지이다. () 2명을 신문왕 때 두었는데 관등은 사정부의 경과 동일하다. 대사(大舍)4명이었으나 애장왕 6(서기 805)2명을 감하였고 경덕왕 때 그 명칭을 주부(主簿)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대사라 하였다. 관등은 병부의 대사와 동일하다. 사지(舍知)2명인데 경덕왕 때 사례(司例)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사지라고 하였다. 관등은 노사지(弩舍知)와 같았다. ()8명을 두었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志 第七 - 신라 중앙관부 4  (0) 2020.03.09
雜志 第七 - 신라 중앙관부 3  (0) 2020.03.08
雜志 第七-職官 上  (0) 2020.03.07
雜志 第六-三國有名未詳地分  (0) 2020.03.06
雜志 第六-百濟  (0) 202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