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史記

雜志 第五-新羅 熊州


新羅 熊州

 

熊州 本百濟舊都. 唐高宗遺蘇定方平之 置熊津都督府 新羅文武王取其地有之 神文王改爲熊川州 置都督 景德王十六年 改名熊州 今公州. 領縣二 尼山縣 本百濟熱也山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淸音縣 本百濟伐音支縣 景德王改名 今新豊縣.

웅주 본백제구도 당고종유소정방평지 치웅진도독부 신라문무왕취기지유지 신문왕개위웅천주치도독 경덕왕십육년 개명웅주 현공주. 영현이 이산현 본백제열야산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청음현 본백제벌음지현 경덕왕개명 금신풍현.

 

웅주(熊州)는 원래 백제의 옛 서울이었다. 당 고종(高宗)이 소정방(蘇定方)을 보내 평정하여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를 두었고, 신라 문무왕(文武王)이 그 지역을 빼앗아 차지하였으며, 신문왕(神文王)이 이를 웅천주(熊川州)로 고치고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경덕왕(景德王) 16(서기 757)에 웅주(熊州)로 개칭하였는데 지금의 공주(公州)이다. 이 주에 속한 현은 둘로 이산현(尼山縣)은 원래 백제의 열야산현(熱也山縣)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청음현(淸音縣)은 원래 백제의 벌음지현(伐音支縣)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의 신풍현(新豊縣)이다.

 

西原京 神文王五年 初置西原小京 景德王改名西原京 今淸州.

서원군 신문왕오년 초치서원소경 경덕왕개명서원경 금청주.

 

서원경(西原京), 신문왕 5(서기 685)에 처음으로 서원소경(西原小京)을 설치하였으며 경덕왕이 서원경으로 개칭하여 지금의 청주(淸州)이다.

 

大麓郡 本百濟大木岳郡 景德王改名 今木州. 領縣二 馴雉縣 本百濟甘買縣 景德王改名 今豊歲縣. 金池縣 本百濟仇知縣 景德王改名 今全義縣.

대록군 본백제대목악군 경덕왕개명 금목주. 영현이 순치현 본백제감매현 경덕왕개명 금풍세현. 금지현 본백제구지현 경덕왕개명 금전의현.

 

대록군(大麓郡)은 원래 백제의 대목악군(大木岳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해서 지금의 목주(木州)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며 순치현(馴雉縣)은 원래 백제의 감매현(甘買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고 지금의 풍세현(豊歲縣)이다. 금지현(金池縣)은 원래 백제의 구지현(仇知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의 전의현(全義縣)이다.

 

嘉林郡 本百濟加林郡 景德王改加爲嘉 今因之. 領縣二 馬山縣 本百濟縣 景德王改州郡名 及今並因之. 翰山縣 本百濟大山縣 景德王改名 今鴻山縣.

가림군 본백제가림군 경덕왕개가위가 금인지. 연현이 마산현 본백제현 경덕왕개주군명 급금병인지. 한산현 본백제대산현 경덕왕개명 금홍산현.

 

가림군(嘉林郡)은 원래 백제의 가림군(加林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가()를 가()로 고친 것으로써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인데 마산현(馬山縣)은 원래 백제현으로써 경덕왕이 주와 군의 명칭을 고친 것인데 지금도 두명칭 그대로 부른다. 한산현(翰山縣)은 원래 백제의 대산현(大山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의 홍산현(鴻山縣)이다.

 

西林郡 本百濟舌林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藍浦縣 本百濟寺浦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庇仁縣 本百濟比衆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서림군 본백제설림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이 남포현 본백제사포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비인현 본백제비중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서림군(西林郡)은 원래 백제의 설림군(舌林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로 남포현(藍浦縣)은 원래 백제의 사포현(寺浦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비인현(庇仁縣)은 원래 백제의 비중현(比衆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伊山郡 本百濟馬尸山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目牛縣 本百濟牛見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今武縣 本百濟今勿縣 景德王改名 今德豊縣.

이산군 본백제마시산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이 목우현 본백제우견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금무현 본백제금물현 경덕왕개명 금덕풍현.

 

이산군(伊山郡)은 원래 백제의 마시산군(馬尸山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고 목우현(目牛縣)은 원래 백제의 우견현(牛見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금무현(今武縣)은 원래 백제의 금물현(今勿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덕풍현(德豊縣)이다.

 

槥城郡 本百濟槥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三 唐津縣 本百濟伐首只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餘邑縣 本百濟餘村縣 景德王改名 今餘美縣. 新平縣 本百濟沙平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혜성군 본백제혜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삼 당진현 본백제벌수지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여읍현 본백제여촌현 경덕왕개명 금여미현. 신평현 본백제사평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혜성군(槥城郡)은 원래 백제의 혜군(槥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해서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며 당진현(唐津縣)은 원래 백제의 벌수지현(伐首只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여읍현(餘邑縣)은 원래 백제의 여촌현(餘村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의 여미현(餘美縣)이다. 신평현(新平縣)은 원래 백제의 사평현(沙平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扶餘郡 本百濟所夫里郡 唐將蘇定方與庾信平之 文武王十二年置摠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石山縣 本百濟珍惡山縣 景德王改名 今石城縣 悅城縣 本百濟悅已縣 景德王改名 今定山縣.

부여군 본백제소부리군 당장소정방여유신평지 문무왕이십년치총관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이 석산현 본백제진악산현 경덕왕개명 금석성현. 열성현 본백제열리현 경덕왕개명 금정산현.

 

부여군(扶餘郡)은 원래 백제의 소부리군(所夫里郡)인데 당나라 장군 소정방이 김유신과 함께 이를 평정하였고 문무왕 12(서기 672)에 총관(摠管)을 두었으며, 경덕왕이 부여군으로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며 석산현(石山縣)은 원래 백제의 진악산현(珍惡山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석성현(石城縣)이다. 열성현(悅城縣)은 원래 백제의 열이현(悅已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의 정산현(定山縣)이다.

 

任城郡 本百濟任存城 景德王改名 今大興郡. 領縣二 靑正縣 本百濟古良夫里縣 景德王改名 今靑陽縣. 孤山縣 本百濟烏山縣 景德王改名 今禮山縣.

임성군 본백제임존성 경덕왕개명 금대흥군. 영현이 청정현 본백제고량부리현 경덕왕개명 금청양현 고산현 본백제오산현 경덕왕개명 금예산현.

 

임성군(任城郡)은 원래 백제의 임존성(任存城)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해서 지금은 대흥군(大興郡)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며 청정현(靑正縣)은 원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청양현(靑陽縣)이다. 고산현(孤山縣)은 원래 백제의 오산현(烏山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였고 지금의 예산현(禮山縣)이다.

 

黃山郡 本百濟黃等也山郡 景德王改名 今連山縣 領縣二 鎭嶺縣 本百濟眞峴縣[眞一作貞] 景德王改名 今鎭岑縣 珍洞縣 本百濟縣 景德王改州郡名 及今並因之.

황산군 본백제황등야산군 경덕왕개명 금연산현. 영현이 진령현 본백제진현현[진일작정] 경덕왕개명 금진잠현. 진동현 본백제현 경덕왕개주군명 급금병인지.

 

황산군(黃山郡)은 원래 백제의 황등야산군(黃等也山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는데 지금의 연산현(連山縣)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고 진령현(鎭嶺縣)은 원래 백제의 진현현(眞峴縣)[()을 정()이라고도 한다.]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해서 지금의 진잠현(鎭岑縣)이다. 진동현(珍洞縣)은 원래 백제의 현으로써 경덕왕이 주,군의 명칭을 개칭해서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比豊郡 本百濟雨述郡 景德王改名 今懷德郡. 領縣二 儒城縣 本百濟奴斯只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赤鳥縣 本百濟所比浦縣 景德王改名 今德津縣.

비풍군 본백제우술군 경덕왕개명 금회덕군. 영현이 유성현 본백제노사지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적조현 본백제소비포현 경덕왕개명 금덕진현.

 

비풍군(比豊郡)은 원래 백제의 우술군(雨述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회덕군(懷德郡)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며 유성현(儒城縣)은 원래 백제의 노사지현(奴斯只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대로 부른다. 적조현(赤鳥縣)은 원래 백제의 소비포현(所比浦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덕진현(德津縣)이다.

 

潔城郡 本百濟結已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新邑縣 本百濟新村縣 景德王改名 今保寧縣. 新良縣 本百濟沙尸良縣 景德王改名 今黎陽縣.

결성군 본백제결이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이 신읍현 본백제신촌현 경덕왕개명 금보령현. 신량현 본백제사시량현 경덕왕개명 금여양현.

 

결성군(潔城郡)은 원래 백제의 결이군(結已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인데 신읍현(新邑縣)은 원래 백제의 신촌현(新村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의 보령현(保寧縣)이다. 신량현(新良縣)은 원래 백제의 사시량현(沙尸良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여양현(黎陽縣)이다.

 

燕山郡 本百濟一牟山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燕岐縣 本百濟豆仍只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昧谷縣 本百濟未谷縣 景德王改名 今懷仁縣.

연산군 본백제일모산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이 연기현 본백제두잉지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매곡현 본백제미곡현 경덕왕개명 금회인현.

 

연산군(燕山郡)은 원래 백제의 일모산군(一牟山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고 연기현(燕岐縣)은 원래 백제의 두잉지현(豆仍只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그대로 부른다. 매곡현(昧谷縣)은 원래 백제의 미곡현(未谷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는데 지금의 회인현(懷仁縣)이다.

 

富城郡 本百濟基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蘇泰縣 本百濟省大號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地育縣 本百濟知六縣 景德王改名 今北谷縣.

부성군 본백제기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이 소태현 본백제성대호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지육현 본백제지육현 경덕왕개명 금북곡현.

 

부성군(富城郡)은 원래 백제의 기군(基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며 소태현(蘇泰縣)은 원래 백제의 성대호현(省大號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그대로 부른다. 지육현(地育縣)은 원래 백제의 지륙현(知六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북곡현(北谷縣)이다.

 

湯井郡 本百濟郡 文武王十一年 唐咸亨二年 爲州置摠管 咸亨十二年 廢州爲郡 景德王因之 今溫水郡. 領縣二 陰峯[一云陰岑]縣 本百濟牙述縣 景德王改名 今牙州. 祁梁縣 本百濟屈直縣 景德王改名 今新昌縣.

탕정군 본백제군 문무왕십일년 당함형이년 위주치총관 함형십이년 폐주위군 경덕왕인지 금온수군. 영현이 음봉[일운음잠]현 본백제아술현 경덕왕개명 금아주. 기량현 본백제굴직현 경덕왕개명 금신창현.

 

탕정군(湯井郡)은 원래 백제의 군이었는데 문무왕 11년 즉, 당 함형(咸亨) 2(서기 671)에 주를 만들어 총관을 두었다가 함형 12(서기 681)에 주를 폐지하여 군으로 만들었으며, 경덕왕이 그 명칭은 그대로 두어 지금의 온수군(溫水郡)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며 음봉[음잠(陰岑)이라고도 한다.](陰峯縣)은 원래 백제의 아술현(牙述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는데 지금의 아주(牙州)이다. 기량현(祁梁縣)은 원래 백제의 굴직현(屈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의 신창현(新昌縣)이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志 第五- 新羅 武州  (0) 2020.03.04
雜志 第四-新羅 全州  (0) 2020.03.04
雜志 第四-新羅 溟州  (0) 2020.03.03
雜志 第四-新羅 朔州  (0) 2020.03.02
雜志 第四-新羅 漢州  (0) 202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