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羅 朔州
朔州 賈耽古今郡國志云 “句麗之東南 濊之西 古貊地 盖今新羅北朔州.” 善德王六年 唐貞觀十一年 爲牛首州 置軍主[一云 文武王十三年 唐咸亨四年 置首若州.] 景德王改爲朔州 今春州 領縣三 綠驍縣 本高句麗伐力川縣 景德王改名 今洪川縣. 潢川縣 本高句麗橫川縣 景德王改名 今復故. 砥平縣 本高句麗 砥峴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삭주 가탐고금군국지운 "구려지동남 예지서 고맥야 개금신라북삭주." 선덕왕육년 당정관십일년 위우수주 치군주[일운 문무왕십삼년 당함형사년 치수약주.] 경덕왕개위삭주 금춘주. 영현삼 녹효현 본고구려벌력천현 경덕왕개명 금홍천현 황천현 본고구려횡천현 경덕왕개명 금복고. 지평현 본고구려 지현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삭주(朔州)는, 가탐(賈耽)의 『고금군국지(古今郡國志)』에 “고구려의 동남쪽, 예(濊)의 서쪽, 옛날 맥(貊)의 땅으로써, 대략 지금 신라 북쪽 삭주이다.”라고 써있다. 선덕왕 6년 즉, 당 정관(貞觀) 11년(서기 637)에 우수주(牛首州)로 만들어 군주(軍主: 사령관)를 두었고,[문무왕 13년 즉, 당 함형(咸亨) 4년(서기 673)에 수약주(首若州)를 설치하였다고도 한다.] 경덕왕이 삭주로 개칭하여 지금의 춘주(春州)이다. 이 주에 속한 현은 셋으로 녹효현(綠驍縣)은 원래 고구려의 벌력천현(伐力川縣)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의 홍천현(洪川縣)이다. 황천현(潢川縣)은 원래 고구려의 횡천현(橫川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지평현(砥平縣)은 원래 고구려의 지현현(砥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지도상으로 그려본다면 반도 안에 평양을 중심으로 동남 그 아래 예,맥이 존재할 자리가 남아있나??? 오히려 예맥의 영역이 더 넓어지는 격....
北原京 本高句麗平原郡 文武王置北原小京 神文王五年築城 周一千三十一步. 景德王因之 今原州.
북원경 본고구려평원군 문무왕치북원소경 신문왕오년축성 주일천삼십일보. 경덕왕인지 금원주.
북원경(北原京)은 원래 고구려의 평원군(平原郡)으로써 문무왕이 북원소경(北原小京)을 설치하였고, 신문왕 5년(서기 685)에 성을 쌓았는데, 둘레가 1천31보였다. 경덕왕이 성의 이름을 그대로 두어 지금의 원주(原州)이다.
* 고구려 평원군은 산동성에 있는데....
奈隄郡 本高句麗奈吐郡 景德王改名 今湜州. 領縣二 淸風縣 本高句麗沙熱伊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赤山縣 本高句麗縣 景德王因之 今丹山縣
나제군 본고구려나토군 경덕왕개명 금제주 영현이 청풍현 본고구려사역이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적산현 본고구려현 경덕왕인지 금단산현.
나제군(奈隄郡)은 원래 고구려의 나토군(奈吐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의 제주(湜州)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로 청풍현(淸風縣)은 원래 고구려의 사열이현(沙熱伊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적산현(赤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현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를 따라 지금의 단산현(丹山縣)이다.
奈靈郡 本百濟奈已郡 婆娑王取之 景德王改名 今剛州 領縣二 善谷縣 本高句麗買谷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王馬縣 本高句麗古斯馬縣 景德王改名 今奉化縣.
나령군 본백제나이군 파사왕취지 경덕왕개명 금강주. 영현이 선곡현 본고구려매곡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왕마현 본고구려고사마현 경덕왕개명 금봉화현.
나령군(奈靈郡)은 원래 백제의 나이군(奈已郡)으로써 파사왕이 이를 빼앗았고,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의 강주(剛州)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인데 선곡현(善谷縣)은 원래 고구려의 매곡현(買谷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옥마현(玉馬縣)은 원래 고구려의 고사마현(古斯馬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봉화현(奉化縣)이다.
岋山郡 本高句麗及伐山郡 景德王改名 今興州. 領縣一 隣豊縣 本高句麗伊伐支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급산군 본고구려급벌산군 경덕왕개명 금흥주. 영현일 인풍현 본고구려이벌지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급산군(岋山郡)은 원래 고구려의 급벌산군(及伐山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해서 지금의 흥주(興州)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인풍현(隣豊縣) 하나이다. 인풍현은 원래 고구려의 이벌지현(伊伐支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嘉平郡 本高句麗斤平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一 浚水縣 本高句麗深川縣 景德王改名 今朝宗縣.
가평군 본고구려근평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일 준수현 본고구려심천현 경덕왕개명 금조종현.
가평군(嘉平郡)은 원래 고구려의 근평군(斤平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준수현(浚水縣) 하나인데 준수현은 원래 고구려의 심천현(深川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의 조종현(朝宗縣)이다.
楊麓郡 本高句麗楊口郡 景德王改名 今陽溝縣 領縣三 狶蹄縣 本高句麗猪足縣 景德王改名 今麟蹄縣 馳道縣 本高句麗玉岐縣 景德王改名 今瑞禾縣. 三嶺縣 本高句麗三峴縣 景德王改名 今方山縣.
양록군 본고구려양구군 경덕왕개명 금양구현. 영현삼 희제현 본고구려제족현 경덕왕개명 금인제군. 치도현 본고구려옥기현 경덕왕개명 금서화현. 삼영현 본고구려삼현현 경덕왕개명 금방산현.
양록군(楊麓郡)은 원래 고구려의 양구군(楊口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의 양구현(陽溝縣)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으로 희제현(狶蹄縣)은 원래 고구려의 저족현(猪足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의 인제현(麟蹄縣)이다. 치도현(馳道縣)은 원래 고구려의 옥기현(玉岐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의 서화현(瑞禾縣)이다. 삼령현(三嶺縣)은 원래 고구려의 삼현현(三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방산현(方山縣)이다.
狼川郡 本高句麗狌川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낭천군 본고구려성천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낭천군(狼川郡)은 원래 고구려의 성천군(狌川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大楊郡 本高句麗大楊菅郡 景德王改名 今長楊郡. 領縣二 藪川縣 本高句麗藪狌川縣 景德王改名 今和川縣. 文登縣 本高句麗文峴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대양군 본고구려대양관군 경덕왕개명 금장양순 영현이 수천현 본고구려수성천현 경덕왕개명 금화천현. 문등현 본고구려문현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대양군(大楊郡)은 원래 고구려의 대양관군(大楊菅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장양군(長楊郡)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인데 수천현(藪川縣)은 원래 고구려의 수성천군(藪狌川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고 지금의 화천현(和川縣)이다. 문등현(文登縣)은 원래 고구려의 문현현(文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益城郡 本高句麗母城郡 景德王改名 今金城郡.
익성군 본고구려모성군 경덕왕개명 금금성군.
익성군(益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모성군(母城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금성군(金城郡)이다.
岐城郡 本高句麗冬斯忽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一 通溝縣 本高句麗水入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기성군 본고구려동사홀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일 통구현 본고구려수입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기성군(岐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동사홀군(冬斯忽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통구현(通溝縣) 하나인데 통구현은 원래 고구려의 수입현(水入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連城郡 本高句麗各[一作客]連城郡 景德王改名 今交州. 領縣三 丹松縣 本高句麗赤木鎭 景德王改名 今嵐谷縣 軼雲縣 本高句麗管述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狶嶺縣 本高句麗猪守峴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연성군 본고구려각[일작객]연성군 경덕왕개명 금교주. 영현삼 단송형 본고구려적목진 경덕왕개명 금남곡현. 일운현 본고구려관술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희령현 본고구려제수현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연성군(連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각[객(客)으로서도 쓴다.]련성군(各連城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의 교주(交州)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으로 단송현(丹松縣)은 원래 고구려의 적목진(赤木鎭)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해서 지금의 남곡현(嵐谷縣)이다. 일운현(軼雲縣)은 원래 고구려의 관술현(管述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희령현(狶嶺縣)은 원래 고구려의 저수현현(猪守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朔庭郡 本高句麗比列忽郡 眞興王十七年 梁太平元年 爲比列州 置軍主 孝昭王時築城 周一千一百八十步 景德王改名 今登州. 領縣五 瑞谷縣 本高句麗 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蘭山縣 本高句麗昔達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霜陰縣 本高句麗薩寒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菁山縣 本高句麗加支達縣 景德王改名 今汶山縣. 翊谿縣 本高句麗翼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삭정군 본고구려비열홀군 진흥왕십칠년 양태평원년 위비열주 치군주 효소왕시축성 주일천이백팔십보 경덕왕개명 금등주. 영현오 서곡현 본고구려*곡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난산현 본고구려석달현 경덕왕갸명 금미상. 상음현 본고구려살한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청산현 본고구려가지달현 경덕왕개명 금문산현. 익계현 본고구려익곡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삭정군(朔庭郡)은 원래 고구려의 비열홀군(比列忽郡)으로써 진흥왕 17년 즉, 양나라 태평(太平) 원년(서기 556)에 비열주(比列州)로 만들어 주둔군을 두었고, 효소왕(孝昭王) 때 성을 쌓았는데, 둘레가 1천1백80보였고 경덕왕이 이를 삭정군으로 개칭하여 지금의 등주(登州)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다섯인데 서곡현(瑞谷縣)은 원래 고구려의 경곡현(*谷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난산현(蘭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석달현(昔達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상음현(霜陰縣)은 원래 고구려의 살한현(薩寒縣)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청산현(菁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가지달현(加支達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문산현(汶山縣)이다. 익계현(翊谿縣)은 원래 고구려의 익곡현(翼谷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井泉郡 本高句麗泉井郡 文武王二十一年取之 景德王改名 築炭項關門 今湧州. 領縣三 蒜山縣 本高句麗買尸達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松山縣 本高句麗夫斯達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幽居縣 本高句麗東墟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정천군 본고구려천정군 문무왕이십일년취지 경덕왕개명 축탄항관문 금용주. 영현삼 산산현 본고구려매시달현 경덕왕갸명 금미상. 송산현 본고구려부사달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유거현 본고구려동허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정천군(井泉郡)은 원래 고구려의 천정군(泉井郡)으로써 문무왕 21년(서기 681)에 이를 빼앗았으며 경덕왕이 개칭하고 탄항관문(炭項關門)을 쌓았고 지금의 용주(湧州)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으로 산산현(蒜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매시달현(買尸達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송산현(松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부사달현(夫斯達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유거현(幽居縣)은 원래 고구려의 동허현(東墟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志 第五-新羅 熊州 (0) | 2020.03.03 |
---|---|
雜志 第四-新羅 溟州 (0) | 2020.03.03 |
雜志 第四-新羅 漢州 (0) | 2020.03.01 |
雜志 第三-新羅 康州 (0) | 2020.03.01 |
雜志 第三-新羅 良州 (0) | 2020.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