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誌 第四-新羅 溟州
溟州 本高句麗河西良[一作何瑟羅] 後屬新羅 賈耽古今郡國志云 “今新羅北界溟州 蓋濊之古國.” 前史以扶餘爲濊地 蓋誤. 善德王時爲小京 置仕臣 太宗王五年 唐顯慶三年 以何瑟羅地連靺鞨 罷京爲州 置軍主以鎭之 景德王十六年改爲溟州 今因之. 領縣四 旌善縣 本高句麗仍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梀[一作棟]隄縣 本高句麗束吐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支山縣 本高句麗縣 景德王因之 今連谷縣 洞山縣 本高句麗穴山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명주 본고구려하서랑[일작하슬라] 후속신라. 가탐고금군국지운 금신하북계명주 개예지고국 전사이부여위예지 개오 선덕왕시위소경 치사신 태종왕오년 당현경삼년 이하슬라지연말갈 파경위주 치군주이진지 경덕왕십육년 개위명주 금인지. 영현사 정선현 본고구려잉매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속[일작동]제현 본고구려속토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지산현 본고구려현 경덕왕인지 금연곡현. 동산현 본고구려혈산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명주(溟州)는 원래 고구려의 하서량(河西良)[하슬라(何瑟羅)라고도 한다.]인데 뒷날 신라에 속하였다. 가탐(賈耽)의 『고금군국지(古今郡國志)』에 “지금 신라의 북부 경계에 있는 명주는 대부분이 예(濊)의 옛 나라이다.”라고 써있다. 이전의 역사서에는 부여(扶餘)를 예의 땅이라고 하였는데 잘못인 듯하다. 선덕왕(善德王) 때 소경(小京)을 만들고 관리를 배치하였으나, 태종왕(太宗王) 5년 즉, 당 현경(顯慶) 3년(서기 685)에 하슬라 지역이 말갈(靺鞨)과 연결되어 있다 하여 소경을 폐지하여 주를 만들고 군대를 두어 이를 지키게 하였다가 경덕왕 16년(서기 757)에 명주로 개칭하였는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며 정선현(旌善縣)은 원래 고구려의 잉매현(仍買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속[동(棟)이라고도 한다.]제현(梀隄縣)은 원래 고구려의 속토현(束吐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지만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지산현(支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현이었다. 경덕왕이 이 이름을 따랐는데 지금의 연곡현(連谷縣)이다. 동산현(洞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혈산현(穴山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부여가 예의 땅이라면??? 신라는 반도가 아니다.
曲城郡 本高句麗屈火郡 景德王改名 今臨河郡. 領縣一 緣[一作椽]武縣 本高句麗伊火兮縣 景德王改名 今安德縣.
곡성군 본고구려굴화군 경덕왕개명 금임하군. 영현일 연[일작연]무현 본고구려이화혜현 경덕왕개명 금안덕현.
곡성군(曲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굴화군(屈火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임하군(臨河郡)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연무현 하나이다. 연[연(椽)이라고도 한다.]무현(緣武縣)은 원래 고구려의 이화혜현(伊火兮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의 안덕현(安德縣)이다.
野城郡 本高句麗也尸忽郡 景德王改名 今盈德郡 領縣二 眞安縣 本高句麗助欖縣 景德王改名 今甫城府. 積善縣 本高句麗靑已縣 景德王改名 今靑鳧縣.
야성군 본고구려야시홀군 경덕왕개명 금영덕군. 영현이 진안현 본고구려조람현 경덕왕개명 금보성부. 적선현 본고구려청이현 경덕왕개명 금청부현.
야성군(野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야시홀군(也尸忽郡)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의 영덕군(盈德郡)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며, 진안현(眞安縣)은 원래 고구려의 조람현(助欖縣)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으로 지금의 보성부(甫城府)이다. 적선현(積善縣)은 원래 고구려의 청이현(靑已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의 청부현(靑鳧縣)이다.
有隣郡 本高句麗于尸郡 景德王改名 今禮州. 領縣一 海阿縣 本高句麗阿兮縣 景德王改名 今淸河縣.
유린군 본고구려우시군 경덕왕개명 금예주, 영현일 해아현 본고구려아혜현 경덕왕개명 금청하현.
유린군(有隣郡)은 원래 고구려의 우시군(于尸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의 예주(禮州)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인데 해아현(海阿縣)은 원래 고구려의 아혜현(阿兮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의 청하현(淸河縣)이다.
蔚珍郡 本高句麗于珍也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一 海曲[一作西]縣 本高句麗波且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울진군 본고구려우진야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일 해곡[일작서]현 본고구려파차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울진군(蔚珍郡)은 원래 고구려의 우진야현(于珍也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해곡현 하나이며 해곡[서(西)라고도 한다.]현(海曲縣)은 원래 고구려의 파차현(波且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 고구려의 강역이 울진까지?????
奈城郡 本高句麗奈生郡 景德王改名 今寧越郡 領縣三 子春縣 本高句麗乙阿旦縣 景德王改名 今永春縣 白烏縣 本高句麗郁烏縣 景德王改名 今平昌縣 酒泉縣 本高句麗酒淵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나성군 본고구려나생군 경덕왕게명 금영월군. 영현삼 자춘현 본고구려을아단현 경덕왕개명 금영춘현. 백오현 본고구려욱오현 경덕왕갸명 금평창현. 주천현 본고구려주연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나성군(奈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나생군(奈生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의 영월군(寧越郡)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고 자춘현(子春縣)은 원래 고구려의 을아단현(乙阿旦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며 지금의 영춘현(永春縣)이다. 백오현(白烏縣)은 원래 고구려의 욱오현(郁烏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고 지금의 평창현(平昌縣)이다. 주천현(酒泉縣)은 원래 고구려의 주연현(酒淵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진흥왕 순수비 아래 영월군?????
三陟郡 本悉直國 婆娑王世來降 智證王六年 梁天監四年 爲州 以異斯夫爲軍主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四 竹嶺縣 本高句麗竹峴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滿卿[一作鄕]縣 本高句麗滿若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羽谿縣 本高句麗羽谷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海利縣 本高句麗波利縣 景德王改名 今未詳.
삼척군 본실직국 파사왕세래항 지증왕육년 양천감사년 위주. 이이사부위군주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사 죽령현 본고구려죽현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만경[일작향]현 본고구려만약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우계현 본고구려우속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해리현 본고구려파리현 경덕왕개명 금미상.
삼척군(三陟郡)은 원래 실직국(悉直國)으로써 파사왕 때 항복하여 왔는데 지증왕(智證王) 6년 즉, 양 천감(天監) 4년(서기 505)에 주로 만들고 이사부(異斯夫)를 군주(軍主)로 삼았는데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며 죽령현(竹嶺縣)은 원래 고구려의 죽현현(竹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만경[향(鄕)이라고도 한다.]현(滿卿縣)은 원래 고구려의 만약현(滿若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우계현(羽谿縣)은 원래 고구려의 우곡현(羽谷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해리현(海利縣)은 원래 고구려의 파리현(波利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나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 삼척이 고구려 강역????
守城郡 本高句麗䢘城郡 景德王改名 今杆城縣. 領縣二 童山縣 本高句麗僧山縣 景德王改名 今烈山縣. 翼嶺縣 本高句麗翼峴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수성군 본고구려수성군 경덕왕개명 금간성현. 영현이 동산현 본고구려증산현 경덕왕개명 금열산현. 익령현 본고구려익현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수성군(守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수성군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며 지금의 간성현(杆城縣)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인데 동산현(童山縣)은 원래 고구려의 승산현(僧山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의 열산현(烈山縣)이다. 익령현(翼嶺縣)은 원래 고구려의 익현현(翼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高城郡 本高句麗達忽 眞興王二十九年 爲州 置軍主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二 豢猳縣 本高句麗猪䢘穴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偏嶮縣 本高句麗平珍峴縣 景德王改名 今雲巖縣.
고성군 본고구려달홀 진흥왕이십구년 위주 치군주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이 환가현 본고구려저수혈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편험현 본고구려평진현현 경덕왕개명 금운암현.
고성군(高城郡)은 원래 고구려의 달홀(達忽)로써 진흥왕 29년(서기 568)에 주로 만들어 군주(軍主)를 두었는데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며 환가현(豢猳縣)은 원래 고구려의 저수혈현(猪䢘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해서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편험현(偏嶮縣)은 원래 고구려의 평진현현(平珍峴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의 운암현(雲巖縣)이다.
金壤郡 本高句麗休壤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五 習谿縣 本高句麗習比谷縣 景德王改名 今歙谷縣 隄上縣 本高句麗吐上縣 景德王改名 今碧山縣 臨道縣 本高句麗道臨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派川縣 本高句麗改淵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鶴浦縣 本高句麗鵠浦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금양군 본고구려휴양군 경덕왕개명 금인지 영현오 습곡현 본고구려습비곡현 경덕왕개명 금흡곡현. 제상현 본고구려토상현 경덕왕개명 금벽산현. 임도현 본고구려도림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파천현 본고구려개연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학포현 본고구려곡포현 경덕왕개명 금인지.
금양군(金壤郡)은 원래 고구려의 휴양군(休壤郡)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고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다섯이며 습계현(習谿縣)은 원래 고구려의 습비곡현(習比谷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은 흡곡현(歙谷縣)이다. 제상현(隄上縣)은 원래 고구려의 토상현(吐上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했으나 지금의 벽산현(碧山縣)이다. 임도현(臨道縣)은 원래 고구려의 도림현(道臨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해서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파천현(派川縣)은 원래 고구려의 개연현(改淵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하여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학포현(鶴浦縣)은 원래 고구려의 곡포현(鵠浦縣)이었던 것을 경덕왕이 개칭한 것인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志 第四-新羅 全州 (0) | 2020.03.04 |
---|---|
雜志 第五-新羅 熊州 (0) | 2020.03.03 |
雜志 第四-新羅 朔州 (0) | 2020.03.02 |
雜志 第四-新羅 漢州 (0) | 2020.03.01 |
雜志 第三-新羅 康州 (0) | 2020.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