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史記

新羅本紀- 南解次次雄



南解次次雄

 

 

南解次次雄立 赫居世嫡子也 身長大 性沈厚 多智略 母閼英夫人 妃雲帝夫人(一云阿婁夫人) 繼父卽位 稱元

남해차차웅 혁거세적자야 신장대 성침후 다지략 모알영부인 비운제부인 계부즉위 칭원.


남해 차차웅은 혁거세의 친자로 덩치 크고 성정이 사려깊으며 어머니는 알영부인이고 비는 운제부인(혹 아루부인)이요 아버지 혁거세를 이어 즉위하고 연호를 두었다.

 

* 次次雄: 或云慈充 金大問云 方言謂巫也 世人以 巫事鬼神 尙祭祀 故畏敬之 遂稱尊長者 爲慈充

차차웅이란 혹 자충으로 부르기도 하며 김대문이 말하길 무의 방언이라하여 귀신의 일을 점치고 제사를 받든다 고로 존경받아 어른으로 대접받으니 자충이라 하는 것이다.

 

論曰 人君卽位 踰年稱元 其法 詳於春秋 此先王不刊之典也.

논왈 인군즉위 유년칭원 기법 상어춘추 차선왕불간지전야.

 

논쟁이 있어 사람들의 우두머리가 즉위하면 그 해를 원년이라는데 그 법은 춘추에 상세히 나와 있고 이는 선왕들이 고치지 않아서다.

 

伊訓曰 成湯旣沒 太甲元年 正義曰 成湯旣沒 其歲 卽太甲元年.

이훈왈 성탕기몰 태갑원년 정의왈 성탕기몰 기세 즉 태갑원년.

 

상나라의 공신 이훈은 이르길 성왕과 탕왕이 죽은 해를 태갑원년이라 하였기에 보통은 성왕과 탕왕이 죽은 해를 태갑원년이라 한다.

 

然孟子曰 湯崩 太丁未立 外丙二年 仲壬四年.

연맹자왈 탕붕 태정미립 외병이년 중임사년.

 

하여 맹자는 이르길 탕왕이 죽고 아들 태정이 즉위하지 않았으므로 아들 외병 2년 또는 중임 4년이라 한다.

 

則疑若尙書之脫簡 而正義之誤說也.

즉의약상서지탈간 이정의지오설야.

 

즉 상서(상나라 역사서)에 빠진 부분이 의심스럽긴 하지만 외병 중임등은 틀린 소리다.

    

或曰 古者 人君卽位 或踰月稱元年 或踰年而稱元年 踰月而稱元年者. 成湯旣沒 太甲元年 是也.

혹왈 고자 인군즉위 혹유월칭원년 혹유년이칭원년. 유월이칭원년자. 성탕기몰 태갑원년 시야.

 

옛날엔 우두머리가 즉위하면 그 달이든 그 해든 원년이라 했으니 그 달이 바로 원년이 되기도 한다. 성탕이 죽어 태갑원년이란 말이 그 뜻이다.

 

孟子云太丁未立者 謂太丁未立而死也 外丙二年 仲壬四年者. 皆謂 太丁之子 太甲二兄 或生二年 或生四年而死.

맹자운태정미립자 위태정미립이사야. 외병이년 충임사년자 개위 태정지자 태갑이형 혹생이년 혹생사년이이사.


맹자가 이르길 태정이 즉위하지 못하고 일찍 죽어서 외병 2년 중임 4년이란 거고 이 모두 태정의 아들이요 태갑의 두 형이요 혹 2년에 나서 4년에 죽어서일 지도 모른다 했다.

太甲所以得繼湯耳 史記便謂此仲壬 外丙爲二君 誤也.

태갑소이득계당이 사기경위차충임외병위이군 오야.

 

태갑이 탕왕의 뒤를 이이었기에 역사서가 이를 중임이라고하고 외병을 다음 우두머리라는데 틀린 것이다.

 

由前 則以先君終年 卽位稱元 非是 由後 則可謂得商人之禮者矣.

유전 즉이선군종년 즉위칭원 시비 유후 즉가위득상인지예자의.

 

앞의 주장대로 즉 선왕이 죽은 해를 원년이라 칭하는 것은 틀린 것이요 뒤의 주장대로라면 상나라의 예법을 따르게 되는 것이다.

 

元年 秋七月 樂浪兵至 園金城數重 王謂左右曰 二聖棄國 孤以國人推戴 謬居於位 危懼若涉川水 今鄰國來侵. 是孤之不德也 爲之若何. 左右對曰 賊幸我有喪 妄以兵來 天必不祐 不足畏也 賊俄而退歸

원년 추칠월 낙랑병지 원금성수중 왕위좌우왈 이성기국 고이국인추대 류거어위 위구약섭천수 금린국래침 시고지부덕야 위지약하 좌우대왈 적행아유상 망이병래 천필불우 부족외야 적아이퇴귀.

 

원년 가을 칠월 낙랑군이 처들어와 금성을 몇 겹으로 에워싸니 왕이 좌우신료들에게 말하길 두 성인께서 우리를 버리시고 내 무리들의 추대로 위에 올랐으나 위태하기가 물을 건너는 것과 같아서 이제 이웃나라가 침노하는구나. 이는 내 신료들의 말을 듣지 않아서 받는 고통이라. 좌우신료들이 답하길 우리가 상을 당한 틈을 타 망녕되이 처들어온 것이니 하늘도 돕지않음을 두려워하지 않음이니 곧 퇴각할 겁니다 하였다.

 

三年 春正月 立始祖廟 冬十月丙辰朔 日有食之

삼년 춘정월 입시조묘 동시월병진삭 일유식지

 

3년 봄 1월에 조상묘에 제를 시작하고 겨울 10월 그믐 병진일에 일식이 있었다.

 

五年 春正月 王聞脫解之賢 以長女妻之

오년 춘정월 왕문탈해지현 이장녀처지.

 

5년 봄 1월에 탈해가 현명하다 듣고 맏딸을 시집 보냈다.

 

七年 秋七月 以脫解爲大輔 委以軍國政事

칠년 추칠월 이탈해위대보 위이군국정사,

 

7년 가을 7월 탈해가 잘 보좌하므로 나랏일을 맡겼다.

 

八年 春夏 旱

팔년 춘하 한

 

8년 봄과 여름은 가물었다.


十一年 倭人遣兵船百餘艘 掠海邊民戶 發六部勁兵以禦之. 樂浪謂內虛 來攻金城甚急. 夜有流星 墜於賊營 衆懼而退 屯於閼川之上 造石堆二十而去. 六部兵一千人追之 自吐含山東至閼川 見石堆知賊衆 乃止.

십일년 왜인견병선백여소 략해변민호 발육부경병이어지. 낙랑위내허 래공금성심급 야유유성 추어적영 중구이퇴 둔어알천지상 조석퇴이십이거 육부병이천인추지 자토함산동지알천 견석퇴지적중 내지.

 

11년 왜인들이 병선 100여 척으로 해변 주민을 약탈하니 6부의 경병(특수부대)가 대응하도록 했다. 내허라 불리던 낙랑이 금성을 침입하니 심각했다. 밤에 유성이 나타나 적진에 떨어지니 무리들이 두려워 퇴각하여 알천 상류에 주둔하여 석퇴를 20여개 쌓고 철수했다. 6부의 병사 2000명이 토함산 동쪽에서 알천까지 추적하다 석퇴를 보고 적이 수가 많음을 알고 멈추었다.   

 

十三年 秋七月戊子晦 日有食之

십삼년 추칠월무자회 일유식지.


13년 가을 7월 그믐 무자일에 일식이 있었다.

 

十五年 京城旱 秋七月 蝗 民饑 發倉廩救之

십오년 경성한 추칠월 황 민기 발창름구지


15년에 금성에 한발이 들고 메뚜기가 창궐하여 백성들이 굶주리니 창고를 열어 구제했다.

 

十六年 春二月 北溟人耕田 得濊王印獻之

십육년 춘이월 북명인경전 득예왕인헌지.

 

16년 봄 2월 북명인이 밭을 갈다가 예왕의 옥새를 얻어 바쳤다.

 

여기서 북명이란 지명이 어딘지도 불상이요 예왕을 예맥족의 수장으로 보는데.... 예맥이란 단어에 의거하면 함경도 강원도 북부 지역이며 북명의 명은 아직 계몽되지 않았다라는 의미 정도...

 

十九年 大疫 人多死 冬十一月 無氷

십구년 대역 인다사 동십일월 무빙

 

19년 역병이 돌아 사람들이 많이 죽었고 겨울 11월에도 얼음이 얼지 않았다.

 

二十年 秋 太白入太微

이십년 추 태백입태미

 

20년 가을 태백성(금성)太微垣에 들어섰다.


* 금성은 신하를 의미하고 태미원은 궁성을 의미하여 신하가 궁성에 난입한다고도 해석함

 

 

二十一年 秋九月 蝗 王薨 葬蛇陵園內

이십일년 추구월 황 왕훙 장사릉원내.

 

21년 가을 9월 메뚜기가 창궐했고 왕이 승하하고 사릉원에 장사지냈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羅本紀-婆娑尼師今  (0) 2019.11.20
新羅本紀-脫解尼師今  (0) 2019.11.20
新羅本紀-儒理尼師今立  (0) 2019.11.19
新羅本紀-朴赫居世  (0) 2019.11.18
三國史記-表  (0) 2019.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