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史記

夏本紀

夏禹 名曰文命.

하우 명왈문명


하우씨의 이름은 문명이오  


禹之父曰鯀 鯀之父曰帝顓頊 顓頊之父曰昌意 昌意之父曰黃帝.

우지부왈 곤 곤지부왈제전욱 전욱지부왈창의 창의지부왈황제


하우씨의 아버지는 곤이요 곤의 아버지는 전욱씨요 전욱의 아버지는 창의씨요 창의씨의 아버지는 황제씨라.  


禹者 黃帝之玄孫而帝顓頊之孫也.

우자 황제지현손이제전욱지손야 


하우씨는 황제의 고손자요 전욱씨의 손자라  


禹之曾大父昌意及父鯀 皆不得在帝位 爲人臣.

우지증대부창의급부곤 개부득재제위 위인신


하우씨의 증조부 창의씨 그리고 아비 곤씨까지 모두 왕위에 오르지 않고 신하로 살았다


當帝堯之時 鴻水滔天 浩浩懷山襄陵 下民其憂. 

당제요지시 홍수도천 호호회산양능 하민기우 


요임금 당시 홍수에 산을 휘감아돌고 얕은 언덕을 넘치니 아랫사람들이 걱정이었다. 


堯求能治水者 群臣四嶽皆曰鯀可.

요구능치수자 군신사악개왈곤가


요임금이 치수할 사람을 찾자 모든 신하들이 곤이 할수있다 하니 


堯曰 : “鯀爲人負命毁族 不可.”

요왈 :  곤위인부명훼족 불가


 요임금이 답하길: 곤은 사람됨이 명을 따르지않고 겨레의 화합을 깨는 사람이라 안되오. 


四嶽曰 : “等之未有賢於鯀者 願帝試之.”

사악왈 :  등지미유현어곤자 원제시지


4대신이 답하길 곤만치 현명한 사람도 없으니 시험해 보소서하니  


於是堯聽四嶽 用鯀治水.

어시요청사악 용곤치수 


이에 요임금이 4대신의 말을 듣고 곤에게 치수를 맡겼다.  


九年而水不息 功用不成.

구년이수불식 공용불성


9년간 치수를 해도 성과가 없었다.  


於是帝堯乃求人 更得舜.

그래서 요임금이 다른 사람을 찾으니 그가 순이요  


舜登用 攝行天子之政 巡狩.

순등용 섭행천하지정 순수


순을 등용하여 천하를 맡겨보니 해내더라  


行視鯀之治水無狀 乃殛鯀於羽山以死.

행시곤지치수무상 내극곤어우산이사  


곤의 치수가 헛됨을 보고 곤을 우산으로 내쳐 거기서 죽게했으니 


天下皆以舜之誅爲是. 

천하개이순지주위시


세상 사람 모두는 순의 모함으로 이리됐다 생각했다 


於是舜擧鯀子禹 而使續鯀之業.

어시순거곤자우 이사속곤지업 


그래서 순은 곤의 아들 우를 들어 아버지 곤의 과업을 이어가게 했다.  


堯崩 帝舜問四嶽曰 : “有能成美堯之事者使居官?” 

요붕 제순문사악왈 : 유능성미요지사자사거관 


요가 붕어하고 순임금이 4대신에게 묻기를 요임금의 덕을 펼칠만한 사람이 있나 하니 


皆曰 : “伯禹爲司空 可成美堯之功.” 

개왈 :  백우위사공 가성미요지공


모두 답하길 우씨를 사공으로 삼으소서 가히 요임금의 덕을 이루리다 하더라  


舜曰 : “嗟, 然!” 命禹 : “女平水土 維是勉之.”

순왈   차  연   명우    여평수토 유시면지


순이 답하길 아 그렇군 하우씨에게 명하길 넌 토목 일을 관두라 하니


禹拜稽首 讓於契·后稷·皐陶.

우배계수 양어설.후직.고요


공손히 설 후직 고요에게 그 일을 넘기더라

 

舜曰 : “女其往視爾事矣.” 

순왈   여기왕시이사의 


너는 가서 너의 일을 보아라 


禹爲人敏給克勤 ; 其德不違 其仁可親 其言可信 ; 聲爲律 身爲度 稱以出 ; 亹亹穆穆 爲綱爲紀. 

우위인민급극근  기덕불위  기인가친 기언가신  성위율 신위도 칭이출 미미목목 위강위기


하우씨의 사람됨이 본디 건실하니 덕으로도 모남이 없고 어질어 누구와도 어우러지며 언행이 신의가 있고 언행이 사리에 맞으니 그 행함이 기준이 될 만 하다. 


禹乃遂與益·后稷奉帝命 命諸侯百姓興人徒以傅土 行山表木 定高山大川. 

우내수여익 후직봉제명 명제후백성흥인도이부토 행산표목 정고산대천


하우씨가 익과 후직과 더불어 임금의 명을 받들어 제후 백성들을 불러 부토=구획을 정하는데 산마다 다니며 표지목을 세워 고산대천을 정하였다.


禹傷先人父鯀功之不成 受誅乃勞身焦思 居外十三年 過家門不敢入. 

우상선인부곤공지불성 수주내노신초사 거외십삼년 과가문불감입


하우씨는 아비 곤의 미완에 상처받아 핀잔들을까 싶어 온 정성으로 13년간 한 데 생활하면서 집앞을 지나면서도 들르지 않았다. 


薄衣食 致孝于鬼神 卑宮室 致費於溝淢.  

박의식 치효우귀신  비궁실 치비어구역


박한 음식을 먹으며 신명에 집중하고 한 데서 자며 그 비용을 물길 만드는데 썼다. 


陸行乘車 水行乘船 泥行乘橇 山行乘

육행승차 수행승선 이행승교  산행승국 


육지를 다닐땐 수레로 물에선 배로 뻘에선 뻘배로 산을 다닐 땐 나막신을 신었다. 


左準繩 右規矩 載四時 以開九州 通九道 陂九澤 度九山. 

좌준승 우규구 재사시 이개구주 통구도 피구택  도구산


먹줄과 자를 사계절 들고 다니며 9주의 경계와 9길 9못을 만들고 9산을 재었다. 


令益予衆庶稻 可種卑溼. 

영익자중서도 가종비습


익에게 서민들로 하여금 水滔법을 펼치게 했고 


命后稷予衆庶難得之食. 

명후직여중선난득지식 


후직에게 서민들이 몰랐던 식사법을 가르치게 했다. 


食少 調有餘相給 以均諸侯. 

식소 조유여상급 이균제후 


적게 먹어 남는 여분을 제후들로 균등히 나누게 했다. 


禹乃行相地宜所有以貢 及山川之便利.

우내행상지의소유이공 내산천지편리


하우씨는 현장을 방문하여 그 땅의 소출로 조공하게 하니 산촌 사람이나 어부들도 편리하여졌다.  


禹行自冀州始. 

우행자기주시


하우씨는 그 여행을 기주에서부터 시작했다. 


冀州 : 旣載壺口 治梁及岐.

기주  기재호구 치양급기 


기주는 호구지방을 포함 기산에 이르는 양지역을 말함이다.  


旣脩太原 至于嶽陽. 

기수태원 지우악양


너른 벌판과는 거리가 먼 돌 산에 가까운 지형이다. 


覃懷致功 至於衡漳. 

담회치공 지어형장


무진 애를 써서 공을 이루어 형장에 까지 이르고 


其土白壤. 

기토백양


토질은 흰색으로 


賦上上錯 田中中 常·衛旣從 大陸旣爲. 

부상상착 전중중  상 위기종 대륙기위


세금 등급은 상중 상이요 소출로는 중에 중이고 상 그리고 위수가 흐르니 큰 평야를 이룬다.  


鳥夷皮服. 

조이피복 


복색은 조이와 같고 


夾右碣石 入于海. 

협우갈석 입우해 


우로는 갈석을 끼고 바다에 이른다 


-여기서 우리는 하우씨의 아버지 의 치수와 하우씨의 작업=소위 토목 치수와및 경계 획정이 혼용됨을 본다. 

그 이유는 홍수로 늘었다 줄었다하는 토지 경계를 세우는 일에 실패한 아비 곤의 예를 보아도 그렇고 본문으로 본다면 행정작업에 가깝다 봐진다. 



濟·河維沇州 : 九河旣道 雷夏旣澤 雍·沮會同 桑土旣蠶 於是民得下丘居土.

제 하유연주  구하기도  뇌하기택 옹 저회동 상토기잠 어시민득하구거토 


제수와 하=황하 사이가 연주다: 9개의 강이 서로 통하고 한여름 비에 못으로 화하며 옹수 저수가 합쳐지며 뽕밭과 잠업이 성행하니 사람들은 언덕에 산다. 


其土黑墳 草繇木條. 

기토흑분 초요목조


땅이 검어 풀이 무성하고 나무들은 쭉쭉 뻣어있다. 


田中下 賦貞 作十有三年乃同. 

전중하 부정 작십유삼년내동


토질은 중하급이라 세금 매기기 어렵고 1/3 정도이다 


其貢漆絲 其篚織文.

기공칠사 기비직문 


공물은 칠사와 무늬로 짠 바구니 


浮於濟·漯 通於河. 

부어제 탑 통어하 


제수와 탑수가 황하에 합쳐지는 지역이다. 


海岱維靑州 : 堣夷旣略 濰·淄其道.

해대유청주 우이기략 유 치기도


해대는 청주에 있고 우이가 다스리는 지역이며 유하 치하가 흐르는 곳이다


其土白墳 海濱廣潟 厥田斥鹵.

기토백분 해빈광석 궐전척로


그 땅은 흰색이요 바닷가는 뻘이고 염분이 많은 땅이다.


田上下 賦中上.

전상하 부중상


토질을 상중 하급이요 세는 중급 상이다.


厥貢鹽絺 海物維錯 岱畎絲·枲·鉛·松·怪石 萊夷爲牧 其篚酓絲

궐공염치 해물유착 대 견 사 시 연 송 괴 석 래 이 작 목 궐 기비염사


그 공물은 소금과 베 그리고 산누에 비단 모시 납 소나무 괴석이 나며 래이가 유목하며 그 봉물 함이 산 누에였다.


浮於汶 通於濟. 

부어문 통어제


문강을 따라가면 제하로 통한다.



海岱及淮維徐州 : 淮·沂其治
 蒙·羽其蓺. 

해대급회유서주   회 기기치 몽 우기예


해대는 서주에 닿아있고 회수와 기수는 수세가 일정하고 모산 우산은 수풀이 우거졌다. 


大野旣都 東原厎平.

대야기도 동원저평


그 대지엔 이미 도읍이 있어 동쪽으로 낮고 너른 평야다 


其土赤埴墳 草木漸包.

기토적식분 초목점포


그 토질은 붉은 진흙으로 초목이 점점이 자라고 


其田上中 賦中中.

기전상중 부중중


그 토질은 상에 중이요 세는 중의 중급이다.  


貢維土五色 羽畎夏狄 嶧陽孤桐 泗濱浮磬 淮夷蠙珠臮魚 其篚玄纖縞. 

공유토오색 우견하적 역양고동 사빈부경  회이빈주기어  기비현섬호


공물로는 5색토 와 꿩 그리고 소리나는 오동나무 해안가 경석 그리고 회이의 희귀한 진주와 어물 그리고 특산은 검은 비단이다.


浮于淮·泗 通于河. 

부우회 사 통우하


회수 사수를 통하면 황하에 닿는다. 



淮海維揚州 : 彭蠡旣都 陽鳥所居. 

회해유양주   팽려기도 양조소거


회수와 바다가 있는 땅이 철새들이 사는 양주로 팽려호가 있고 


三江旣入 震澤致定. 

삼강기입 진택치정


3강이 유입되어 늘 안정되니 


竹箭旣布. 

죽전기포


대나무가 자라고 


其草惟夭 其木惟喬 其土塗泥. 

기초유요 기목유교 기토도니


풀들이 많고 나무가 높이 자라며 그 땅은 진흙이다


田下下 賦下上上雜. 

전하하 부하상상잡


소출은 안나고 세금으로도 하급에서 좀 나은 정도 


貢金三品 瑤·琨·竹箭 齒·革·羽·旄 島夷卉服 其篚織貝 其包橘·柚錫貢. 

공금삼품 요곤 죽전  치 혁 우 모 도이훼복 기비직패 기포귤  유석공


공물로는 세가지 금속 옥 화살죽 치혁우모(장식용) 그리고 도이의 풀옷 꿴 조개 귤 유자등등...


均江海 通淮·泗. 

균강해 통회 사


홍수는 안나는 강과 바다 지역으로 회수 사수와 통한다. 


荊及衡陽維荊州 : 江·漢朝宗于海. 

형급형양유형주  강 한조종우해 


荊山에서 衡山 陽지까지가 荊州다 강강과 한수가 바다로 닿고 


九江甚中 沱·涔已道 雲土·夢爲治. 

구강심중 타 잠이도  운토 몽위치


9강이 자리잡아 沱水와 涔水가 이미 자리 잡았고 운 호수와 몽 호수가 안정적으로 다스려지며 


其土塗泥 田下中 賦上下. 

기토도니 전하중 부상하


땅을 뻘흙이며 소출은 하급에서 중간쯤이요 세금은 상급의 하급 정도 


貢羽·旄·齒·革 金三品 杶·榦·栝·柏 礪·砥·砮·丹 維箘簬·梏 三國致貢其名 包匭菁茅 其篚玄纁璣組 九江入賜大龜. 

공우 모 치 혁 금삼품 춘 간 괄 백  려 연 노 단  유균로 곡  삼국치공기명  포궤청모 기비현훈기조 구강입사대구 


산물로는 장식품과 세가지 금속, 대나무 뽕나무 향나무 잣나무 그리고 균 로 곡등 식물과 3 나라 말로는 청모=점치기 용 풀, 그리고 검붉은 진주 그리고 9강 하구의 거북이등이 특산이다.  


浮于江·沱·涔·(于)漢 踰于雒 至于南河. 

부우강 타 잠  우 한 유우락 지우남하 


장강 타수 잠수 그리고 한수가 雒水로 모여 남하로 닿는다. 


- 여기 보면 전장에 나온 대로 귤이나 유자가 특산이며 뻘흙인 해안가로 남하=앙쯔강에 닿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본다. 

즉, 현재 지명에 대입하는 민족 사학?의 주장을 재고해야 한다고 본다.  


荊河惟豫州 : 伊·雒·瀍·澗旣入于河 滎播旣都 道荷澤 被明都. 

형하유예주      이 락 전 간 기이우하       형파시도    도하택   피명도 


형강은 예주에 있어 이수 락수 건수 간수등이 형하로 들어오고 연꽃이 만장한 형滎이란 호수를 이룬다  


其土壤 下土墳壚 田中上 賦雜上中. 

기토양 하토분로 전중상 부잡상중


그 토질은 농사에 부적합한 검은 흙으로 경작은 하지만 소출은 잡=하찮은 것에서 좀 나은 정도 


貢漆·絲·絺·紵 其篚纖絮 錫貢磬錯. 

공칠 사 치 저 기비섬서  석공경착


산물로는 칠 실 베 모시등이 나고 공물로는 가는 두건 그리고 숫돌이다  



浮於雒 達於河. 

부우락 달어하 


락수로 가면 황하에 닿는다. 


-중국은 물의 나라라는 말을 했다 험한 지형으로 물자의 운송이 하수를 통해 이뤄진 탓... 

따라서 보통 河라면 황하를 江 그러면 양자강을 기본적으로 연상한다. 

이런 잡다한 강이름을 소상히 밝히는 이유 역시 오늘 날 철도나 고속도와 같은 의미... 

구체적인 지명은 다음 읽을 때나 보충하련다. 


華陽黑水惟梁州 : 汶·嶓旣蓺 沱·涔旣道 蔡·蒙旅平 和夷厎績. 

화양흑수유양주   문 파기예 타 잠기도 채 몽여평  화이지적 


화산 남쪽을 흐르는 흑수는 양주땅이다 汶水와 山이 이미 자리잡았고 沱水 涔水가 수운을책임지며 채산과 몽산사이를 달리는 평원에 화이가 발전해왔다. 


其土靑驪 田下上 賦下中三錯.

기토청려 전하상 부하중삼착 


그당은 청흑색으로 소출은 하급에서 상 정도요 세금은 하급중 중으로 오르락 내리락 한다. 


貢璆·鐵·銀·鏤·砮·磬 熊·羆·狐·貍·織皮. 

공구 철 은 루 노 경 웅 비 호 리 직피 


산물로는 철 은 칼 화살촉 경쇠(음악용) 곰 여우 삵 그리고 가죽이다. 


西傾因桓是來 浮于潛 踰于沔 入于渭 亂于河. 

서경안환시래 부우잠 유우면 입하위 난우하 


서쪽경사로 환인이 내려왔다고 하며 潛수 뱃길로 가면 면수에 연하고 위수에 들며 황하에 휩쓸려든다. 



黑水西河惟雍州 : 弱水旣西 涇屬渭汭. 

흑수서하유옹주   약수기서 경속위예


흑수 거편이 옹주이고 약수는 더 서쪽에 있고 경수는 위수의 북쪽에 있다. 

 

漆·沮旣從 灃水所同. 

칠 저기종 풍수소동


칠수와 저수 그리고 풍수가 같은 자리에 있다  


荊·岐已旅 終南·敦物至于鳥鼠. 

형 기이여 종남 돈물지우조서 


형산과 기산을 지나 돈물산을 끼고 남쪽으로 이르면 조서산까지 흐르는데  


原隰厎績 至于都野. 

원습지적 지우도야 


평평한 습지가 도야까지 이르고 


三危旣度 三苗大序. 

삼위기도 삼묘대서 


삼위산까지요 3 묘족이 평화로이 사는 곳이다 


其土黃壤 田上上 賦中下 貢璆·琳·琅玕. 

기토황괴 전상상 부중하 공구 림 낭간


그 토질은 황토요 소출은 아주 좋고 세금은 중하로 매기며 특산물을 옥과 비취다 


浮于積石 至于龍門西河 會于渭汭. 

부우적석 지우용문서하 회우위예


적석강을 따라 용문서하에서 위수 넓은 부분에 합쳐진다. 


織皮 昆侖·析支·渠搜 西戎卽序.

직피곤륜 석지  거수 서융즉서 


직피 곤륜 석지 거수등 서융이 화평하게 살고있다. 


道九山 : 汧及岐至于荊山, 踰于河 ; 壺口·雷首至于太嶽 ; 砥柱·析城至于王屋 ; 太行·常山至于碣石, 入于海 ; 

도구산 견급기지우형산  유우하 호구 뇌수지우태악 지주 석성지우왕옥 태행 상산지우갈석 입우해


구산을 보면 견산은 가파르게 형산까지 이어지고 강을 끼고 돌면 호구, 뇌수는 태악과 연하며 지주산 석성산은 왕옥산에 이어지며 태행산과 상산은 갈석산에 다다라 바다에 닿아있다 


西傾·朱圉·鳥鼠至于太華 ; 熊耳·外方·桐柏至于負尾 ; 道嶓冢, 至于荊山 ; 內方至于大別 ; 汶山之陽至衡山, 過九江, 至于敷淺原. 

 

서경 주어 조서 지우태화 웅이 외방 동백지우부미 도파총 지우형산 내방지우 대별 문산지양지 형산 과구강 지우부천원....


서경산 주어산 조서산은 화산에 닿아있고 웅이산 외방산 동백산은 부미산까지 이어지며 도파산은 형산에 닿는다 내방산은 대별에 닿아있고 문산은 衡山에 닿는데 9강을 지나 부천 평야까지 뻗어있다.


-이 본문을 보면 하우씨의 영토는 荊山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뻗어간다고 설명한다. 딱히 동서양쪽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형산이 기준이라는 말.... 


세세한 지명은 차치하고 갈석산, 화산 만으로도 그 영토를 비정할 수 있다. 



道九川 : 弱水至於合黎 餘波入于流沙. 

도구천  약수지어합려  여파입우유사


9개 하천을 보자면 약수는 합려산까지 이르며 모래속으로 사라진다. 


道黑水 至于三危 入于南海. 

도흑수 지우삼위 입우남해


흑수를 보면 삼위에 닿으며 남해로 흘러간다 


道河積石 至于龍門 南至華陰 東至砥柱 又東至于盟津 東過雒汭 至于大邳 北過降水 至于大陸 北播爲九河 同爲逆河 入于海. 

도하적석 지우용문 남지화음 동지지주 우동지우맹진 동과락예 지우대비 북과강수 지우대륙 북파위구하 동위역하 입우해 


적석하를 보면 용문에 이르고 남으론 화산 북쪽으로 동으론 지주산에 그를 지나 동으로 맹진에 이르며 더 지나면 락수에 합쳐지며 대비까지 간다 북으론 강수를 지나 대륙택에 이르고 9개의 하천으로 나뉘어 합쳐져 역하가 되어 바다에 이른다.  


嶓冢道瀁 東流爲漢 又東爲蒼浪之水 過三澨 入于大別 南入于江 東匯澤爲彭蠡 東爲北江 入于海. 

파총도양  동류위한 우동위창랑지수 과삼서 입우대별 남입우강  동회택위팽려 동위북강 입우해 


파총의 양수를 보면 동으로 흘러 한수라 불리우다 창랑지수로 불리며 삼서를 지나 대별산을 지나 남으로 장강이 되었다가 동으로 휘감아 흘러 팽려택 호수가 되었다 동으로 흘러 북강이라 불리우다 바다로 흘러간다. 



汶山道江 東別爲沱 又東至于醴 過九江 至于東陵 東迆北會于匯 東爲中江 入于梅. 

민산도강 동별위타 우동지우예 과구강 지우동릉  동이북회우회 동위중강 입우해 


민산의 장강은 동으로 나뉘어 타수가 되고 동으로 더흐르면 예강으로 불리며 구강을 지나 동릉에 이르고 북쪽으로 흘러 동쪽으로 중강이라 불리다 바다로 들어간다  


道沇水 東爲濟 入于河 泆爲滎 東出陶丘北 又東至于荷 又東北會于汶 又東北入于海. 

도연수 동위제 입우하 일위형 동출도구북 우동지우하 우동북회우문 우동북입우해 


연수는 동으로 흘러 제수라 불리우다 황하로 합쳐지는데 흘러넘쳐 형택이 되었다 동으로 도구 북쪽을 지나 동쪽에 하택을 만들고 또 동으로 흘러 문수에 합쳐지고 동북쪽으로 이어져 바다에 이른다. 


道淮自桐柏 東會于泗·沂 東入于海. 

도회자동백 동외우사 기 동입우해 


회수는 동백에서 발원하여 동으로 사수 기수와 만나 동해로 흘러든다 

道渭自鳥鼠同穴 東會于灃 又東北至于涇 東過漆·沮 入于河.

도위자조서동혈  동회우풍 우동북지우경 동과칠 저 입우하 


위수는 조서산 동굴에서 발원하여 동으로 풍수로 불리고 동북쪽으로 흐르며 경수로 불리고 칠수와 저수가 되어 황하에 합쳐진다 


道雒自熊耳 東北會于澗·瀍 又東會于伊 東北入于河.

도락자웅이 동북회우간 전 우동회우이 동북입우하   


락수는 웅이에서 발원하여 동북쪽으로 흐르다 간수 전순와 만나고 동으로 돌아 이수와 만나 동북쪽으로 흘러 황하에 합쳐진다. 


-여기서 강이름의 각 지역 마다의 이름과 지류의 이름을 밝히고 있다. 

거듭말하거니와  당시 水運은 경제의 근간이었다. 


於是九州攸同 四奧旣居 九山栞旅 九川滌原 九澤旣陂 四海會同.

어시구주유동 사오기거 구산간여 구천척원 구택기피 사해회동 


이제 9 주가 하나로 정리되고 구석구석 사람들이 살고 9 산이 길이 생기고 9 강의 실체가 파악되고 9 연못의 상태를 알게되니 세상이 밝히 알려지더라  


六府甚 衆土交正 致愼財賦 咸則三壤成賦. 

육부기수 중사교정 치신재부 함즉삼양성부


토목관청(  사토(), 사목(), 사수(), 사초(), 사기(), 사화(司貨))가 원활히 돌아가니 백성과 관리들이 기준을 찾고 찬찬히 세금을 정하니 3가지(상중하)로 토질을 정해 세금을 정하더라. 


中國賜土姓 : “祗台德先 不距朕行.” 

중국사사성    지태덕선 불거짐행


중앙정부가 백성들에게 땅을 나눠주며 덕을 앞세워 백성을 기쁘게하니 임금의 다스림에 장애가 되지 않더라. 


-여기서 주의할 것이 바로 중국이란 단어... 지금은 중국국명으로 쓰이지만 원래 뜻은 國中이라는 용법으로 보아 무리의 중심=즉 오늘날 정부라 보면 됨. 

전체적으로 이 장이 말하는 바는 세제 확립을 위한 국토 조사가 마무리 되었음을 말하는 것... 


令天子之國以外五百里甸服 : 百里賦納總 二百里納銍 三百里納秸服 四百里粟 五百里米. 

금천자지국이외오백리전복   백리부납총 이백리납질 삼백리납갈복  사백리속 오백리미


현재 하늘사람의 무리 이외에  바깥으로 500리의 영토는 전복이라해서  100리까지는 벼이삭을 세로 납부하고 다음 200리까지는  볏단을 다음 300리까지는 짚단을 다음 400리까지는 조를 다음 500리까지는 나락을 세로 납부했다. 


甸服外五百里侯服 : 百里釆 二百里任國 三百里諸侯. 

전복외오백리후복   백리변 이백리임국 삼백리제후 


전복 바깥 500리를 후복이라 부르며 100리까지는 왕가가 다음 200리까지는 관료들이 다음 300리까지는 제후들의 땅이다. 


侯服外五百里綏服 : 三百里揆文敎 二百里奮武衛. 

후복외오백리수복   삼백리규문교 이백리구무위


후복 다음 500리는 수복이라 불리며 300리까지는 교화로 200리는 무력으로 다스리며 


綏服外五百里要服 : 三百里夷 二百里蔡. 

수복외오백리요복   삼백리이 이백리채 


수복 바깥 500리를 요복이라 부르며 300리까지는 夷가 살고 다음 200리는 유배지다 


要服外五百里荒服 : 三百里蠻 二百里流.

요복외오백리황복   삼백리만 이백리유


요복 바깥 500리는 황복으로 불리며 300리엔 오랑캐가 200리는 유랑민들이 산다.  


-여기서 보면 하우씨의 국가 체제는 동심원 상으로 500리씩 나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른 면으로 본다면 전복이 오늘날 수도권이라면 그를 중심으로 한 4방으로 500리로 나눈 것 아닌가 한다. 

그 이유는 夷는 보통 동쪽에 사는 오랑캐라 하는 예로 역시 蠻 이란 남쪽 오랑캐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고로 황복은 남쪽 방향 500리, 요복은 동쪽방향 500리, 수복은 서부 연합 제후국들, 후복은 북부  제후국들로 봄이 옳다고 본다. 

본디 사기의 시대에 국가체제를 본다면 연합제후국의 夷에서의 독립 시기라 본다면 가능한 추리라 본다. 

동심원상으로 본다면 지름? 5000리의 국가여야 하는데..... 그렇다면 왕성은 중국 중부 내륙 어딘가에 있어야 한다. 

언뜻 비정해도 서안이나 낙양동서로는 리수가 맞지만 남북으로도 5000리가 될까????  


물론 예전 리수가 오늘날 4킬로미터가 아닌 2킬로 미터란다면 모르되 그러나 만이나 이를 특별히 언급하는 데서 착안한 가정일 뿐이다. 


東漸于海 西被于流沙 朔·南曁 : 聲敎訖于四海. 

동점우해 서피우유사 삭 남기   성교흘우사해 


동으론 바다에 이르고 서로는 유사: 사막에 막히고 남북으로 모두 명성과 가르침이 세상에 가득했다.


於是帝錫禹玄圭 以告成功于天下 天下於是太平治. 

어시제석우현규 이고성공우천하 천하어시태평치 


이리되자 순임금이 현규(왕의 표식)을 우에게 주어 우의 치적을 천하에 알리고 세상이 태평하여 졌다. 


皐陶作士以理民. 

고요작사이이민


고요가 백성들을 이롭게 하고자 관리가 되려했다.


帝舜朝 禹·伯夷·皐陶相與語帝前. 

제순조 우 백이 고요상여어제전 


순임금때에 우와 백이 고요가 임금앞에서 대화를 나누었는데 


皐陶述其謀曰 : “信其道德 謀明輔和.”

고요술기모왈    신디도덕 모명보화  


고요가 그 생각을 말하길 "도덕이란걸 믿고 꾀를 더하면 화합에 보탬되지 않겠나"했다 


禹曰 : “然, 如何?” 皐陶曰 : “於! 愼其身脩 思長 敦序九族 衆明高翼 近可遠在已.” 

우왈  "연 여하"     고요왈    "어  신기신유 사장 돈서구족 중명고익 근가원재이 


우가 묻길 어찌 그러하냐 고요가 답하길 "신중함이 몸에 배이면 어른을 알아보고 일가를 보살피고 현명한 자를 대신으로 쓰면 원근이 평안하지요.  


禹拜美言 曰 : “然.” 皐陶曰 : “於! 在知人 在安民.” 

우배미언 왈    연    고요왈     어  재지인 재안민 


우가 동의하며 그렇군요 하니 고요가 답하길 백성들의 평안은 똑똑한 사람에 달린 겁니다. 하더라


禹曰 : “吁! 皆若是 惟帝其難之. 知人則智 能官人 ; 能安民則惠 黎民懷之. 能知能惠 何憂乎驩兜 何遷乎有苗 何畏乎巧言善色佞人?” 

우왈    우   개약시 유제기난지 지인즉지 늘관인   능안민즉혜 여민회지  능지능혜 하우호환두 하천호유묘 하외호교언선색녕인 


우가 탄식하며 그렇다면 임금은 어려움에 처할겁니다. 똑똑한가 지혜로운 자요 관리가 되어 백성들을편케하면 혜택이요 백성들이 바라는 바지만 똑똑하고 베풀줄 아는 환구를 왜 걱정하여 묘로 내치고 왜 말만 번드르르한 환구를 두려워 하겠나?


皐陶曰 : “然, 於! 亦行有九德 亦言其有德.” 

고요왈    연  어  역행유구덕 역언기유덕


고요가 말하길 그러면 9덕을 행하고 말도 덕스러우면 되지요 

*9덕 :(), (), (), (), (), (), (), (), ()


乃言曰 : “始事事 寬而栗 柔而立 愿而共 治而敬 擾而毅 直而溫 簡而廉 剛而實 彊而義 章其有常 吉哉.

내언왈    시사사 관이율 유이립 원이공 치이경 요이의 직이온 간이염 강이실 강이의 장기유상 길재. 


또 말하길 일을 함에 관대하되 분명하고 유연하되 굽어지지 않고 삼가하여 공손하고 다스리되존중하며 흔들리되 의지가 굳고 강직하되 부드럽고 간결하되 염치가 있고 고집스럽되 내실이 있고 강하되 올바르고 그 모든 것에 항구여일함이 있다면 좋은 거지요 하더라


日宣三德蚤夜 翊明有家. 

일선삼덕조야 익명유가 


3덕을 날마다 베푼다면 벼룩이 들끓는 밤이 지나면 집을 깨끗히 할 수 있고 


日嚴振敬六德 亮釆有國. 

일엄진경육덕 량변유국


날마다 6덕을 펼치면 무리에게 분별을 도울수 있고 


翕受普施 九德咸事 俊乂在官 百吏肅謹 毋敎邪淫奇謀. 

흡수보시 구덕함사 준에재관 백리숙근 무교사음기모


모든 것에 9덕으로 하는 똘똘함이 관리에게 있다면 악한 꾀로 관리를 꼬드기지않고 모든 관리들이 근면하여 집니다.


非其人居其官 是謂亂天事. 天討有罪 五刑五用哉 吾言厎可行乎?” 

비기인거기관 시위난천사  천토유죄 오형오용재 오언지가행지


그런 관리가 없으면 하늘 일이 그르치고 하늘이 죄를 물으면 5 형법이 쓰입니다 제말이 가능하지 않습니까? 하더라 


禹曰 : “女言致可績行.” 

우왈     여언치가적행


우가 말하길 네 말대로 할 만하다 하니 


皐陶曰 : “余未有知 思贊道哉.” 

고요왈    여미유지  사찬도재 


고요가 답하길 전 아직 도를 행할 만한 궁리가 없읍니다 하더라. 


帝舜謂禹曰 : “女亦昌言.” 

제순위우왈    여역창언


순임금이 우에게 말하길 참 좋은 말이다. 


禹拜曰 ; “於 予何言! 予思日孶孶.” 

우배왈    어 여하언  여사일자자


우가 손모아 답하길 아... 내 하는 어떤 말이든 내 날마다 생각하고 생각해 하는 겁니다. 


皐陶難禹曰 : “何謂孶孶?” 

고요난우왈    하위자자


고요가 힐난하듯 우에게 묻길 성실하다는게 뭔가? 


禹曰 : “鴻水滔天 浩浩懷山襄陵 下民皆服於水. 予陸行乘車, 水行乘舟, 泥行乘橇, 山行乘 行山栞木. 

우왈    홍수도천 호호회산양릉 하민개복어수  여육행승차  수행승주  니행승교  산행승국    행산간목


우가 답하길 홍수가 나서 산이 무너지고 잠겨 백성들이 물난리를 겪을 때 난 먼 길은 수레로 강을 건널 땐 배를 타고 뻘을 지날 땐 뻘배로 산을 오를 땐 나막신을 이용해 오르고 산마다 표지를 세우고 


與益予衆庶稻鮮食.  以決九川致四海 浚畎澮致之川. 與稷予衆庶難得之食 食少 調有餘補不足 徙居. 

여익여중서도선식   이결구천치사해 준견회치지천  여직여중서난득지식  식소 조유여보부족 사거


익과 함께 난 밥과 생선을 먹었고 바다로 닿는 9 하천을 조사하고 물굽이를 도랑으로 하천과 연결하였고 직과 함께 난 음식구하기 힘들어 제대로 못먹고 남는 걸로 다음끼니 이으며 옮겨 다녔소 


衆民乃定 萬國爲治.”

중민내정 만국위치


백성들이 안정되자 온 무리가 다스려졌지요. 


皐陶曰 : “然, 此而美也.” 

고요왈    연  차이미야


고요가 답하길 그렇군... 이 또한 아름다운 일이요... 


禹曰 : “於, 帝! 愼乃在位 安爾止. 輔德 天下大應. 淸意以昭待上帝命 天其重命用休.” 

우왈    어  제  신내제위 안이지  보덕 천하대응  청의이소대상명령 선기중명용휴


우가 답하길 아 임금이시여 신중하소서 편안함이 제일입니다 덕을 다하시면 천하가 함께 할 겁니다. 생각을 비우고 하늘의 부름을 기다린다면 하늘이 그 부름을 크게보아 평안을 주실겁니다.  


帝曰 : “吁 臣哉 臣哉! 臣作朕股肱耳目 予欲左右有民 女輔之 余欲觀古人之象 日月星辰 作文繡服色 女明之. 予欲聞六律五聲八音 來始滑 以出入五言 女聽. 予卽辟 女匡拂予. 女無面諛 退而謗予. 敬四輔臣. 諸衆讒嬖臣 君德誠施皆淸矣.” 

제왈    아 신재 신재 신작짐고굉이목   여욕좌우유민 여보지  여욕관고인지상 일월성신 작문수복색 여명지  여욕문육률오성팔음 내시활 이 출입오언 여청 여즉벽 여광불여 여무면유 퇴이방여 경사보신 제중참폐신 군덕성시개청의



임금이 말하길 아 신하들이여 그대들이 나의 눈과 귀 손 발이 되어 내가 백성들과 함께할 때 도와주시오. 내 옛 선인들을 따라 천기를 읽을 때 그대들이 밝히 알려주시고 내가 땅의 소리를 들을 때 능통하여져서 내 하는 모든 것이 여의하면 그대들이 따라 주시고 내 임금직을 수행할 땐 그대들이 나를 바로잡아주고 응원해 주시오 그대들은 안전에선 아첨하고 나가서 날 비방하지 말고 대신들을 잘 따라주고 사람들이 그대들이 서로 권면한다면 그대들의 덕이 바르게 펴질 것이오   


禹曰 : “然. 帝卽不時 布同善惡則毋功.” 

우왈    연 제즉불시  초동선악즉무공


우가 답하길 그럼요 임금님이 그리하지 않으시면 하는 모든 일이 공을 이루지 못하지요 하더라


帝曰 : “毋若丹朱傲 維慢游是好 毋水行舟 朋淫于家 用絶其世. 予不能順是.” 

제왈    무약단주오 유만려시호 무수행주 붕음우가 용절기세  여불능순시 


임금이 말하길 방탐함을 좋아하고 육지서도 배를 타고 친구들과 집에서도 잘못을 저질러 그 대가 끊어진 단주의 오만함을 버리고 따르지 않았다. 


禹曰 : “予(辛壬)娶塗山 [辛壬]癸甲 生啓予不子 以故能成水土功. 輔成五服 至于五千里 州十二師 外薄四海咸建五長 各道有功. 苗頑不卽功 帝其念哉.” 

우왈    여(신임)취도산  (신임)계갑 생계여부자 이고능성수토공 보성오복 지우오천리 주십이사 외박사해 함건오장 각도유공  묘완부즉공 제기념재


우가 답하길  제가 신임년에 도산을 취하고 신임일에 결혼하고 계갑일에 치수하러 갔는데 아이가 없던 내게 계를 주어 토목치수의 공을 이뤘으며 5복제를 만들어 5000리의 영토와 주(9개주) 12사(고대의 지방행정 구획 단위이다. 1가(家)는 5-8명이고, 8가를 린(鄰), 3린을 붕(朋), 3붕을 리(里), 5리를 읍(邑), 10읍을 도(都), 10도를 사(師), 12사가 한 州이다) 를 확립하여 큰 나라를 이루고, 5장(제후국 5개마다 둔 지도자)제를 확립하여 각도를 확립하였으나 오직 묘족만이 고집스러워 다스리지 못했읍니다. 임금님이여 이를 기억하소소 하니


帝曰 : “道吾德 乃女功序之也.”

제왈    도오덕 내여공서지야 


임금이 이르길 내 공을 돌아보면 너의 업적이다 했다.  


皐陶於是敬禹之德 令民皆則禹. 

고요어시경우지덕 영민개즉우


이에 고요가 우의 덕을 존경함에 백성들에게 우를 본받으라 영을 내렸다.  


不如言 刑從之. 

불여언 형종지


말로서 아니라 행동으로


舜德大明. 

순덕대명


순임금의 덕이 널리 전해졌다. 


於是蘷行樂 祖考至 群后相讓 鳥獸翔舞 簫韶九成 鳳皇來儀 百獸率舞 百官信諧. 

어시기행악 조고지 군후상양 조수상무 소소구성 봉황래의 백수솔무 백관신해


이에 조정에서 기라는 음악을 연주하니 제후들이 서로 양보하고 동물들이 무리로 춤을 추며 소소라는 음악 9곡을 연주하니 봉황이 동물들의 춤을 거느리며 관리들이 서로 믿고 화합하더라   


帝用此作歌曰 : “陟天之命 維時維幾.” 

제용차작가왈    섭천지면 유시유기 


순임금이 이 음악에 맞춰 노래하길 천명을 지킴은 때를 잘 맞춤이요


乃歌曰 : “股肱喜哉 元首起哉 百工熙哉!” 

내가왈   요굉희재  원수기재 백공희재 


또 노래하길  손발이 맞으니 우두머리가 드러나고 관리들이 기뻐하도다 


皐陶拜手稽首揚言曰 : “念哉 率爲興事 愼乃憲 敬哉!” 

고요배수계수양언왈    념재 솔위흥사 신내헌 경재 


고요가 겸손히 머리를 끄덕이며 답가하길 생각하면 기쁜일을 만드는 건 신중함이니 존중할 것이요


乃更爲歌曰 : “元首明哉 股肱良哉 庶事康哉!” 

내경위가왈    원수명재 요굉양재 서사강재


또 노래하길  우두머리가 현명하고 손발이 맞으니 모든 일이 술술 풀리누나  



(舜)又歌曰 : “元首叢脞哉 股肱惰哉 萬事墮哉!” 

순 우가왈     원수총좌재 요굉타재  만사타재


순이 다시 노래하길 우두머리가 번잡하면 손발이 게을러지고 매사 어그러 진다


帝拜曰 : “然 往欽哉!” 

제배왈   연  왕흠재  


순임금이 말하길 그러니 잘 보고 따르시오 

'

於是天下皆宗禹之明度數聲樂 爲山川神主. 

어시천하개종우지명도수성악 위산천신주


이리하여 세상 모두 우의 도리와 궁리 말씀과 시를 으뜸으로 삼아 모두의 기준으로 삼더라 


帝舜薦禹於天 爲嗣. 

제순천우어천 위사


순임금이 우를 후계로 삼아 천자로 세우고 


十七年而帝舜崩. 

십칠년이제순붕


17년이 지나 순임금이 죽으니 



三年喪畢 禹辭辟舜之子商均於陽城. 

삼년상필 우사벽순지자상균어양성 


3년상을 마치고 순임금의 적자 상균에게  넘기고 양성으로 갔다



天下諸侯皆去商均而朝禹. 

천하제후개거상균이조우


모든 제후들이 상균에게 아니라 우에게 조정 일을 묻기에 


禹於是遂卽天子位 南面朝天下 國號曰夏后 姓姒氏. 

우어시수즉천자위 남면조천하 국호왈하후 성사씨. 


우가 천자의 지위를 맡아 왕위에 오르니 나라 이름은 하후요 성은 사씨다


-여기서 요임금 순임금 우임금의 공통적인 왕위 계승은 바로 오랜기간 임금을 보필하며 임금됨을 배우고 심지어 먼저 임금의 아들에게 왕위를 사양하고 나중에 민의에 따라 왕위에 오름을 보여준다. 


이는 소위 자식을 왕으로 앉히는 세습제에 시조로서 우를 생각해 본다면 그 의미를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帝禹立而擧皐陶薦之 且授政焉 而皐陶卒. 

제우입이거고요천지 차수정언 이고요졸


우임금이 제위에 오르고 고요를 천거하여 정권을 주려했으나 고요가 죽었고


封皐陶之後於英·六 或在許. 

봉고요지후어영 육 혹재허 


고요의 후손들에게 영. 육 혹은 허지역을 봉토로 주었고 


而后擧益 任之政. 

이후거익 임지정


그리하여 익을 천거하여 정권을 관장하게 했다. 


十年 帝禹東巡狩 至于會稽而崩 以天下授益. 

십년 제우동순수  지우회계이붕 이천하수익 


십년후 우임금이 동쪽 순행시 회계에서 죽어 위를 익에게 주었다 



三年之喪畢 益讓帝禹之子啓 而辟居箕山之陽. 

삼년지상필 익양제우지자계  이벽거기산지양


3년상이 지나고 익은 우임금의 아들 계에게 왕위를 돌리고 기산 남쪽에 자리 잡았다. 


禹子啓賢 天下屬意焉. 

우자계현 천하속의언 


우임금의 아들 계는 현명하여 민의를 잘 알았다. 


及禹崩 雖授益 益之佐禹日淺 天下未洽. 

급우붕 수수익 익지좌우일천  천하미흡


우가 죽어 익이 제위를 받았으나 익이 우임금을 보좌한 기간이 짧아 세상일에 모자라니 


故諸侯皆去益而朝啓 曰 : “吾君帝禹之子也”. 

고제후개거익이조계 왈    오군제우지자야 


그래서 모든 제후들이 익을 떠나 계에게 모여 말하길 우리들의 임금은 계입니다 하더라


於是啓遂卽天子之位 是爲夏后帝啓.

어시계수즉천자지위 시위하후제계


그리하여 계가 천자의 지위를 이어받으니 이가 하후 임금 계더라.  


夏后帝啓 禹之子 其母塗山氏之女也.

하후제계 우지자 기모도산씨지녀야 


하후의 임금 계는 우임금의 아들이요 도산씨 집안 여식이라 


有扈氏不服 啓伐之 大戰於甘. 將戰 作甘誓 乃召六卿申之.

유호씨불복 계벌지 대전어감  장전 작감서  내소육경신지  


유호씨가 따르지 않음으로 계왕이 침공하여 감에서 크게 싸우는데 잔투에 임하면서 감서를만들어 6경(6개 군사령관)에게 알려줬다.  


啓曰 : “嗟! 六事之人 予誓告女 : 有扈氏威侮五行 怠棄三正 天用勦絶其命. 今予維共行天之罰. 左不攻于左 右不攻于右 女不共命. 御非其馬之政 女不共命. 用命 賞于祖 ; 不用命, 僇于社 予則帑僇女.” 

계왈 : “차! 육사지인 여서고여 : 유호씨위모오행 태기삼정 천용초절기명 금여유공행천지벌 좌불공우좌 우불공우우 여불공명 어비기마지정 여불공명 용명 상우조 ; 불용명 육우사 여즉탕육여


오, 6군의 군사들이여, 내가 그대들에게 맹세하며 말하겠다. 유호씨가 5행과 3정을 업수이 여기니 하늘이 그들을 치시려 한다 이제 나는 하늘의 처벌에 동참하려한다 좌우를 막론하고 공격하지 않으면 공히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것 말을 탄 장수의 다스림을 따르지 않음도 명령불복종이다 명대로 하면 어전에서 상 줄 것이요 불복하면 조상 신 앞에서 도륙하여 네 자손들에게 욕되게 하리라 


遂滅有扈氏 天下咸朝. 

수멸유호씨 천하함조


유호씨를 멸하니 세상이 조정아래 모이더라-굴복하더라 


夏后帝啓崩 子帝太康立. 

하후제계붕 자제태강입


하후 계왕이 죽고 아들 태강왕이 왕이 됐다. 


帝太康失國 昆弟五人 須于洛汭 作五子之歌. 

제태강실국 곤제오인 수우낙예 작오자지가


태강왕이 민심을 잃자 동생 5이 낙예로 돌아가(낙향하여) 五子之歌를 지었다


-五子之歌 서경에 오자지가 편 참조



太康崩 弟中康立 是爲帝中康.

태강붕 제중강립 시위제중강


태강왕이 서거하고 동생 중강을 왕으로 옹립하니 이가 중강왕이다. 


帝中康時 羲·和湎淫 廢時亂日. 

제중강시 희 화면음 폐시난일


중강임금 때에 희씨와 화씨가 술독에 빠져 때를 구분하지 못했다. 


-당대 임금의 역할 중 하나는 바로 씨뿌리고 거두는 날을 국민에게 제시하는 것 소위 역법의 문제 기우제니 24절기니가 중요한 이유... 천기를 읽어 백성들이 미리 대처하도록 함이 임금의 자질이었고 역법은 말 그대로 통치의 근간...

가물면 기우제를 왕이 직접 주관하고 설롱탕 나눠먹는 이유가 그것.... 

희 화씨는 그런 자리에 있으면서 제 할 일을 도외시 하여 백성을 도탄에 빠지게 했다는 말 


胤往征之 作胤征.

윤왕정이 작윤정. 


윤을 정벌하며 적은 윤정이 남아있다. 


- 중강왕의 기록이 짧은 이유는 보잘것 없는 왕=기본중의 기본 천기에 소홀했다는 말

천기란 단순히 운명론적인 일이 아니라 홍수 가뭄 천재지변을 미리 예측하여 백성의 고초를 더는 일이었음을 말한다.   


-여기서 윤은 대사마 윤후를 보내 后羿를 정벌한 사건을 말함...


中康崩 子帝相立. 

중강붕 자제상립


중강이 중고 아들을 상임금으로 옹립하고


帝相崩 子帝少康立. 

제상붕 자제소강립


상임금이 죽고 아들 소강을 임금으로 옹립하였고 


帝少康崩 子帝予立. 

제소강붕 자제여립


소강이 죽고 아들 여를 임금으로... 


帝予崩 子帝槐立. 

제여붕 자제괴립


여가 죽고 괴를 임금으로 


帝槐崩 子帝芒立. 

제괴붕 자제망립


괴가 죽고 아들 망을 임금으로 


帝芒崩 子帝泄立.

제망립 자제설립 


망이 죽고 아들 설을 임금으로


帝泄崩 子帝不降立.

제설붕 자제부강립


설이 죽고 아들 설을 임금으로  


帝不降崩 弟帝扃立. 

제부강붕 제제경립


부강이 죽고 동생 경을 임금으로 


帝扃崩 子帝廑立. 

제경붕 자제근립


경이 죽고 아들 근을 임금으로  


帝廑崩 立帝不降之子孔甲 是爲帝孔甲. 

제근붕 입제부강지자공갑 시위제공갑


근이 죽고 부강의 아들 공갑을 임금으로 세우니 이가 공갑왕이다.


帝孔甲立 好方鬼神 事淫亂. 

제공갑립 호방귀신 사음란 


공갑이 왕이 되고 귀신=허망한 것을 좋아하고 행동이 잡스러웠다. 


夏后氏德衰 諸侯畔之.

하후씨덕쇠 제후반지


하후 일가의 덕이 쇠하여 제후들이 반발하였고  


天降龍二 有雌雄 孔甲不能食 未得豢龍氏. 

천강용이 유자웅 공갑불능사 미득환룡씨


하늘이 용 암수 두마리 보내주었으나 공갑이 기를 줄 몰랐다 이유는 용을 기를 지식이 없어서다.  


陶唐旣衰 其后有劉累 學擾龍于豢龍氏 以事孔甲. 

도당기쇠 기후유유루 학요용우환룡씨 이사공갑


도당씨(요임금 일족)가 이미 쇠하였으나 유루라는 이가 있어 용을 다룰 줄 알아 환룡이라 불리는데 공갑왕을 섬기게 됐다. 


孔甲賜之姓曰御龍氏 受豕韋之後. 

공갑사지성왈어룡씨 수수위지후


공갑왕이 어룡이란 이름을 내리고 수위라는 땅을 상으로 주었다.  


龍一雌死 以食夏后. 

용일자사 이사하후


암컷이 죽었는데 하후씨가 길러서 였다. 


夏后使求 懼而遷去. 

하후사구 구이천거


하후가 도움을 청하였으나 모두 두려워 옮아갔다.


-이 장에서 소위 불가사의한 용이 등장하는데....  

이에 대한 해석에 따라 허황한 얘기 또는 역사가 될 정도의 문제되는 단어... 

허나 용이란 단어가 보통 하늘의 감복함을 나타내는 상징어라 보면 하늘이 공갑=하후씨에게 완벽한 감복이 있었으나 그게 멀어진 것으로 봄이 옳다. 


물론 董父라는 이름을 검색하면 마치 용을 사육하는 것 처럼 나온다만 .... 

하늘과 그리 감응하는 현자를 말함이 옳다 보여진다. 

다만은 신령함이란 단어가 봉황에서 용으로 변함은 더 연구할 문제.....  


-환룡: 순(舜)의 통치시기에 동부(董父)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용을 잘 훈련시키고 길러서 많은 용이 그에게로 날아 왔다. 순이 이 말을 듣고 매우 기뻐서 그에게 환룡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孔甲崩 子帝皐立. 

공갑붕 자제고립


공갑이 죽고 아들 고를 왕으로 세웠고


帝皐崩 子帝發立. 

제고붕 자제발립


고왕이 죽고 아들 발을 임금으로 세웠고 


帝發崩 子帝履癸立 是爲桀.

제발붕 자제이계립 시위걸 


발왕이 죽고 아들 이계를 왕으로 세우니 이가 걸왕이다. 


帝桀之時 自孔甲以來而諸侯多畔夏 桀不務德而武傷百姓 百姓弗堪.

제걸지시 자공갑이래이제루다반하 걸불무덕이무상백성 백성불감


공갑왕 때부터 제후들이 하후=하나라에 반발하다 걸왕에 이르러 걸왕이 덕에 힘쓰지 않으니 무력에 상한 백성들이 많고 백성들이 버거워 하더라   


迺召湯而囚之夏臺 已而釋之. 

내소탕이수지하대 이이석지


이에 탕을 감옥에 가두었다 석방했는데 


湯修德 諸侯皆歸湯 湯遂率兵以伐夏桀.

탕수덕 제후개귀탕 탕수솔병이벌하걸


탕이 덕을 닦으니 모든 제후들이 탕에게 귀속하여 탕이 병사를 이끌고 걸왕을 정벌하였다 


桀走鳴條 遂放而死.

걸주명조 수방이사


걸이 명조로 달아나 추방되어 죽었는데 


桀謂人曰 : “吾悔不遂殺湯於夏臺 使至此.” 

걸위인왈    오회불수살탕어하대 사지차


걸이 사람들에게 이르길 '내 하대에서 탕을 죽이지 못하였더니 이꼴이 되었다'하더라 


湯乃踐天子位 代夏朝天下.

탕내천천자위 대하조천하


탕이 천자의 제위에 올라 하왕조를 대신해 천하를 차지했다.  


湯封夏之後 至周封於杞也.

탕봉하지후 지주봉어기야 


탕이 하왕조 후손들을 제후로 봉하고 주나라 때에 이르러 기지역 제후로 봉해졌다. 


太史公曰 : 禹爲姒姓 其後分封 用國爲姓 故有夏后氏·有扈氏·有男氏·斟尋氏·彤城氏·褒氏·費氏·杞氏·繒氏·辛氏·冥氏·斟(氏)戈氏. 

태사공왈 : 우위사성, 기후분봉, 용국위성, 고유하후씨、유호씨、유남씨、짐심씨、동성씨、포씨、비씨、기씨、증씨、신씨、명씨、짐과씨。


태사공이 말하기를 우왕은 성씨가 사인데, 그의 후손들은 각 지역에 책봉되어서 제후국을 건립하고 나라의 명칭으로 성씨를 삼았으며, 그래서 하후씨, 유호씨, 유남씨, 짐심씨, 동성씨, 포씨, 비씨, 기씨, 증씨, 신씨, 명씨, 짐과씨가 있게 되었다.



孔子正夏時 學者多傳夏小正云. 

공자정하시 학자다전하소정운


공자가 하시=하나라 달력을 바로잡아 학자들이 하소정(하나라 역법서)을 물려받았고


自虞·夏時 貢賦備矣. 

자우 하시 공부비의


우와 하때부터 세금제가 완비되었고


或言禹會諸侯江南 計功而崩 因葬焉 命曰會稽. 

혹언우회제후강남 계공이붕, 인장언, 명왈회계 


혹자가 이르길 우가 강남에서 제후들을 만나 공로를 정리하다 죽어 장례지낸 곳이 회계라 불린다만... 


[출처] 하본기 34|작성자 동양고전아카데미회계자, 회계야



會稽者 會計也.

회계자 회계야   


회계란 그저 모여 공로를 정리한다는 말이라 했다. 


-이제 하본기가 끝났다. 

여기서 우리가 두드러지게 봐야 할 것은 소위 3황5제 통치이념이 바로 夷의 5륜이요 통치수단이 바로 천문력이었다는 것...

그렇다면 다스림이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들고 사람다워지도록 굶기지 않는 것이라 간단히 말할 수 있다. 

'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周本紀  (0) 2016.12.06
殷本紀  (0) 2016.11.20
五帝本紀-帝舜  (0) 2016.10.19
五帝本紀-帝堯  (0) 2016.10.10
五帝本紀-帝嚳  (0) 2016.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