帝嚳娶陳鋒氏女 生放勳.
제곡취진봉씨녀 생방훈
제곡씨가 진씨 집안 여자를 들여 방훈을 낳았고
娶娵訾氏女 生摯.
취취자씨녀 생자
취자씨 집안 여인을 맞아 자를 낳았다.
帝嚳崩 而摯代立.
제곡붕 이자대립
제곡 사후에 이 지가 왕이 되었으나
帝摯立 不善(崩) 而弟放勳立 是爲帝堯.
제지립 불선(붕) 이제방훈립 시위제요.
지의 옹립이 옳지 못하여 동생인 방훈을 왕으로 세우니 이 사람이 요임금이다.
-성경도 그렇지만 누가 누굴 낳고 낳고... 지리하게 쓰는 이유는 우수한 핏줄임을 강조하는 일종의 수사학...
-여기서 생기는 의문은 여러 이름들이 音借된 중국어=한자 아닐까 하는 것...
高句麗의 구려가 句黎의 다른 음차라면 상당히 복잡한 문제를 만들게 된다.
그 이유가 규원사화에서 보면 주나라 서쪽에(북경 서쪽) 있는 무리를 여라 불렀고...
민족사학이 말하는 논지대로 려=구려(고려)의 연원이라면 만주벌판은 남의 것????
그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로 東夷를 민족이 아닌 선진문명 무리로 그 지도자들 내지 집단을 계승하는 의미로의 국호 차용으로 보면 어떨까하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이유....
-사기를 읽게된 동기가 규원사화가 말하는 고대사에 대한 중국측 관점을 알고싶어 였기에...
帝堯者 放勳.
제요자 방훈
요임금 방훈은
其仁如天 其知如神.
기인여천 기지여신
그 인자함이 하늘과 닮았고 그 지혜가 신이했고
就之如日 望之如雲.
취지여일 망지여운
나설 땐 해같이 빛나고 지켜볼 땐 달같이 온후했다
富而不驕 貴而不舒 黃收純衣 彤車乘白馬.
부이불교 귀이불서 황수순의 동차승백마
부요함을 자랑치 않고 귀하다고 금칠한 비단 옷을 입거나 장식된 마차에 백마를 타지 않았다.
能明馴德 以親九族.
능명순덕 이친구족
덕을 키움에 밝았기에 9족과 친했고
九族旣睦 便章百姓.
구족기목 편장백성
9족과 화목하기에 백성들을 편안케 다스렸고
百姓昭明 合和萬國.
백성소명 합화만국
백성들이 사리가 분명하니 다른 나라들과도 조화를 이뤘다.
-여기서 九族이란 단어에서 九夷를 연상한다면...
소위 아홉 夷=선진 문명 그룹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는 말로 볼수 있겠다.
즉, 9 최고회의의 인준을 받는 절차를...
乃命羲·和 敬順昊天 數法日月星辰 敬授民時.
내명희화 경순호천 수법일월성진 경수민시
희씨와 화씨에게 하늘의 이치를 따라 일월성진의 법칙을 알아내어 사람들에게 알려주라 명하였는데...
分命羲仲 居郁夷 曰暘谷 敬道日出 便程東作 日中 星鳥以殷 中春 其民析 鳥獸字微 .
분명희중 거욱이 왈양곡 경도일출 편정동작 일중 성조이은 중춘 기민석 조수자미
희중씨에겐 욱이=夷들이 많은 곳 양곡=밝은 골짜기로 가 살면서 일출의 변화를 존중하여 그 딸린 것들이 새끼를 낳는 시기라 하는 28성좌의 중간에 해가 위치하는 것을 중춘이라 한다.
申命羲叔 居南交 便程南爲 敬致 日永 星火以正 中夏 其民因 鳥獸希革.
신명희숙 거남교 편정남위 경치 일영 성화이정 중하 기민인 조수희혁
의숙에게 남쪽 교외에 머물며 남쪽 사람들의 행동을 존중하여 그들이 짐승들 가죽이 얇아지는 낮이 길고 별똥별이 많은 때를 한 여름이라 하고
申命和仲 居西土 曰昧谷 敬道日入 便程西成 夜中 星虛 以正中秋 其民夷易 鳥獸毛毨. .
신명화중 거서토 왈매곡 경도일입 편정서성 야중 성허 이정중추 기민이역 조수모선
화중씨에게 명하여 어두운 골짜기라는 서쪽지방에 살며 해가 지는 이치를 존중하여 서쪽됨을 기리고 달이 밝아 별이 성긴 시기 곧 딸린 것들이 편안하고 풍족해지는 때를 중추라 하고
申命和叔 居北方 曰幽都 便在伏物 日短 星昴以正 中冬 其民燠 鳥獸氄毛.
신명화숙 거북방 왈유도 편재복물 일단 성묘이정 중동 기민욱 조수용모
화숙씨에겐 유도=죽은 도시라 불리는 북방을 주어 만물을 품고 그 딸린 것들이 따스함을 찾는 시기인 해가 짧고 묘성이 반짝이는 때를 한 겨울이라 한다.
歲三百六十六日 以閏月正四時 信飭百官 衆功皆興.
세삼백육심육일 이윤월정사시 신칙백관 중공개흥
한 해를 366일로 하고 윤달을 두어 사계절을 바로잡아 모든 관리에게 가르치니 일이 효율적이 되었다.
- 이 장이 앞뒤 장과 달리 소위 역법내지 시절을 정하는 이야기를 다루는데...
천기를 아는 방법이 巫,占이 아닌 역법을 통해서라는 중요한 변화를 요임금이 정리했다는 말...
여기서 羲仲,叔나 和仲,叔이란 이름을 들어 동남방을 한 형제처럼 서북방을 한 형제처럼 부르는 것을 본다.
즉, 실존한 인명이나 관직이기보다 의인법으로 요임금이 절기를 정리했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본다
堯曰 : “誰可順此事?” 放齊曰 : “嗣子丹朱開明.”
요왈: "수가순차사?" 방제왈 : "사자단주개명"
요임금이 왕위를 선양하고자'누가 이 일에 맞는가?'하니 방제가 답하길: '왕자인 단주가 똑똑합니다' 하니
堯曰 : “吁! 頑凶, 不用.” 堯又曰 : “誰可者?” 讙兜曰 : “共工旁聚布功, 可用.” 堯曰 : “共工善言, 其用僻, 似恭漫天, 不可.”
요왈: "우! 완흉 불용" 요우왈 : "수가자?" 환두왈: "공공방취시공 가용" 요왈 : "공공선언 기용벽 사공만천 불가"
요가 답하길 "음! 완악하고 흉폭해 쓸 수 없다" 요가 재차 묻길: "누가 마땅하냐"하니 환두가 "공공이 널리 배우고 공이 크니 쓸만합니다"하니 요가 답하길 "공공이 말은 고분고분 공손하나 하늘을 우롱하니 안되네"
堯又曰 : “嗟, 四嶽, 湯湯洪水滔天, 浩浩懷山襄陵, 下民其憂, 有能使治者?” 皆曰鯀可.
요우왈 : "차 사악 탕탕홍수도천 호호회산양릉 하민기우 유능사치자" 개왈곤가
요가 재차 말하길 "아아 4 대신이여 홍수로 인해 산이 깎여 얕은 구릉이 될 지경이니 백성들이 걱정이 많다 누구로 이를 다스리게 할까?" 모두가 답하길 곤이면 가능합니다.
堯曰 : “鯀負命毁族, 不可.”
요왈 : "곤부명훼족 불가"
요가 답하길 :"곤은 명에 실패하여 무리를 어지럽히니 불가하오"
嶽曰 : “异哉, 試不可用而已.”
악왈 : "이재 시불가용이이"
대신이 말하길: "이상하네요 먼저 될지 안될지 시험하시지요"
堯於是聽嶽用鯀. 九歲, 功用不成.
요어시청악용곤 구세 공용불성
요임금이 곤을 쓰자는 대신을 말을 따랐음에도 아홉 해가 지나도록 성공하지 못하더라.
堯曰 : “嗟! 四嶽 : 朕在位七十載, 汝能庸命, 踐朕位?”
요왈: 차 사악 : 짐재위칠십재 여능용명 천짐위
요임금이 대신들에게 말하길: 아아 내 임금노릇한지 70년이오만 그대들도 명을 내릴 줄 아니 내 왕위를 이어받으시오.
嶽應曰 : “鄙德忝帝位.”
악응왈 : 비덕첨제위
대신들이 답하길 덕의 미천함만 더하리이다.
堯曰 : “悉擧貴戚及疏遠隱匿者.” 衆皆言於堯曰 : “有矜在民閒, 曰虞舜.”
요왈: "실거귀척급소원은닉자" 중개언어요왈 : "유긍재민한 왈우순'
요임금이 말하길 " 귀한 집안 사람이든 은둔자든 천거해보시오' 모두들 입을 모두어 요임금에게 이르길 : '하릴없는 홀아비 우순이라고 있읍니다 하더라
堯曰 : “然, 朕聞之. 其何如?” 嶽曰 : “盲者子. 父頑, 母嚚, 弟傲, 能和以孝, 烝烝治, 不至姦.”
요왈: 연 짐문지 기하여 악왈 : "망자자 부완 모은 제오 능화이효 증증치 부지간
요임금 이르길 : 그렇소 나도 들은 바 있소 어떤 사람이오 하니 대신 답하길 장님 아비는 완고한 고집루통이요 어미는 헐뜯기 잘하고 동생은 오만방자합니다만 효심으로 잘 보듬어 서로 다투지 않게 하는 사람입니다.
堯曰 : “吾其試哉.” 於是堯妻之二女, 觀其德於二女. 舜飭下二女於嬀汭, 如婦禮.
요왈 : "오기시재" 어시요처지이녀 관기덕어이녀 순칙하이녀어규예 여부례
요 이르길: 내 한 번 시험해보리다 하고 두 딸을 보내 두 딸에 대한 덕행을 관찰하는데 순은 두 딸을 그저 평인 신분으로 규예 집으로 들여 아내된 도리를 다하도록 하더라.
堯善之, 乃使舜愼和五典, 五典能從.
요선지 내사순신화오전 오전능종
요임금이 좋아하며 순으로 하여금 5전=5륜을 잘 지키나 보니 능히 해내더라
乃遍入百官, 百官時序. 賓於四門, 四門穆穆, 諸侯遠方賓客皆敬.
내편입백관 백관시서 빈어사문 사문목목 제후원방빈객개경
하여 관리들을 다루게 하니 관리들이 질서 잡히고 사방의 손님=외교사절들도 선히 대하니 원근 제후들을 존중하더라
堯使舜入山林川澤, 暴風雷雨, 舜行不迷.
요사순입산림천택 폭풍뇌우 순행불미
요임금이 순으로 하여금 경제를 다스리도록 하니 폭풍뇌우도 잘 대처하더라
堯以爲聖, 召舜曰 : “女謀事至而言可績, 三年矣. 女登帝位.” 舜讓於德不懌.
요이위성 소순왈 : "여모사지이언가적 삼년의 여등제위 순양어덕불역
요 임금이 순을 성인처럼 여겨 불러 이르길 "자네가 도모하는 일들에의 평판이 3년 동안 좋으니 제위에 오르시게" 하니 순이 덕이 부족함을 들어 사양하더라.
正月上日, 舜受終於文祖. 文祖者, 堯大祖也.
정월상일 순수종어문조 문조자 요대조야
정월 초 하루 순이 문조의 임종을 맞이하니 문조란 요왕조의 시조라
於是帝堯老 命舜攝行天子之政 以觀天命.
어시제요노 명순섭행천자지정 이관천명
요임금이 노쇠하여 순에게 섭정을 시키며 천명을 살폈다
舜乃在璿璣玉衡 以齊七政 遂類于上帝 禋于六宗 望于山川 辯于群神. .
순내재선기옥형 이제칠정 수유우상제 인우육종 망우산천 변우군신
순임금은 선기옥형=혼천의로 칠정(=해,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을 다스렸다=알아채어 상제의 이치에 닮아 6종(=6가지 우두머리)처럼 삼가하여 산천을 그저 바라보고 신명과 대화하는 경지에 들었다.
揖五瑞 擇吉月日 見四嶽諸牧 班瑞.
집오단 택길월일 견사악제목 반단
오단=(관리 지침서)를 모아 길일에 4대신과 제후들을 불러 업부분장을 하였다.
歲二月 東巡狩 至於岱宗 祡 望秩於山川.
세이월 동순수 지어대종 시 망질어산천
같은 해 2월 동쪽을 태산에 올라 산천을 바라보며 제사를 지냈다.
遂見東方君長 合時月正日 同律度量衡 脩五禮五玉三帛二生一死爲摯 如五器 卒乃復.
수견동방군장 합시월정일 동률도량형 수오례오옥삼백이생일사위지 여옥기 졸내복
마침내 동방의 어르신을 만나 시간대와 도량형 그리고 예식과 관직 표시물을 하나로 통일하고 다섯가지 기물은 퇴직시 돌려받았다.
五月 南巡狩 ; 八月 西巡狩 ; 十一月 北巡狩 : 皆如初.
오월 남순수 8월 서순수 십일월 북순수 개여초
5월에 남쪽을 8월엔 서쪽을 11월엔 북쪽을 돌며 전국을 도량형 예식법등을 하나로 통일 하였다.
歸 至于祖禰廟 用特牛禮.
귀 지우조예묘 용특우례
돌아와서 사당에 소를 잡아 제를 지내고
五歲一巡狩 群四朝 徧告以言 明試以功 車服以庸.
오세일순수 군사조 편고이언 명시이공 차복이용
5년마다 한 번씩 돌며 조정회의를 주재하며 다시 한 번 일깨워주고 공과를 밝혀 수레와 옷감으로 상 주었다.
肇十有二州 決川.
조십유이주 결천
12주에 있는 하천들을 운하로 묶었고
象以典刑 流宥五刑 鞭作官刑 扑作敎刑 金作贖刑.
상이전형 유유오형 편작관형 복작교형 금작속형
법률을 다듬어 다섯개로 나누고 태형을 나라의 벌로 회초리를 교도형으로 벌금을 속죄형으로 세웠다.
眚災過 赦 ; 怙終賊 刑.
생재과 사 호종적 형
우발적 법죄는 용서하고 재범은 형벌로 다스렸다
欽哉 欽哉 惟刑之靜哉!
흠재흠재 유형지정재
보아라 비로소 형벌법이 고르게 되었느니라
-여기서 논란이 될 부분이 동해 군장과 모든 도량형 시간제를 통일한다는 말...
소위 시간 주권에 대한 문제...
현재 우리는 동경 기준시를 쓴다. 북한은 30분 늦은 자체 기준시를 쓰고 중국은 서쪽 변방까지 북경 기준시를 쓰고....
순이 동서남북 순행한다는 말은 전국의 도량형 기준시들을 통일한다는 말이요.
동방군장에게서 脩五禮五玉三帛二生一死爲摯 脩爲摯 받아들었다는 말....
讙兜進言共工 堯曰不可而試之工師 共工果淫辟.
환두진언공공 요왈불가이시지공사 공공과음벽
환두가 공공을 추천하자 요임금이 말하길 그는 우두머리 감이 아니다 했고 공공은 역시나 기괴한 짓을 했다.
四嶽擧鯀治鴻水 堯以爲不可 嶽彊請試之 試之而無功 故百姓不便.
사악거곤치홍수 요이위불가 악강청시지 시지이무공 고백성불편
4대신이 곤을 천거해 홍수를 다스리도록 했으나 요임금은 안된다 했었고 대신들이 강하게 밀어부쳐 시험했으나 역시나 공을 이루지 못해 백성들이 곤란을 겪었다.
三苗在江淮荊州數爲亂.
삼묘재강회형주수위란
3묘가 강주 회주 형주 세 지역에서 난을 일으키니
於是舜歸而言於帝 請流共工於幽陵 以變北狄 ; 放讙兜於崇山 以變南蠻 ; 遷三苗於三危 以變西戎 ; 殛鯀於羽山 以變東夷 : 四罪而天下咸服.
어시순귀이언어제 청류공공어유릉 이변북적 방환두어숭산 이변남만 천삼묘어삼위 이변서융 극곤어우산 이변동이 사죄이천하함복
순이 돌아와 요임금에게 이르길 공공을 유릉(북쪽)으로 유배하여 북쪽 오랑캐로 환두를 숭산으로 내쫒아 남쪽 오랑캐로 3묘를 삼위로 옮겨 서쪽 오랑캐로 곤을 죽여 동쪽 오랑캐로 삼자하니 천하가 모두 따르더라.
-여기서 보면 묘족이나 삼위라는 지명 그리고 變이란 글자를 볼 때 변화시키다의 뜻보단 바꾸다라는 뜻으로 본다면 말썽꺼리들을 구체적인 主敵 개념으로 삼았다고 보는 것이 옳다
堯立七十年得舜 二十年而老 令舜攝行天子之政 薦之於天.
요립칠십년득순 이십년이노 영순섭행천하지정 천지어천
요임금 재위 70년에 순을 얻고 20년이 더 흘렀고 순에게 명하여 하늘의 뜻이니 네가 천하를 다스려 보라 했다
堯辟位凡二十八年而崩 百姓悲哀 如喪父母 三年 四方莫擧樂 以思堯.
요피위범이십팔년이붕 백성비애 여상부모 삼년 사방막거악 이사요
요임금이 임금자리를 내려놓고 28년이 지나 죽으니 백성들이 부모 상 당한듯 슬퍼하며 3년간 요임금을 기리며 풍악을 그쳤다.
堯知子丹朱之不肖 不足授天下 於是乃權授舜.
요지자단주지불초 부족수천하 어시내권수순
요임금은 아들 단주가 천하를 다스리기 모자람을 알아 순에게 천하를 넘겨주었다.
授舜 則天下得其利而丹朱病 ; 授丹朱 則天下病而丹朱得其利.
순에게 왕위를 넘김은 단주에겐 아픔이나 천하에는 이로운 일이요 단주에게 주면 단주에겐 이로우나 천하가 아픈 일이기에...
堯曰 : “終不以天下之病而利一人” 而卒授舜以天下.
요왈: 종불이천하지병이리일인 이졸수순이천하
요임금이 말하길 : 한 사람 좋자고 천하를 아프게 하지 못하겠으니 순임금에게 천하를 넘기노라 했다.
堯崩 三年之喪畢 舜讓辟丹朱於南河之南.
요붕 삼년지상필 순양벽단주어남하지남
요임금의 삼년상을 마치고 순은 단주=요임금의 아들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남하 아래 남쪽으로 내려갔다.
諸侯朝覲者不之丹朱而之舜 獄訟者不之丹朱而之舜 謳歌者不謳歌丹朱而謳歌舜.
제후조근자불지단주이지순 옥송자부지단주이지순 구가자불구가단주이구가순
제후들이 단주의 조정회의에 불참하고 소송건도 순에게 와 물으며 단주를 기뻐하기보다 순을 기뻐하니
舜曰 : “天也” 夫而後之中國踐天子位焉 是爲帝舜.
순왈: 천야 부이후지중국천천자위언 시위제순
순이 말하길 : 참으로 하늘 뜻이로구나! 도읍=중국으로 돌아와 천자에 오르니 순임금이시다.
- 여기서 우리는 中國 이란 단어의 본 의미를 볼 수 있다. '가운데 무리' 내지 중심도시 정도의 의미라는 것을...
오늘날 중국이 중국을 국호로 하며 중국이 이때서부터 있어왔다라 오해하지만... 본디 중국이란 중요한 무리들이 모여 사는 城안 정도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