威德王
威德王 諱昌 聖王之元子也. 聖王在位三十二年薨 繼位.
위덕왕 휘창 성왕지원자야. 성왕재위삼십이년훙 계위.
위덕왕(威德王)의 이름은 창(昌)이다. 성왕(聖王)의 맏아들이다. 성왕이 재위 32년에 돌아가시자 그가 왕위를 이었다.
元年 冬十月 高句麗大擧兵來攻熊川城 敗衄而歸.
원년 동시월 고구려대거병래공웅천성 패뉵이귀.
원년(서기 554) 겨울 10월, 고구려가 대대적으로 병사를 동원하여 웅천성(熊川城)을 침공했으나 패하고 돌아갔다.
六年 夏五月丙辰朔 日有食之.
육년 하오월병진삭 일유식지.
6년(서기 559) 여름 5월, 초하루 병진일에 일식이 있었다.
八年 秋七月 遣兵侵掠新羅邊境 羅兵出擊敗之 死者一千餘人.
팔년 추칠월 견병침략신라변경 라병출격패지 사자일천여인.
8년(서기 561) 가을 7월, 임금이 병사를 보내 신라의 변경을 침범하였다가 신라군의 반격으로 패하였다. 죽은 자가 1천여 명이었다.
十四年 秋九月 遣使入陳朝貢.
십사년 추구월 견사입진조공.
14년(서기 567) 가을 9월, 진(陳)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十七年 高齊後主拜王爲使持節侍中車騎大將軍帶方郡公百濟王.
십칠년 고제후주배왕위사지절시중거기대장군대방군공백제왕.
17년(서기 570), 북제(北齊)의 후주(後主)가 임금을 사지절시중거기대장군대방군공백제왕(使持節侍中車騎大將軍帶方郡公百濟王)으로 삼았다.
十八年 高齊後主 又以王爲使持節都督東靑州諸軍事東靑州刺史.
십팔년 고제후주 우이왕위사지절도독동청주제군사동청주자사.
18년(서기 571), 북제의 후주가 다시 임금을 사지절도독동청주제군사동청주자사(使持節都督東靑州諸軍事東靑州刺史)로 삼았다.
十九年 遣使入齊朝貢. 秋九月庚子朔 日有食之.
십구년 견사입제조공. 추구월경자삭 일유식지.
19년(서기 572), 제(齊)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9월, 초하루 경자일에 일식이 있었다.
二十四年 秋七月 遣使入陳朝貢. 冬十月 侵新羅西邊州郡 新羅伊飡世宗帥兵 擊破之. 十一月 遣使入宇文周朝貢.
이십사년 추칠월 견사입진조공. 동시월 침신하서변주군 신라이찬세종수병 격파지. 십일월 견사입우문주조공.
24년(서기 577) 가을 7월,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겨울 10월, 신라 서쪽 변경의 주와 군을 침범하였는데, 신라의 이찬 세종(世宗)이 병사를 거느리고 와서 우리를 쳐부수었다.
11월, 우문씨(宇文氏)의 북주(北周)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二十五年 遣使入宇文周朝貢.
이십오년 견사입우문주조공.
25년(서기 578), 우문씨의 북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二十六年 冬十月 長星竟天 二十日而滅. 地震.
이십육년 동시월 장성경천 이십일이멸. 지진.
26년(서기 579) 겨울 10월, 혜성이 하늘에 길게 뻗었다가 20일 만에 사라졌다. 지진이 났다.
二十八年 王遣使入隋朝貢. 隋高祖詔拜王爲上開府儀同三司帶方郡公.
이십팔년 왕견사입수조공. 수고조조배왕위상개부의동삼사대방군공.
28년(서기 581), 임금이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수(隋) 고조(高祖)가 조서를 내려 임금을 상개부의동삼사대방군공(上開府儀同三司帶方郡公)으로 삼았다.
二十九年 春正月 遣使入隋朝貢.
이십구년 춘정월 견사입수조공.
29년(서기 582) 봄 정월,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三十一年 冬十一月 遣使入陳朝貢.
삼십일년 동십일월 견사입진조공.
31년(서기 584) 겨울 11월,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三十三年 遣使入陳朝貢.
삼십삼년 견사입진조공.
33년(서기 586),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三十六年 隋平陳 有一戰船 漂至耽牟羅國 其船得還 經于國界 王資送之甚厚 幷遣使奉表 賀平陳 高祖善之 下詔曰 “百濟王旣聞平陳 遠令奉表. 往復至難 若逢風浪 便致傷損 百濟王心迹淳至 朕已委知. 相去雖遠 事同言面 何必數遣使 來相體悉? 自今已後 不須年別入貢 朕亦不遣使往 王宜知之.”
삼십육년 수평진. 유일전선 표지탐모라국 기선득혼 경우국계. 왕자송지심후 병견사봉표 하평진. 고조선지 하조왈 “백제왕기문평진 원령봉표 왕복지란 약봉풍랑 변치상손 백제왕심적순지 짐이위지 상거수원 사동언면 하필수견사 래상예실 자금이후 불수년별입공 짐역불견사왕 왕의지지.”
36년(서기 589), 수나라가 진나라를 평정하였다. 전투용 배 한 척이 탐모라국(耽牟羅國)으로 표류하여 왔는데 그 배가 돌아가게 되어 우리 국경을 통과하였다. 임금이 물자를 후하게 주어 보내고 아울러 사신을 보내 진나라를 평정한 것을 축하하는 표문을 올렸다. 수나라 고조가 이를 좋게 여겨 조서를 내려 말하였다. “백제왕이 진나라를 평정하였다는 말을 듣고서 멀리서 사신을 보내 표문을 보내왔다. 오고가는 길이 지극히 어려운 지역이니, 만약 풍랑을 만나면 사람이 상하고 재물을 잃게 될 것이다. 백제왕의 마음이 순수하고 지극한 것은 짐이 이미 자세히 알고 있다.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는 비록 멀지만 사정은 얼굴을 대하고 말하는 것과 같으니, 어찌 자주 사신을 보내어 서로 대면할 필요가 있겠는가? 지금 이후로는 해마다 들어와 조공하지 말 것이며, 짐도 사신을 보내지 않을 것이니 왕은 마땅히 그리 알도록 하라.”
三十九年 秋七月壬申晦 日有食之.
삼십구년 추칠월임신회 일유식지.
39년(서기 592) 가을 7월, 그믐 임신일에 일식이 있었다.
四十一年 冬十一月癸未 星孛于角亢.
사십일년 동십일월계미 성패우각항.
41년(서기 594) 겨울 11월, 계미일에 혜성이 각성(角星)과 항성(亢星) 자리에 나타났다.
四十五年 秋九月 王使長史王辯那 入隋朝獻 王聞隋興遼東之役 遣使奉表 請爲軍道. 帝下詔曰 “往歲 高句麗不供職貢 無人臣禮 故命將討之 高元君臣 恐懼畏服歸罪 朕已赦之 不可致伐.” 厚我使者而還之 高句麗頗知其事 以兵侵掠國境. 冬十二月 王薨. 群臣議諡曰威德.
사십오년 추구월 왕사장사왕변나 입수조헌 왕문수흥요동지역 견사봉표 청위군도 제하조왈 “왕세 고구려불공직동 무인신례 고명장토지 고원군신 공구외복귀죄 짐이사지 불가치벌 후아사자이완지 고구려번지기사 이병침략국경. 동십이월 왕훙. 군신의시왈위덕.
45년(서기 598) 가을 9월, 임금이 장사(長史) 왕변나(王辯那)를 시켜 수나라에 가서 조공하게 하였다. 임금은 수나라가 요동(遼東)에서 전쟁을 일으킨다는 소문을 듣고 사신을 보내 표문을 바치고, 군대의 길잡이가 되기를 요청하였다. 황제가 조서를 내려 말하였다. “지난날에 고구려가 조공을 바치지 않고 신하로서의 예의를 갖추지 않았기에 장수들로 하여금 그들을 토벌하게 했으나, 고구려의 왕(영양왕)과 신하들이 겁을 내며 죄를 청하기에 짐이 이미 용서하였으니 그들을 칠 수는 없다.” 그리고 우리 사신을 후대하여 돌려보냈다. 고구려가 이 일을 알고 병사를 보내 우리 국경을 침범하였다.
겨울 12월, 임금이 돌아가셨다. 군신들이 의논하여 시호를 위덕(威德)이라 하였다.
* 여기서도 반도의 충청 전라도 근거인 백제가 요동 땅 정벌에 앞잡이를 한다???? 요동에 대해 뭘 알아서????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濟本紀 第五-武王 (0) | 2020.02.19 |
---|---|
百濟本紀 第五-惠王 (0) | 2020.02.19 |
百濟本紀 第五- 聖王 (0) | 2020.02.18 |
百濟本紀 第四- 武寧王 (0) | 2020.02.18 |
百濟本紀 第四- 東城王 (0) | 202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