聖王
聖王 諱明穠 武寧王之子也 智識英邁 能斷事 武寧薨 繼位 國人稱爲聖王 秋八月 高句麗兵至浿水 王命左將志忠 帥步騎一萬 出戰退之.
성왕 휘명농 무령왕지자야. 지식영매 능단사 무령훙 계위. 국인칭위성왕. 추팔월 고구려병지패수 왕명좌장지충 수보기일만 출전퇴지.
성왕(聖王)의 이름은 명농(明穠)이다. 무령왕(武寧王)의 아들이다. 지혜와 식견이 뛰어났고 일을 처리함에 결단성이 있었다. 무령왕이 돌아가시고 왕위를 잇자 나라 사람들이 성왕이라고 불렀다.
가을 8월, 고구려 병사가 패수(浿水; 고조선 때에, 요동과 경계를 이루던 강)에 이르자, 임금이 좌장 지충(志忠)에게 보병과 기병 1만 명을 거느리고 싸우게 하니 그가 적을 물리쳤다.
* 패수를 국경으로 하는 백제????
二年 梁高祖詔冊王爲持節都督百濟諸軍事綏東將軍百濟王.
이년 양고조조책왕위지절도독백제제군사수동장군백제왕.
2년(서기 524), 양(梁) 고조(高祖)가 조서를 내려 임금을 지절도독백제제군사수동장군백제왕(持節都督百濟諸軍事綏東將軍百濟王)으로 책봉하였다.
三年 春二月 與新羅交聘.
삼년 춘이월 여신라교빙.
3년(서기 525) 봄 2월, 신라와 서로 친선하였다.
四年 冬十月 修葺熊津城 立沙井柵.
사년 동시월 수집웅진성 입사정책.
4년(서기 526) 겨울 10월, 웅진성(熊津城)을 수리하고 사정(沙井)에 목책을 세웠다.
七年 冬十月 高句麗王興安 躬帥兵馬來侵 拔北鄙穴城 命佐平燕謨 領步騎三萬 拒戰於五谷之原 不克 死者二千餘人.
칠년 동시월 고구려왕흥안 사수병마래침 발북비혈성 명좌평연모 영보기삼만 거전어오곡지원 불극 사자이천여인.
7년(서기 529) 겨울 10월, 고구려왕 흥안(興安, 안장왕)이 직접 병사를 거느리고 침범하여 북쪽 변경의 혈성(穴城)을 함락시켰다. 임금이 좌평 연모(燕謨)에게 명령하여 보병과 기병 3만 명을 거느리고 오곡(五谷) 벌판에서 막아 싸우게 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죽은 자가 2천여 명이었다.
十年 秋七月甲辰 星隕如雨.
십년 추칠월갑진 성운여우.
10년(서기 532) 가을 7월, 갑진일에 별이 비오듯 떨어졌다.
十二年 春三月 遣使入梁朝貢. 夏四月丁卯 熒惑犯南斗.
십이년 춘삼월 견사입양조공. 하사월정묘 형혹범남두.
12년(서기 534) 봄 3월, 양(梁)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여름 4월, 정묘에 형혹(熒惑, 화성)이 남두(南斗)를 범하였다.
十六年 春 移都於泗沘(一名所夫里) 國號南扶餘.
십육년 춘 이도어사비(일명소부리) 국호남부여.
16년(서기 538) 봄, 도읍을 사비(泗沘, 부여= 소부리 所夫里)로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고 하였다.
十八年 秋九月 王命將軍燕會 攻高句麗牛山城 不克.
십팔년 추구월 왕명장군연회 공고구려우산성 불극.
18년(서기 540) 가을 9월, 임금이 장군 연회(燕會)에게 명령하여 고구려의 우산성(牛山城)을 공격하게 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十九年 王遣使入梁朝貢 兼表請 毛詩博士 涅槃等經義 幷工匠畵師等 從之.
십구년 왕견사입양조공 겸표청 모시박사 열반등경의 병공장화사등 종지.
19년(서기 541), 임금이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아울러 표문을 올려 『모시(毛詩)』의 박사(博士)와 『열반경(涅槃經)』 등의 경서 해설서 및 기술자와 화가 등을 보내주기를 요청하니, 양나라에서 이를 들어주었다.
二十五年 春正月己亥朔 日有食之.
이십오년 춘정월 기해삭 일유식지.
25년(서기 547) 봄 정월 초하루 기해일에 일식이 있었다.
二十六年 春正月 高句麗王平成與濊謀 攻漢北獨山城 王遣使請救於新羅 羅王命將軍朱珍 領甲卒三千 發之 朱珍日夜兼程 至獨山城下 與麗兵一戰 大破之.
이십육년 춘정월 고구려왕평성여예모 공한북독산성 왕견사청구어신라 라왕명장군주진 영갑졸삼천 발지 주진일야겸정 지독산성하 여려병일전 대파지.
26년(서기 548) 봄 정월, 고구려왕 평성(平成, 양원왕)이 예(濊)와 공모하여 한수 이북의 독산성(獨山城)을 공격해오자, 임금이 신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요청하였다. 신라왕이 장군 주진(朱珍)을 시켜 갑옷을 입은 병사 3천 명을 거느리고 출발하게 하였다. 주진은 밤낮으로 행군하여 독산성 아래에 이르러 고구려 병사들과 일전을 벌여 크게 이겼다.
二十七年 春正月庚申 白虹貫日. 冬十月 王不知梁京師有寇賊 遣使朝貢. 使人旣至 見城闕荒毁 並號泣於端門外. 行路見者 莫不灑淚. 侯景聞之 大怒 執囚之. 及景平 方得還國.
이십칠년 춘정월경신 백홍관일. 동시월 왕부지영경사유구적 견사조공 사인기지 견성궐황훼병호읍어단문외 행로견자 막불쇄루 후경문지 대노 집수지 급경평 방득환국.
27년(서기 549) 봄 정월, 경신일에 흰 무지개가 해를 가로질렀다.
겨울 10월, 임금이 양나라 도읍에 반란이 일어난 것을 알지 못하고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사신이 그곳에 이르러 성과 궁궐이 황폐하고 허물어진 것을 보고, 모두 대궐문 밖에서 소리내어 울었다. 지나가던 사람들이 이를 보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 자가 없었다. 후경(侯景, 양나라를 멸망시킨 사람)이 이 소식을 듣고 크게 노하여 그들을 잡아 가두었다. 그들은 후경의 난이 평정된 뒤에야 귀국할 수 있었다.
二十八年 春正月 王遣將軍達己 領兵一萬 攻取高句麗道薩城. 三月 高句麗兵圍金峴城.
이십팔년 춘정월 왕견장군달기 영병일만 공취고구려도살성. 삼월 고구려병위금현성.
28년(서기 550) 봄 정월, 임금이 장군 달기(達己)를 보내 병사 1만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의 도살성(道薩城)을 공격하게 하여 빼앗았다.
3월, 고구려 병사가 금현성(金峴城)을 포위하였다.
三十一年 秋七月 新羅取東北鄙 置新州. 冬十月 王女歸于新羅.
삼십일년 추칠월 신라취동북비 치신라. 동시월 왕녀귀우신라.
31년(서기 553) 가을 7월, 신라가 동북쪽 변경을 빼앗아 신주(新州)를 설치하였다.
겨울 10월, 임금의 딸이 신라로 시집갔다.
三十二年 秋七月 王欲襲新羅 親帥步騎五十 夜至狗川 新羅伏兵發與戰 爲亂兵所害薨 諡曰聖.
삼십이년 추칠월 왕욕습신라 친수보기오천 여지구천 신라복병발여전 위란병소해훙 시왈성.
32년(서기 554) 가을 7월, 임금이 신라를 습격하고자 몸소 보병과 기병 50명을 거느리고 밤에 구천(狗川)에 이르렀다. 신라의 복병이 나타나 그들과 싸우다가 혼전 중에 임금이 병사들에게 살해되었다. 시호를 성(聖)이라 하였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濟本紀 第五-惠王 (0) | 2020.02.19 |
---|---|
百濟本紀 第五-威德王 (0) | 2020.02.19 |
百濟本紀 第四- 武寧王 (0) | 2020.02.18 |
百濟本紀 第四- 東城王 (0) | 2020.02.17 |
百濟本紀 第四- 三斤王 (0) | 202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