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第六-長壽王


長壽王

 

長壽王 諱巨連(一作璉) 開土王之元子也 體貌魁傑 志氣豪邁. 開土王十八年 立爲太子 二十二年 王薨 卽位.

장수왕 휘거련(일작련) 개토왕지원자여 체모괴걸 지기호매 개토왕십팔년 입위태자. 이십이년 왕훙 즉위.

 

장수왕(長壽王)의 이름은 거련(巨連 이라고 쓰기도 한다)이며,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맏아들이다. 그는 인물이 잘났고, 의지가 호방하였다. 광개토왕 18(서기 409)에 태자가 되었다. 22년에 임금이 돌아가시자 왕위에 올랐다.

 

元年 遣長史高翼 入晉奉表 獻赭白馬 安帝封王高句麗王樂浪郡公.

원년 견장사고익 입진봉표 헌자백마 안제봉왕고구려왕낙랑군공.

 

원년(서기 413), 임금이 장사(長史) 고익(高翼)을 진()나라에 보내 표문을 올리고, 붉고 흰 말을 바쳤다. 진나라의 안제(安帝)가 임금을 고구려왕낙랑군공(高句麗王樂浪郡公)으로 책봉하였다.

 

二年 秋八月 異鳥集王宮. 冬十月 王畋于蛇川之原 獲白獐 十二月 王都 雪五尺.

이년 추팔월 이조집왕궁. 동시월 왕정우사천지원 획백장. 십이월 왕도 설오척.

 

2(서기 414) 가을 8, 이상한 새가 왕궁에 모여 들었다.

겨울 10, 임금이 사천(蛇川)벌에서 사냥하다가 흰 노루를 잡았다.

12, 서울에 눈이 다섯 자나 내렸다.

 

七年 夏五月 國東大水 王遣使存問.

칠년 하오월 국동대수 왕견사존문.

 

7(서기 419) 여름 5, 동쪽 지방에 홍수가 나서 임금이 사람을 보내 안전을 확인하였다.

 

十二年 春二月 新羅遣使修聘 王勞慰之特厚. 秋九月 大有年 王宴群臣於宮.

십이년 춘이월 신라견사수빙 왕노위지특후. 추구월 대유년 왕연군신어궁.

 

12(서기 424) 2, 신라에서 사신을 보내와 예방하였다. 임금이 그의 노고를 후하게 예우하였다.

가을 9, 큰 풍년이 들자 임금이 궁중에서 여러 신하들과 함께 연회를 베풀었다.

 

十三年 遣使如魏貢.

십삼년 견사여위공.

 

13(서기 425),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十五年 移都平壤.

십오년 이도평양.

 

15(서기 427), 평양(平壤)으로 수도를 옮겼다.

 

二十三年 夏六月 王遣使入魏朝貢 且請國諱. 世祖嘉其誠款 使錄帝系及諱以與之 遣員外散騎侍郞李敖 拜王爲都督遼海諸軍事征東將軍領護東夷中郞將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 秋 王遣使入魏謝恩 魏人數伐燕 燕日危蹙 燕王馮弘曰 若事急 且東依高句麗 以圖後擧.” 密遣尙書陽伊 請迎於我.

이십삼년 하유월 왕견사입위조공 차청국휘 세조희기성관 사록제계급휘이여지 견원외산기시랑이오 배왕위도독요해제군사정동장군영호동이중랑장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 추 왕견사입위사은 휘인수벌연 연일위축 연왕풍홍왈 약사급 차동의고구려 이도후거.” 밀견상서양이 청영어아.

 

23(서기 435) 여름 6, 임금이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역대 황제의 이름을 알려줄 것을 요청하였다. 위나라의 세조(世祖)가 그 정성을 가상히 여겨서 황제들의 계보와 이름을 기록하여 보내게 하였으며, 원외산기시랑(員外散騎侍郞) 이오(李敖)를 보내 임금을 도독요해제군사정동장군영호동이중랑장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都督遼海諸軍事征東將軍領護東夷中郞將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으로 책봉하였다.

 

가을, 임금이 사신을 위나라에 보내 은혜에 보답하도록 하였다. 위나라의 사람들이 연나라를 자주 공격하였기 때문에 연나라의 형세가 나날이 위급해졌다. 연나라 왕 풍홍(馮弘)이 말하였다. “만일 사태가 위급하면 동쪽에 위치한 고구려에 잠시 의존하며, 미래를 위한 대책과 방법을 세우겠다.” 비밀리에 상서(尙書) 양이(陽伊)를 우리나라에 보내 받아주기를 요청하였다.

 

二十四年 燕王遣使入貢于魏 請送侍子. 魏主不許 將擧兵討之 遣使來告諭. 夏四月 魏攻燕白狼城 克之. 王遣將葛盧孟光 將衆數萬 隨陽伊至和龍 迎燕王. 葛盧孟光入城 命軍脫弊褐 取燕武庫精仗 以給之 大掠城中. 五月 燕王率龍城見戶東徙 焚宮殿 火一旬不滅 令婦人被甲居中. 陽伊等勒精兵居外 葛盧孟光帥騎殿後 方軌而進. 前後八十餘里. 魏主聞之 遣散騎常侍封撥來 令送燕王 王遣使入魏奉表 稱當與馮弘 俱奉王化. 魏主以王違詔 議擊之. 將發隴右騎卒 劉絜樂平王丕等諫之 乃止.

이십사년 연왕견사입공우위 청송시자. 위주불허 장거병토지 견사해고유. 하사월 위공연백랑성 극지. 왕견장갈로맹광 장중수만 수양이지화룡 영연왕 갈로맹광입성 명군탈폐갈 취연무고정장이급지 대략성중. 오월 연왕솔용성현호동사 분궁전 파일순불멸 영부인피갑거중 양이등륵장병거외 갈로맹광수기전후 방궤이진. 전후팔십여리 위주문지 견산기상시봉발래 영송연왕. 왕견사입위봉표 칭당여풍홍 구봉왕화. 위주이왕위조 의격지. 장발롱우기졸 유결낙평왕비등간지 내지.

 

24(서기 436), 연나라왕이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고, 자제를 인질로 보낼 것을 요청하였다. 위나라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고, 병사를 동원하여 연나라를 침입하기 직전에 우리나라에 사신을 보내 이 사실을 알려 주었다.

여름 4, 위나라가 연나라의 백낭성(白狼城)을 공격하여 승리하였다. 임금은 장수 갈로(葛盧)와 맹광(孟光)에게 병사 수만 명을 거느리고 연나라 사신 양이를 따라 화룡(和龍)에 가서 연나라왕을 맞이하도록 하였다. 갈로와 맹광이 연나라의 성에 들어가, 병사들에게 헌 옷을 벗게 하고, 연나라의 무기고에 있는 정교한 의장을 내주어 입게 하였다. 그들은 대규모로 성을 약탈하였다.

 

5, 연나라왕이 용성(龍城)에 남아 있는 주민들을 동쪽 고구려로 이주하도록 하고, 궁전에 불을 질렀다. 불길은 열흘 동안 꺼지지 않았다. 이동하는 부녀자들에게는 갑옷을 입혀 행렬의 안쪽에 서게 하고, 양이 등은 병사를 거느리고 행렬의 바깥 쪽에 서게 하였으며, 갈로와 맹광은 기병을 거느리고 행렬의 끝에 서서 수레를 나란히 몰아 진군하였다. 행렬의 길이가 80여 리에 이어졌다. 위나라왕이 이 소문을 듣고, 산기상시(散騎常侍) 봉발(封撥)을 고구려에 보내 연나라왕을 위나라로 보내달라고 하였다. 임금이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왕에게 편지를 바치면서, 연나라왕 풍홍과 함께 위나라왕의 교화를 받들겠다고 하였다. 위나라 왕은 임금이 자신의 명령을 어겼다는 이유로 고구려를 공격할 것을 논의하였다. 그는 농우(隴右) 지방의 기병을 출동시키려 하였으나, 유혈(劉絜)ㆍ 낙평왕((樂平王) () 등이 반대하자 이를 중지하였다.

 

二十五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이십오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25(서기 437)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二十六年 春三月 初 燕王弘至遼東 王遣使勞之曰 龍城王馮君 爰適野次 士馬勞乎弘慙怒 稱制讓之. 王處之平郭 尋徙北豊. 弘素侮我 政刑賞罰 猶如其國. 王乃奪其侍人 取其太子王仁爲質 弘怨之 遣使如宋 上表求迎 宋太祖遣使者王白駒等迎之 幷令我資送.

이십육년 춘삼월 초 연왕홍지요동 왕견사노지왈 용성왕풍군 원적야차 사마노호홍참노 칭제양지 왕처지평곽 왕처지평곽 심사북풍. 홍소모아 정형상벌 유여기국 왕내탈기시인 취기태자왕인위질 홍원지 견사여송 상표구영 송태조견사자왕백구등영지 병영아자송.

 

26(서기 438) 3, 처음 연나라왕 풍홍이 요동에 당도했을 때, 임금이 사신을 보내 위로하여 말했다. “용성왕 풍군(馮君)이 이곳에 와서 야숙을 하고 있으니, 병사와 말이 피곤하겠소.” 풍홍은 부끄러워하면서도 분노하여, 법도를 들먹이며 임금을 꾸짖었다. 임금은 풍홍을 평곽(平郭)에 있게 하다가, 얼마 뒤에 다시 북풍(北豊)으로 옮기도록 하였다. 풍홍은 원래 우리를 업신여기고, 정치와 법 제도와 상벌을 자신의 나라와 동일하게 하려고 하였다. 임금은 곧 그의 시종을 빼앗고, 그의 태자 왕인(王仁)을 볼모로 삼았다. 풍홍이 이를 원망하여 송()나라에 사신을 보내 편지를 올리도록 하여 자신을 맞아줄 것을 요청하였다. 송 태조(太祖)가 사신 왕백구(王白駒) 등을 보내 그를 맞이하게 하고, 우리에게 그를 보내줄 것을 요청하였다.

 

王不欲使弘南來 遣將孫漱高仇等 殺弘于北豊 幷其子孫十餘人. 白駒等帥所領七千餘人 掩討漱仇 殺仇 生擒漱. 王以白駒等專殺 遣使執送之. 太祖以遠國 不欲違其意 下白駒等獄 已而原之.

왕불욕사홍남래 견장손수고구등 살홍우북풍 병기자손십여인. 백구등수소영칠천여인 엄토수수살구 생금수. 왕이백구등전살 견사집송지. 태조이원국 불욕위기의 하백구등옥 이이원지.

 

임금은 풍홍이 남쪽으로 가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장수 손수(孫漱)와 고구(高仇) 등에게 북풍에서 풍홍과 그의 자손 10여 명을 죽이도록 하였다. 송의 사신 왕백구 등은 풍홍이 지휘하던 병사 7천여 명을 이끌고, 고구려 장수 손수와 고구를 습격하여 고구를 죽이고 손수를 생포하였다. 임금은 왕백구 등이 고구를 아무런 이유 없이 죽였다는 이유로, 그를 잡아 사신 편에 송나라로 보냈다. 송 태조는 먼 곳에 있는 나라인 고구려의 뜻을 어기지 않도록 왕백구 등을 옥에 가두었다가 얼마 뒤에 석방하였다.

 

二十七年 冬十一月 遣使入魏朝貢. 十二月 遣使入魏朝貢.

이십칠년 동십일월 견사입위조공. 십이월 견사입위조공.

 

27(서기 439) 겨울 11,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1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三十八年 新羅人襲殺邊將. 王怒 將擧兵討之 羅王遣使謝罪 乃止.

삼십팔년 신라인습살변장. 왕노 장거병토지 라왕견사사죄 내지.

 

38(서기 450), 신라인이 우리의 변방을 지키는 장수를 습격하여 죽였다. 임금이 노하여 병사를 출동시켜 공격하려 하였으나, 신라왕이 사신을 보내와 용서를 빌었으므로 이를 중단하였다.

 


四十二年 秋七月 遣兵侵新羅北邊.

사십이년 추칠월 견병침신라북변.

 

42(서기 454) 가을 7, 병사를 보내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공하였다.

 

四十三年 遣使入宋朝貢.

사십삼년 견사입송조공.

 

43(서기 455), 송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五十年 春三月 遣使入魏朝貢.

오십년 춘삼월 견사입위조공.

 

50(서기 462) 3,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五十一年 宋世祖孝武皇帝策王爲車騎大將軍開府儀同三司.

오십일년 송세조효무황제책왕위거기대장군갸부의동삼사.

 

51(서기 463), 송나라의 세조(世祖) 효무(孝武) 황제가 임금을 거기대장군개부의동삼사(車騎大將軍開府儀同三司)로 책봉하였다.

 

五十二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오십이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52(서기 464)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五十四年 春三月 遣使入魏朝貢 魏文明太后 以顯祖六宮未備 敎王令薦其女. 王奉表云 女已出嫁求以弟女應之 許焉. 乃遣安樂王眞尙書李敷等 至境送幣. 或勸王曰 魏昔與燕婚姻 旣而伐之 由行人具知其夷險故也 殷鑑不遠 宜以方便辭之.” 王遂上書 稱女死 魏疑其矯詐 又遣假散騎常侍程駿 切責之. “若女審死者 聽更選宗淑.” 王云 若天子恕其前愆 謹當奉詔 會 顯祖崩 乃止.

오십사년 춘삼월 견사입위조공 위문명태후 이현조육궁미비 교왕령천기녀. 왕봉표운 여이출가구이제녀응지 허언 내견안락왕진상서이부등 지경송폐. 혹권왕왈 위석여연혼인 기이벌지 유행인구지기이험고야 은감불원 의이방편사지 왕수상서 칭여사 위의기교사 우견가산기상시정준 절책지 약녀심사자 청경선종숙.” 왕운 약천자서기전연 근당봉조.” 회 현조붕 내지.

 

54(서기 466) 3,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위나라 문명(文明) 태후가 현조(顯祖, 북위 헌문제)6(六宮)이 미비하다 하여, 우리 임금에게 지시하여 임금의 딸을 바치라고 하였다. 임금이 편지를 올려 딸은 이미 출가하였다.’고 말하고, 아우의 딸을 대신 바치도록 요청하였다. 위나라에서 이를 인정하고 곧 안락왕(安樂王) ()과 상서(尙書) 이부(李敷) 등을 국경으로 파견하여 폐백을 보내왔다. 이때 어떤 사람이 임금에게 권하여 말하였다. “위나라가 이전에 연나라와 혼인한 후 얼마 안 되어 연나라를 쳤으니, 이는 사신들이 지리적 상황을 상세히 알게 된 때문입니다. 지난 일을 통해 이러한 교훈을 얻었으니, 적당한 방법으로 거절해야 합니다.” 임금은 곧 위나라에 편지를 보내 아우의 딸이 죽었다고 말했다. 위나라에서는 이것이 거짓말이라고 의심하여 다시 가산기상시(假散騎常侍) 정준(程駿)을 보내 엄중히 질책하여 말하였다. “만약 딸이 정말 죽었다면, 다시 종실의 다른 여자를 선택하는 것을 인정하겠다.” 임금이 말하였다. “만약 천자가 나의 이전의 잘못을 용서한다면 삼가 지시대로 따르겠다.” 이즈음 마침 현조가 죽었으므로 이 일은 중단되었다.

 

五十五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오십오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55(서기 467)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五十六年 春二月 王以靺鞨兵一萬 攻取新羅悉直州城. 夏四月 遣使入魏朝貢.

오십육년 춘이월 왕이말갈병일만 공취신라실직주성. 하사월 견사입위조공.

 

56(서기 468) 2, 임금이 말갈의 병사 1만을 거느리고, 신라의 실직주성(悉直州城)을 공격하여 빼앗았다.

여름 4,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五十七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秋八月 百濟兵侵入南鄙.

오십칠년 추이월 견사입위조공. 추팔월 백제병침입남비.

 

57(서기 469)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8, 백제의 병사가 남쪽 변경에 침입하였다.

 

五十八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오십팔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58(서기 470)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五十九年 秋九月 民奴久等奔降於魏 各賜田宅 是魏高祖延興元年也.

오십구년 추구월 민노구등분항어위 각사전택 시위고조연흥원년야.

 

59(서기 471) 가을 9, 민노구(民奴久) 등이 위나라에 도망가서 항복하였다. 위나라는 그들에게 각각 토지와 주택을 주었다. 이 해가 위 고조(高祖) 연흥(延興) 원년이었다.

 

六十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秋七月 遣使入魏朝貢 自此已後 貢獻倍前 其報賜 亦稍加焉.

육십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추칠월 견사입위조공 자차이후 공헌배전 기보사 역초가언.

 

60(서기 472)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7,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이때부터 공물의 수량이 종전에 비하여 배로 늘었으며, 이에 대한 보답으로 위나라에서 주는 물량도 다소 증가하였다.

 

六十一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秋八月 遣使入魏朝貢.

육십일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추팔월 견사입위조공.

 

61(서기 473)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8,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六十二年 春三月 遣使入魏朝貢 秋七月 遣使入魏朝貢 遣使入宋朝貢.

육십이년 춘삼월 견사입위조공. 추칠월 견사입위조공 션사입송조공.

 

62(서기 474)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7, 위나라와 더불어 송나라에도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六十三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秋八月 遣使入魏朝貢. 九月 王帥兵三萬 侵百濟 陷王所都漢城 殺其王扶餘慶 虜男女八千而歸.

육십삼만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추팔월 견사입위조공. 구월 왕수병삼만 침백제 함왕소도한성살기왕부여경 노남요팔천이귀.

 

63(서기 475)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8,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9, 임금이 병사 3만을 거느리고 백제를 침공하여 백제의 서울 한성(漢城)을 점령한 후, 백제의 왕 부여경(扶餘慶, 개로왕)을 죽이고 남녀 8천 명을 생포하여 돌아왔다.

 

六十四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秋七月 遣使入魏朝貢. 九月 遣使入魏朝貢.

육십사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추칠월 견사입위조공. 구월 견사입위조공.

 

64(서기 476)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7,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9,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六十五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秋九月 遣使入魏朝貢.

육십오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추구월 견사입위조공.

 

65(서기 477)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9,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六十六年 遣使入宋朝貢 百濟燕信來投.

육십육년 견사입송조공 백제연신래투.

 

66(서기 478), 송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백제의 연신(燕信)이 와서 항복하였다.

 

六十七年 春三月 遣使入魏朝貢. 秋九月 遣使入魏朝貢.

육십칠년 춘삼월 견사입위조공. 추구월 견사입위조공.

 

67(서기 479) 3,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9,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六十八年 夏四月 南齊太祖蕭道成 策王爲驃騎大將軍 王遣使餘奴等 朝聘南齊 魏光州人 於海中得餘奴等 送闕 魏高祖詔責王曰 道成親弑其君 竊號江左 朕方欲興滅國於舊邦 繼絶世於劉氏 而卿越境外交 遠通簒賊 豈是藩臣守節之義 今不以一過掩卿舊款 卽送還藩 其感恩思愆 祗承明憲 輯寧所部 動靜以聞.”

육십팔년 하사월 남제태조소도성 축왕위표기대장군 왕견사여노등 조빙남재 위광주인 어해중 득여노등 송궐 위고조조책왕왈 도성친시기군 절호강좌 짐방욕여멸국어구방 구절세어유씨 이경월경외교 원통찬적 이시번신수절지의 금불이일과엄경구관 즉송환번 기감은사건 지승명헌집녕소부 동정이문.”

 

68(서기 480) 여름 4, 남제(南齊)의 태조(太祖) 소도성(蕭道成)이 임금을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으로 책봉하였다. 임금은 남제에 사신 여노(餘奴) 등을 보내 예방하게 하였는데, 위나라의 광주(光州) 사람이 바다에서 여노 등을 붙잡아 위나라 궁궐로 압송하였다. 위나라의 고조(高祖)가 임금에게 조서를 보내 다음과 같이 책망하였다. “소도성은 직접 자신의 왕을 시해하고 강남에서 왕으로 자칭하고 있다. 나는 이제 멸망한 나라를 옛터에서 다시 일으키고, 끊어진 대를 유씨(劉氏)에게 이어주려 하고 있다. 그런데 그대는 국경을 넘어서 외부와 접촉하며, 자신의 왕을 죽인 역적과 내통하고 있다. 이것이 어찌 황실을 수호하는 제후가 절개를 지키는 도리이겠는가? 나는 이제 한 가지 잘못 때문에 그대의 옛 정성을 무시하지 않기 위하여 여노를 즉시 돌려보낸다. 나의 관대한 조치에 감동하여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법도를 지킬 것이며, 다스리는 지역의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고, 그대의 동정을 보고하라.”

 

六十九年 遣使南齊朝貢.

육십구년 견사남제조공.

 

69(서기 481), 남제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七十二年 冬十月 遣使入魏朝貢. 時 魏人謂我方强 置諸國使邸 齊使第一 我使者次之.

칠십이년 동시월 견사입위조공. 시 위인위아방강 치제국사저 제사제일 아사자차지.

 

72(서기 484) 겨울 10,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이때 위나라의 사람들은 우리나라가 이제 강성하다고 생각하여, 여러 나라 사신들의 숙소를 배치할 때 제() 나라의 사신을 첫 번째, 우리나라의 사신을 두 번째에 두었다.

 

七十三年 夏五月 遣使入魏朝貢. 冬十月 遣使入魏朝貢.

칠십삼년 하오월 견사입위조공. 동시월 견사입위조공.

 

73(서기 485) 여름 5,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겨울 10,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七十四年 夏四月 遣使入魏朝貢.

칠십사년 하사월 견사입위조공.

 

74(서기 486) 여름 4,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七十五年 夏五月 遣使入魏朝貢.

칠십오년 하오월 견사입위조공.

 

75(서기 487) 여름 5,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七十六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夏四月 遣使入魏朝貢 秋閏八月 遣使入魏朝貢.

칠십육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하사월 견사입위조공 추윤팔월 견사입위조공.

 

76(서기 488)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여름 4,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윤 8,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七十七年 春二月 遣使入魏朝貢. 夏六月 遣使入魏朝貢. 秋九月 遣兵侵新羅北邊 陷狐山城. 冬十月 遣使入魏朝貢.

칠십칠년 춘이월 견사입위조공. 하유월 견사입위조공. 추구월 견병침신라북변 함고산성. 동시월 견사입위보공.

 

77(서기 489) 2,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여름 6,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9, 병사를 보내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공하여 호산성(狐山城)을 함락시켰다.

겨울 10,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七十八年 秋七月 遣使入魏朝貢. 九月 遣使入魏朝貢.

칠십팔년 추칠월 견사입위조공. 구월 견사입위조공.

 

78(서기 490) 가을 7,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9,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七十九年 夏五月 遣使入魏朝貢 秋九月 遣使入魏朝貢 冬十二月 王薨 年九十八歲. 號長壽王 魏孝文聞之 制素委貌布深衣 擧哀於東郊. 遣謁者僕射李安上 策贈車騎大將軍太傅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 諡曰康.

칠십구년 하오월 견사입위조공. 추구월 견사입위조공. 동십이월 왕훙 년구십팔세. 호장수왕 위효문문지 제소위모포심의 거애어동교. 견알자복사이안상 축증거기대장군태부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 시왈강.

 

79(서기 491) 여름 5,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가을 9, 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겨울 12, 임금이 돌아가셨다. 그때 그의 나이는 98세였다. 임금의 호를 장수왕(長壽王)이라 하였다. 위나라의 효문(孝文) 황제가 이 소식을 듣고, 흰색의 위모관(委貌冠)과 베로 만든 심의(深衣)를 지어 입고 동쪽 교외에서 애도의 의식을 거행하였다. 그리고 알자복야(謁者僕射) 이안상(李安上)을 보내와 임금을 거기대장군태부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車騎大將軍太傅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으로 추증하고, 시호를 강()이라 하였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高句麗本紀 第七-安藏王  (0) 2020.01.26
高句麗本紀 第七-文咨明王  (0) 2020.01.26
高句麗本紀 第六-廣開土王  (0) 2020.01.23
高句麗本紀 第六 - 故國壤王  (0) 2020.01.23
高句麗本紀 第六 - 小獸林王  (0) 2020.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