訥祗麻立干
訥祗麻立干立(金大問云 麻立者 方言謂橛也 橛謂諴操 准位而置 則王橛爲主 臣橛列於下 因以名之)(橛謂以下四字 以遺事(南解王條)作橛標) 奈勿王子也 母保反夫人(一云內禮吉怖) 味鄒王女也 妃實聖王之女. 奈勿王三十七年 以實聖質於高句麗 及實聖還爲王 怨奈勿質己於外國 欲害其子以報怨 遣人 招在高句麗時相知人 因密告 見訥祇則殺之 遂令訥祇往 逆於中路. 麗人見訥祇形神爽雅 有君子之風 遂告曰 爾國王使我害君 今見君 不忍賊害 乃歸 訥祇怨之 反弑王 自立
눌지마립간립(김대문운 마립자 방언위궐야 궐위함조준위이치 즉왕궐위주 신궐열어하 인이명지)(궐위이하사자 이유사작궐표) 내물왕자야 모보반부인(일운내례길포) 미추왕녀야 비실성왕자지녀. 내물왕삼십칠년 이실성질어고구려 급실성환위왕 원내물질기어외국 욕해기자이보원 견인초재고구려시상지인 인밀고견눌지즉살지 송령눌지왕 역어중로 려인견눌지형신상아 유군자지풍 수고왈 이국왕사아해군 금견군 불인적해 내귀눌지원지 반시왕 자립
눌지 마립간(김대문은 마립이란 막대기의 방언으로 막대기란 급을 나타내는 신표로 왕의 막대기가 주요 신하들이 그 아래 세운 것으로 이름이 된 것이다) (궐이하 4자는 유사 남해왕편에 궐표로 나온다) 눌지는 내물왕의 아들로 어머니는 보반부인(혹 내례길포) 미추왕의 딸이며 부인은 실성왕의 딸이다. 내물왕 37년 고구려로 인질로 보내졌다가 돌아와 왕위에 올랐고 내물왕이 외국으로 자기를 인질로 보낸 것을 원망하여 내물왕의 아들을 해쳐 원수를 갚고자 사람을 보내 고구려에서 알고지내던 사람을 불러 눌지를 보거든 죽이라 하였고 눌지에게 길을 떠나라 명하여 도중에 만나게 했으나고구려 사람이 눌지를 보고 시원시원하게 생기고 정신이 고아하려 군자의 풍모를 갖춰 고백하기를 너의 왕이 사로 널 죽이라 했지만 내 이제 보니 그러지 못하겠다며 돌아가니 눌지가 왕을 시해하고 위에 올랐다.
二年 春正月 親謁始祖廟 王弟卜好自高句麗 與堤上奈麻還來 秋 王弟未斯欣自倭國逃還
이년 춘정월 친알시조묘 왕제복호가고구려 여제상내마환래 추 왕제미사흔자왜국도환
2년 봄 1월 시조묘를 배알하고 동생 복호가 고구려에서 재상 내마와 함께 돌아왔고 가을엔 동생 미사흔이 왜국에서 도망하여 돌아왔다.
三年 夏四月 牛谷水湧
삼년 하사월 우곡수용
3년 여름 4월 우곡에서 샘이 솟았다.
四年 春夏 大旱 秋七月 隕霜殺穀 民飢 有賣子孫者 慮囚原罪
사년 춘하 대한 추칠월 운상살곡 민기유매자손자 여수원죄
4년 봄 여름 가물고 7월엔 서리로 곡식이 상하여 굶주리자 자식들을 파는 사람들이 생겼고 죄수들을 탕감하였다.
七年 夏四月 養老於南堂 王親執食 賜穀帛有差
칠년 하사월 양노어남당 왕친집식 사곡백유차
7년 여름 4월 남당에 노인들을 모시고 왕이 직접 식사를 대접하고 곡식과 옷감을 차등해서 나눠줬다.
八年 春二月 遣使高句麗修聘
팔년 춘이월 견사고구려수빙
8년 봄 2월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관계를 쌓았다.
十三年 新築矢堤 岸長二千一百七十步
십삼년 신축시제 안장이천일백칠십보
13년 시제라는 뚝방을 막았는데 2170보의 길이였다
十五年 夏四月 倭兵來侵東邊 圍明活城 無功而退 秋七月 霜雹殺穀
십오년 하사월 왜병래침동변 위명활성 무공이퇴 추칠월 상박살곡
15년 여름 4월 왜병이 동쪽 명활성을 포위했다가 하릴없이 퇴각했고 가을 7월 서리와 우박이 곡식을 해쳤다.
十六年 春 穀貴 人食松樹皮
십육년 춘 곡귀 인식송수피
16년 봄 곡식이 귀해 사람들이 소나무 껍질을 먹었다.
十七年 夏五月 未斯欣卒 贈舒弗邯 秋七月 百濟遺使請和 從之
십칠년 하오월 미사흔졸 증서불한 추칠월 백제견사청화 종지
17년 여름 5월 미사흔이 죽어 서불한으로 추존하고 가을 7월 백제가 사신을 보내 화친을 청했고 따라주었다.
十八年 春二月 百濟王送良馬二匹 秋九月 又送白鷹 冬十月 王以黃金-明珠 報聘百濟
십팔년 춘이월 백제왕송양마이필 추구월 우송백응 동시월 왕이황금,명주 보빙백제
18년 봄 2월 백제왕이 좋은 말 2필을 보내왔고 가을 9월에 다시 희 매를 보내오니 왕이 황금과 명주(구슬)을 보냈다.
十九年 春正月 大風拔木 二月 修葺歷代園陵 夏四月 祀始祖廟
십구년 춘정월 대풍발목 이월 수집역대원릉 하사월 사시조묘
19년봄 1월 태풍이 나무를 뽑고 2월 역대 왕릉을 보수하였고 여름 4월 시조묘에 제를 올렸다.
二十年 夏四月 雨雹 慮囚
이십년 하사월 우박 여수
20년 여름 4월 우박이 내려 억울한 죄수가 있나 조사 하였다.
二十二年 夏四月 牛頭郡山水暴至 漂流五十餘家 京都大風雨雹 敎民牛車之法
이십이년 하사월 우두군산수폭지 표류오십여가 경도대풍우박 교민우거지법
22년 여름 4월 우두군에서 계곡물이 쏟아져 내려 50여채가 쓸려내려갔고 수도지역에 태풍과 우박이 내렸다. 백성들에게 소마차를 가르쳤다.
二十四年 倭人侵南邊 掠取生口而去 夏六月 又侵東邊
이십사년 왜인침남변 약취생구이거 하유월 우침동변
24년 왜구가 남쪽 변경에 침입 짐승을 약탈해가고 6월 동쪽 변경에 다시 침략하였다.
二十五年 春二月 史勿縣進長尾白稚 王嘉之 賜縣吏穀
이십오년 춘삼월 사물현진장미백치 왕가지 사현리곡
25년 봄 2월 사물현에서 긴 꼬리의 흰꿩을 진상하니 왕이 기뻐 관리들에게 곡식을 내렸다.
二十八年 夏四月 倭兵圍金城十日 糧盡乃歸 王欲出兵追之 左右曰 兵家之說曰 窮寇勿追 王其舍之 不聽 率數千餘騎 追及於獨山之東 合戰爲賊所敗 將士死者過半 王蒼黃葉馬上山 賊圍之數重 忽昏霧 不辨咫尺 賊謂有陰助 收兵退歸
이십팔년 하사월 왜병위금성십일 양진내귀 왕욕출병추지 좌우왈 병가지설왈 궁구물추 왕기사지 하청 솔수천여기 추습어독산지동 함전위적소패 장사사자과만 왕창황기마상산 적위지수중 홓혼무 불변지척 적위유음조 수병퇴귀.
28년 여름 4월 왜병이 금성을 10일간 포위했다가양식이떨어져 철수하는데 왕이 출병하여 추격하고자하니 좌우가 이르길 병법에 이르길 굶주린 도둑은 쫒지 말라 했다 하는데도 왕이 듣지않고 수천명의 기병으로 독산 동쪽까지 추격하여 적을 패배시켰으나 병력의 반이 죽었다. 왕이 황망히 말을 버리고 산으로 올랐으나적이 수겹으로 포위하였다. 홀연히 지척을 가릴수 없는 안개가 끼니 적이말하길 귀신의조화라며 병력을 거두어 돌아갔다.
三十四年 秋七月 高句麗邊將獵於悉直之原 何瑟羅城主三直出兵 掩殺之 麗王聞之怒 使來告曰 ‘孤與大王修好至歡也 今出兵殺我邊將 是何義耶’ 乃興師侵我西邊’ 王卑辭謝之 乃歸
삼십사년 추칠월 고구려변장엽어실직지원 하슬라성주삼직출병 엄살지 려왕문지노 사래고왈 고여대왕수호지환야 금출병살아변장 시하의야 내흥사침아서변 왕비사사지 내귀
34년 가을 7월 고구랴 변경의 장수가 실직 벌판에 사냥하러오니 하슬라 성주 삼직이 출병하여 암살하니 고구려왕이 듣고 노해서 사절을 보내 말하길 ‘내 대왕과 좋은 관계를 맺어 기뻐하는데 병사를 출동해 우리 장수를 죽이니 올바른 일인가하며 군을 일으켜 서쪽 변경을 침입하였으나 왕이 찬찬히 설명하자 돌아갔다.
三十六年 秋七月 大山郡進嘉禾
삼십육년 추칠월 대산군진가화
36년 가을 7월 대산군에서 낱알 많은 이삭을 진상했다.
三十七年 春夏 旱 秋七月 羣狼入始林
삼십칠년 춘하 한 추칠월 군랑입시림
37년 봄여름 가물었고 가을 7월 이리떼가 시림에 들어왔다.
三十八年 秋七月 霜雹害穀 八月 高句麗侵北邊
삼십팔년 추칠월 상박해곡 팔월 고구려침북변
38년 가을 7월 서리와 우박으로 곡물이 상하고 8월 고구려가 북쪽 변경을 침입했다.
三十九年 冬十月 高句麗侵百濟 王遣兵救之
삼십구년 동시월 고구려침백제 왕견병구지
39년 겨울 10월 고구려가 백제를 침범하여 왕이 병력을 보내 구해주었다.
四十一年 春二月 大風拔木 夏四月 隕霜傷麥
사십일년 춘이월 대풍발목 하사월 운상상맥
41년 봄 2월 태풍이 나무를 뽑고 여름 4월 서리로 보리가 상했다.
四十二年 春二月 地震 金城南門自毁 秋八月 王薨
사십이년 춘이월 지진 금성남문자훼 추팔월 왕훙
42년 봄 2월 지진이 나서 금성남문이 무너졌고 8월 왕이 승하했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羅本紀-炤知麻立干 (0) | 2019.12.01 |
---|---|
新羅本紀-慈悲麻立干 (0) | 2019.12.01 |
新羅本紀-實聖尼師今 (0) | 2019.11.30 |
新羅本紀-奈勿尼師今 (0) | 2019.11.29 |
新羅本紀-訖解尼師今 (0) | 2019.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