伐休尼師今
伐休(一作發暉)尼師今立 姓昔 脫解王子仇鄒角于之子也. 母姓金氏 只珍內禮夫人. 阿達羅薨 無子 國人立之 王占風雲 預知水旱及年之豊儉 又知人邪正 人謂之聖
벌휴이사금립(일작 발휘) 성석씨 탈해왕자구추각간지자야. 모성김씨 지진내예부인 아달라훙 무자 국인립지. 왕점풍운 예지수한급년지뭉검 우지인사정 인위지성
벌휴이사금이 즉위했는데 성은 석씨요 탈해왕의 아들 구추 각간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요 지내예부인이다. 아달라왕이 죽고 아들이 없어 무리들이 옹립하였는데 왕은 풍운을 점치고 홍수와 한발을 미리 알아 한 해의 풍흉을 알아야하고 또 사람의 사악함과 바름을 알아야하고 그를 성인이라 하기 때문이다.
二年 春正月 親祀始祖廟 大赦 二月 拜波珍湌仇道, 一吉湌仇須兮 爲左右軍主 伐召文國 軍主之名 始於此(軍主以下七字 亦見智證麻立干六年條)
이년 춘정월 친사시죠묘 대사 이월 배차진찬구도, 일길찬구수혜 위좌운준주벌소문군 군주지명 시어차(군주이하칠자 역견지증마립간육년조)
2년 봄 1월 시조묘에 친히 제사하고 대사면 하엿고 2월 파진찬 구도와 일길찬구수혜를 좌운군주로 소문국을 정벌하였는데 군주라는 명칭이 이로 비롯한 것이다 (군주이하 7글자는 지증마립간 6년 기록에도 보인다)
三年 春正月 巡幸州郡 觀察風俗 夏五月壬申晦 日有食之 秋七月 南新縣進嘉禾
삼년 춘정월 순행주군 권찰풍속 하오월임신회 일유식지 추칠월 남신련진가화.
3년 봄 1월 지방(주,군)을 돌며 풍속을 살피고 권면하였다. 여름 5월 그믐 임신일 일식이 생겼고 가을 7월 남신현에서 가화(이삭이 많이 달린)를 진상하였다.
* 왕의 선정으로 풍년이 됨을 찬하하는....
四年 春三月 下令州郡 無 作土木之事 以奪農時 冬十月 北地大雪 深一丈
사년 춘삼월 하령주군 무 작토목지사 이탈농시 동시월 북지대설 심일장.
4년 봄 3월 각 지방에 영을 내려 국가적 土木之事로 농기를 놓치지 않게 하였고, 10월엔 북쪽지방에 대설이 내려 1장이 쌓였다.
五年 春二月 百濟來攻母山城 命波珍湌仇道 出兵拒之
오년 춘이월 백제래공모산성 명파진찬구도 출병거지
5년 2월 백제가 모산성에 처들어와 파진찬 구도에게 군대로 막도록 하였다.
六年 秋七月 仇道與百濟 戰於狗壤 勝之 殺獲五百餘級
육년 추칠월 구도여백제 전어구양 승지 살획오백여급
6년 가을 7월 구도가 백제와 구양에서 싸워이기고 죽고 수급을 벤 자가 500여명을 넘었다.
七年 秋八月 百濟襲西境圓山鄕 又進圍缶谷城 仇道率勁騎五百擊之 百濟兵佯走 仇道追及蛙山 爲百濟所敗 王以仇道失策 貶爲缶谷城主 以薛支爲左軍主.
칠년 추팔월 백제습서경원산향 우진위부곡성 구도솔경기오백격지 백제병반주 구도추급와산 위백제소패 왕이구도실책 폄위부곡성주 이설지위좌군주.
7년 가을 8월 백제가 서쪽 국경 원산향을 습격하고 부곡성을 포위하니 구도가 경기병(급속 기병) 500기를 이끌고 치니 백제 군사가 반정도 도망가니 구도가 와산까지 추격하였으나 백제에 패하니 왕이 구도의 실책을 물어 부곡성주로 강등하고 설지를 좌군주로 삼았다.
八年 秋九月 蚩尤旗見于角亢
팔년 추구월 치우기견우각항.
8년 가을 9월에 치우기(별 이름)이 각좌 항좌(동방)에 나타났다.
(여기서 문제가 치우는 西夷의 상징 즉, 대륙에 산재한 여러 夷 무리중 중국 입장에서(진나라 전) 서쪽... 고로 치우성이 동방 성좌(角亢)에 나타났다는 말은 전쟁을 상징하는 치우(중국입장:탁록대전을 참조)의 별이 나타남은 동방에 큰 전쟁을 암시한다. 그럼 신라의 동방은??????? 오히려.... 각항이란 지역에 치우=서이의 출현으로 봄도 타당하다 본다. 물론 시기적으로 치우라는 이름이 신라시대까지 남아있을 거라는 건 다른 문제고...)
九年 春正月 拜國良爲阿湌 述明爲一吉湌 四月 京都雪 深三尺 夏五月 大水 山崩十餘所
구년 춘정월 배국량위아찬 술명위일길찬 사월 경도설 심삼척 하오월 대수 산붕십여소.
9년 봄 3월 국량을 아찬으로 술명을 일길찬에 임명하고 4월 수도에 대설이 와서 3자나 쌓였고 여름 5월엔 홍수가 나서 산이 무너져 내린 곳이 10여곳이나 됐다.
十年 春正月甲寅朔 日有食之 三月 漢祇部女一産四男一女 六月 倭人大饑 來求食者千餘人
십년 춘정월갑인삭 일유식지 삼월 한기부여산사남일녀 유월 왜인대기 내구식자천여인.
10년 봄 1월 초하루 갑인일에 일식이 있었고 3월 한기부의 여인 하나가 4남1녀 쌍둥이를 낳았다. 6월 왜인들이 굶주려 1000여명이 식량을 구하러 왔다.
十一年 夏六月乙巳晦 日有食之
십일년 하유월을사회 일유식지
11년 여름 6월 그믐 을사일에 일식이 있었다.
十三年 春二月 重修宮室 三月 旱 夏四月 震宮南大樹 又震金城東門 王薨
십삼년 봄이월 중수궁실 삼월 한 하사월 진궁남대수 우진금성동문 왕훙.
13년 봄 2월 궁궐을 보수하고 3월엔 한발이 4월엔 궁궐남쪽 큰 나무가 흔들렸고 금성동문도 지진으로 흔들였으며 왕이 붕어하였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羅本紀-助賁尼師今 (0) | 2019.11.26 |
---|---|
新羅本紀-柰解尼師今 (0) | 2019.11.26 |
新羅本紀-阿達羅尼師今 (0) | 2019.11.25 |
新羅本記-逸聖尼師今 (0) | 2019.11.22 |
新羅本紀- 祇摩尼師今 (0) | 2019.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