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史記

書-天官書

索隱案天文有五官.

색은안 천문유오관


색은에 이르길 천문관은 5이요


官者星官也. 星座有尊卑若人之官曹列位故曰天官.

관자 성관자 성좌유존비 약인지관조열위 고왈 천관


맡은 일은 별을 관리하는 사람들이요 별자리는 尊卑가 갈리는데 마치 사람으로 따지면 관료들의 서열을 말하니 하늘의 일을 맡는 천관이라 부르는 것....


正義張衡云:「文曜麗乎天其動者有七日月五星是也. 日者陽精之宗月者陰精之宗五星五行之精. 衆星列布體生於地精成於天列居錯峙各有所屬在野象物在朝象官在人象事. 其以神著有五列焉是有三十五名一居中央謂之北斗四布於方各七爲二十八舍日月運行曆示吉凶也.

정의장형운 '문요여호천 기동자유칠 일월오성시야 일자 양정지종 월자 음정지종 오성 오행지정 중성열포 체생어시 정성어천 열거착치 각유소속 재야상물 재조상관 재인상사. 기이신저유오열언 시유삼십오명 일거중앙 위지북두 사포어각칠 위이십팔사 일월운행 역시길흉야'


장형은 말하길 '화려한 별자리가 하늘이요 그 움직임에는 7별=해 달 5개 별이다

해란 양 기운의 으뜸이요, 달은 음 기운의 으뜸이고, 5개의 별은 5행을 나타내는데 별이란 땅에서 나는 것이 하늘이란 것은 그 본질이다 각 자리를 꿋꿋히 지키며 딸린 별들이 있다 마치 재야에서 변치않는 중심이 되는 것이 있고 조정에도 주요 보직인 관료가 있는 것과 같다. 그것은 신의 기운이 나뉘어 서있는 격이고 35개의 이름이 있다. 하나는 중앙에 있는데 그게 북두요 다른 4방의 별들이 각 7개의 별들을 품고 있어 28개 별자리요 해와 달이 운행하니 길흉으로 나뉘기 마련이다'했다.


中宮


天極星其一明者太一常居也旁三星三公或曰子屬.

중궁천극성 기일명자 태일상거야 방삼성삼공 혹왈자속


한 가운데 천극성=북극성이 있고 가장 밝으며 태일이 거하는 곳이라 하고 곁에 3 별은 3공으로 불리고 혹은 아들들이라 불린다.


後句四星末大星正妃餘三星後宮之屬也.

후구사성 말대성정비 여삼성후궁지속


뒤의 4별중 마지막을 정비로 다른 3별은 후궁이라 본다,


環之匡衛十二星藩臣. 皆曰紫宮.

환지광위십이성 번신 개왈자궁


둘레에 12개의 별을 제후들이라 보며 자미원 자리라 한다.


前列直斗口三星隨北端兌若見若不曰陰德或曰天一.

전열직두구삼성 수북단태 약견약불 왈음덕 혹왈천일


앞에 북두 입구의 3별이 북으로 늘어섰는데 가물가물하여 음덕 이라 하거나 혹 천일이라 부른다.


紫宮左三星曰天槍右五星曰天棓後六星絶漢抵營室曰閣道.

자궁좌삼성왈천창 우오성왈천봉 후육성절한저영실 왈각도


자미원 좌측 3별은 천창좌 우측 5별은 천봉좌 뒤의 6별은 室宿로 닿는데 이름하여 각도좌라한다.


北斗七星所謂玉衡以齊七政.

북두칠성 소위'선 기 옥형이제칠정'


북두칠성은 소위 선기옥형으로 불리며 7정의 기준이다 말한다


-春秋運斗樞云第一天樞第二旋第三璣第四權第五衡第六開陽第七搖光. 第一至第四爲魁第五至第七爲標合而爲斗.


杓攜龍角衡殷南斗魁枕參首.

표휴용각 형은남두 괴침참수


표성은 角宿를 이끌고 형성은 남두 6성에(궁수자리) 괴성은 參宿에 걸려있다.


用昏建者杓自華以西南.

용혼건자표 표 자화이남서


황혼의 建星이 杓星이요 화산의 서남쪽을 의미하고


夜半建者衡殷中州河濟之閒.

야반건자형 형 은중주하 제지한


밤중의 건성은 형성으로 불리며 중주(=황하에 둘러싸인)와 제나라 사이를 의미한다.

平旦建者魁海岱以東北也.

평단건자괴 괴 해대이동북야


새벽의 건성은 魁星으로 불리며 동북의 해안을 의미한다.


斗爲帝車運于中央臨制四鄕.

두위제거 운우중앙 임제사향


북두성은 제왕의 수레로 중앙에서 4방향을 다스린다.


分陰陽建四時均五行移節度定諸紀皆繫於斗.

분음양 건사시 균오행 이절도 정제기 개계어두


음양을 구분하고 사계절을 정하고 5행을 고르게 하고 절기를 정하고 각 紀=기틀을 정하는 모든게 북두에 연계된 일이다.


斗魁戴匡六星曰文昌宮[]一曰上將二曰次將三曰貴相四曰司命五曰司中六曰司祿.

두괴대광육성왈문창궁 일왈상군 이왈차장 삼왈귀상 사왈사명 오왈사중 육왈사록



북두의 魁星과 6별을 문창궁이아 부르며 上將, 次將, 貴相, 司命, 司中, 司祿등으로 불린다.



在斗魁中貴人之牢.

재두괴중 귀인지뢰


북두성 가운데 괴성이 한 가운데라 모든 것에 둘러싸인 귀인이다


魁下六星兩兩相比者名曰三能.

괴하육성 양양상비자 명왈삼능


괴성 이후 6별은 쌍으로 마주하니 3능(三台)이라 불린다.


三能色齊君臣和不齊爲乖戾.

삼능색제 군신화 불제 위괴려


삼능의 색이 고르면 군신이 화합하고 아니면 갈라져 어긋난다


輔星明近輔臣親彊斥小疏弱.

보성명근 보신친강 척소 소약


보성이 밝고 가까우면 신하들이 가깝고 배척하면 관계가 소원하고 약하다


杓端有兩星一內爲矛招搖一外爲盾天鋒.

표단유양성 일내위모 초요 일외위순 천봉


표성의 앞에 있는 두 별은 하나는 창으로 소요성으로 불리고 하나는 방패로 천봉성으로 불린다


有句圜十五星屬杓曰賤人之牢.

유구환십오성 속표 왈천인지뢰


굽어 둘러 싼 15별은 표에 속하며 천인의 감옥으로 불리우며


其牢中星實則囚多虛則開出.

기뢰중성실즉수다 허극개출


그 안에 별이 많으면 죄수가 많고 비어있으면 죄수들이 풀려난 거라 본다.


天一盾動搖兵起.

천일 창 봉 모 순동요 각대 병기


천일성 천창성 천봉성 천모성 천순성이 흔들려 대립하면 전쟁이 난다.



東宮蒼龍. 心爲明堂大星天王前後星子屬.

동궁창룡 방 심 심위명당 대성천왕 전후성자속


동쪽 자리는 창룡(큰 말)형상이라 房星 心星이 있는데 심성이 명당이고 큰 별이 천왕이요 앞뒤 별은 아들이라 불린다.


不欲直直則天王失計.

불욕직 직즉천왕실계


곧추 서지 말아야는데 곧게 서면 천왕의 계획이 실패한다고 본다  


房爲府曰天駟. 其陰右驂.

방위부 왈천사 기음 우참


房星은 관공서로 보아 천사(하늘 마차)로 불리며 북쪽이 오른쪽 참성이고


旁有兩星曰衿北一星曰舝.

방유양성왈금 북일성왈휘


옆의 두 별은 衿星이고 북쪽의 별은 舝星이다.


東北曲十二星曰旗.

동북곡십이성왈기 


동북쪽으로 굽어있는 12개 별은 天旗星이다.  


旗中四星天市中六星曰市樓.

기중사성천시 중육성왈시루  


천기성 안의 4별은 천시성이요 6개 별은 市樓星이다


市中星衆者實其虛則秏.

시중성중자실 기허즉모


천시에 별이 많으면 경제가 실해지고 없으면 경제가 안 좋다


房南衆星曰騎官.

방남중성왈기관


방성 남쪽 뭇 별을 騎官座라 부른다.


左角右角.

좌각 이 우각 장


왼 쪽은 재판관이고 오른 쪽은 장군이다


大角者天王帝廷.

대각자 천왕제정 


큰 별은 천왕의 궁정이다.


其兩旁各有三星鼎足句之曰攝提.

기양방각유삼성 정족구지 왈섭제 


그 양쪽에 3 별씩 있는데 3 솥 다리가 句星이고 이름하여 섭제 (북두치칠성의 자루 3별)라 한다.


攝提者直斗杓所指以建時節故曰攝提格.

섭제자 직두표소지 이건시절 고왈'섭제격'


섭제성은 표성을 가리키는데 이는 시절을 만들어주니 '섭제격'이라 부른다.


亢爲疏廟主疾.

항위소묘 주질


亢星은 천자의 內朝로 질병을 관장한다. 


其南北兩大星曰南門.

기남북양대성 왈남문


그 남북으로 큰 2 별을 南門座로 부른다


氐爲天根主疫.

저위천근 주역


氐星은 천근좌로 전염병을 관장한다


尾爲九子曰君臣斥絶不和.

미위구자 왈군신 척절 불화


꼬리에 9별은 군신으로 불리고 서로 떨어져 있으면 불화라 보고


箕爲敖客曰口舌.

기위오객 왈구설


箕星은 오객=시끄러운 손님으로 구설수를 의미한다.


火犯守角則有戰.

화범수각 즉유전  


화성이 각성의 자리에 오면 전쟁을 의미하고


王者惡之也.

방 심 왕자오지야


방성 심성에 오면 왕이 싫어하는 것이다.  


南宮朱鳥.

남궁주조 권 형


남쪽하늘은 주작을 의미하고 權星 衡星이 있다.


太微三光之廷.

형 태미 삼광지정


형성은 태미라 불리고 해,달,5성의 중심이다.


匡衛十二星藩臣西南四星執法端門門左右掖門.

광위십이성 번신 서 장 동 상 남사성 집법 중 간문 문좌우 액문


주변을 둘러싼 12개 별은 번신(지방 호족)이라 불리고 서쪽은 장 동쪽은 재상 남쪽 4별은 법 집행관으로 가운데는 단문(궁정의 정문) 그 좌우는 액문(일반적인 통문)으로 불린다.  


門內六星諸侯.

문외육성 제후


그 안쪽 6별은 제후라 불리고


其內五星五帝坐.

기내오성 오제좌


그안 5개 별은 5제좌로 불린다.


後聚一十五星蔚然曰郎位傍一大星將位也.

기취일십오성 울연 왈랑위 방일대성 장위야


그 뒤의 15개 별은 지킴이요 랑위로 불리며 곁의 큰 별은 장위라 불린다,


五星順入軌道司其出所守天子所誅也.

월 오성순입 궤도 사기출 소수 천자소주야


달과 5별이 정상적으로 자리를 지키며 태미원으로 나오는데 그 이상에 따라 해당 관리를 주벌한다.  


其逆入若不軌道以所犯命之中坐成形皆群下從謀也.

기역인 약불궤도 이소범병지 중좌 성형 개군하종모야


만약 반대로 태미원으로 들어오면 궤를 어긋남으로 보아 중범죄로 다스리니 5제좌를 침범하면 모든 신하들이 모의를 하는 것으로 본다 


火尤甚.

금 화우심


특히 금성 화성의 경우는 더 심하게 한다.


廷藩西有隋星五曰少微士大夫.

정번서유수성오 왈소미 사대부


번신으로 불리는 12개 별 서쪽 5별은 소미좌로 불리는데 사대부로 본다,


軒轅. 軒轅黃龍體.

권 헌원 헌원 황룡체


권성은 헌원씨로 보는데 헌원씨는 황룡의 모습이라 본다


前大星女主象旁小星御者後宮屬.

전대성 여주상 방소성 어자후궁속


머리의 큰 별은 왕비로 보고 곁의 작은 별들은 궁녀나 후궁으로 본다


五星守犯者如衡占. [一七]

월 오성수범자 여형점


달과 5별이 권성을 침범하면 형성을 침범하는 것과 똑같이 다룬다.


東井爲水事.

동정위수사


동쪽의 井星은 물에 관한 일을 주관하는데


其西曲星曰鉞.

기서곡성왈월


그 서쪽 曲星은 鉞星이라 하고


鉞北北河南河兩河天闕閒爲關梁.

월북 북하 남 남하 양하 천궐한위관량


월성 북쪽은 북하이고 남쪽은 남하로 양하는 관량(=육지의 문, 물위의 다리)이다.


輿鬼鬼祠事中白者爲質.

여귀 귀사사 중백자위질


輿鬼星은 귀신에 관련될 일을 주관하는데 가운데 흰 별은 質星이다.


火守南北河兵起谷不登.

화수남북하 병기 곡부등


화성은 남북하에 머물면 전쟁이 나고 작물이 안 자란다.   


故德成衡觀成潢傷成鉞禍成井誅成質.

고덕성형 관성황 상성월 화성정 주성질


고로 임금의 덕은 형성에 민정시찰은 황성을, 악행은 정성을. 주벌은 질성을 보아 판단한다. 


*熒惑入輿鬼天質占曰大臣有誅


柳爲鳥注主木草.

유위조주 주목초


柳星은 주작의 부리로 보며 목초를 주관한다.


七星爲員官. 主急事. 爲廚主觴客.

칠성 경 위원관 주급사 장 소 위주 주상객


7개 별이 마치 울대같아서 관리들이라 보고 급한 일을 주관하고 張星은 모래주머니로 주방처럼 손님대접을 주관한다.


翼爲羽翮主遠客.

익위우핵 주원객


翼星은 날개뿌리로 멀리서 온 손님치레를 관장한다.

 

軫爲車主風.

진위거 주풍


軫星은 수레라 바람을 주관한다 보고


其旁有一小星曰長沙星星不欲明明與四星等若五星入軫中兵大起.

기방유일소성 왈장사 성성불욕명 명여사성등 약오성입진중 병대기


그 옆에 작은 별을 長沙라하고 별로 밝지는 않아서 주변 4별과 비슷한 밝기로 5성이 진성에 가까워지듯 하면 전재이 난다 본다.


軫南衆星曰天庫樓;  庫有五車. 車星角若益衆及不具無處車馬.

진남중성왈천고루 고유오사 거성각약익중 급불구 무처거마


진성 남쪽의 별들을 천고(하늘창고)좌, 천루좌라 부르며 천고좌에는 5거성이 있어 많게 보이거나 모자라 보이면 거마를 운용함에 문제가 생긴다 본다. 


西宮咸池曰天五潢.

서궁함지 왈천오황


서쪽 하늘은 咸池坐로 천오황좌라 불린다.


五潢五帝車舍.

오황 오제거사


5황이란 5제의 수레 보관소라 보고


火入. 中有三柱柱不具兵起.

화입 조 금 병 수 수 중유삼주 주불구 병기


화성이 들어서면 가뭄이 들고 금성이면 병란이 수성이면 물난리가 가운데 3기둥이 부실하면 병란이 난다.

奎曰封豕爲溝瀆.

규왈봉시 위구독


奎星은 봉시로 불리면 수로를 관장한다.


婁爲聚衆. 胃爲天倉.

루위취중 위위천창


婁星은 군중으로 胃星은 하늘 창고로 불린다.


其南衆星曰廥積.

기남중성왈괴적


그 남쪽 뭇 별은 괴적으로 불린다.

昴曰髦頭胡星也爲白衣會.

묘왈모두 호성야 위백의회


昴坐는 모두로 불리고 오랑캐를 관장하고 백의회라 불린다.


畢曰罕車爲邊兵主弋獵. 其大星旁小星爲附耳.

필왈한거 위변병 주익렵 기대성방소성위부이


畢星은 한거로 불리고 변방의 군대를 관장하고 수렵을 주관하며 큰 별 옆의 작은 별을 부이(귓속말)라 부른다.



附耳搖動有讒亂臣在側.

부이요동 유참란신재측


부이별들이 요동하면 가까운 신하들이 참소하는 지경에 이른다.


畢閒爲天街. 其陰陰國陽國.

묘 필한위천가 기음 음국 양 양국


묘성과 필성 사이를 천가라 불리고 그 위는 음국 그 아래는 양국으로 불린다.


參爲白虎.

삼위백호


參星은 백호라 불리운다.


三星直者是爲衡石.

삼성직자 시위형석


삼성이 일직선이며 저울추로 불린다.


下有三星曰罰爲斬艾事.

하유삼성 태 왈벌 위참예사


아래 3별은 뾰족하며 罰星으로 불리며 참수를 관장한다.


其外四星左右肩股也.

기외사성 좌우견고야


그 외 4별은 좌우 어깨로 보며


小三星隅置曰觜觿爲虎首主葆旅事.

소삼성우치 왈자휴 위호수 주보여사


모퉁이의 작은 3별은 觜星 호랑이 머리를 닮았고 야생 채소를 관장한다.


其南有四星曰天廁.

기남유사성 왈천측


그 남쪽 4별은 천측(하늘 변소)로 보며


廁下一星曰天矢.

측하일성 왈천시


厠星 아래 별은 천시성으로 불리고


矢黃則吉.

오황즉길 청 백 흑 흉


천시성이 노랗게 빛나면 길하소 청생이나 흰색 흑색이면 흉하다 본다


其西有句曲九星三處羅一曰天旗二曰天苑三曰九游.

기서유구곡구성 삼처라 일왈천기 이왈천원 삼왈구유


그 서쪽에 굽이져 9개 별이 있는데 세 군데로 늘어 있는데 하나가 천기좌 두 번째가천원좌요 3번째가 구유좌로 불린다.


其東有大星曰狼.

기동유대성왈랑


그 동쪽의 큰 별을 랑성이라 부르고


狼角變色多盜賊.

랑각변색 다도적


랑성의 끄트머리의 색이 변하면 도적이 창궐하고


下有四星曰弧直狼.

하유사성왈호 직랑


아래 4별은 활로 불리며 천랑성과 맞대어 있다.


狼比地有大星曰南極老人.

랑비지유대성 왈남극노인


천랑성 지평선에 큰별이 있는데 이르길 남극노인이라 하고


老人見治安不見兵起.

노인현 치안 불견 병기


그 별이 나타나면 치안이 안정되고 안 보이면 병란이 난다.


常以秋分時候之于南郊.

상이추분시후지우남교


항상 추분즈음에 남쪽 들판에 나타난다.


附耳入畢中兵起.

부이입필중 병기


부이성들이 畢星에 드리우면 병란이 난다.


北宮玄武. 危爲蓋屋虛爲哭泣之事.

북궁현무 허 위 위위개옥 허위곡읍지사


북쪽 하늘은 현무요 허와 위라는 별이 있는데 위는 모든 지붕있는 집을 허성은 곡=장례를 관장한다.

*索隱宋均云:「危上一星高旁兩星隋下似乎蓋屋也.正義蓋屋二星在危南主天子所居宮室之官也. 火守入國兵起彗尤甚. 危爲架屋蓋屋自有星恐文誤也.


*索隱虛爲哭泣事. 姚氏案荊州占以爲其宿二星南星主哭泣. 虛中六星不欲明明則有大喪也.

 

其南有衆星曰羽林天軍.

기남유중성 왈우림천군


그 남족에 뭇 별들이 있는데 이름하여 날개달린 하늘 군사로 불린다.


軍西爲壘或曰鉞.

군서위루 혹왈월


그 서쪽에 루성이 있어 흔히 천월=도끼로 불린다.


旁有一大星爲北落. 北落若微亡軍星動角益希及五星犯北落入軍軍起. 水尤甚軍憂[]軍吉.

방유일대성위북락 북락약미망 군성동각익희 급오성범북락 입순 군기 화 금 수우심 화 군우 수 수환 목토 군길


곁의 큰 별은 북락으로 북락이 빛이 흐려 군성이 밝아지듯 5별이 북락을 범하면 전쟁이나고 화성 금성 수성이 들어오고 화성은 군사적 소요를 수성은 수재를 목성과 토성이 들면 전쟁이 유리하고    


危東六星兩兩相比曰司空.

위동육성 양양상비 왈사공


위성 동쪽에 6별은 쌍으로 나타나는데 사공이라 불린다. 사공의 공은 恐과 같은 뜻으로  


*正義比音鼻. 近也. 危東兩兩相比者是司命等星也. 司空唯一星耳又不在危東字誤爲. 司命二星在虛北主喪送司祿二星在司命北主官司危二星在司祿北主危亡司非二星在危北主愆過皆寘司之職. 爲君憂常則吉也.

 

營室爲淸廟曰離宮閣道.

영실위청묘 왈이궁 각도 


영실좌는 종묘요 다른 말로 이궁(별궁) 도는 각도(복도)


漢中四星曰天駟.

한중사성 왈천사


은하수 안에 4개의 별이 있는데 천사성으로 불리고  


旁一星曰王良.

방일성 왈천량


곁으 별은 천량으로 불리고


王良策馬車騎滿野.

왕량책마 거기만야 


천량성은 책성으로 천사성을 몰고 수레와 말이 들판을 채운다는 뜻이다.


旁有八星絶漢曰天潢.

방유육성 절한 왈 천황


곁의 6별이 은하수를 가로지르는데 이름하여 천황성으로 불린다.


天潢旁江星.

전황방 강성


천황성 옆의 별은 강의 별로 불린다.  


江星動人涉水.

강성동 인보수


강성이 움직이면 사람들이 건널 정도로 물이 줄어든다

 


* 策一星在王良前主天子僕也. 占以動搖移在王良前或居馬後別爲策馬策馬而兵動也. 豫章周騰字叔達南昌人爲侍御史. 桓帝當南郊平明應出騰仰觀:「夫王者象星今宮中星及策馬星悉不動上明日必不出.至四更皇太子卒遂止也.


 

臼四星在危南. []匏瓜[]有靑黑星守之魚鹽貴.

저 구사성 재위남 포구 유청흑성수지 어염귀


저성을 포함한 구성 4개는 위성 남쪽에 있고 포과(천계성)라 불리며 검푸른 빛이 되면 물고기와 소금이 귀해진다.

 

[]正義杵臼三星在丈人星旁主軍糧. 正下直臼與臼不相當軍糧絶也. 臼星在南主舂. 其占覆則歲大饑仰則大熟也.

[]索隱案荊州占云匏瓜一名天雞在河鼓東. 匏瓜明歲則大熟也. 正義匏音白包反. 匏瓜五星在離珠北天子果園. 明大光潤歲熟則包果之實不登客守魚鹽貴也.

 

南斗爲廟其北建星.

남두위묘 기북건성


남두성을 종묘라 하며 그 북쪽에 건성이 있다


建星者旗也.

건성자 기야 


건성은 깃발(천기성)로 불리며  


牽牛爲犠牲. 其北河鼓.

뢰우위희생 기북하고


우성은 희생을 관장하고 기 북쪽에 하고성이요


河鼓大星上將左右左右將.

하고대성 상장 좌우 좌우장


하고좌 큰 별은 상장이요 좌우는 좌장 우장이라 불린다.


婺女其北織女.

무녀 기북직녀


무녀성 북쪽에 직녀성이 있는데

織女天女孫也.

직녀 천녀손야


직녀는 천제의 손녀로 본다

 

察日月之行以揆歲星順逆.

찰일 월지행이규세성순역


해와 달의 운행을 보고 목성(=세성)의 순행과 역행을 헤아린다  


曰東方木主春日甲乙.

왈동방목 주춘 일갑을


목성은 동방의 나무요 봄을 관장하고 간지로는 갑과 을이다.  


義失者罰出歲星.

의실자 벌출세성


의로움을 잃으면 그 벌이 목성에 나타나니


歲星贏縮以其舍命國.

세성영축 이기사명국


세성=목성의 늘고 줄어듬으로 들어선 별자리에 속한 나라의 운명을 보고


所在國不可伐可以罰人.

소재국불가볼 가이벌인


별자리에 들면 나라는 벌하지 못하고 사람=왕만 벌할 수 있다.


其趨舍而前曰贏退舍曰縮.

기추사이전왈영 퇴사왈죽


별자리에 들면 영이고 나면 축이라 한다.


其國有兵不復其國有憂將亡國傾敗.

영 기국유병불복 축 기국유우 장망 국경패


영이면 병력이 강해 항복하지 않고 축이면 나라가 불안하여 장수가 죽고 나라도 기울어 망한다.


其所在五星皆從而聚於一舍其下之國可以義致天下.

기소재 오성개종이취어일사 기하지국가이의치천하


해당 날 별자리에 있으면 5개의 별이 서로 뭉쳐 별자리를 이루고 그 아래 나라는 가히 정의가 천하를 다스린다.

 

 

以攝提格歲歲陰左行在寅歲星右轉居丑.

이섭제격세 세음좌행재인 세성우전거축


섭제격인 해에는 세음(=地支)이 좌로돌아 寅에 머물고 세성은 우로 돌아 丑에 머문다.


正月與斗牽牛晨出東方名曰監德.

정월 여두 뇌우신출동방 명왈감덕


정월에

목성이 두수(斗宿), 우수(牛宿)와 함께 이른 아침 동방에 출현하면 이를 감덕(監德)이라고 하며, 매우 푸른색의 빛을 뿜는다. 목성이 성차(星次)를 어기면 그 응하고 징험(應驗)함이 유수(柳宿)의 분야에 보여, 그해의 전반에는 물이 많고 후반에는 한발이 든다.


色蒼蒼有光. 其失次有應見柳. 歲早.

색창창유광 기실자 유응견류 세조 수 만 조


푸른 빛이 있고 운행을 어겨 柳星에 보이면 전반엔 물난리가 후반기엔 가뭄이 든다.



木星


 

歲星出東行十二度百日而止反逆行逆行八度百日復東行.

세성출 동행십이도 백일이지 반역행 역행팔도 백일 복동행


세성=목성은 동으로 12도 간후 100일후 반대로 8도 100일간 움직이다 다시 동쪽으로 간다.


歲行三十度十六分度之七率日行十二分度之一十二歲而周天.

세행삼십도십육분도지치 율일행십이도분지일 십이세이주천 


한 해 30도 16분지 7을 돌고 매일 12분지 1을 돌아 12년에 한번 일주한다.


出常東方以晨入於西方用昏.

출상동방 이신 입어서방 용혼


항상 동방에서 새벽에 나와 황혼에 서방으로 들어가는데  

 

單閼歲歲陰在卯星居子.

단알세 세음재묘 성거자 


단알=고대 갑자로 卯로 지지는 묘의 해인데 목성은 子에 머문다.  


以二月與婺女危晨出曰降入. 大有光.

이이월여무녀 허 위신출 왈강입 대유광


2월엔 女星, 虛星 危星과 새벽에 나오는데 이를 강입이라하고 빛이 환하다


其失次有應見張. (名曰降入)其歲大水.

기실차 유응현장  (명왈강입) 기세대수


그 운행에 차질이 생겨 張星자리에 보이면 강입이라하고 그 해엔 큰 물난리가 난다.

 

執徐歲歲陰在辰星居亥.

집서세 세음재진 성거해


집서=(옛날 갑자로 辰)의 해엔 지지는 辰인데 별은 亥에 머문다.


以三月與營室東壁晨出曰靑章.靑靑甚章

이삼월여영실 동벽신출 왈청장 청청심장


3월에 營室座에 머물며 동쪽에서 壁星과 함께 뜨면 청장이라 부르는데 푸른 빛이 선명하다  


其失次有應見軫. 歲早.

기실차 유응현진  세조 조 만 수


그 운행이 어긋나면 軫星(28수 마지막 별자리로 남쪽)에 나타나고 연초엔 가물다 후반엔 물난리가 난다.  

 

大荒駱歲歲陰在巳星居戌. 以四月與奎(胃昴)晨出曰跰踵. 熊熊赤色有光. 其失次有應見亢.

대황락세 세음재사 성거술 이사월여규 루(위묘)신출 왈병종 웅적색 유광 기실차 유응현항  


대황락의 해=巳의 해 지지로는 巳지만 위치는 술의 자리에 있고 4월엔 규성과 함께하며 星과 함께 뜨니 병종이라 부르며 이글거리는 붉은 빛으로 광채가 나고 그 운행이 어긋나면 亢星의 자리에서 보인다.

 

敦牂歲歲陰在午星居酉. 以五月與胃畢晨出曰開明. 炎炎有光. 偃兵唯利公王不利治兵. 其失次有應見房. 歲早.

돈장세 세음재오 성거유 이오월여위 묘 필신출 왈개명 염염유광 언병 유리공왕 불리치병 기실차 유응현방 세조 조 만 수


돈장의 해는 말의 해로 목성은 酉의 자리에 있고 5월엔 위성 묘성 필성과 함께 새벽에 뜨면 개명이라 부르고 이글거리는 빛으로 휴전=언병을 뜻하고 지도자들은 유리하고 군사엔 불리하다 그 운행이 어긋나면 房星(28수중 4번째 동방)에 보이니 연초엔 가뭄이 후반엔 물난리가 난다.

 

協洽歲歲陰在未星居申.

협흡세 세음재미 성거신 


협흡세는 지지로 미=양 자리는 원숭이=신자리 


以六月與觜觿參晨出曰長列.

이유월여자휴 삼신출 왈장렬


6월엔 觜星과 參星과 뜨며 장열이라 부르고  


昭昭有光. 利行兵. 其失次有應見箕.

조조유광 이행병 기실차 유응현기


빛이 환하고 군사를 일으키기 좋으며 그 행차가 어긋나면 箕星(28수 7번째)자리에 보인다.

 

涒灘歲歲陰在申星居未.

군탄세 세음재신 성거미


군탄은 지지로 신이요 목성은 미의 자리에 있다.


以七月與東井輿鬼晨出曰大音. 昭昭白. 其失次有應見牽牛.

이칠월여동정 여귀신출 왈대음 조조백 기실차 유응현뢰우


7월엔 동쪽의 井星에서 鬼星과 함께 새벽에 뜨는데 대음이라 부르고 밝은 흰색으로 빛나는데 운행이 어긋나면 牛星에 나타난다.

 

作鄂歲歲陰在酉星居午. 以八月與柳七星張晨出()長王. 作作有芒. 國其昌熟谷. 其失次有應見危. (曰大章)有旱而昌有女喪民疾.

작악세 세음재유 성거오 이팔월여유 칠성 장신출 왈위장왕 작작유망 국기창 숙곡 기실차 유응견위 왈대장 유조이창 유여상 민질


작악은 지지로 유요 목성은 오의 자리에 있고 8월에 柳星과 칠성 張星과 함께 새벽에 뜨면 이름하여 장왕이라하고 여기저기로 빛을 내뿜는다 나라는 번창하고 오곡이 잘 익는다. 운행이 어긋나 危星과 보이면 대장이라 부르고 가물기는 하나 풍년이 들고 여인=후궁이 죽고 백성들은 전염병이 돈다


閹茂歲歲陰在戌星居巳. 以九月與翼軫晨出曰天睢. 白色大明. 其失次有應見東壁. 歲水女喪.

엄무세 세음재술 성거사 이구월여익 진신출 왈천휴 백색대명 기실차 유응현동벽 세수 여상


엄무의 해=술해엔 목성이 巳의 자리에 있고 9월엔 翼星과 軫星과 함께 새벽에 뜨면 천휴라 부르고 흰색으로 크게 빛나고 운행이 어긋나 壁星에 응하면 물난리와 후궁들이 죽어나간다.  

 

大淵獻歲歲陰在亥星居辰. 以十月與角亢晨出曰大章. 蒼蒼然星若躍而陰出旦是謂正平. 起師旅其率必武其國有德將有四海. 其失次有應見婁.

대연헌세 세음재해 성거진 이시월여각 항신출 왈대장 창창연 성거약이음출단 시위'정평' 기사여 기율필무 기국유덕 장유사해 기실차 유응현루


대연헌의 해란 지지로 亥요 목성은 진의 자리에 나타난다 10월에 角星과 亢星과 함께 새벽에 뜨면 대장이라 부르고 푸른 빛으로 별이 튀는듯하며 떠오르면 이를 '정평'이라 부르고 군사를 일으기고 장수가 뛰어나고 나라에 덕이 있으면 천하를 가질수 있고 그 운행이 어긋나면 婁星에 보인다. 

 

困敦歲歲陰在子星居卯. 以十一月與氐心晨出曰天泉. 玄色甚明. 江池其昌不利起兵. 其失次有應()[].

곤돈세 세음재자 성거묘 이십일월여저 방 심신출 왈천천 현색심명 강지기창 불리기병 기실차 유응현묘


곤돈의 해란 지지로는 子요 목성은 묘의 자리에 있는데 11월에 星 房星 心星과 새벽에 뜨면 천천이라 부르고 검푸른 색으로 심히 밝고 강과 연못이 늘어나니 병사를 일으키기 불리하고 운행에 차질이 생기면 昴星에 나타난다.

 

赤奮若歲歲陰在丑星居寅以十二月與尾箕晨出曰天皓. 黫然黑色甚明. 其失次有應見參.

적분약세 세음재축 성거인 이십이월여미 기신출 왈천호 안연흑색샘명 기실차 유응견삼 


적분약의 해란 지지로는 축이고 목성은 인의 자리에 있다 12월에 尾星 箕星과 새벽에 뜨면 천호라하고 검은 흑색으로 빛나고 운행이 어긋나면 參星에 나타난다.

 

當居不居居之又左右搖未當去去之與他星會其國凶. 所居久國有德厚. 其角動乍小乍大若色數變人主有憂.

당거불거 거지우좌우요 미당거거지 여타성회 기국흉 소거구 국유덕후 기각동 사소사 대 약색수변 인유유우


목성이 머물러야 하는데 머물지 않고, 머물되 좌우로 흔들리고, 아직 떠날 때가 아닌데 떠나고, 다른 별과 만나면 그 나라는 흉하다. 머무는 것이 오래면 그 나라에 두터운 덕이 있다. 목성의 빛줄기가 흔들리고, 작아졌다 커졌다 하고, 색깔이 자주 변하면 그 나라의 임금에게 근심이 있다.


 

其失次舍以下進而東北三月生天棓長四丈末兌進而東南三月生彗星長二丈類彗.

기실차사이하 진이동북 삼월생천봉 장사장 말태 진이동남 삼월생혜성 장이장 유혜


목성이 운행이 어긋나 동북쪽으로 나아가면 세 달 뒤에 天棒星이 생기는데, 이것은 길이가 4장(丈)이고 끝이 뾰족하고 동남쪽으로 나아가면 세 달 뒤에 彗星이 생기는데 이것은 길이가 2장이고 빗자루 모양이다.



退而西北三月生天欃長四丈末兌. 退而西南三月生天槍長數丈兩頭兌.

퇴이서북 삼월생천참 장사장 말태 퇴이서남 삼월생천창 장수장 양두태


서북쪽으로 물러나면 세 달 뒤에 天欃星이 생기는데, 이것은 길이가 4장이고 끝이 뾰족하다. 서남쪽으로 물러나면 세 달 뒤에 天槍星이 생기는데, 이것은 길이가 여러 장이고 양 끝이 뾰족하다.



謹視其所見之國不可擧事用兵. 其出如浮如沈其國有土功如沈如浮其野亡.

근시기소견지국 불가여사용병 지출여부여침 기국유토공 여침여부 기야망


목성이 출현하는 나라는 조심스럽게 관찰해, 큰일을 일으키거나 전쟁을 하면 안 된다. 목성의 출현이 떠오르다가 가라앉는 듯하면 그 나라에는 토목공사가 있고, 가라앉다가 떠오르는 듯하면 그 나라의 벌판은 멸망한다.



色赤而有角其所居國昌.

색적이유각 기소거국창


붉은색이 각이 서게 비추면 그에 속한 나라는 번창한다.


角而戰者不勝.

영각이전자 불승


그 비춤에 맞서있으면 못 이긴다.


星色赤黃而沈所居野大穰.

성색적황이침 소거야대양


목성이 적황색인데 가라앉아보이면 그 나라가 풍년이 된다,


色靑白而赤灰所居野有憂. 歲星入月其野有逐相與太白鬥其野有破軍.

색청백이적회 소거야유우 세성입월 기야유축상 여태백투 기야유파군  


색깔이 청백색, 적회색이면 목성이 머무는 나라에 근심이 있다. 목성이 달에 들어가면 그 분야에 쫓겨나는 재상이 있다. 목성의 빛줄기(광망)가 금성의 것과 닿아 다투면 그 나라의 군사가 흩어진다.


 

歲星一曰攝提曰重華曰應星曰紀星. 營室爲淸廟歲星廟也.

세성일왈섭제 왕중화 왈응성 왈기성 영실위청묘 세성묘야



목성은 달리 攝提, 重華, 應星, 紀星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室宿는 제왕의 祖廟인데, 이것이 바로 목성의 궁전이다.



火星


察剛氣以處熒惑.

찰강기이처형혹


형혹=화성의 강기를 살펴보면   


曰南方火主夏日丙.

왈남방화 주하 일병 정 


남방의 불로 불리고 여름을 주관하며 일주론 병과 정이다.  


禮失罰出熒惑熒惑失行是也. 出則有兵入則兵散.

예실 벌출형혹 형혹실행시야 축즉유병 입즉병산


나라에 예가 사라지면 화성에 벌이 나타나고 화성의 운행이 어긋나 나타나면 병란이 들어가면 평화가 온다.


以其舍命國. 熒惑爲勃亂殘賊.

이기사명국 형혹위발란 잔적 질 상 기 병


그 나타나는 별자리에 해당하는 지역에 화성이 나타나면 난리가 나고 도둑과 전염병 초상 기아 병란이 돈다.


反道二舍以上居之三月有殃五月受兵七月半亡地九月太半亡地.

반도이사이상 거지 삼월유앙 오월수병 칠원반망지 구월태망지


돌이켜 두 별자리 이상에 나타나면 3개월이면 재앙이 5개월이면 병란이 7개월이면 땅의 반이 9개월이면 태반을 잃는다.  


因與俱出入國絶祀. 居之殃還至雖大當小久而至當小反大.

인여구출입 국절사 거지 앙환지 수대당소 구이지 당소반대 


그리하여 들고나면 나라의 종사가 무너지고 머물면 재앙이 다시 닥치는데 적었다면 크게 컸다면 작은 일이 벌어진다.  


其南爲丈夫[]北爲女子喪.

기남위장부상 북위여자상


남쪽이 변하면 장부가 북쪽이 변하면 여자가 죽는다.


若角動繞環之及乍前乍後左右殃益大.

약각동요환지 급사전사후 좌우 앙익대


그 빛무리가 둥글게 싸고있으면 앞뒤 좌우로 변하면 재앙이 더욱 크다.  


與他星鬥光相逮爲害不相逮不害. 五星皆從而聚于一舍其下國可以禮致天下.

여타성투 광상체 위해 불상체 불해 오성개종이취우일사 기하국가이예치천하


다른 별과 다투어 빛이 서로 삼키면 해롭고 서로 삼키지 않으면 해롭지 않으니 5성이 한 별자리에 모이면 그 별자리의 나라는 예의 정치가 이뤄진다.  


出東行十六舍而止逆行二舍六旬復東行自所止數十舍十月而入西方行五月出東方. 其出西方曰反明」,主命者惡之. 東行急一日行一度半.

법 출동행십육사이지 역행이사 육순 복동행 자소지수십사 십월이입서방 복행오워 출동방 기출서방왈'빈명' 주명자오지 동행급 일일행일도반


운행의 규칙이 화성은 떠올라 동쪽으로 16개 별자리를 가서 멈추고 거꾸로 서쪽으로 2개 별자리를 가고, 60일이 지나면 다시 동쪽으로 간다. 멈추었던 곳으로부터 수십 사를 가서 열 달 만에 서쪽에서 지고, 다섯 달을 잠복 운행한 다음 동쪽에 떠오른다. 화성이 서쪽에 뜨면 反明이라고 하는데, 통치자들은 이것을 매우 꺼린다. 동쪽으로 갈 때는 빨라서 하루에 1.5도(度)를 간다.


 

其行東西北疾也. 兵各聚其下用戰順之勝逆之敗. 熒惑從太白軍憂離之軍卻.

기행동 서 남 북질야 병각취기하 용전 순지승 역지퍄 형혹종태백 군우 이지 군각


화성이 동서남북으로 번잡히 움직이면 군대가 각각 그 아래에 모여서 싸우면, 그 방향을 따르는 쪽이 이기고 거스르는 쪽은 진다. 화성이 금성=태백을 따르면 군대에 근심이 있고, 헤어지면 군대가 퇴각한다.


出太白陰有分軍行其陽有偏將戰. 當其行太白逮之破軍殺將.

출태백음 유분군 행기양 유비장전 당기행 태백체지 파군살장


금성의 북쪽에 뜨면 군대에 기습공격이 있고, 남쪽에 뜨면 정규전을 하게 되고 금성이 다가오면 군대는 패배하고 장수가 죽는다


其入守犯太微軒轅營室主命惡之. 心爲明堂熒惑廟也. 謹候此.

기입수범태미 헌원 영실 주명오지 심위명당 형혹묘야 근후차

 

화성이 태미원, 헌원좌, 室星을 침입, 점거, 침범하는 것은 통치자들이 꺼리는 일이다. 심수는 하늘의 명당이고, 화성의 궁전이다. 이를 잘 살펴라.

曆斗之會以定塡星之位.

역두지회이정전성지위


斗星(북두칠성)이 모인 자리를 계산해보면 전성(=토성)의 위치를 찾을수 있다.


曰中央土主季夏日戊黃帝主德女主象也.

왈중앙토 주하계 일무 기 황제 주덕 여주상야


이름하여 중앙의 토라 불리고 늦여름을 주관하며 일지로는 무나 기로 황제로 덕을 주관하며 왕후를 나타낸다.


歲塡一宿其所居國吉. 未當居而居若已去而復還還居之其國得土不乃得女.

세전일수 기소거국길 미당거이거 약이거이복환 환거지 기국득토 불내득녀


전성은 별자리를 하나씩 머무는데 그러면 그 해당하는 국가는 길하고 아직 때가 아닌데 머물거나 지났는데 돌아와 있다면 그 나라는 영토를 얻거나 왕후를 얻고


若當居而不居旣已居之又西東去其國失土不乃失女不可擧事用兵.

약당거이불거 기이거지 우서동거 기국실토 불내실녀 불가거사 용병


당연히 머물러야 할 별자리에 없거나 이미 지나치거나 서에서 동으로 움직이면 그 해당하는 나라는 영토를 잃거나 왕후를 잃고 군사를 일으키면 안된다.


其居久其國福厚福薄.

기거구 기국후복 역 복박


오래 머물면 그 해당하는 나라는 복이 넘치고 바뀌면 복이 없다.  


其一名曰地侯主歲. 歲行十二(三)度百十二分度之五日行二十八分度之一二十八歲周天.

기일명왈지후 주세 세행십이도백십이분도지오 일행이십팔분도지일 이심팔세주천


다른 말로 地侯星으로 불리며 수확을 주관하며 1년에 12도나 13ㅇ도 112분의 5를 움직이며 하루 28분의 1도를 움직여 28년의 공전주기를 완성한다.


其所居五星皆從而聚于一舍其下之國[]重致天下.

기소거 오성개종이취우일사 기하지국 가이중치천하


토성이 5개의 별과 모여 한 별자리에 있으면 그 해당하는 나라는 천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刑盡失而塡星乃爲之動搖.

예 덕 의 살 형진실 이전성내위지동요


예와 덕 옳음과 죽임 형벌이 의미 없어지면 토성으로 흔들리게 만든다.  

 

爲王不寧其縮有軍不復.

영 위왕불녕 기축 유군불복


토성의 기운이 넘치면 왕이 편안치않고 쪼그라들면 군사들이 돌아오지 못한다  


塡星其色黃九芒音曰黃鍾宮.

전성 기색황 구망 음왈황종궁


토성의 빛깔이 누렇고 어둡다면 음으로는 황종의 궁음에 해당한다.  


其失次上二三宿曰贏有主命不成不乃大水.

기실차상이삼수왈영 유주명불성 불내대수


운행이 어긋나 2-3별자리를 앞서는 걸 넘친다 하는데 왕의 명령이 이뤄지지않거나 큰 물이 난다.


失次下二三宿曰縮有后戚其歲不復不乃天裂若地動.

실차하이삼수왈축 유후척 기세불복 불내천열약지동


오히려 2-3 별자리를 뒤쳐지면 왕후에게 외척의 근심이 있고 그 해 제 자리로 돌아 오지 않으면 천재지변이 난다

 

斗爲文太室塡星廟天子之星也.

두위문태실 전성묘 천자지성야


북두칠성은 학자들의 산실이요 토성이 중심으로의 종묘로거 천자의 별이다.

 

木星與土合爲內亂. 主勿用戰水則變謀而更事火爲旱金爲白衣會若水.

목성여토합 위내란 기 주물용전 패 수즉변모이경사 화위조 금위백의회약수


목성이 토성과 가까우면 내란이 생기고 굶주리니 전쟁하지 말아야하는데 패하기 때문이요 수성과 함께하면 변모을 나타내므로 일을 그르치고 화성과 같이하면 가뭄이요 금성과 함께하면 수성과 함께 할 때 처럼 일이 망친다.


金在南曰牝牡年谷熟金在北歲偏無. 火與水合爲焠與金合爲鑠爲喪皆不可擧事用兵大敗.

금재남왈빈모 년곡숙 금재북 세비무 화여수합위쉬 여금합위삭 위상 개불가거사 용병대패


금성이 화성 남쪽에 있으면 음양이 좋아 곡물이 익고 금성이 북쪽이면 수확이 없다 화성과 수성이 같이 있는 걸 담금질이라 하고, 금성과 함께 있는 걸 녹인다 하여 초상이 나니 전쟁에 패하니 모든 일을 벌이지 말아야 한다  


土爲憂主孽卿大饑戰敗爲北軍軍困擧事大敗. 土與水合穰而擁閼有覆軍其國不可擧事. 亡地得地. 金爲疾爲內兵亡地.

토위우 주얼경 대기 전패 위배군 군곤 거사대패 토여수합 양이옹알 유리군 기국불가거사 출 망지 입득지 금위질 위내병 망지


토성은 근심이라 서자와 재상을 주관하니 큰 기아와 전쟁에서 패배하고 군사적 어려움으로 거사한 일이 패배한다 토성과 수성이 함께 하면 수확이 들쭉날쭉이고 군사가 뒤집혀 도모하는 일이 망친다 고로 수성이 나오면 땅을 잃고 수성이 들어가면 땅을 얻고 금성은 질병이라 내란으로 땅을 잃는다.   


三星若合其宿地國外內有兵與喪改立公王. 四星合兵喪並起君子憂小人流.

삼성약합 기수지국외내유병여상 개립공왕 사성합 병상병기 군자우 소인류


세 별이 함께하면 그 별자리에 해당하는 국가는 안밖으로 병란이 있고 초상이 많아 왕과 관리를 갈아 치우고 네 별이 함께 하면 병란과 초상이 함께 나서 군자는 근심하고 평민들은 피란길에 오른다.  


五星合是爲易行有德受慶改立大人掩有四方子孫蕃昌無德受殃若亡.

오성합 시위이행 유덕 수경 개립대인 엄유사방 자손번창 무덕 수앙약망


5별이 함께 하면 이행(=쉬움)으로 봐 덕이 있다면 경사를 맞으며 새로운 군자들이 나고 세상을 잘 도닥여 자손이 번창한다 반대로 덕이 없으면 망할 지경의 재앙을 겪는다.


五星皆大其事亦大皆小事亦小.

오성개대 기사역대 개소 사역소


5별이 모두 밝게 빛나면 일이 잘 되고 모두 흐릣하면 일도 고만고만하다  

 

蚤出者爲贏贏者爲客. 晩出者爲縮縮者爲主人. 必有天應見於杓星 . 同舍爲合. 相陵爲鬥七寸以內必之矣.

조출자위영 영자위객


일찍 나타남은 넘치는 것이요 손님으로 보고 늦게 나타남은 축소라 보아 축은 주인으로 보는데 반드시 북두의 표성을 살펴야 한다. 같은 자리에 모여있으면 서로 싸우는 격이니 7촌 안에 있으면 반드시 싸움난다 본다.  


五星色白圜爲喪旱赤圜則中不平爲兵靑圜爲憂水黑圜爲疾多死黃圜則吉.

오성색백원 위상조 적원 즉중불평 위병 청원 위우수 흑원 위질 다사 황원 즉길


이 5별이 흰빛으로 싸이면 초상과 가뭄이요 붉은 원처럼 싸이면 내부가 고르지 않아 병란이 나고 청색으로 싸이면 전염병이 돌고 많은 사람이 죽는다 누런 빛이면 길하다 본다.


赤角犯我城黃角地之爭白角哭泣之聲靑角有兵憂黑角則水. 行窮兵之所終.

적각범아성 황각색지쟁 백각곡읍지성 청각유병우 흑각즉수 의 행궁병지소종


별무리가 붉으면 내 성이 침공 당하고, 청색이면 전쟁이요 흰색이면 곡하는 소리요 청색이면 병란이 우려되고 흑색이면 물난리를 뜻한다. 말하자면 운행이 이상 없으면 병사에 관한 일이 끝난다는 말이다


五星同色天下偃兵百姓寧昌. 春風秋雨冬寒夏暑動搖常以此.

오성동색 천하언병 백성녕창 춘풍추우 동한하서 동요상이차


5 별이 같은 색이면 모든 동요가 사라져 천하가 휴전하고 백성들은 편안히 번창하며 사계가 평안하여 진다.   

 

塡星出百二十日而逆西行西行百二十日反東行.

전성축백이십일이역서행 서행백이십일반동행


토성은 120일이 지나면 서쪽으로 돌고 다시 120일 지나면 반대로 동으로 돈다


見三百三十日而入入三十日復出東方.

현삼백삼십일이입 입삼십일복출동방


나타난지 330일 만에 사라졌다 30일 후 다시 동쪽으로 간다. 


太歲在甲寅鎭星在東壁故在營室.

태세재갑인 진성재동벽 고재영실


그 해의 간지가 갑인이면 토성은 壁星 동쪽에 있으니 室宿( 페가수스좌)에 있게 된다. 


金星



察日行以處位太白. 曰西方(司兵月行及天矢)日庚主殺. 殺失者罰出太白.

찰일행이처위태백 왈서방 추 사병월행급천시 일 경자 신 주살 살실자 벌출태백


해의 운행을 살피면 태백=금성의 위치를 알수있는데 서방을 주관한다 보고 (달의 운행과 겹치기도 하여 이르면 달을 가리고 늦으면 천시성에 혜성처럼 보인다) 일주로는 경, 신이요 죽임을 주관한다. 사형=殺에 문제가 생기면 그게 금성에 반영된다 본다.


太白失行以其舍命國. 其出行十八舍二百四十日而入.

태백실행 이기사명국 기출행십팔사이백사십일이입


금성의 운행이 어긋나면 그 자리에 해당하는 나라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고 나타나면 18별자리를 240일 지나고 사라졌다가


入東方伏行十一舍百三十日其入西方伏行三舍十六日而出. 當出不出當入不入是謂失舍不有破軍必有國君之簒.

입동방 복행십일사삼십일 기입서방 복행사묘ㅏ십육일이출 당출불출 당입불입 시위실사 불유파군 필유국군지찬


동방에서 나타나 11개 별자리를 지나고 서방으로 사라져 3 별자리를 16일 동안 안보이다가 다시 보인다. 나타날 때 안나타나고 들어갈 때 안들어가면 그걸 失舍(=집을  잃었다)라 하며 군대가 격파당하지 않으면 반드시 그 나라 우두머리가 자리를 잃는다 본다.  

 

其紀上元以攝提格之歲與營室晨出東方至角而入與營室夕出西方至角而入與角晨出入畢與角夕出入畢與畢晨出入箕與畢夕出入箕與箕晨出入柳與箕夕出入柳與柳晨出入營室與柳夕出入營室.

기기상원 이섭제격지세 여영실신출동방 지각이입 여영실석출서방 지각이입 여각신출 입필 여각석출 입필 여필신출 입기 여필석출 입기 여기신출 입유 여기석출 입유 여유신출 입영실 여유석출 입영실.



그 운행의 시작을 섭제격의 해(寅年)으로 보고 室星과 함께 동쪽에서 뜨면 角星 근처에 이르러서 지고, 실수와 함께 초저녁에 서쪽에 뜨면 각수 근처에 이르러서 지며, 각수와 함께 이른 아침에 뜨면 畢星 근처에 이르러서 지고, 각수와 함께 초저녁에 뜨면 필성 근처에 이르러서 지며, 필성과 함께 이른 아침에 뜨면 箕星 근처에 이르러서 지고, 필성과 함께 초저녁에 뜨면 기성 근처에 이르러서 지며, 기성과 함께 이른 아침에 뜨면 柳星 근처에 이르러서 지고, 기성과 함께 초저녁에 떠올라 유성 근처에 이르러서 지며, 유성과 함께 이른 아침에 뜨면 실성 근처에 이르러서 지며, 유성과 함께 초저녁에 뜨면 실성 근처에 이르러서 진다.



凡出入東西各五爲八歲二百二十日復與營室晨出東方. 其大率歲一周天. 其始出東方行遲率日半度一百二十日必逆行一二舍上極而反東行行日一度半一百二十日入.

범출입동서각오 위팔세 이백이십일 복여영실신출동방 기대솔 세일주천 기시출동방 행체 율일반도 이백이십일 필역행일이사 상극이반 동행 행일이반도 일백십일입


보통 동과 서로 뜨는 걸 5번 반복하길 8년 220일 하고 다시 실성과 함께 아침에 동방에서 뜬다. 그 대강을 보면 1년에 한 번 공전하며 동쪽으로 떠서 하루 1/2도 늦어져 220일 후 반드시 꺼꾸로 1-2 별자리를 지난다. 오르면 내리는 이치로 동쪽으로 운행하여 하루 1.5도 120일이면 진다.  


其庳近日曰明星遠日曰大囂. 其始出西[]行疾率日一度半百二十日上極而行遲日半度百二十日旦入必逆行一二舍而入.

기비 근일 왈명성 유 고 원일 왈대효 강 기시서출 행질 율일일반도 백이십일 상극이행체 일반도 백이십일 단입 필역행일이사이입


떠오르는 태양과 함께 낮게 올라오면 명성이라 부르고 부드럽다, 태양보다 높이 떠있으면 대효라하고 강하다 그 시작이 서쪽이면 처음 서쪽에 떠오른 금성은 운행이 빨라 하루에 대략 1.5도를 가며 120일이 지나면 위로 올라가서 가장 높은 곳에 이른 다음 운행이 느려져서 매일 0.5도를 가다가 120일이 지나면 아침에 지는데 반드시 되돌아 서쪽으로 1-2사(舍)를 가서 진다. 


其庳近日曰大白遠日曰大相. 出以辰入以丑.

기비 근일 왈대백 유 고 원일 왈대상 강 출이진 무 입이 축 미


그 위치가 낮고 해와 가까이 뜬것을 대백(=大白)이라고 부르는데 부드러우며, 위치가 높고 해와 멀리 뜬것을 대상(=大相)이라고 부르는데 강하다. 뜨는 시각은 진시, 술시이고 지는 시각은 축시, 미시이다.


當出不出未當入而入天下偃兵兵在外. 未當出而出當入而不入[]下起兵有破國. 其當期出也其國昌.

당출불출 이당입이입 천하언병 병재외 입 미당출이출 당이이불입 천하기병 유파국 기당기출야 기국창


금성이 뜰 때인데 뜨지 않고, 질 때가 아닌데 지면 천하에 전쟁이 그치고 밖에 있는 군대는 돌아온다. 뜰 때가 안 되었는데 뜨고, 질 때인데 지지 않으면 천하에 전쟁이 일어나고 깨지는 나라가 있다. 제 때에 뜨면 그 나라가 흥성한다.


其出東爲東入東爲北方出西爲西入西爲南方.

기출동위동 입동위북방 출서위서 입서위남방


동에서 뜨면 동쪽에, 동으로 지면 북방에 서쪽에서 뜨면 서쪽에 서쪽으로 지면 남방에 영향력을 미친다.


所居久其鄕利()[]其鄕凶.

소거구 기향리 질역 기향흉


한 자리에 오래 머물면 그 해당 지역에 유리하고 쉽게, 빠르게 지나가면 그 해당 지역에 흉하다.

 

出西(逆行)至東正西國吉. 出東至西正東國吉. 其出不經天經天天下革政. 小以角動兵起

서출(역행)지동 정서국길/ 출동지서 정동국길/ 기출불경천 경천 천하개정 소이각동 병기 


서쪽에서 떠 동쪽으로 지면 서쪽 사람들에게 길하고 동에서 떠 서로 지면 동쪽 사람들이 길하다. 그러나 낮에 뜨지 않지만 뜨면 천하가 바뀌고, 빛무리가 작고 흔들리면 병란이 난다.   

始出大後小兵弱出小後大兵强.

시출대 후소 병약 출소 후대 병강


처음 나올때 크고 나중에 작아지면 병력이 약하고 반대면 병력이 강성하다


出高用兵深吉淺凶淺吉深凶.

출고 용병심길 천흉 비천길 심흉


높이 뜰 때는 작전을 심오하게해야지 건성건성 하면 흉하다 낮게 뜨면 대충함이 길하고 너무 복잡하면 흉하다.  


日方南金居其南日方北金居其北曰贏侯王不寧用兵進吉退凶.日方南金居其北日方北金居其南曰縮侯王有憂用兵退吉進凶.

일방남금거기남 일북방금거기북 왈영 후왕불녕 용병진길퇴흉 일방남금거기북 일방북금거기남 왈축 후왕유우 용병퇴길


해가 남쪽으로 이동하는데 금성이 그 남쪽에 있고, 해가 북쪽으로 이동하는데 금성이 그 북쪽에 있으면 영(贏)이라고 하는데, 이 때는 제후와 왕이 안녕하지 못하며 군사 작전은 진격이 길하고 후퇴는 흉하다.


반대로 해가 남쪽으로 이동하는데 금성이 그 북쪽에 있고 해가 북쪽으로 이동하는데 금성이 그 남쪽에 있으면 축(縮)이라고 하는데, 이때는 제후와 왕에게 근심이 있으며 군사 작전은 후퇴가 길하고 진격은 흉하다.


用兵象太白太白行疾疾行遲行. 敢戰動搖躁. 圜以靜. 順角所指反之皆凶

질행 용병상태백 태백행질 질행 지 지행 각 감전 동요조 조 원이정 정 순각소지 길 반지 개흉


군사작전은 금성을 본받아 한다. 금성의 운행이 빠르면 빨리 행군하고, 금성의 운행이 느리면 천천히 행군한다. 빛줄기(광망)를 내뿜으면 용감히 싸우고, 흔들림이 급하면 급하게 공격하고, 둥글고 조용하면 차근차근 싸운다.빛줄기(광망)의 방향을 따르면 길하고, 거스르면 모두 흉하다.


出則出兵入則入兵. 赤角有戰白角有喪黑圜角有水事靑圜小角有木事黃圜和角有土事有年.

출즉출병 입즉입병 적각 유전 백각 유상 흑원각 우 유수사 청원소각 우 유목사 황원화각 유토사 유년


뜨면 출병하고 지면 철수한다. 빛줄기(광망)가 붉은 색이면 전쟁이 있고, 흰색이면 상사(喪事)가 있고, 검고 둥글면 우환이 있고 치수 사업이 있다. 빛줄기(=각)가 작고 푸르고 둥글면 우환이 있고 벌목사업이 있다. 빛줄기(=각)가 부드럽고 노랗고 둥글면 토목사업이 있고 풍작이 든다.

其已出三日而復有微入入三日乃復盛出是謂耎其下國有軍敗將北.其已入三日又復微出出三日而復盛入其下國有憂師有糧食兵革遺人用之卒雖衆將爲人虜.

기이출삼일이복 유미입 입삼일내복성출 시위연 기하국유군패장배 기이입삼일우복미출 출삼일이복성입 기하국유우 사유양식병혁 견이용지 졸수중 장위인노 


떠올라서 사흘 뒤 다시 가물거리며 졌다가 진 지 사흘 뒤에 다시 갑자기 떠오르면 연(=耎)이라고 하는데, 그 밑의 나라는 군대가 패전하고 장수가 패주한다 지고 나서 사흘 뒤에 다시 가물거리며 떴다가 뜬 지 사흘 뒤에 다시 갑자기 지면 그 밑의 나라에 우환이 있고, 군대는 식량과 무기를 남에게 넘겨주고 병졸은 많지만 남의 포로가 된다.

其出西失行外國敗其出東失行中國敗. 其色大圜黃可爲好事其圜大赤兵盛不戰.

기출서실행 외국패 기출동실행 중국패 기색갸원황 가위호사 기원대적 병성부전


서쪽에 떠서 운행이 어긋나면 제후국이 반대로 동으로 떠 운행이 어긋나면 중앙정부가 패한다 그 색이 크고 둥그런 누런 빛이면 좋은 일이 많을거고 붉은 원이면 병란은 있어도 싸움은 없다.


太白白比狼;  比心比參左肩比參右肩比奎大星.

태백백 비랑 적 비심 황 비삼좌견 창 비삼우견 흑 비규대성


금성이 흰색이면 천랑성(天狼星)과 비슷하고, 붉은 색이면 심수(心宿)의 상성(商星)과 비슷하며, 누런 색이면 삼수(參宿)의 왼쪽에 있는 별과 비슷하고, 청색이면 삼수의 오른쪽에 있는 별과 비슷하며, 흑색이면 규수(奎宿)의 큰 별과 비슷하다.


五星皆從太白而聚乎一舍其下之國可以兵從天下. 居實有得也居虛無得也. 行勝色色勝位有位勝無位有色勝無色行得盡勝之.

오성개종태백이취호일사 기하지국가이병종천하 거실 유득야 거허 무득야 행승샏 색승위 유위승무위 유색승무색 행득진승지


다른 네 행성이 금성을 쫓아와서 다섯 별이 한 별자리에 모이게 되면 그 아래의 나라는 무력으로 천하를 제압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출현하는 곳에 있으면 이롭고, 비정상적으로 출현하는 곳에 있으면 무익하다. (별을 보는 방법은) 운행이 색깔을 이기고, 색깔이 자리를 이기며, 자리가 있는 것이 자리가 없는 것을 이기고, 색이 바른 것은 색이 바르지 않은 것을 이기며, 운행이 정상인 것은 다른 것 모두를 이긴다.

出而留桑楡閒疾其下國. 上而疾未盡其日過參天疾其對國.

출이유상유한 질기하국 상이질 미진기일 과삼천 질기대국


출현해 뽕나무나 느릅나무 꼭대기에 낮게 머물면 그 아래에 있는 나라에 전염병이 돈다. 높게 걸려 빠르게 하루가 가기 전에 높이 걸리면 상대국에 전염병이 돈다.


上復下下復上有反將. 其入月將僇. 木星合其下戰不合兵雖起而不鬥合相毁野有破軍.

상복하 하복상 유반장 기입월 장륙 금 목성합 광 기하전불합 병수시이불투 합상훼 야유파군


상승했다가 다시 하강하고, 하강했다가 다시 상승하면 반란을 꾀하는 장군이 있다. 달 뒤로 들어가면 대장이 피살된다. 금성과 목성이 만났는데 목성이 빛나면 그 해당국의 전쟁은 일어나지 않으니 군대를 동원해도 전투가 되지 않는다. 두 별이 만났는데 금성이 목성이 서로 간섭하면 진 친 병사들이 무너진다.


出西方昏而出陰陰兵彊暮食出小弱夜半出中弱雞鳴出大弱是謂陰陷於陽. 其在東方乘明而出陽陽兵之彊雞鳴出小弱夜半出中弱昏出大弱是謂陽陷於陰.

서방출 혼이출음 음병강 모식출 소약 야반출 중약 계명출 대약 시위음함어양 기재동방 승명이출양 양병지강 개명출 소약 야반출 중약 혼출 대약 시위양함어음


서방에 출현하되 황혼에 떠오르면 기습군이 강한데, 저녁 밥 때에 떠오르면 조금 약해지고, 한밤중에 떠오르면 더욱 약해지고, 닭이 울 때에 떠오르면 가장 약해지니, 이것을 음성이 양성에 빠져버렸다고 한다.

동방에 출현하되 밝은 때에 떠오르면 정병(正兵)이 강한데, 닭 울 때에 떠오르면 조금 약해지고, 한밤중에 떠오르면 더욱 약해지고, 황혼에 떠오르면 가장 약해지니, 이것을 양성이 음성에 빠져버렸다고 한다.

太白伏也以出兵兵有殃. 其出卯南南勝北方出卯北北勝南方正在卯東國利. 出酉北北勝南方出酉南南勝北方正在酉西國勝.

태백복야 이출병 병유앙 기출묘남 남승북방 출묘북 북승남방 정재묘 동국리 출유북 북승남방 충유남 남승북방 정재유 서국승

금성이 지평선 아래에 숨어 있는데 군대를 출동시키면 군대에 재앙이 있게 된다. 금성이 동남쪽에 나타나면 남방이 북방을 이기고, 동북쪽에 나타나면 북방이 남방을 이기고, 정동쪽에 있으면 동방의 나라가 승리한다. 서북쪽에 나타나면 북방이 남방을 이기고, 서남쪽에 나타나면 남방이 북방을 이기고, 정서쪽에 있으면 서방의 나라가 승리한다.

其與列星相犯小戰五星大戰. 其相犯太白出其南南國敗出其北北國敗.

기여열성상범 소전 오성 대전 기상범 태백출기남 남국패 출기북 북국패

금성과 별들이 서로 침범하면 작은 전쟁이 있게 되고, 5 별이 한꺼번에 그러면 큰 전쟁이 있게 된다. 그들이 서로 침범했다가 금성이 다른 별의 남쪽으로 나오면 남쪽의 나라가 패배하고, 다른 별의 북쪽으로 나오면 북쪽의 나라가 패배한다.

行疾不行. 色白五芒出蚤爲月蝕晩爲天夭及彗星將發其國.

행질 무 불행 문 색백오망 출조위월식 만위천요급혜성 장발기국 

운행이 빠르면 무력이 일어나고, 멈추면 문화가 빛난다. 흰색으로 다섯 개의 빛줄기(광망)를 가지고 일찍 뜨면 월식(月蝕)이 있고, 늦게 뜨면 요성(妖星)과 혜성이 있어서 장차 그 나라를 진동케 한다.

出東爲德擧事左之迎之. 出西爲刑擧事右之背之. 反之皆凶. 太白光見景戰勝. 晝見而經天是謂爭明彊國弱小國彊女主昌.

출동위덕 거사좌지영지 길 출서위형 거사우지배지 길 반지개흉 태백광현경 전승 주현이경천 시위쟁명 강국약 소국강 여주창


동방에서 뜨면 덕이 있으니 일을 벌일 때 왼쪽으로 금성을 마주하면 길하다. 서쪽으로 뜨면 형벌을 주관하니, 오른쪽으로 등지면 길하다. 이와 반대면 모두가 흉하다. 금성의 빛이 비치면 전쟁에 승리한다. 낮에 나타나서 하늘을 지나가면 이것을 쟁명(爭明)이라고 하는데, 강국은 약해지고 약국은 강해지며 왕후가 득세한다.

亢爲疏廟太白廟也. 太白大臣也其號上公. 其他名殷星太正營星觀星宮星明星大衰大澤終星大相天浩序星月緯. 大司馬位謹候此.

항이소묘 태백묘야 태백 대신야 기호상공 기타명은성 태정 영성 관성 궁성 명성 대쇠 대택 종성 대상 천호 서성 월위 대사마위근후차


亢星은 소묘(천자의 內朝=內殿)로 금성은 대신이요 상공(=영의정)이다. 다른 이름으로 태정 영성 관성 궁성 명성 대쇠 대택 종성 대상 천호 서성 월위라 불린다. 즉, 모든 관리의 최고로서 대사마는 이를 잘 알아야 한다.   


水星



, . , , , . , , 宿.

찰일진지회 이치진성지위 왈북방수 태음지정 주동 일임 계 형실자 벌출진성 이기수명국


해를 살피면 수성과 만나는 자리를 알수 있다 그 본질을 태음으로 보고 겨울을 주관하며 일주로는 임 계이다. 형벌을 잘못 주면 수성에 나타나는 것으로 그 해당하는 나라의 운명에 영향준다.


, , , 輿, , , , , 西, . .

시정사시 중춘춘분 석출교규 루 위동오사 위제 중하하지 석출교공정 여귀 유동칠사 위초 중추추분 석출교각 항 저 방동사사 중동동지 진출교동방 여미 기 두 뇌우구서 위중국 기출입상이진 술 축 미.


진성의 위치에 따라서 사계절을 바로잡는다. 2월 춘분()에는 황혼 때에 서쪽 교외의 규수(宿), 누수(宿), 위수(宿)의 자리에서 출현하여 동쪽으로 5()의 범위 내에서 운행하는데, 대응하는 분야는 제()나라이다. 5월 하지()에는 황혼 때에 서쪽 교외의 동정수(宿), 여귀수(輿宿), 유수(宿)의 자리에서 출현하여 동쪽으로 7사의 범위 내에서 운행하는데, 대응하는 분야는 초()나라이다.

8월 추분()에는 황혼 때에 서쪽 교외의 각수(宿), 항수(宿), 저수(宿), 방수(宿)의 자리에서 출현하여 동쪽으로 4사의 범위 내에서 운행하는데, 대응하는 분야는 한()나라이다. 11월 동지()에는 새벽에 동쪽 교외에 출현하여 미수(宿), 기수(宿), 남두수(宿), 견우수(宿)과 함께 천구를 따라 서쪽으로 운행하는데, 대응하는 분야는 중원()이다. 진성이 출현과 사라짐은 언제나 진(), 술(), 축(), 미() 등의 방위 사이에 있다.


, , . , . , , . , , , , . , , , . , , 西, . , . , , , 西, , .

기조 위월식 만 위혜성급천요 기시의효불효위실 추병재외부전 일시불출 기시불화 사시불출 천하개기 기당효이출야 색백위조 황위오곡숙 적위병 흑위수 출동방 대이백 유병어외 해 상재동방 기적 충국승 기서이적 외국리 무병어외이적 병기 기여태백구출동방 개적이각 외국대패 중국승 기여태백구출서방 개적이각 외국리

진성(=수성)이 일찍 출현하면 월식이 생기고, 늦게 출현하면 혜성이나 다른 요성()이 변한다. 수성이 출현해야 하는데 출현하지 않으면 제 궤도를 잃은 것으로 비록 추격하는 병사가 밖에 있어도 싸우지 않는다. 어느 한 계절에 출현하지 않으며 그 계절은 음양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사계절 내내 출현하지 않으면 천하에 오곡을 수확할 수 없게 되어 큰 기근이 생긴다. 진성에 때에 맞춰 출현하여 별빛이 백색이면 가뭄이 들 징조이고, 황색이면 오곡이 풍성해질 징조이다. 적색이면 전쟁이 생기고, 흑색이면 수재가 난다. 진성이 동쪽에서 출현하여 커 보이고 백색을 띄면 적병이 밖에 있음으로 군대는 철수해야 한다. 진성이 동쪽에 있으면서 적색을 띄면 중국이 승리하고, 서쪽에 있으면서 적색을 띄면 외국이 유리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 , 西, []. , . , , .

오성분천지중 적우동방 중국리 적우서방 외국용병자리 오성개종진성이취우일사 기소사지국가이법치천하 진성불출 태백위객 기출 태백위주

오성()이 하늘의 중앙에 분포하면서 동쪽으로 모이면 중국이 유리하고, 서쪽으로 모이면 외국의 용병이 유리하다. 오성(실제로 진성을 제외한 네 행성)이 모두 진성을 따라 한 사()에서 모이면 상응하는 나라는 법으로 천하를 취할 수 있다. 진성이 제 때에 출현하지 않으면 태백은 객()이 되고, 진성과 함께 출현하면 태백은 주()가 되며 진성은 객이 된다.


, , . , 西西, , , . , , . , , . , , , . , , . , , , .

출이여대백불상종 야수유군 부전 출동방 태백출서방 약출서방 태백출동방 위격 야수유병부전 실시시이출 위당한반온 당온반한 당출불출 시위격족 병대기 기입태백중이상출 파군살장 객군승 하출 객망지 진성래저태백 태백불거 장사 정기상출 파군살장 객승 하출 객망지

진성이 출현하여 태백성과 같은 방위에 있지 않으면 교외에 비록 적병이 있어도 전투를 벌이면 안 된다. 진성이 동쪽에서 출현하고, 태백성은 서쪽에서 출현하거나, 혹은 진성이 서쪽에서 출현하고 태백성이 동쪽에서 출현하면 이를 격()이라고 한다. 이때에 교외에 병사가 있어도 전투를 벌이면 안 된다. 진성이 제 때에 출현하지 않으면 기후가 마땅히 추워야 할 때에 도리어 따뜻하고, 마땅히 따뜻할 때에 도리어 추워진다. 응당 출현해야 할 때에 출현하지 않는 것을 격졸()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대규모 전쟁이 일어난다. 진성이 태백성 가운데로 들어갔다가 위로 떠나가면 군대가 격파되고 장군은 피살되며 객군()이 승리한다. 진성이 태백성 아래로 나타나면 객군이 패하고 영토를 상실한다.


, . , , , . , , , . , , , , , , . , , . .

시기소지 이명파군 기요환태백 약여투 대전 객승 면과태백 한가감검 소전 객승 면거태백전 군태 출태백좌 소전 마태백 유수만인전 주인사사 출태백우 거삼척 군급약전 청각 병우 흑색 수 적행궁병지소종

빛 무리가 가리키는 방향을 관찰하면 어떤 군대가 패배할 운명인지를 알 수 있다. 진성이 태백성을 둘러싸고 태백성과 더불어 다투는 형상이면 큰 전쟁이 발생하고, 객군이 승리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진성이 태백성 곁을 지나가는데, 그 거리가 약 칼 한 자루가 들어갈 정도이면 소규모 전쟁이 발생하고 객군이 승리한다. 진성이 태백성 앞(동쪽)에 머물러 있으면 군대를 거둔다. 태백성 왼쪽(북쯕)을 지나지면 소규모 전쟁이 발생한다. 태백성과 닿을 정도로 지나가면 수만 명 규모의 전쟁이 발생하고, 주군의 관리가 피살된다. 태백성 우측으로 지나가는데, 그 거리가 3척정도 떨어져 있으면 군대의 정황이 긴급한 것을 상징하고 곧 전투를 한다. 진성에 푸른색의 광망이 있으면 군대에 우환이 생기고, 흑색 광망이 있으면 수재가 있고, 붉게 제대로 운행하면 병란은 끝난다.


, . , , . , , , , . , , .

면칠명 왈소정 진성 천참 안주성 세상 능성 구성 기색황이소 출이역처 천하지문변이불선의 면오색 청환우 백환상 적환중불평 흑환길 적색범아성 황각지지쟁 백각호읍지성

진성은 일곱 개의 이름이 있는데, 소정(), 진성(), 천참성(), 안주성(), 세상(), 능성(), 구성() 등이다. 진성이 황색을 띄고 또 작아져 출현할 때에 정상적인 방위를 따르지 않으면 천하에 큰 정책변화가 있고 불길한 상징이다. 진성은 다섯 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다. 청색이고 둥글면 우환을 예시하는 것이고, 백색이고 둥글면 상사()를 예시하고, 적색이고 둥글면 평안하지 못한 것을 예시하고, 흑색이고 둥글면 길하다. 진성이 적색이면서 광망이 있으면 적군이 침입하는 것을 예시하고, 황색이면서 광망이 있으면 토지 쟁탈에 관한 일이 발생하는 것을 예시하고, 백색이면서 광망이 있으면 상사()가 있어 곡소리가 나는 것을 예시한다.


, , , 西, , , 西. . , .

기출동방 행사사사십팔일 기수이십일 이반입우동방 기출서방 행사사사십팔일 기수이십일 이반입우서방 기일후지영실 각 필 기 유 출방 심한 지동

진성이 동쪽에서 출현하여 4 별자리를 48일 동안 운행하고, 약 20일을 간 뒤에 되돌아가서 동쪽에서 사라진다. 진성이 서쪽에서 출현하여 4 별자리를 48일 동안 운행하고, 약 20일을 간 뒤에 되돌아가서 서쪽에서 사라진다. 어떤 때에 진성은 영실(), 각수(宿), 필수(宿), 기수(宿), 유수(宿)의 주변에서 관찰 된다. 진성이 방수(宿), 심수(宿)의 사이에서 출현하면 지진이 발생한다.

, , , , , . , . , , . , , . , , . , , , .

진성지색 춘 청황 하 적백 추 청백 이세숙 동 황이불명 즉변기색 기시불창 춘불현 대풍 추즉부실 하불현 유육십일지조 월식 추불현 유병 춘즉부생 동불현 음우육십일 유유읍 하즉불장


진성의 색깔을 봄에는 청황색(), 여름에는 적백색(), 가을에는 청백색()이면 그 해의 풍년이 들고, 겨울에 황색인데 밝지 못하다. 만약 진성의 색깔이 변하면 그 계절은 순조롭지 못하다. 진성이 봄이 출현하지 않으며 큰 바람이 일고, 가을에 수확을 걷을 수 없다. 여름에 출현하지 않으면 60일 동안 가뭄이 들고, 월식이 발생한다. 가을에 출현하지 않으면 전쟁이 일어나고, 봄에 작물이 싹트지 않는다. 겨울에 출현하지 않으면 겨울비가 60일 동안 내리고, 읍 단위로 유민이 생기고 여름이 짧다.


월식과 각 별의 관계


, . , . , . , . , . , . , . , . , . 觿, . 輿, . , . , .

, , .

각 항 저 연주 방 심 예주 미 기 유주 두 강 호 뢰우  무녀 양주 허 위 청주 영실지동벽 병주 규 루 위 서주 묘 필 자휴 삼 익주 동정 여귀 옹주 류 칠성 장 삼하 익 진 형주 칠성위원관 진성묘 만이성야


각성, 항성, 저성의 해당 지역은 연주(兗州)이다. 방성와 심성의 해당지역은 예주(豫州)이다. 미성와 기성의 해당지역은 유주(幽州)이다. 두성의 해당 지역은 장강(長江) 하류와 태호(太湖) 유역이다. 우성와 여성의 해당 지역은 양주(揚州)이다. 허성과 위성의 분야는 청주(靑州)이다. 실성에서 벽성까지의 해당지역은 병주(幷州)이다. 규성, 누성, 위성의 지역은 서주(徐州)이다. 묘성과 필성이 나타내는 지역은 기주(冀州)이다. 자성과 삼성의 해당지역은 익주(益州)이다. 정성과 귀성의 지역은 옹주(雍州)이다. 유성, 북두칠성, 장성의 지역은 삼하(三河)지역이다. 익성, 진성의 해당 지역은 형주(荊州)이다. 7성은 관원들로 진성=수성의 궁정이며 오랑캐들을 나타낸다.



, , , , . .

양군상당 일훈 훈등 역균 후장대 유승 박단소 무승 중포대파무


두 군대가 대치하고 있을 때에 햇무리(해의 둘레에 둥글게 나타나는 흰빛의 테)가 고르게 생기면 양군의 세력이 균등하고, 어느 한 쪽의 햇무리가 비대하고 두터우며 길고 크면 그 쪽이 승산이 있다. 어느 한 쪽의 햇무리가 얇고 짧고 작으면 그 쪽은 반드시 승리할 수 없으며 햇무리가 해를 겹겹이 에워싸면 크게 격파하는 일이 없다.

, [], .

포위화 배위불화 위분이상거


끌어 안으면 조화요 등지면 불화하며 서로 멀어진다.


, ;()[](). , .

직위자립 입후왕 지휘파군 약왈살장 부차재 유희


해무리가 곧으면 제후나 왕을 옹립한다는 의미요 장수를 쳐낸다는 뜻(문이 무를 이긴다) 그리되면 기쁨이 있다.


, , . , , .

위재중 중승 재외 외승 청외적중 이화상거 적외청중 이악상거


햇무리 안에 있으면 중간 정도의 승리가 바깥이면 바깥 군대가 바깥 쪽이 청색이고, 안쪽이 홍색이면, 쌍방이 강화를 맺고 떠나간다. 바깥쪽이 홍색이고, 안쪽이 청색이면 쌍방이 서로 원통해하면서 떠나간다.


, . , , , , . , , . , . ,, . , , .

기휘선지이후거 거군승  선지선거 전리후병 우지후거 전병후리 후지선거 전후개병 거군불승 현이거 기발질 수승무공  현반일이상 공대 백홍굴단 상하태 유자하대유혈 일휘제승 근기삼십일 원기육십일


해의 기운과 햇무리가 먼저 출현했다가 나중에 소실되면 주둔군이 승리하고, 먼저 출현했다가 일찍 소실되면 처음에는 주둔군이 유리하나 뒤에는 불리하게 되고 늦게 출현하여 늦게 소실되면 주둔군에게 처음에는 불리하나 뒤에는 유리하게 된다. 늦게 출현했다가 일찍 소실되면 모두 병에 걸리고 주둔군은 승리할 수 없다. 출현한 후에 일찍 소실되면 불리하여 비록 승리는 거두나 공을 세울 수 없다. 출현하는 것이 반나절 이상이여야 큰 공을 세울 수 있다. 햇무리가 흰 무지개처럼 짧고 구불구불하며 위아래 양끝이 날카로우면 해당지역에 큰 유혈사건이 발생한다. 햇무리의 승리를 좌우하는 기세는 짧게는 30, 길면 60일 정도이다.


, , , . 宿, , .

기식 식소불리 부생 생소리 이식익진 위주위 이기직급일소수 가이일시 용명기국야


일식이 있으면 그 해당지역에 이로움은 없다고 보지만 다시 생겨나면 길조로 본다. 해가 전부 먹히면 길흉(吉凶)에 대한 책임은 군주의 몫이요 해가 완전히 먹히지 않으면 모두 신하의 책임으로 본다. 일식의 방위에 근거에 해가 있는 위치, 그리고 일식이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더하여 대응하는 분야의 있는 나라의 길흉을 판정한다.



, . , , .

월행중도 안녕화평 음한 다수 음사


달이 방성(房星)의 가운데를 운행하면 세상이 안녕하고 평화로운 것을 상징한다. 중도의 북쪽인 음간(陰間, 방성(房星) 북쪽에 있는 두 별 사이의 중간)에서 운행하면 큰 물이 나고 은밀한 사건이 생긴다.


, . , , , . , . , . , .

외북삼척 음성 북삼척 태음 대수 병 양한 교자 음성다폭옥 태양 대조상야


음간 바깥 북쪽으로 3척정도 되는 곳에 있는 별이 음성(陰星)이다. 이는 太陰으로 큰 물과 병란을 의미하고, 중도의 남쪽을 양간(陽間)으로 보아 교만하고 방자함을 말하고양성(陽星)이 나타나면 폭력사태와 투옥이 많아진다. 양성 북쪽 3척 정도에 태양(太陽)라는 별이 있어 달이 가로막으면 군주가 교만 방자하게 되니 양성은 포악하고 잔혹한 형벌이 많아짐을 의미하고, 또 달이 태양을 가로막으면 큰 가뭄과 상사(喪事)가 생긴다.


뭇 별


, , , , , , . , . , , .

각 천문 시월위사월 십일월위오월 십이월위유월 수발 근삼척 원오척 범사보 보신주 행남북하 이음양언 조수병상


달이 각성과 천문(天門)을 만나면, 10월이면 다음해 4월에, 11월이면 다음해 5, 12월이면 다음해 6월에 큰 물난리가 난다. 이때에 적어도 물의 깊이가 3척이고, 많으면 5척에 달한다. 달과 방수의 네별 가운데, 어느 한쪽이라도 침범하면 보좌하는 신하가 주살 당한다. 달이 남하(南河), 북하(北河) 부근을 지날 때에 그 음양(陰陽)을 잘 판단해야 한다. 남하의 남쪽을 지나면 가뭄과 상사(喪事) 생기고, 북하의 북쪽을 지내면 수재와 전쟁이 일어난다.


*북하성: 쌍둥이 자리 머리부분, 남하성: 작은 개자리 알파 별 프리키온....


황하강의 북쪽에서 강이 두 갈래로 흐르는 부분을 남하·북하라 불렀는데, 이것을 본떠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삼은 것이 바로 남하성·북하성이다. 북하성은 남하성과 함께 하늘에서 해와 달, 오행성의 길 곧 황도(黃道)를 지키는 관문으로, 은하수의 관문을 연결하는 다리를 담당하였다. 하천으로써의 북하성은 물을 관리하는 임무를 가졌지만, 북쪽을 지키는 북수로써의 북하는 북쪽 오랑캐의 침입을 막는 북쪽의 관문이 되기도 하였다.


실제적으로 한국의 하천은 동에서 서로 흐르지만 중국의 입장으로 북에서 발원한다고 보이기에....


月蝕歲星, 其宿地, 饑若亡. 熒惑也亂, 塡星也下犯上, 太白也彊國以戰敗, 辰星也女亂. ()[]大角, 主命者惡之, 則爲內賊亂也列星, 其宿地憂.


월식세성 기숙지 기약망 형혹지란 전성야하범상 태백야강국이전패 진성여여란 식대각 주명자옥지 심 즉위내적난야 열성 기숙지우


달이 목성(=歲星)에 가리면 그 해당 지역에 기근이 들고  달이 화성(=형혹성)을 가리면 세상이 혼란에 빠지고, 달이 토성(전성)을 가리면 하극상이, 달이 금성(=태백성)을 가리면 강국이 전쟁에 패하고. 달이 수성(=진성)을 가리면 여자가 난을 일으키고, 달이 대각성(大角星, 동성(棟星) 또는 천동(天棟)으로 불리기도 함. 황제의 궁궐을 상징하는 별)을 가리면 명령을 내리는 군주에게 불리하고, 달이 심성(心星)을 가리면 내부의 적이 반란을 일으킨다. 기타 여러 별들도 달에게 가리면 해당 분야에 우환이 생긴다.




, , , , , , . , , .

월식시일 오월자육 유월자오 오월복육 유월자일 이오월자오 범백일십삼월이복시 고월식 상야 일식 위부장야


월식이 개시된 날로부터 5개월마다 여섯 번 발생하고, 6개월마다 다섯 번 발생하고 또 다시 5개월마다 여섯 번 발생하고, 여섯 달 만에 한번 발생하고, 5개월 만에 여섯 번 발생하니. 모두 113개월 만에 중복하여 발생한다. 그래서 월식은 매우 평상적인 일이지만 일식은 불길하게 여긴다.



, , . , . , . , 西. , . , , .

갑 을 사해지외 일월불점 병 정 강 회 해대야 술 기 중주 하 제야 경 신 화산이서 임 계 항산이북 일식 국군 월식 장상당지


()과 을()은 동방을 주관하여 대응하는 지구가 해외이기 때문에 일식과 월식으로 그 길흉을 점치지 않는다. (), ()은 남방을 주관하여 대응하는 지구가 강수(江水, 장강), 회하(淮河, 장강과 황하의 사이에 위치), 해대(海岱, 바다와 태산 일대, 즉 청주(靑州) 일원)이다. (), ()는 중앙을 주관하여 대응하는 지구가 중주(中州), (), () 일대이다. (), ()는 서방을 주관하여 대응하는 지구가 화산(華山) 서쪽이다. (), ()는 북방을 주관하여 대응하는 지구가 항상(恒山) 이북이다. 일식은 국왕이 그 길흉에 대한 책임을 지고, 월식은 장군과 재상이 그것에 관한 책임을 진다.


, , . , , .

국황성 대이적 상류남극 소출 기하기병 병강 기형불리


국황성(객성(客星) 중의 두 번째 별)은 별이 크고 붉고, 그 형상이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과 비슷하다. 국황성이 출현하면 대응하는 지구에 전쟁이 일어나고 또 군대의 위세가 강성하여 대치하는 나라의 군대는 불리하다.


, , , . , , .

소명성 대이백 무각 사상사하 소출국 기병 다변


소명성(적혜(赤彗), 대인성(大人星)이라고도 함)은 별이 크고 흰색이며 광망이 없고 갑자기 상승했다가 갑자기 하강한다. 소명성이 출현하면 대응하는 지역에 전쟁이 일어나고 형세의 변화가 많다.

, . , .

오잔성 출정동동방지야 기성상류진성 거지가육장


五殘星(=五鎽)은 정동(正東) 방향에서 출현하여 동방 하늘에 머문다. 그 형상은 수(=辰星)과 유사하고, 지면에서 약 6장 정도 떨어져 있다.



, . , , , .

대적성 출정남남방지야 성거지가육장 대이적 수동 유광


대적성(大賊星)은 정남(正南) 방향에서 출현하여 남방 하늘에 머문다. 지면에서 약 6장정도 떨어져 있다. 별이 크고 붉으며 때에 따라 자주 움직이며 빛이 난다.



, 西西. , , .

사위성 출정서서방지야 성거지가육장 대이백 유태백


사위성은 정서(正西) 방향에서 출현하여 서쪽 하늘에 머문다. 지면에서 6장정도 떨어져 있고, 별이 크고 백색이며 금성(=태백성)과 유사하다.

*司危星: 虛宿 28수중 북방 현무 7수 (물병자리 조랑말) 자리중 하나  


, . , , , . , , , .

옥한성 출정북방지야 성거지가육장 대이적 수동 찰지중청 차사야성소출 출비기방 기하유병 형불리


옥한성(=함한咸漢))은 정북(正北) 방향에서 출현하고 북방 분야의 상공에 머문다. 지면에서 6장정도 떨어져 있고, 별이 크고 붉은 색이다. 때에 따라 자주 요동치고 자세히 관찰하면 별 가운데 희미한 푸른색을 발견할 수 있다. 이상 오잔성 이하의 네 별은 사방(四方) 분야의 별이고, 별이 출현할 때에 자기 방위가 아닌 곳에서 나오면 해당 지역에 모두 전쟁이 생기고 상대방에게 불리하다.


, , .

사전성 소출사우 거지가사장


사전성은 천구의 사궁(四宮)과 서로 맞닿은 동북, 서북 등의 네 모서리에서 출현하고, 지면에서 약 4장정도 떨어져 있다.



, , , . , , .

지유함광 역출사우 거지가삼장 약월시출 소현 하유란 란자망 유덕자창


지유함광성(=地維藏光星)은 전술한 하늘의 네 모서리에서 출현하여 지면에서 약 3장정도 떨어져 있다. 떠오르는 달처럼 흐리하고 해당지역에 변란을 일으킨 자는 반드시 멸망하고 만약에 덕()이 있는 자는 반드시 창성하게 된다.


, , . . , .

촉성 상여태백 기출야불행 현즉멸 소촉자 성읍란


촉성(燭星)은 그 형상이 금성과 바슷하고, 떴다가 얼마 후에 사라지기에 촛불로 불리고 해당지역 성읍(城邑)에 변란이 생긴다.



, , . , .

여성비성 여운비운 명왈귀사 귀사출 필유귀국자


별같기도 하고 구름 같기도 한 별을 귀사성(歸邪星, 두 개의 적색 혜성이 위를 향하고 덮개 아래에 이어진 별)라고 한다. 귀사성이 출현하면 반드시 그 나라로 투항하는 자가 있다.

, , []. , .

성자 금지산기 기본왈화 성중 국길 소즉흉


별이란 금의 기운이요 본디 불덩이라 별이 많으면 길하고 적으면 흉하다


, , . , , , , .

한자 역금지산기 기본왈수 한 성다 다수 소즉조 기대경야


천한(天漢, 은하)도 금기가 흩어진 것인데 본질은 물이다. 천한에 별이 많으면 지상에 비가 많이 내리고, 별이 적으면 지상에 가뭄이 드는데 그게 법칙이다.

, , . , .

천고 유음여뢰비뢰 음재지이하급지 기소왕자 병발기하


천고성(天鼓星, 군대를 주관하여 전란의 징조를 예보하는 별)은 그 소리가 마치 우레 소리 같으면서 아닌 것 같은데, 그 음향은 하늘에 땅 위에까지 전파되고, 그 소리가 가는 방향은 전쟁이 일어난다.



, , , , . , . , , .

천구 상여대분성 유성 기하지지 유구 소타급 망지여화광염염형천 기하환여수경전처 상태자즉유황색 천리파군살장


천구성(天狗星)는 그 형상이 마치 큰 유성(流星)과 같고, 소리가 있다. 떨어질 때에 소리가 그치고 그 모습이 개와 같다. 그것이 추락한 곳을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불빛이 뜨겁게 타올라 하늘을 찌르는 듯하다. 그 둘레가 몇 이랑()의 밭 같고, 위는 뾰족하고 황색을 띄고 있다. 해당 지역 천리를 격파하고 적장을 죽이는 것과 같다.



, . , . , . , , .

격택성자 여염화지상 황백 기지이상 하대 상태 기현야 부종이확 불유토공 필유대해


격택성(格澤星)은 그 형상이 마치 타오는 불꽃과 같고, 황백색을 띄며 지상에서부터 솟구쳐 올라가는데, 아래는 크고 위는 뾰족하다. 격택성이 출현하면 파종을 하지 않아도 곡식을 수확할 수 있다. 또 토목공사를 하지 못하면 반드시 큰 해가 생긴다.


, , . .

치우지기 유혜이후곡 상기 현즉왕자정벌사방


치우의 깃발로 불리는 별은 그 형상이 마치 혜성(빗자루 형태)과 같은데, 뒷부분은 구불구불한 것이 마치 깃발 같다. 치우기가 출현하면 장차 왕이 사방을 정벌하는 것을 암시한다.



, , . , , .

순시 출어북두방 상여웅계 기노 청흑 상복별


순시성(= 불길한 징조를 나타내는 혜성)은 북두성(北斗星)의 곁에서 출현하는데, 그 형상이 마치 수탉과 같다. 별이 분노할 때에는 광망이 내뿜고 청흑색(靑黑色)을 띄며 그 형상이 마치 엎드린 자라와 같다.



, , , .

왕시 유대유성 사행이창흑 망지여유모우연


왕시성(=쇠뇌처럼 생겨서 붙인 이름)은 마치 큰 유성과 같고, 뱀처럼 구불구불 운행하며 검푸른 색을 띄고, 그것을 바라보면 마치 깃털이 나있는 듯하다.


, . , .

장경 여일필포저천 차성현 병기


장경성(=금성의 다른 이름. 저녁에는 해보다 뒤에 들어가기 때문에 장경이라 부른다. 장경은 서쪽 하늘에 오랫동안 보인다는 뜻)은 마치 한 필의 베를 하늘에 걸어 놓은 것과 같고, 이 별이 출현하면 전쟁이 발생할 것을 예시한다.



, . , .

성추지지 즉석야 하 제지한 시유추성


별이 떨어지면 돌과 같은데 하나라 제나라 지역에 많이 떨어진다.


. , . , .

천정이현경성 경성자 덕성야 지상무상 상출어유도지국


하늘이 맑고 환할 때에 어떤 때에 경성(景星, 대성(大星)으로 불리기도 하고, 경운(慶雲)감로(甘露)기린(麒麟) 등과 함께 경사스러운 일이나 태평성대를 표시하는 상서로운 별)을 볼 수 있다. 경성은 덕성(德星)으로 그 형상이 일정치 않고 언제나 도가 있는 나라에 출현한다.


구름



, , , , (), . , .

범망운기 앙이망지 삼사백리 평망 재상유상 천여리이천리 등고이망지 하속지자삼천리 운기유수거상자 승.


무릇 구름의 기운을 우러러 바라보면 지상에서 300-400리에 불과하고, 수평으로 보면 구름이 뽕나무와 느릅나무 위에 떠있고, 대략 천 리에서 이천 리 정도로 보이는데 만약 산에 올라 바라보면 아래로 약 3천리가 된다. 구름이 만약 짐승의 형상으로 머물면 그 아래는 길하다.



, . , . , . , . , .

자화이남 기하흑상적 숭고 삼하지교 기정적 항산지북 기하흣하청 발 개 해 데지한 기개흑 강 회한 기개백  


화산(華山) 이남의 구름 기운은 아래가 검고 위가 붉다. 숭산과 삼하 일대 교외에 구름은 붉은 색이다. 항산(恒山) 이북의 구름의 기운은 아래는 검고 위는 푸른색이다. 발해(渤海), 갈석산(碣石山), 황해와 태산(泰山) 사이의 구름의 기운은 모두 검은 색이다. 장강과 회하(淮河) 사이의 구름의 기운은 모두 백색이다.



. . , . . . , , , . . , . , , .

도기백 토공기황 차기사고사하 왕왕이취 기기비이포 졸기단 전비이후고자 질 전방이후고자 태 후태이비자 각 기기평자기행서 전고이후비자 부지이반 기상우자 비승고 태승방


무리로 모이는 구름은 백색이다. 흙기운의 구름은 황색이다. 수레 구름은 갑자기 높아졌다가 낮아졌다가 어떤 때는 함께 모인다. 기병 구름은 낮고 넓게 분포되어 있다. 졸개구름은 뭉글뭉글하다. 앞은 낮고 뒤가 높은 것은 행군 속도가 급한 것을 표시하고, 구름의 앞은 네모 형이고, 뒤는 높은 것은 병졸들이 정예롭기 때문이다. 구름 뒤가 날카롭고 낮으면 퇴각하는 것이다. 구름이 평평한 것은 진군 속도가 늦은 것이고, 앞은 높고 뒤는 낮은 것은 퇴각을 멈추지 않은 것을 표시한다. 두 구름의 기운이 만나면 낮은 쪽이 높은 것을 이기고, 날카로운 것이 둥글고 네모란 것을 이긴다.


, , . , , . , ,

기래비이순차통자 불과삼사일 거지오육리현 기래고칠팔척자 불과오육일 거지십여리현 기래고장여이장자 불과삼사일 거지오육십리현 

 

 구름 기운이 낮고 수레에 빙빙도는 건 불과 3-4일이요 5-6리 정도만 보이고, 구름의 기운이 7-8척 높아지면 5-6일 정도요 10여리 정도가 가시거리다. 구름의 운기가 1-2장 높이로는 불과 3-4일 지속되고 50-60리가 가시거리다.


, , . , . , , , . . . . , , . . . , . , , , .

초운정백자 기장한 기사겁 기대근이전절원자 당전 청백 기전저자 전승 기전적이앙자 전부승 진운여입원 저운유저 축운단양단태 표운여승자 거전원천 기반반천 기결자류궐기고 구운구곡 제차운현 이오색합점 이택단밀 기현동인 내유점 병필기 합투기직 


구름의 끝이 밝고 흰 색을 띄면 장군이 용맹스러우나 병졸들이 나약하다. 구름의 아랫부분이 크고 앞부분이 멀리 펼쳐져 있으면 마땅히 싸워야 한다. 구름이 청백색이고 앞부분이 낮으면 전투에서 승리하고 앞부분이 붉고 위로 들려있으면 전투에서 승리하지 못한다. 진운(陣雲, 층층으로 두텁게 쌓인 구름)은 바로 솟은 성벽과 같고, 저운(杵雲)은 베틀의 북 모양과 같고, 축운(軸雲)은 둥근 구름 덩어리 같은데 , 양끝이 날카롭다. 표운(국자 자루모양)은 가늘고 긴 밧줄과 같고, 앞쪽은 하늘에 걸쳐있고 그 절반은 하늘의 반을 차지한다. 예운(霓雲, 일종의 채색구름)은 전투 깃발과 같다. 구운(鉤雲)은 갈고리처럼 굽어있다. 이러한 구름들이 출현한 후에는 오색을 종합적으로 살펴서 길흉을 점친다. 구름의 기운이 윤택하고 둥글게 뭉쳐 조밀하면 사람들을 움직이니 비로소 점을 친다. 반드시 병란이 있고 그 방향으로 싸운다.   


, . , . .

왕삭소후 결어일방 일방운기 인주상 개여기형이점


기후를 잘 알던 왕삭(王朔, 한나라 때의 천문학자)은 모두 해 주위의 구름의 기운을 보고 길흉을 판단했다. 해 주위의 구름의 기운은 군주의 기상을 상징한다고 보아 모두 구름의 기운으로 만들어진 형상을 보고 판정했다.



, . , , , , , , . . .

고북이지기여상축궁려 남이지기유쥬선번기 대수처 패군장 파국지허 하유적전 금보지상 개유기 불가불찰 해방진기상루대 광야가성궁궐연 운기각상기산천인민소취적


그래서 북방의 오랑캐 지역에서 형성된 구름의 기운은 가축과 천막들의 형상이 많고, 남쪽 오랑캐 지역에서 형성된 구름의 기운은 선박과 돛의 형상이 많다. 큰 물이 있는 지역, 군대가 패전한 전쟁터, 망국의 폐허, 지하에 묻힌 금은보화가 모두 구름의 기운에 서려있으니, 자세히 관찰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해변에서 형성된 신기루는 마치 누대(樓臺)와 같고, 광야에서 형성된 구름 형상은 궁궐과 같다. 총괄적으로 말하면 구름의 기운은 각자 처한 산천과 현지인들의 축적한 기질과 유사하다.

 

, , , , . , , .

고후식모자 입국읍 시봉강전주지정치 성곽실옥문호지윤택 차지거복축산정화 보식자 길 허모자 흉


이 때문에 구름의 기운을 가지고 어떤 나라의 허실을 살펴보려면 응당 그 나라의 성읍에 가서 영토, 논밭이 잘 정리되어 있는지를 관찰해야 한다. 성곽과 가옥의 문호가 윤택한지의 여부와 그 다음에는 수레와 복식, 축산 등의 상태를 관찰해야 한다. 충실하고 번성하면 길하고, 공허하고 낭비가 심하면 흉하다.



, , , , . , . , , .

약연비연 약운비운 욱욱분분 소색윤균 시위경운 경운현 희기야 약무비무 의관이불유 현즉기역파갑이추


연기와 유사한데 연기가 아니고 구름과 유사한데 구름이 아니며 뭉게뭉게 솟아서 흩어졌다가 엉겼다가 하는 것을 경운(=卿雲)이라 한다. 경운은 기쁜 기운으로 이뤄진 것이다. 이 밖에 안개와 유사한데 안개가 아니고 옷이나 갓이 젖지도 않는데, 이것이 출현하면 성안에 사람들이 모두 갑옷을 입고 달리게 되는데, 이는 전쟁이 나서 성을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 , , , .

천뢰전 하홍 벽력 야명자 양기지동자야 춘하즉발 추동즉장 고후자무불사지


번개, 놀빛과 무지개, 벼락, 야명(夜明) 등의 현상은 양기가 움직여서 형성된 것으로 봄, 여름 두 계절에 발생하며, 가을, 겨울에는 숨어버린다. 그래서 기후를 관측하는 사람은 계절의 진행상황을 주시하여 관찰해야 한다.

, . , 谿(), []. , , . , . , . , . , , . , . , .

천개현물 지동탁절 산붕급사 천색게복 수담택갈지장 택갈현상 성곽문려  규수고고 궁묘저제 인민소차 요속거복 관민음식 오곡초목 관기소속 창부구거 사통지략 육축금수 소산거취 어별조서 관기소처 귀곡약호 기인달오 화언 성연

 

하늘이 갈라져 사물의 형상이 보이고, 지진이 생겨 균열이 나고, 산이 무너지고 다른 곳으로 옮겨 가고, 하천이 막히고 물이 동요하고 넘실거리며, 땅이 갑자기 솟아오르며 못에 물이 고갈하는 현상 등은 모두 길흉을 상징한다. 성곽의 가옥이나 민간의 마을이 윤택하거나 초췌한 지를 관찰하고, 궁궐과 묘당, 관저, 백성들이 사는 곳 등을 관찰해야 한다. 또한 민간에 떠도는 가요, 속어, 풍속, 수레, 의복 등과 백성들의 음식들도 관찰해야 한다. 오곡과 초목이 자라는 곳도 살펴야 한다. 창고, 마구간, 창고의 저장물 및 사방의 교통 도로도 관찰해야 한다. 육축과 금수들이 방목되고 자라는 곳과 물고기와 자라, 새와 쥐가 서식하는 곳이 어떠한지를 관찰해야 한다. 귀신의 울음소리가 마치 호출하는 것 같으면 사람이 반드시 놀라기 마련이다. 만물은 모두 이것과 마찬가지로 다름이 있으면 반드시 표출된다. 그래서 구름의 기운을 보고 길흉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이 비록 민간에서 떠도는 말이지만 진실로 허황된 것만은 아니다.


바람


, . , . , , , , . , , (). , .

범후세미오 근후세시 세시혹동지일 산기시붕 납명일 인중졸세 일회음식 발양기 고왈초세 정월단 왕자세수 입춘일 사시지송시야 사시자 후지일


대체로 기상으로 한해의 길흉을 살필 때에 세시(=한 해의 시작)가 중요하다. 세시 혹은 동지날에 비로소 기운이 생겨 싹트기 때문이다. 납일(臘日)에 제를 올린 다음 날은 사람들이 모여 한 끼 음식을 먹는데, 양기를 끌어 모아 발산시키기 때문에 초세(初歲, 연초, 원단)라고 한다. 혹자는 정월 초하루의 여명이 틀 때라고 하는데, 이 날은 제왕이 만든 역법에서 첫 머리이다. 혹자는 입춘일(立春日)이 사계절의 (끝 날 또는)첫날이요. 사계가 시작되는 첫 날이므로 한 해를 점치는 법이다.


*臘日: 매년말 신(神)에게 제사지내는 날. 납(臘)은 접(接)과 같은 뜻으로 신·구년이 교접하는 즈음에 대제(大祭)를 올려 그 공에 보답하는 것이다. 보통 동지일 다음 未일...시대마다 달랐다.


. , 西, 西, 西, , , , , , , , .

이한위선집남명정월단결팔풍 풍종남방래 대조 서남 소조 서방 유병 서북 융숙위 소우 취병 북방 위중세 동북 위상세 동방 대수 동남 민유질역 세오


나라 때 사람인 위선(魏鮮)은 납제 다음날과 정월 초하루 아침에 팔방에서 부른 팔풍(여덟 종류의 바람)으로 한 해의 길흉을 판단했다. 바람이 남방에서 불어오면 큰 가뭄이 들고, 서남쪽에서 불어오면 작은 가뭄이 들고, 서방에서 불어오면 전쟁이 있고, 서북방에서 불어오면 콩의 수확이 좋고, 가는 비가 잦고 전쟁이 생긴다. 북방에서 불어오면 중급의 수확이 있고, 동북에서 불어오면 풍족한 수확을 거둔다. 동방에서 불어오면 수해가 있고, 동남에서 불어오면 백성들이 많이 질병과 전염병에 걸리며 수확이 좋지 않다.

, . , , . , , , , , .

고팔풍각여기형대 과다자위승 다승소 수승극 질승서 단지식 위맥 식지일질 위직 질이포 위서 포지하포 위숙 하포지일입 위마


고로 팔풍의 길흉은 각기 상대 방향의 바람과 서로 비교해서 많은 쪽이 이긴다. 양이 많은 것이 적은 것을 이기고, 시간이 긴 것이 짧을 것을 이기고, 속도가 빠른 것이 느린 것을 이긴다. 여명이 틀 때에서 아침밥을 먹을 때까지의 바람은 보리의 수확에 영향을 주고, 아침밥을 먹은 뒤부터 해가 기울기 시작할 때의 바람은 메기장의 수확에 영향을 준다. 해가 기울기 시작할 때부터 저녁밥 먹을 때까지의 바람은 기장의 수확에 영향을 주고, 저녁밥을 먹을 때부터 저녁밥을 먹은 뒤까지의 바람은 콩의 수확에 영향을 주고, 저녁밥을 먹은 뒤에서 해가 완전히 질 때까지의 바람은 삼의 수확에 영향을 준다.


(), , . , , , , , , , , , . , , . , , . (). , .

욕종일유우유운 유풍 유알 일당기시자 심이다실 무운유풍일 당기시 천이다실 유운풍 무일 당기시 심이소실 유일 무운 하풍 당기시자가유패 여식셩 소패 숙오두미경 대패 즉풍복기 유운 기가복기 각이기시용운색점종기소의 기우설약한 세오


가장 좋은 날씨는 종일 비와 구름, 바람과 해가 있을 때로, 그런 날에 작물은 무성해지고 열매가 많아진다. 구름은 없고, 바람과 해만 있으면 작물은 줄기가 약하나 열매는 많다. 구름과 바람은 있고, 해가 없으면 작물은 줄기는 우거지나 열매가 적다. 해만 있고, 구름과 바람이 없으면 작물은 시들어서 수확을 거둘 수 없다. 바람과 구름이 없는 시간이 만약에 한 끼 밥 먹을 정도의 시간이라면 조금 손상을 보지만 만약 쌀 다섯 말을 익힐 만한 긴 시간이라면 손상이 크다. 하지만 다시 또 구름과 바람이 생겨나면 손상된 작물이 살아날 수 있다. 각기 그 시간에 따라 구름의 색에 적합한 작물을 점친다. 만약에 세수에 비와 눈이 내리거나 날씨가 추우면 그 해에 수확은 좋지 못하다.


, . , , , , , , .

시일광명 청도읍인민지성 성궁 즉세선 길 상 즉유병 치 조 우 수 각 세악


정초에 해가 찬란하고 도시와 고을에서 사람들의 소리를 들어보면 궁성(宮聲)이 들리면 그 해의 수확이 좋고 길하고, 상성(商聲)이면 전쟁이 있고, 치성(徵聲)이면 가뭄이 들고, 우성(羽聲)이면 물난리가 나고, 각성(角聲)이면 수확이 안 좋다.



. , , . , , . , , . 宿, , . . , , , , . .

혹종정월단차수우 율알삭알승 지칠승이극 과지 부점 수지십이일 일직기일 점수조 위지환성천리내점 즉기위천하후 경정월 월소이열수 일 풍 운 점기국 연필찰태세소재 재금 양 수 훼 목 기 화 조 차기대경야


혹자는 정월 초 비오는 날을 세어 하루면 1승의 식량이 된다 보아 7승이 되면 최고로 치고

만약에 초하루부터 12일까지 점을 치는데, 날마다 그에 해당하는 달과 서로 대응하여 수해나 가뭄을 점치는데 그 성둘레 1000리 안의 상황을 점치는 것이고 더 넓은 천하를 점치자면 정월을 살피면 된다. 그 달의 운세는 별자리와 상관없이 해 바람 구름 만으로 그 해당 지역의 운세를 점친다. 그러자면 반드시 태세(목성)의 위치를 살펴야 한다. 금성의 자리(=서쪽)에 있으면 풍년이 들고 수성의 자리(=북쪽)에 있으면 식물이 마르고 목성의 자리(동쪽)에 있으면 기아가 화성의 자리(남쪽)에 있으면 가뭄이든다 이게 기본 법칙이다.  


, , 西, , .

정월상갑 풍종동방 의잠 풍종서방 약단황운 악


정월 상순 갑일(甲日)에 동풍이 불면 양잠에 적합하고, 서풍이 불고 또 초하루 아침에 누런 구름이 있으면 작황이 나빠서 불길하다.

, , , , , , , . , . , .

동지단극 현토탄 탄동 녹해각 난근출 천수약 약이지일지 요결구경 세성소재 오곡달창 기대위충 세내유앙


동지에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데, 이 날에 저울 양 끝에 숯과 흙을 걸어둔다. 만약에 숯 쪽으로 기울면 사슴의 뿔이 떨어지고, 난초의 뿌리가 드러나며(부쩍 자라며), 샘이 용솟음친다. 일지(日至)를 알 수 있는 방법은 해시계의 그림자 길이에 의해서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세성(歲星)이 있는 자리에 해당하는 지역은 오곡이 풍성할 것이고, 그와 상대되는 지역을 충()이라고 하는데, 이 곳은 재앙이 생긴다.



, ? , , , , , , . , . , . 宿, . , , , .

태사공왈 자초생민이래 세주갈상불역일월성신 급지오가 삼대 소이명지 내관대 외이적 분중국위십유이주 앙즉관상어천 부즉법류어자 천즉유일월 지즉유음양 천유오성 지유오행 천즉유열수 지즉유주역 삼광자 음양지정 지본재지 이성인지통리


사마천은 이르길 사람들이 생겨난 이래 지도자(=世主)들이 일월성신을 헤아려오지 않았겠나 5가(=5帝), 3대(=하 은 주)가 그를 이어받아 더욱 발전시켜 관료(=관대)와 오랑캐를 구분하고 중국(=그들이 말하는 중앙 정부)를 12주로 정했고 하늘을 우러러 살펴 지상을 종류별로 분류했다. 하늘에 해와 달이 있듯 땅에는 음양이 있고 하늘에 5성이 있듯 땅에는 5륜이 있고 하늘에 별자리가 있듯 지상엔 域(=나라들)이 있게 되는 것이다. 3광(=해 달 별)은 음양의 精髓이니 그 기운은 본디 땅에서 난 것이니 성인들은 이 이치를 살펴야 한다.


, . , , , , . , . , , , .

유여이왕 상의 소견천변 개국수굴혈 가점물괴 이합시응 기문도적기상불법 시이공자논육경 기이이설불서 지천도명 부전 전기인 불시고 고비기인 수언불저


주나라의 유왕(幽王), 여왕(厲王) 이전은 오래 전이라. 하늘의 변화를 읽는 것이 거주하는 굴혈(=문명이 미개함)마다 다 달랐다. 5제때 까지 근거없는 神物을 갖고 점쳤고 그저 당대에는 맞았으나 그 기록이 하늘이 내린 것이 아니어서 기준이 될 수 없다.

그래서 공자가 6경을 지을 때, 다른 說들은 기록지 않은 것이다. 天命과 天理는 전하지 않고사람 이름만 전하는 이유다. 그 사람에게 전해지지 않았다면 누구라도 기록을 남길수 없었을 것 아닌가?



, , , , , , , , , , .

석지전천수자 고신지전 중 여 어당 우 희 화 하우 곤오 은상 무함 주실 사일 장홍 어송 자위 정즉비조 재제 감공 초 당매 조 윤고 위 석신


옛날 천문 역법을 전수한 사람으로 고신씨(高辛氏) 이전에는 중()과 여(), 당우(唐虞, 요순임금) 시기에는 희씨(羲氏)와 화씨(和氏), ()나라 때에는 곤오(昆吾), (殷)나라=(왕조)나라 때 무함(巫咸), ()나라 때에는 사일(史佚)과 장홍(萇弘), ()나라에는 자위(子韋), ()나라에는 비조(裨竈), ()나라에는 감공(甘公), ()나라에는 당매(唐眛), ()나라에는 윤고(尹皐), ()나라에는 석신(石申)이 있었다.



, , , , . . , .

부천운 삼십세일소변 뱍변중변 오백재대변 삼대변일기 삼시이대비 차기대수야 위국자필귀삼오 상하각천세 연후천인지제속비


무릇 천운(하늘의 운행)은 30년마다 작은 변화가 있고, 1백 년마다 중간 정도의 변화가 있고, 5백 년마다 큰 변화가 있다. 이 세 변화를 세 차례 거치면 기()라고 하고, 紀가 3 번 바뀌면 대비(備)라 부르니 이게 소위 하늘의 運數라는 것이다.

한 나라의 군주는 반드시 이런 35라는 천체 변화 주기를 귀히 여겨야 한다. 앞 뒤로 각 1000년을 살필 줄 알아야 하늘과 인간 간에 관계가 이어지고 하늘에 응답할 준비가 되는 것이다.


太史公推古天變, 未有可考于今者. 蓋略以春秋二百四十二年之閒, 日蝕三十六, 彗星三見, 宋襄公時星隕如雨. 天子微, 諸侯力政, 五伯代興, 更爲主命, 自是之後, 衆暴寡, 大幷小. , 夷狄也, 爲彊伯. 田氏簒齊, 三家分晉, 並爲戰國. 爭於攻取, 兵革更起, 城邑數屠, 因以饑饉疾疫焦苦, 臣主共憂患, 其察禨祥候星氣尤急. 近世十二諸侯七國相王, 言從衡者繼踵, 而皐石因時務論其書傳, 故其占驗淩雜米鹽.

태사공추고천변 미유가고우금자 개략이춘추이백사십이년지한 일식삼십육 혜성삼현 송양공시성운여우 천자미 제후역공 오백대흥 경위주명 자시지후 중폭과 대병소 진 초 오 월 이적야 위강백 전씨찬제 삼가분진 병위전국 쟁어공취 병혁경기 성음수시 인이기근질역초고 신주공우환 이찰기상후성기우급 근세이십제후칠국상왕 언종충자계종 이고 당 감 갓인시무론기서전 고기소험릉잡미염


태사공이 고대 천문 변화를 추론할 때에 지금과 같이 고증할 자료가 없었다. 대략 242년간일식이 36번, 혜성은 3차례 출현하였으며, 宋나라 襄公 때에 운석이 마치 비가 내리는 듯 떨어졌는데, 천자의 권위가 미약하고, 제후들 중에 힘 있는 자는 무력으로 멋대로 정치를 하여 오패(五覇)가 차례로 일어나 번갈아 가면서 천하의 정사를 장악했다. 이후로 큰 무리가 작은 무리를 강압하고,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병합했다. (), (), (), 월(越), 오랑캐등이다. 전씨(田氏)는 제()나라의 정권을 찬탈하였다. (), (), () 등 세 가문은 진()나라를 쪼개니 전국(戰國)시대가 도래되었다. 서로 공격하여 점령하려 싸우니 병란이 번갈아 일어나고 성읍이 수차에 걸쳐 도륙되니 기근과 전염병으로 고통을 받았다. 이에 각국의 제후와 왕들은 근심하여 별과 운기를 관찰하여 길흉의 징조를 예측하는 것이 다급한 일이 되었다. 근세에 열두 제후와 칠국이 서로 왕이 되려고 합종과 연횡을 주창하는 사람들이 연달으니,(), (), (), () 등이 각자 급히(=時務) 전해진 서적들을 연구했으나 고작 점의 효능이나, 임기응변 또는 고작 잡미염(=자질구레한) 일들 뿐이더라


二十八舍主十二州, 斗秉兼之, 所從來久矣. 秦之疆也, 候在太白, 占於狼. 楚之疆, 候在熒惑, 占於鳥衡. 齊之疆, 候在辰星, 占於虛. 鄭之疆, 候在歲星, 占於房. 晉之疆, 亦候在辰星, 占於參罰.

이십팔사주십이주 두병겸지 소동래구의 진지강야 후재태백 점어랑 호 오 초지강 후재형혹 점어오형 연 제지강 후재진성 점어허 위 송 정지강 후재세성 점어방 심 진지강 역후제진성 점어삼벌.


28수가 12 주()를 주관하고, 북두가 12 주를 더불어 주관한다고 보는 전통은 오랜 것이라  ()나라 강역은 태백성(太白星, 금성)을 주로 살피고 천랑성(天狼星)과 천호성(天弧星)으로 점을 쳤고, (), ()나라 강역 내의 길흉은 형혹성(熒惑星, 화성)을 살피고, 오형성(烏衡星)으로 (), ()나라의 길흉은 진성(辰星)을 살피고 허성(虛星), 위성(危星)으로 ()나라 강역 내의 길흉은 세성(歲星)을 살피고 방성(房星), 심성(心星)으로 ()나라 강역내의 길흉은 진성(辰星)을 살피고 삼성(參星)과 벌성(罰星)으로 점을 쳤다.

, . , , . 西, , . , , , . , , , , , . . , , . , 」. , , 錄.

급진병탄삼진 연 대 자하산이남자중국 중국어사해내즉재동남 위양 영즉일 세성 형혹 전성 점어가남 필주지 지서북즉 호 맥 월씨제의전구인궁지민 위음 음즉월 태백 진성 점어가북 묘주지 고중국산천 동북류 기유 수재롱 촉 미몰우발 갈 시이진 진호용병 차경위객주인 형혹위패 외즉리병 내즉리정 고왈 '수유명천자 필시형혹소재' 제후경강 시치이기 무가록자


 ()나라가 삼진(三晋)과 연(), () 나라를 병탄한 후에 화산(華山)과 황하 이남 지구를 중국이라고 일컬었다. 중국은 세상(四海) 안에 동남방에 있고 동남방은 양()에 속한다. 양은 즉 해(), 세성(歲星, 목성), 형혹성(熒惑星, 화성), 전성(塡星, 토성)으로 서로 천가성(天街星) 이남의 여러 별을 보고 점을 치는데, 필수(畢宿)가 주가 된다. 중국 서북은 호(), (), 월지(月氏) 등 모피 옷을 입고, 활로 수렵생활을 하는 백성들인데, 서북은 음()이다. 음은 즉 월(), 태백(太白, 금성), 진성(辰星, 수성)인데, 서로 대응한다. 천가성 이북의 여러 별을 보고 점친다. 묘성(昴星)이 주이다. 중국의 산맥과 강물은 서남쪽에서 동북방향으로 흐르는데, 산천의 원두(源頭, 발원지)는 농()과 촉() 지구이고, 말미에는 발해(渤海), 갈석산(碣石山) 일대로 빠져나간다. (), ()나라는 용맹한 것을 좋아하고, 이적의 기풍이 있어서 또 태백성(太白星)으로 점을 친다. (), ()나라는 중국이기 때문에 해와 세성 등으로 점을 칠 뿐만 아니라 또 태백성으로도 점을 친다. 태백성도 중국 역내의 길흉화복을 주관하고 있다. (), ()은 자주 중국을 침략하고, 진성(辰星, 수성)으로 점친다. 왜냐하면 진성은 뜨고 지는 것이 신속하여 이적과 유사하다. 그래서 이적(夷狄) 사람들의 길흉을 주관한다. 이것이 대체적인 정황과 형세이다. 앞서 말했던 진성과 태백성은 번갈아 가면서 서로 주인과 객이 된다. 형혹성(荧惑星)은 이성(李星)이라고도 한다. ()와 다스릴 이()는 같은 음으로 밖으로 군사를 다스리고 안으로 정사를 다스린다. 그래서 문헌에는 비록 영명한 천자가 재위에 있더라도 반드시 항상 형혹성의 위치를 관찰해야 한다.”라고 한다. 제후들이 번갈아 가면서 강대해졌고, 당시의 재앙과 이변에 관련된 기록들이 있지만 채록할 만한 것은 없다.


, , , . , , , , , , . , .

, 西, , 西, .

진시황지시 십오년혜성사현 구자팔십일 장역경천 기후진수이병멸육왕 병중국 외양사이 사인여란마 인이장초병기 삼십년지한병상태자 불가승수 자치우이래 미상약사야 항우그거록 왕시서류 산동수합종제후 서갱진인 주시함양


진시황의 재위 시절 15년 간 혜성이 네 차례 출현하였는데, 시간이 가장 긴 것은 80일에 달했고, 혜성이 긴 것은 하늘을 가로 지를 정도였다. 그 후에 진나라는 6 국을 멸하고 천하를 통일했고, 밖으로는 사방의 오랑캐를 내쫓아는데, 죽은 사람으로 서로 베개를 삼을 정도였으며 엉클어진 삼밭같이 혼란스러웠다. 이 때문에 장초왕(張楚王, 진승) 등이 더불어 봉기했다. 이를 전후로 30여 년간 병사들이 서로 깔리고 밝아 유린하여 죽은 자를 헤아릴 수가 없게 되었다. 치우(蚩尤)이래 이와 같은 잔혹함은 없었다. 항우가 거록을 구원했을 때에 왕시성(枉矢星, 큰 유성과 비슷한데, 뱀처럼 구불구불 운행하며 검푸른 빛을 띠고, 바라보면 마치 깃털이 나있는 듯함)이 서쪽으로 흘러갔다. 이후에 산동에서 여러 제후들이 연합하여 서쪽으로 진격하여 진나라를 격파하고 진나라 항복한 병사를 구덩이에 파묻어 죽이고 함양성을 도륙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지흥 오성위우동정 평성지위 월훈삼 필칠중 제여작란 일식 주회 오초칠국반역 혜성수장 천구과양야 급병기 수복시유혈기하 원광 원수 치우지기재현 장즉반천 기후경사사사출 주이적자수십년 이벌호우심 월지망 형혹구두 조선지발 성불루하술 병정대완 성불초요 차기락락대자 약지위곡소변 불가승도 유시관지 미유불선형견이응수지자야


 ()나라가 흥기할 때에는 오성(五星)이 동정수(東井宿, 이십팔수의 하나)의 가운데로 모였다고 한다. 흉노의 군사들이 한고조(漢高祖)를 평성에서 포위하였을 때에는 삼수(參宿), 필수(畢宿)가 부근에 머물렀고 달무리가 일곱 겹으로 나타났다. 여씨(呂氏, 여태후 일족)이 난을 일으켰을 때에 일식이 발생하여 대낮에도 암흑천지가 되었다. (), ()나라 등 7국의 반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혜성 길이가 여러 장에 달했고, 천구성(天狗星)이 양()나라 교외를 지나갔다. 7국이 전쟁을 일으킨 후에 양나라 성 아래에는 시체의 피가 강물처럼 흘렀다. 원광(元光), 원수(元狩) 연간에 치우기성(蚩尤旗星)이 두 차례 출현하였는데, 그 길이가 하늘의 절반을 가로질러 갔다. 이후 師(수도 방위군) 네 곳에서 출정하여 이적(夷狄)과 수십 년 동안 전쟁을 벌였고, 그 중에서 호인(胡人)과 전쟁이 가장 격렬했다. ()나라 멸망의 징조로 형혹성(熒惑星, 화성)이 남두(南斗)를 지키고 있었고, 조선을 공략할 징조로 혜성이 남하성(南河星), 북하성(北河星)에서 출현했다. 대완(大宛)을 정벌하기 전에는 혜성이 초요성(招搖星) 부근에 출현했다. 이상이 가장 분명한 사례이다. 이 밖에 소소하고 간접적으로 드러난 사례는 헤아릴 수없이 많다. 이로부터 살펴보면 어떤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먼저 천상의 징조가 나타나고, 세간에 그 응험을 보이지 않는 것이 없었다.


, , , . , , , , .

부자한지위천수자 성즉당도 기즉왕삭 점세즉위선 고감 석력오성법 유독형혹유반역행 역행소수 급타성역행 일월박식 개이위점


한나라 초기에 천문 역법으로 저명한 사람으로 별 점으로 당도(唐都), 구름 점에는 왕삭(王朔), () 점으로 위선(魏鮮)이 있었다. 감공(甘公), 석신(石申)의 오성(五星) 역법 중에는 단지 형혹성만이 반대로 운행하는 역행이 있었고, 형혹성이 역행하여 머무는 지방. 그 밖의 별들의 역행과 해와 달이 서로 빛을 막아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게 되는 일 등이 모두 점칠 내용이 되었다.


, , , , , , . 宿, , , , , . , , , (), , .

여관사기 고행사 백년지중 오성무출이불반역행 반역행 상성대이변색 일월박식 행남북유시 차기대도야 고자궁 방심 권형 함지 허위열수부성 차천지오관좌위야 위경불이사 대소유차 활유상 수 화 금 목 전성 차오성자 천지오좌 위경위 현복유시 소과행영축유도 


내 역사서의 기록을 보면서 일어난 일들을 고찰하였다는데, 근 백년 사이에 5 성이 출현한 후에 역행하지 않은 적이 없었고, 도리어 역행하다가 일찍이 성대해지고 색의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부분 또는 완전 일식, 월식이 생기고 남북으로 운행하는 것에 일정한 시기가 있었다. 이것이 대체적인 법도이다. 고로 자궁(紫宮), 방심(房心), 권형(權衡), 함지(咸池), 허위(虛危) 등의 별자리에 속한 별들은 천상에 오관(五官)의 자리인데, 경성(經星, 항성)은 이동하지 않고, 크고 작은 것이 각기 차별이 있으며, 넓고 좁음에도 각기 일정한 법도가 있다. (), (), (), (), 전성(塡星, 토성) 등 오성은 천상에서 오관(五官)을 보좌한다. 위성(緯星, 행성)도 그것들이 사라지고 나타남에 각기 일정한 규율이 있고, 운행할 때에 영() 혹은 축()하는 현상에도 모두 일정한 법도가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변유덕 춸변성형 성변결화 범천변 과도내점 국군강대 유덕자창 우소 식사자망 태상유덕 기차유정 지차유구 기차유양 정하무지 부상성지변희현 이삼광지점극용 일월훈적 운풍 차천지객기 기발현역유대운 연기여정사부앙 최근대인지부 차오자 천지감동 위천수자 필통삼오 결시고금 심관시변 찰지정조 즉천군비의


해에 변화가 있으면 마땅히 덕을 닦고, 달에 변화가 있으면 마땅히 형벌을 줄여야 하며, 다른 별에 변화가 있으면 인화 단결해야 한다. 무릇 하늘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지나치면 점을 쳐야한다. 나라의 군주가 강대하고 덕이 있으면 창성하고, 군주가 느슨하고 속임이 많으면 망한다. 천상의 이변에 대응하는 좋은 방법은 덕을 닦는 것이고, 그 다음은 정사를 개혁하는 것이며, 다시 그 다음으로는 구제(救濟)하는 것이고, 또 그 다음에는 신에게 제사를 올려 재해를 제거하는 것이며, 최하의 대책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다. 보통 경성(經星)의 변화는 매우 적지만 해, , 오성 등의 삼광(三光)의 변화에 대한 점은 자주 사용된다. 일식, 월식, 햇무리, 달무리의 이변과 구름과 바람 등은 하늘에서는 손님인 기운이다. 그것들을 발견하는 것은 또한 대운(大運)일 수 있다. 그 연후 정사에 임하는 것이 요즘 대인의 처신이다.

이상 다섯 가지 현상은 모두 하늘이 감응한 바가 있으면 나타나고 변동되는 것이다. 천문 역법을 공부하는 사람은 반드시 하늘의 운기 변화와 3, 5의 규율에 통달하고, 고금의 상황을 이해하고 시세의 변화를 깊이 관찰하며 그것들의 정교함과 조잡한 것을 판별할 줄 알아야 천관(天官)의 자격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太史公推古天變, 未有可考于今者. 蓋略以春秋二百四十二年之閒, 日蝕三十六, 彗星三見, 宋襄公時星隕如雨. 天子微, 諸侯力政, 五伯代興, 更爲主命, 自是之後, 衆暴寡, 大幷小. , 夷狄也, 爲彊伯. 田氏簒齊, 三家分晉, 並爲戰國. 爭於攻取, 兵革更起, 城邑數屠, 因以饑饉疾疫焦苦, 臣主共憂患, 其察禨祥候星氣尤急. 近世十二諸侯七國相王, 言從衡者繼踵, 而皐石因時務論其書傳, 故其占驗淩雜米鹽.

태사공추고천변 미유가고우금자 개략이춘추이백사십이년지한 일식삼십육 혜성삼현 송양공시성운여우 천자미 제후역공 오백대흥 경위주명 자시지후 중폭과 대병소 진 초 오 월 이적야 위강백 전씨찬제 삼가분진 병위전국 쟁어공취 병혁경기 성음수시 인이기근질역초고 신주공우환 이찰기상후성기우급 근세이십제후칠국상왕 언종충자계종 이고 당 감 갓인시무론기서전 고기소험릉잡미염


태사공이 고대 천문 변화를 추론할 때에 지금과 같이 고증할 자료가 없었다. 대략 242년간일식이 36번, 혜성은 3차례 출현하였으며, 宋나라 襄公 때에 운석이 마치 비가 내리는 듯 떨어졌는데, 천자의 권위가 미약하고, 제후들 중에 힘 있는 자는 무력으로 멋대로 정치를 하여 오패(五覇)가 차례로 일어나 번갈아 가면서 천하의 정사를 장악했다. 이후로 큰 무리가 작은 무리를 강압하고,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병합했다. (), (), (), 월(越), 오랑캐등이다. 전씨(田氏)는 제()나라의 정권을 찬탈하였다. (), (), () 등 세 가문은 진()나라를 쪼개니 전국(戰國)시대가 도래되었다. 서로 공격하여 점령하려 싸우니 병란이 번갈아 일어나고 성읍이 수차에 걸쳐 도륙되니 기근과 전염병으로 고통을 받았다. 이에 각국의 제후와 왕들은 근심하여 별과 운기를 관찰하여 길흉의 징조를 예측하는 것이 다급한 일이 되었다. 근세에 열두 제후와 칠국이 서로 왕이 되려고 합종과 연횡을 주창하는 사람들이 연달으니,(), (), (), () 등이 각자 급히(=時務) 전해진 서적들을 연구했으나 고작 점의 효능이나, 임기응변 또는 고작 잡미염(=자질구레한) 일들 뿐이더라


二十八舍主十二州, 斗秉兼之, 所從來久矣. 秦之疆也, 候在太白, 占於狼. 楚之疆, 候在熒惑, 占於鳥衡. 齊之疆, 候在辰星, 占於虛. 鄭之疆, 候在歲星, 占於房. 晉之疆, 亦候在辰星, 占於參罰.

이십팔사주십이주 두병겸지 소동래구의 진지강야 후재태백 점어랑 호 오 초지강 후재형혹 점어오형 연 제지강 후재진성 점어허 위 송 정지강 후재세성 점어방 심 진지강 역후제진성 점어삼벌.


28수가 12 주()를 주관하고, 북두가 12 주를 더불어 주관한다고 보는 전통은 오랜 것이라  ()나라 강역은 태백성(太白星, 금성)을 주로 살피고 천랑성(天狼星)과 천호성(天弧星)으로 점을 쳤고, (), ()나라 강역 내의 길흉은 형혹성(熒惑星, 화성)을 살피고, 오형성(烏衡星)으로 (), ()나라의 길흉은 진성(辰星)을 살피고 허성(虛星), 위성(危星)으로 ()나라 강역 내의 길흉은 세성(歲星)을 살피고 방성(房星), 심성(心星)으로 ()나라 강역내의 길흉은 진성(辰星)을 살피고 삼성(參星)과 벌성(罰星)으로 점을 쳤다

 

, . , , . 西, , . , , , . , , , , , . . , , . , 」. , , 錄.

급진병탄삼진 연 대 자하산이남자중국 중국어사해내즉재동남 위양 영즉일 세성 형혹 전성 점어가남 필주지 지서북즉 호 맥 월씨제의전구인궁지민 위음 음즉월 태백 진성 점어가북 묘주지 고중국산천 동북류 기유 수재롱 촉 미몰우발 갈 시이진 진호용병 복점태백 태백주중국 이 호맥수침략 독점진성 진성출입조리 상주이적 기대경야  차경위객주인 형혹위패 외즉리병 내즉리정 고왈 '수유명천자 필시형혹소재' 제후경강 시치이기 무가록자


 ()나라가 삼진(三晋)과 연(), () 나라를 병탄한 후에 화산(華山)과 황하 이남 지구를 중국이라고 일컬었다. 중국은 세상(四海) 안에 동남방에 있고 동남방은 양()에 속한다. 양은 즉 해(), 세성(歲星, 목성), 형혹성(熒惑星, 화성), 전성(塡星, 토성)으로 서로 천가성(天街星) 이남의 여러 별을 보고 점을 치는데, 필수(畢宿)가 주가 된다. 중국 서북은 호(), (), 월지(月氏) 등 모피 옷을 입고, 활로 수렵생활을 하는 백성들인데, 서북은 음()이다. 음은 즉 월(), 태백(太白, 금성), 진성(辰星, 수성)인데, 서로 대응한다. 천가성 이북의 여러 별을 보고 점친다. 묘성(昴星)이 주이다. 중국의 산맥과 강물은 서남쪽에서 동북방향으로 흐르는데, 산천의 원두(源頭, 발원지)는 농()과 촉() 지구이고, 말미에는 발해(渤海), 갈석산(碣石山) 일대로 빠져나간다. (), ()나라는 용맹한 것을 좋아하고, 이적의 기풍이 있어서 또 태백성(太白星)으로 점을 친다. (), ()나라는 중국이기 때문에 해와 세성 등으로 점을 칠 뿐만 아니라 또 태백성으로도 점을 친다. 태백성도 중국 역내의 길흉화복을 주관하고 있다. (), ()은 자주 중국을 침략하고, 진성(辰星, 수성)으로 점친다. 왜냐하면 진성은 뜨고 지는 것이 신속하여 이적과 유사하다. 그래서 이적(夷狄) 사람들의 길흉을 주관한다. 이것이 대체적인 정황과 형세이다. 앞서 말했던 진성과 태백성은 번갈아 가면서 서로 주인과 객이 된다. 형혹성(荧惑星)은 이성(李星)이라고도 한다. ()와 다스릴 이()는 같은 음으로 밖으로 군사를 다스리고 안으로 정사를 다스린다. 그래서 문헌에는 비록 영명한 천자가 재위에 있더라도 반드시 항상 형혹성의 위치를 관찰해야 한다.”라고 한다. 제후들이 번갈아 가면서 강대해졌고, 당시의 재앙과 이변에 관련된 기록들이 있지만 채록할 만한 것은 없다.



, , , . , , , , , , . , .

, 西, , 西, .

진시황지시 십오년혜성사현 구자팔십일 장역경천 기후진수이병멸육왕 병중국 외양사이 사인여란마 인이장초병기 삼십년지한병상태자 불가승수 자치우이래 미상약사야 항우그거록 왕시서류 산동수합종제후 서갱진인 주시함양


진시황의 재위 시절 15년 간 혜성이 네 차례 출현하였는데, 시간이 가장 긴 것은 80일에 달했고, 혜성이 긴 것은 하늘을 가로 지를 정도였다. 그 후에 진나라는 6 국을 멸하고 천하를 통일했고, 밖으로는 사방의 오랑캐를 내쫓아는데, 죽은 사람으로 서로 베개를 삼을 정도였으며 엉클어진 삼밭같이 혼란스러웠다. 이 때문에 장초왕(張楚王, 진승) 등이 더불어 봉기했다. 이를 전후로 30여 년간 병사들이 서로 깔리고 밝아 유린하여 죽은 자를 헤아릴 수가 없게 되었다. 치우(蚩尤)이래 이와 같은 잔혹함은 없었다. 항우가 거록을 구원했을 때에 왕시성(枉矢星, 큰 유성과 비슷한데, 뱀처럼 구불구불 운행하며 검푸른 빛을 띠고, 바라보면 마치 깃털이 나있는 듯함)이 서쪽으로 흘러갔다. 이후에 산동에서 여러 제후들이 연합하여 서쪽으로 진격하여 진나라를 격파하고 진나라 항복한 병사를 구덩이에 파묻어 죽이고 함양성을 도륙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지흥 오성위우동정 평성지위 월훈삼 필칠중 제여작란 일식 주회 오초칠국반역 혜성수장 천구과양야 급병기 수복시유혈기하 원광 원수 치우지기재현 장즉반천 기후경사사사출 주이적자수십년 이벌호우심 월지망 형혹구두 조선지발 성불루하술 병정대완 성불초요 차기락락대자 약지위곡소변 불가승도 유시관지 미유불선형견이응수지자야


 ()나라가 흥기할 때에는 오성(五星)이 동정수(東井宿, 이십팔수의 하나)의 가운데로 모였다고 한다. 흉노의 군사들이 한고조(漢高祖)를 평성에서 포위하였을 때에는 삼수(參宿), 필수(畢宿)가 부근에 머물렀고 달무리가 일곱 겹으로 나타났다. 여씨(呂氏, 여태후 일족)이 난을 일으켰을 때에 일식이 발생하여 대낮에도 암흑천지가 되었다. (), ()나라 등 7국의 반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혜성 길이가 여러 장에 달했고, 천구성(天狗星)이 양()나라 교외를 지나갔다. 7국이 전쟁을 일으킨 후에 양나라 성 아래에는 시체의 피가 강물처럼 흘렀다. 원광(元光), 원수(元狩) 연간에 치우기성(蚩尤旗星)이 두 차례 출현하였는데, 그 길이가 하늘의 절반을 가로질러 갔다. 이후 師(수도 방위군) 네 곳에서 출정하여 이적(夷狄)과 수십 년 동안 전쟁을 벌였고, 그 중에서 호인(胡人)과 전쟁이 가장 격렬했다. ()나라 멸망의 징조로 형혹성(熒惑星, 화성)이 남두(南斗)를 지키고 있었고, 조선을 공략할 징조로 혜성이 남하성(南河星), 북하성(北河星)에서 출현했다. 대완(大宛)을 정벌하기 전에는 혜성이 초요성(招搖星) 부근에 출현했다. 이상이 가장 분명한 사례이다. 이 밖에 소소하고 간접적으로 드러난 사례는 헤아릴 수없이 많다. 이로부터 살펴보면 어떤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먼저 천상의 징조가 나타나고, 세간에 그 응험을 보이지 않는 것이 없었다.



, , , . , , , , .

부자한지위천수자 성즉당도 기즉왕삭 점세즉위선 고감 석력오성법 유독형혹유반역행 역행소수 급타성역행 일월박식 개이위점


한나라 초기에 천문 역법으로 저명한 사람으로 별 점으로 당도(唐都), 구름 점에는 왕삭(王朔), () 점으로 위선(魏鮮)이 있었다. 감공(甘公), 석신(石申)의 오성(五星) 역법 중에는 단지 형혹성만이 반대로 운행하는 역행이 있었고, 형혹성이 역행하여 머무는 지방. 그 밖의 별들의 역행과 해와 달이 서로 빛을 막아 일부 또는 전부가 보이지 않게 되는 일 등이 모두 점칠 내용이 되었다.


, , , , , , . 宿, , , , , . , , , (), , .

여관사기 고행사 백년지중 오성무출이불반역행 반역행 상성대이변색 일월박식 행남북유시 차기대도야 고자궁 방심 권형 함지 허위열수부성 차천지오관좌위야 위경불이사 대소유차 활유상 수 화 금 목 전성 차오성자 천지오좌 위경위 현복유시 소과행영축유도 


내 역사서의 기록을 보면서 일어난 일들을 고찰하였다는데, 근 백년 사이에 5 성이 출현한 후에 역행하지 않은 적이 없었고, 도리어 역행하다가 일찍이 성대해지고 색의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부분 또는 완전 일식, 월식이 생기고 남북으로 운행하는 것에 일정한 시기가 있었다. 이것이 대체적인 법도이다. 고로 자궁(紫宮), 방심(房心), 권형(權衡), 함지(咸池), 허위(虛危) 등의 별자리에 속한 별들은 천상에 오관(五官)의 자리인데, 경성(經星, 항성)은 이동하지 않고, 크고 작은 것이 각기 차별이 있으며, 넓고 좁음에도 각기 일정한 법도가 있다. (), (), (), (), 전성(塡星, 토성) 등 오성은 천상에서 오관(五官)을 보좌한다. 위성(緯星, 행성)도 그것들이 사라지고 나타남에 각기 일정한 규율이 있고, 운행할 때에 영() 혹은 축()하는 현상에도 모두 일정한 법도가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변유덕 춸변성형 성변결화 범천변 과도내점 국군강대 유덕자창 우소 식사자망 태상유덕 기차유정 지차유구 기차유양 정하무지 부상성지변희현 이삼광지점극용 일월훈적 운풍 차천지객기 기발현역유대운 연기여정사부앙 최근대인지부 차오자 천지감동 위천수자 필통삼오 결시고금 심관시변 찰지정조 즉천군비의


해에 변화가 있으면 마땅히 덕을 닦고, 달에 변화가 있으면 마땅히 형벌을 줄여야 하며, 다른 별에 변화가 있으면 인화 단결해야 한다. 무릇 하늘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지나치면 점을 쳐야한다. 나라의 군주가 강대하고 덕이 있으면 창성하고, 군주가 느슨하고 속임이 많으면 망한다. 천상의 이변에 대응하는 좋은 방법은 덕을 닦는 것이고, 그 다음은 정사를 개혁하는 것이며, 다시 그 다음으로는 구제(救濟)하는 것이고, 또 그 다음에는 신에게 제사를 올려 재해를 제거하는 것이며, 최하의 대책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다. 보통 경성(經星)의 변화는 매우 적지만 해, , 오성 등의 삼광(三光)의 변화에 대한 점은 자주 사용된다. 일식, 월식, 햇무리, 달무리의 이변과 구름과 바람 등은 하늘에서는 손님인 기운이다. 그것들을 발견하는 것은 또한 대운(大運)일 수 있다. 그 연후 정사에 임하는 것이 요즘 대인의 처신이다.

이상 다섯 가지 현상은 모두 하늘이 감응한 바가 있으면 나타나고 변동되는 것이다. 천문 역법을 공부하는 사람은 반드시 하늘의 운기 변화와 3, 5의 규율에 통달하고, 고금의 상황을 이해하고 시세의 변화를 깊이 관찰하며 그것들의 정교함과 조잡한 것을 판별할 줄 알아야 천관(天官)의 자격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蒼帝行德天門爲之開. 赤帝行德天牢爲之空. 黃帝行德天夭爲之起. 風從西北來必以庚. 一秋中五至大赦三至小赦. 白帝行德以正月二十日二十一日月暈圍常大赦載謂有太陽也. 一曰白帝行德昴爲之圍. 圍三暮德乃成不三暮及圍不合德不成. 二曰以辰圍不出其旬. 黑帝行德天關爲之動. 天行德天子更立年不德風雨破石. 三能三衡者天廷也. 客星出天廷有奇令.

창제행덕 천문위지개 적제행덕 천뢰위지공 황제행덕 천요위지기 풍종서북래 필이경 신 일추중 오지 대사 삼지 소사 백제행덕 이정월이십일 이십일일 월훈위 상대사재 위유태양지 일 왈 백제행덕 필 묘위지위 위삼모 덕내성 불삼모 급위불합 덕불성 이일 이진위 불출기구 흑제행덕 천관위지동 천행덕 천자경입년 부덕 풍우파석 삼능 삼형자 천정야 객성불천정 유기행


동방의 창제(蒼帝)가 덕을 베풀면 천문(天門)이 열리고, 남방의 적제(赤帝)가 덕을 베풀면 천뢰(天牢, 하늘의 감옥)이 텅 빈다. 중앙의 황제(黄帝)가 덕을 베풀면 천요성(天夭星)도 일어난다. 바람이 서북방에서 불어오는데 반드시 가을 어느 경신일(庚辛日)이 된다. 다섯 차례의 바람이 불면 대 사면이 있고, 세 차례 바람이 불면 작은 사면이 있다. 서방 백제(白帝)가 덕은 정월(正月) 20일과 21일에 달무리가 에워쌀 무렵이요 대사면이 있다. 이것은 태양이 음기를 내쫓기 때문이다. 다른 설로 서방 백제가 덕을 베풀면 필수(畢宿), 묘수(昴宿)를 달무리가 에워싸고 있을 때에 일어난다. 그러나 사흘 저녁을 에워싸면 덕은 완성되고 부족하면 사흘 저녁을 못 넘기고, 혹은 달무리가 에워싼 것에 결함이 생기면 덕은 이뤄질 수 없다. 또 다른 견해로 달무리가 진성(辰星)을 에워싸고 그 기간이 열흘을 넘기지 못하고, 북방 흑제(黑帝)가 덕을 베풀면 천관(天關)에 변동이 있다. 상술한 오방(五方)의 천제(天帝)가 덕을 베풀면 천자는 장차 연호를 바꿔야 한다. 만약에 덕을 베풀지 않으면 반드시 경계를 보일 것이고 폭풍우가 몰아쳐서 돌을 뽑고 깨뜨리게 될 것이다. 객성(客星)이 하늘의 궁정에 출현하면 반드시 기이한 명령이 있을 것이다.




'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書-河渠書  (0) 2018.01.16
封禪書  (0) 2017.12.18
書4-曆書  (0) 2017.11.26
書3 律書  (0) 2017.11.23
書 2-樂書  (0) 2017.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