丕寧子
丕寧子 不知鄕邑族姓. 眞德王元年丁未 百濟以大兵 來攻茂山甘勿桐岑等城. 庾信率步騎一萬 拒之 百濟兵甚銳 苦戰不能克 士氣索而力憊. 庾信知丕寧子有力戰深入之志 召謂曰 “歲寒然後 知松栢之後彫 今日之事 急矣 非子誰能奮勵出奇 以激衆心乎?”
비녕자 부지향읍족성. 진덕왕원년정미 백제이대병 래공무산감물동잠등성. 유신솔보기일만 거지. 백제병심예 고전불능극 사기색이역비. 유신지비녕자유역전십입지지 소위왈 “세한연루 지송백지후조 금일지사 급의 비자수능분여출기 이격중심호?”
비녕자(丕寧子)는 고향과 집안의 성씨를 알 수 없다. 진덕왕(眞德王) 원년 정미(서기 647)에 백제가 대군을 거느리고 쳐들어와 무산(茂山), 감물(甘勿), 동잠(桐岑) 등의 성을 공격하였다. 유신이 보병과 기병 1만 명을 이끌고 막았으나, 백제군이 매우 날카로워 고전하고 이기지 못하여 사기가 떨어지고 힘이 빠졌다. 유신은 비녕자가 힘껏 싸워 적진 깊이 들어갈 뜻이 있는 것을 알고 그를 불러 말했다. “날이 차가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맨 뒤에 시든다는 사실을 아는 법이다. 오늘의 사태가 위급하게 되었으니 그대가 아니면 누가 힘을 떨치고 기이함을 내어 여러 사람들의 마음을 격동시키겠는가?”
因與之飮酒 以示殷勤 丕寧子再拜云 “今於稠人廣衆之中 獨以事屬我 可謂知己矣 固當以死報之.”
인여지음주 이시은권 비녕자재배운 “금어조인광중지중 독이사속아 가위지기의 고당이사보지.”
이어 그와 함께 술을 마시면서 은근한 마음을 보이니, 비녕자가 두 번 절하고 말했다. “지금 수많은 사람 중에 유독 저에게 일을 맡기시니 저를 알아주신다고 생각합니다. 진실로 죽음으로써 보답하여야 마땅할 것입니다.”
出謂奴合節曰 “吾今日上爲國家 下爲知己 死之 吾子擧眞 雖幼年 有壯志 必欲與之俱死 若父子倂命 則家人其將疇依 汝其與擧眞好收吾骸骨 歸以慰母心.”
출위노합절왈 “오금일상위국가 하위지기 사지 오자거진 수유년 유장지 필욕여지구사 약부자병명 즉가인기장도의 여기여거진호수오해골 귀이위모심.
비녕자가 밖으로 나와 종 합절(合節)에게 말했다. “내가 오늘 위로는 나라를 위하고 아래로는 나를 알아주시는 이를 위해 죽을 것이다. 나의 아들 거진(擧眞)이 비록 나이가 어리지만 장한 뜻이 있어서 틀림없이 나와 함께 죽으려 할 것이다. 만약 아비와 아들이 함께 죽는다면 집안 사람이 앞으로 누구를 의지하겠느냐? 너는 거진과 함께 나의 해골을 잘 거두어 돌아가서 제 어미의 마음을 위로하라.”
言畢 卽鞭馬橫槊 突賊陣 格殺數人而死 擧眞望之欲去 合節請曰 “大人有言 令合節與阿郞還家 安慰夫人 今子負父命棄母慈 可謂孝乎?”
언필 즉편마횡삭 돌적진 격살수인이사 겨진망지욕더 합절청왈 “대인유언 영합절여아랑환가안위부인 금자부부명기모자 가위효호?”
말을 마치고 그는 곧 말을 채찍질하여 창을 비껴들고 적진으로 돌격하여 몇 명을 쳐죽이고 자신도 죽었다. 거진이 이 모습을 보고 달려 나가려고 하니 합절이 말하였다. “대인께서 저에게 말씀하시기를 도련님과 함께 집으로 돌아가서 부인마님을 편안히 위로하라고 하셨습니다. 이제 아들이 아버지의 명령을 어기고 어머니의 자애를 저버린다면 효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執馬轡不放 擧眞曰 見父死而苟存 豈所謂孝子乎 卽以劒擊折合節臂 奔入敵中戰死 合節曰 私天崩矣 不死何爲. 亦交鋒而死.
집마비불방 거진왈 “견부사이구존 이소위효자호?” 즉이검격절합절비 분입적중전사. 합절왈 “사천붕의 불사하위?” 역교봉이사.
합절이 말고삐를 잡고 놓지 않자, 거진이 말하였다.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것을 보고도 구차하게 산다면 어찌 효자라고 할 수 있겠느냐?”곧 칼로 합절의 팔을 쳐 자르고 적진으로 달려 들어가 싸우다가 죽었다. 합절이 말하였다. “나의 주인들이 모두 돌아가셨는데 죽지 않으면 무엇을 하겠는가?” 그리고 그도 역시 싸우다가 죽었다.
軍士見三人之死 感激爭進 所向挫鋒陷陣 大敗賊兵 斬首三千餘級. 庾信收三屍 脫衣覆之 哭甚哀.
군사견삼인지사 감격쟁진 소향절봉함진 대패적병 참수삼천여급. 유신수삼시 탈의복지 곡심애.
군사들이 이 세 사람의 죽음을 보고 감격하여 앞을 다투어 진격하니 향하는 곳마다 적의 예봉을 꺾고 진지를 함락시켰으며, 적군을 크게 깨뜨려 3천여 명의 목을 베었다. 유신이 세 사람의 시체를 거두어서 자기의 옷을 벗어 덮어 주고 매우 슬프게 통곡하였다.
大王聞之涕淚 以禮合葬於反知山 恩賞妻子九族尤渥.
대왕문지체루 이에합장어반지산 은상처자구종우악.
대왕이 이 소식을 듣고 눈물을 흘리며 예로써 반지산(反知山)에 합장하고, 처자와 9족에게 은혜로운 상을 더욱 넉넉하게 주었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列傳 第七- 匹夫 (0) | 2020.04.05 |
---|---|
列傳 第七-竹竹 (0) | 2020.04.05 |
列傳 第七- 丕寧子 (0) | 2020.04.04 |
列傳 第七-裂起 (0) | 2020.04.03 |
列傳 第七- 金歆運 (0) | 202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