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志 第一-祭事
1. 신라
按新羅宗廟之制 第二代南解王三年春 始立始祖赫居世廟 四時祭之 以親妹阿老主祭. 第二十二代智證王 於始祖誕降之地奈乙. 創立神宮 以享之 至第三十六代惠恭王 始定五廟 以味鄒王爲金姓始祖 以太宗大王文武大王 平百濟高句麗 有大功德 並爲世世不毁之宗 兼親廟二爲五廟. 至第三十七代宣德王 立社稷壇.
안신라종묘지제 제이대남해왕삼년춘 시립시조혁거세묘 사시제지 이친먀아노주제 제이십이대 지증왕 어시조탄강지지내을 창립신궁 이형지. 지제삼십육대혜공왕 시정오묘 이미추왕위김성시조 이태종댜왕문무대왕 평백제고구려 유대공덕 병위세세불훼지종 겸친묘이위오묘 지제삼십칠대선덕왕 입사직단.
신라의 종묘(宗廟) 제도는 다음과 같다. 제2대 남해왕(南解王) 3년(서기 6) 봄에 처음으로 시조 혁거세(赫居世)의 사당을 세우고 사계절에 맞추어 제사를 지냈는데 친 여동생 아로(阿老)로 하여금 제사를 주관하게 하였다. 제22대 지증왕(智證王) 때에 시조의 탄생지인 내을(奈乙)에 신궁(神宮)을 창립하여 제사를 지냈다. 제36대 혜공왕(惠恭王) 때에 비로소 5묘(五廟)를 제정하였는데, 미추왕(味鄒王)을 김씨의 시조로 세우고 태종대왕(太宗大王)과 문무대왕(文武大王)은 백제와 고구려를 평정한 큰 공덕이 있었다 하여 모두 대대로 제사를 지내는 조상으로 삼고,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사당 둘을 합하여 5묘(五廟)를 만들었다. 제37대 선덕왕(宣德王) 때에 사직단(社稷壇)을 세웠다.
又見於祀典 皆境內山川 而不及天地者 蓋以王制曰 天子七廟 諸侯五廟 二昭二穆與太祖之廟而五. 又曰 天子祭天地天下名山大川 諸侯祭社稷名山大川之在其地者 是故 不敢越禮而行之者歟. 然其壇堂之高下壝門之內外次位之尊卑陳設登降之節尊爵籩豆牲牢冊祝之禮 不可得而推也 但粗記其大略云爾.
우견어사전 개경내산천 이불급천지자 개이왕제왈 천자칠묘 제루오묘 이소이목여태조지묘이오. 우왈 천자제천지천하명산대천 제후제사직명산대천지재기지자. 시고 불감월례이행지자여 연기단당지고하유문지내외차위지존비진설등강지절존작변두생뢰책축지례 불가득이추야 단조기기대략운이.
또한 『사전(祀典)』에 쓰인 것을 보면 국내의 산천에 제사를 지내면서 하늘과 땅의 신에게까지는 지내지 않았다. 『예기』왕제(王制)편에 “천자는 7묘이며 제후는 5묘이니 2소(昭) 2목(穆)과 태조(太祖)의 사당을 합하여 5묘이다.”라고 하였고, 또 “천자는 천지신명과 천하의 명산대천에 제사를 지내며 제후는 사직과 그의 땅에 있는 명산대천에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였으니, 감히 예법에 벗어나지 않고 행하였기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사직단 및 사당의 높이, 사직단 주위의 담과 사당 문의 안팎, 신위 순서의 높고 낮은 것, 제물의 차림과 오르내리는 절차, 술잔과 제기와 제육과 축문 등에 대한 예법은 추측으로만 할 수도 없으므로 그 대략의 내용만을 기록할 뿐이다.
一年 六祭五廟 謂正月二日五日 五月五日 七月上旬 八月一日十五日. 十二月寅日 新城北門 祭八䄍 豊年用大牢 凶年用小牢.
일년 육재오묘 위정월이일오일 오월오일 칠월상순 팔월일일십오일 십이월인일 신성북문 제팔자 풍년용대뢰 흉년용소뢰.
1년에 여섯 번씩 5묘에 제사를 지냈는데 정월 2일과 5일, 5월 5일, 7월 상순, 8월 1일과 15일이었다. 12월 인일(寅日)에는 신성(新城) 북문에서 팔자(八䄍)에 제사를 지내는데, 풍년에는 대뢰(大牢, 소ㆍ양ㆍ돼지)를 흉년에는 소뢰(小牢, 양ㆍ돼지)를 썼다.
立春後亥日 明活城南熊殺谷 祭先農 立夏後亥日 新城北門 祭中農 立秋後亥日 蒜園祭後農 立春後丑日 犬首谷門 祭風伯 立夏後申日 卓渚祭雨師 立秋後辰日 本彼遊村祭靈星[檢諸禮典 只祭先農 無中農後農]
입춘후해일 명활성남웅살곡 제선농 입하후해일 신성북문 제중농 입추후해일 산원제후농 입춘후축일 견수곡문 제풍백 입하후신일 탁저제우사 입추후진일 본피유촌데영성[검제예전 지제선농 무중농후농]
* 先農: 神農.
中農: 양잠(養蠶)의 법을 처음으로 가르쳐 주었다는 황제(黃帝)의 비(妃)인 서릉씨(西陵氏) 선잠(先蠶)의 별칭을 말함. 선농을 식료신(食料神)이라 하면 선잠은 의료신(衣料神)이라 할 수 있음.
後農: 취모(炊母)의 신(神)인 선취(先炊)의 별칭(別稱). 연료취사가 의식주와 더불어 인간 생활에 필요한 것임을 생각하면 선농(先農)인 잠신(蠶神)에 다음가는 신(神)이라 할 수 있음
입춘(立春)이 지나고 들어오는 해일(亥日)에는 명활성(明活城) 남쪽 웅살곡(熊殺谷)에서 선농(先農)에 제사 지내고, 입하(立夏) 지나고 들어오는 해일에는 신성 북문에서 중농(中農)에 제사 지내고, 입추 지나고 들어오는 해일에는 산원(蒜園)에서 후농(後農)에 제사를 지냈다. 입춘 후 축일(丑日)에 견수곡(犬首谷) 어구에서 풍백(風佰)에게 제사 지내고, 입하 후 신일(申日)에 탁저(卓渚)에서 우사(雨師)에게 제사 지내고, 입추 후 진일(辰日)에 본피유촌(本彼遊村)에서 영성(靈星)에 제사를 지냈다.[여러 『예전(禮典)』들을 조사해 봐도 선농에만 제사를 지냈고, 중농과 후농에 제사를 지냈다는 말은 없다.]
三山五岳已下名山大川 分爲大中小祀.
삼산오악이하명산대천 분위대중소사.
3산(三山) 5악(五岳) 이하의 명산대천에 지내는 제사는 대사(大祀), 중사(中祀), 소사(小祀)로 구분하였다.
大祀 三山 一奈歷[習比部] 二骨火[切也火郡] 三穴禮[大城郡].
대사 삼산 이나력[습비부] 이골화[절야화군] 삼혈례[대성군]
대사(大祀)는 3산에서 지냈는데 첫째는 나력산(奈歷山)[습비부], 둘째는 골화산(骨火山)[절야화군], 셋째는 혈례산(穴禮山)[대성군]이다.
中祀 五岳 東吐含山[大城郡] 南地理山[菁州] 西鷄龍山[熊川州] 北太伯山[奈已郡] 中父岳[一云公山 押督郡] 四鎭 東溫沫懃[牙谷停] 南海恥也里[一云悉帝 推火郡] 西加耶岬岳[馬尸山郡] 北熊谷岳[比烈忽郡]. 四海 東阿等邊[一云斤烏兄邊 退火郡] 南兄邊[居柒山郡] 西未陵邊[屎山郡] 北非禮山[悉直郡]. 四瀆 東吐只河[一云槧浦 退火郡] 南黃山河[歃良州] 西熊川河[熊川州] 北漢山河[漢山州] 俗離岳[三年山郡] 推心[大加耶郡] 上助音居西[西林郡] 烏西岳[結已郡] 北兄山城[大城郡] 淸海鎭[助音島].
중사 오악 동토함산[대성군] 남지리산[청주] 서계룡산[웅천주] 북태백산[나이군] 중부악[일운공산 압독군]. 사진 동온말근[아곡정] 남래치야리[일운실제 추화군] 서가야압악[마시산군] 북웅곡악[비열홀군] 사해 동아등변[일운근오형변 퇴화군] 남형변[거칠산군] 서미릉변[미산군] 북비예산[실직군]. 사독 동토지하[일운칠포 퇴화군] 남황산하[삽량주] 서웅천하[웅천주] 북한산하[한산주] 속리악[삼년산군] 추심[대가야군] 상조음거서[서림군] 오서악[결이군] 북형산성[대성군] 청해진[조음도].
중사(中祀)를 지낸 오악은 동쪽의 토함산(吐含山)[대성군], 남쪽의 지리산(地理山)[청주], 서쪽의 계룡산(鷄龍山)[웅천주], 북쪽의 태백산(太伯山)[나이군], 중앙의 부악산(父岳山)[공산이라고도 한다. 압독군]이다. 사진(四鎭)은 동쪽의 온말근(溫沫懃)[아곡정], 남쪽의 해치야리(海恥也里)[실제라고도 한다. 추화군], 서쪽의 가야압악(加耶岬岳)[마시산군], 북쪽의 웅곡악(熊谷岳)[비열홀군]이다. 사해(四海)는 동쪽의 아등변(阿等邊)[근오형변이라고도 한다. 퇴화군], 남쪽의 형변(兄邊)[거칠산군], 서쪽의 미릉변(未陵邊)[시산군], 북쪽의 비례산(非禮山)[실직군]이다. 사독(四瀆)은 동쪽의 토지하(吐只河)[참포라고도 한다. 퇴화군], 남쪽의 황산하(黃山河)[삽량주], 서쪽의 웅천하(熊川河)[웅천주], 북쪽의 한산하(漢山河)[한산주]이다. 이 이외에 속리악(俗離岳)[삼년산군], 추심(推心)[대가야군], 상조음거서(上助音居西)[서림군], 오서악(烏西岳)[결이군], 북형산성(北兄山城)[대성군], 청해진(淸海鎭)[조음도]에서도 중사를 지냈다.
小祀 霜岳[高城郡] 雪岳[䢘城郡] 花岳[斤平郡] 鉗岳[七重城] 負兒岳[北漢山州] 月奈岳[月奈郡] 武珍岳[武珍州] 西多山[伯海郡難知可縣] 月兄山[奈吐郡沙熱伊縣] 道西城[萬弩郡] 冬老岳[進禮郡丹川縣] 竹旨[及伐山郡] 熊只[屈自郡熊只縣] 岳髮[一云髮岳 于珍也郡] 于火[生西良郡于大縣] 三岐[大城郡] 卉黃[牟梁] 高墟[沙梁] 嘉阿岳[三年山郡] 波只谷原岳[阿支縣] 非藥岳[退火郡] 加林城[加林縣 一本有靈嵒山虞風山 無加林城] 加良岳[菁州] 西述[牟梁]
소사 상악[고성군] 설악[수성군] 화악[근평군] 감악[칠중성] 부아악[북한산주] 월나악[월나군] 무진악[무진주] 서다산[백해군 난지가현] 월형산[나토군 사열이현] 도서성[만노군] 동로악[진례군 단천현] 죽지[급벌산군] 웅지[굴자군 웅지현] 악발[발악이라고도 한다. 우진야군] 우화[생서량군 우대현] 삼기[대성군] 훼황[모량] 고허[사량] 가아악[삼년산군] 파지곡원악[아지현] 비약악[퇴화군] 가림성[가림현. 어떤 기록에는 영암산 우풍산은 있으나 가림성은 없다.] 가량악[청주] 서술[모량].
소사(小祀)를 지낸 곳은 다음과 같다. 상악(霜岳)[고성군], 설악(雪岳)[수성군], 화악(花岳)[근평군], 감악(鉗岳)[칠중성], 부아악(負兒岳)[북한산주], 월나악(月奈岳)[월나군], 무진악(武珍岳)[무진주], 서다산(西多山)[백해군 난지가현], 월형산(月兄山)[나토군 사열이현], 도서성(道西城)[만노군], 동로악(冬老岳)[진례군 단천현], 죽지(竹旨)[급벌산군], 웅지(熊只)[굴자군 웅지현], 악발(岳髮)[발악이라고도 한다. 우진야군], 우화(于火)[생서량군 우대현], 삼기(三岐)[대성군], 훼황(卉黃)[모량], 고허(高墟)[사량], 가아악(嘉阿岳)[삼년산군], 파지곡원악(波只谷原岳)[아지현], 비약악(非藥岳)[퇴화군], 가림성(加林城)[가림현. 어떤 기록에는 영암산, 우풍산은 있으나 가림성은 없다.], 가량악(加良岳)[청주], 서술(西述)[모량].
四城門祭 一大井門 二吐山良門 三習比門 四王后梯門. 部庭祭 梁部 四川上祭 一犬首 二文熱林 三靑淵 四樸樹. 文熱林 行日月祭 靈廟寺南 行五星祭 惠樹 行祈雨祭. 四大道祭 東古里 南簷幷樹 西渚樹 北活倂岐. 壓丘祭 辟氣祭 上件 或因別制 或因水旱 而行之者也.
사성문제 일대정문 이토산량문 삼습비문 사왕후제문. 부정제 양부. 사천상제 일견수, 이문열림 삼청연 사박수. 문열림 행일월제 영묘사남 행오성제 혜수 행기우제. 사대도제 동고리 남첨병수 서저수 북활병기. 압구제 벽기제. 상건 혹인별제 혹인수한 이행지자야.
사성문제(四城門祭)는 첫째 대정문(大井門), 둘째 토산량문(吐山良門), 셋째 습비문(習比門), 넷째 왕후제문(王后梯門)에서 지냈다. 부정제(部庭祭)는 양부(梁部)에서 지냈다. 사천상제(四川上祭)는 첫째 견수(犬首), 둘째 문열림(文熱林), 셋째 청연(靑淵), 넷째 박수(樸樹)에서 지냈다. 문열림에서는 일월제(日月祭)를 지냈고, 영묘사(靈廟寺) 남쪽에서는 오성제(五星祭)를 지냈고, 혜수(惠樹)에서는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 사대도제(四大道祭)는 동쪽은 고리(古里), 남쪽은 첨병수(簷幷樹), 서쪽은 저수(渚樹), 북쪽은 활병기(活倂岐)에서 지냈다. 압구제(壓丘祭)와 벽기제(辟氣祭)도 지냈다. 이상과 같은 제사는 특별한 제도에 의하여 지내기도 하였고, 홍수와 가뭄이 발생하였을 때 지내기도 하였다.
2. 고구려
高句麗百濟祀禮不明 但考古記及中國史書所載者 以記云爾.
고구려백제사례불명 단고고기급중국사서소재자 이기운이.
고구려와 백제의 제사 제례는 명확하지 않으므로 다만 고기(古記)와 중국 역사에 쓰여 있는 내용을 상고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後漢書云 高句麗 好祠鬼神社稷靈星. 以十月祭天大會 名曰東盟. 其國東有大穴 號襚神 亦以十月迎而祭之.
후한서운 고구려 호사귀신사직영성. 이시월제천대회 명왈동명. 기국동유대혈 호수신 역이시월영이제지.
후한서(後漢書)에 고구려는 귀신과 사직과 영성(靈星:농업을 맡아본다는 별의 이름 )에 제사 지내기를 좋아하였다. 10월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려고 사람들이 많이 모였는데 이를 동맹(東盟)이라고 한다. 나라의 동쪽에 큰 굴이 있는데 이를 수신(襚神)이라 부르고, 역시 10월에 그 신을 맞이하는 제사를 지낸다고 기록되어 있다.
北史云 高句麗常以十月祭天 多淫祠 有神廟二所 一曰夫餘神 刻木作婦人像 二曰高登神 云是始祖夫餘神之子 竝置官司 遣人守護 蓋河伯女朱蒙云.
북사운 고구려상이시월제천 다음사 유신묘이소 일왈부여신 각목작부인상 이왈고등신 운시시조부여신지자 병치관사 견인수호 개하백여주몽운.
북사(北史)에 고구려는 항상 10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음사(淫祠, 미신에 가까운 제사)가 많았다. 신묘(神廟)는 두 곳인데 하나는 부여신(夫餘神)으로 나무를 깎아 부인상을 만들어 모시고, 다른 하나는 고등신(高登神)인데 이는 시조가 부여신의 아들이어서 그렇다고 한다. 이 두 곳에는 모두 관아를 설치하고 사람을 보내 지키게 하였는데, 하백의 딸과 주몽을 말하는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梁書云 高句麗 於所居之左 立大屋 祭鬼神 冬祠零星社稷.
양서운 고구려 어소거지좌 입대옥 제귀신 동사영성사직.
양서(梁書)에 고구려는 왕궁 왼편에 큰 집을 세우고 귀신에게 제사를 지냈으며, 겨울에는 자잘하게 사직에 제사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唐書云 高句麗俗多淫祠 祀靈星及日箕子可汗等神 國左有大穴 曰神隧 每十月 王皆自祭.
당서운 고구려속다음사 사영성급일기자하한등신 국좌유대혈 왈신수 매십일 왕개자제.
당서(唐書)에 고구려 풍속에는 음사가 많아 영성과 태양, 기자(箕子), 가한(可汗) 등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나라의 동쪽에 큰 굴이 있는데 신수(神隧)라 부르며 10월에는 왕들이 직접 제사를 지낸다고 기록되어 있다.
古記云 東明王十四年 秋八月 王母柳花薨於東扶餘 其王金蛙以太后禮葬之 遂立神廟. 太祖王六十九年 冬十月 幸扶餘 祀太后廟. 新大王四年 秋九月 如卒本 祀始祖廟. 故國川王元年 秋九月 東川王二年 春二月 中川王十三年 秋九月 故國原王二年 春二月 安臧王三年 夏四月 平原王二年 春二月 建武王二年 夏四月 並如上行. 故國壤王九年 春三月 立國社. 又云 高句麗 常以三月三日 會獵樂浪之丘 獲猪鹿 祭天及山川.
고기운 동명왕십사년 추팔월 왕모유화훙어동부여 기왕금와이태후예장지 수립신묘 태조왕육십구년 동시월 행부여 사태후묘. 신대왕사년 추구월 여졸본 사시조묘 고국천왕원년 추구월 동천왕이년 춘이월 중천왕십삼년 추구월 고굴원왕이년 춘이월 안장왕삼년 하사월 평원왕이년 춘이월 건무왕이년 하사월 병여상행. 고국양왕구년 춘삼월 입국사. 우운 고구려 상이삼월삼일 회렵낙랑지구 획저록 제천급산천.
고기(古記)에 동명왕 14년(기원전 24) 가을 8월에 왕의 어머니 유화(柳花)가 동부여(東扶餘)에서 죽자 그 나라의 왕 금와(金蛙)가 태후의 예절을 갖추어 장사 지내고는 신묘(神廟)를 세웠다. 태조왕(太祖王) 69년(서기 121) 겨울 10월에 왕이 부여(扶餘)에 행차하여 태후묘에 제사를 지냈다. 신대왕(新大王) 4년(서기 168) 가을 9월에 왕이 졸본(卒本)에 가서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다. 고국천왕(故國川王) 원년(서기 179) 가을 9월과 동천왕(東川王) 2년(서기 228) 봄 2월과 중천왕(中川王) 13년(서기 260) 가을 9월과 고국원왕(故國原王) 2년(서기 332) 봄 2월과 안장왕(安臧王) 3년(서기 521) 여름 4월과 평원왕(平原王) 2년(서기 560) 봄 2월과 건무왕(建武王) 2년(서기 619) 여름 4월에 모두 위와 같이 제사를 지냈다. 고국양왕(故國壤王) 9년(서기 392) 봄 3월에 국사(國社)를 세웠다. 또 고구려는 항상 3월 3일에 낙랑(樂浪)의 언덕에 모여 사냥대회를 여는데 돼지와 사슴을 잡아 하늘과 산천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다고 기록되어 있다.
3. 백제
冊府元龜云 百濟每以四仲之月 王祭天及五帝之神 立其始祖仇台廟於國城 歲四祠之[按海東古記或云始祖東明 或云始祖優台 北史及隋書皆云 東明之後 有仇台 立國於帶方 此云始祖仇台 然東明爲始祖 事迹明白 其餘不可信也]
책부원귀운 백제매이사중지월 왕제천급오제지신 입기시조구태묘어국성 세사시지[안해동고기 혹운시조동명 혹운시조우태 북사급수서개운 동명지후 유구태 입국어대방 차운시조구태 연동명위시조 사적명백 기여불가신야]
책부원귀(冊府元龜)에 백제는 사계절의 가운데 달마다 왕이 하늘과 5제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으며, 도읍에 시조 구태(仇台)의 사당을 세우고 해마다 네 번 제사를 지낸다고 기록되어 있다.[『해동고기(海東古記)』를 살펴보면 시조는 동명왕이라고 하기도 하고, 시조는 우태(優台)라 하기도 한다고 써있고, 북사(北史)와 수서(隋書)에는 모두 동명왕의 후예 구태가 대방(帶方)에 나라를 세웠다라고 하였다. 여기에는 시조를 구태라 하였으나 동명왕이 시조인 것은 사적에 명백하므로 그 밖의 것은 믿을 수 없다.]
古記云 溫祚王二十年 春二月 設壇祠天地 三十八年 冬十月 多婁王二年 春二月 古尒王五年 春正月 十年 春正月 十四年 春正月 近肖古王二年 春正月 阿莘王二年 春正月 腆支王二年 春正月 牟大王十一年 冬十月 並如上行 多婁王二年 春正月 謁始祖東明廟 責稽王二年 春正月 汾西王二年 春正月 契王二年 夏四月 阿莘王二年 春正月 腆支王二年 春正月 並如上行.
고기운 온조왕이십년 춘이월 설단사천지 삼십팔년 동시월 다루왕이년 춘이월 고이왕오년 춘정월 십년 춘정월 십사년 춘정월 근초고왕이면 춘정월 아달왕이년 춘정월 전지왕이년 춘정월 모대왕십일년 동시월 병여상행 다루왕이년 춘정월 알시조동명묘 적계왕이년 춘정월 분사왕이년 춘정월 계왕이년 하사월 아달왕이년 춘정월 전지왕이년 춘정월 병여상행.
고기(古記)에 “온조왕(溫祚王) 20년(서기 2) 봄 2월에 단을 설치하여 천지신명에 제사를 지냈다. 온조왕 38년 겨울 10월, 다루왕(多婁王) 2년(서기 29) 봄 2월, 고이왕(古尒王) 5년(서기 238) 봄 1월과 10년 봄 1월 및 14년 봄 1월, 근초고왕(近肖古王) 2년(서기 347) 봄 1월, 아신왕(阿莘王) 2년(서기 393) 봄 1월, 전지왕(腆支王) 2년(서기 406) 봄 1월, 모대왕(牟大王) 11년(서기 489) 겨울 10월에 모두 위와 같이 제사 지냈다. 다루왕 2년 봄 1월에 시조 동명왕 사당에 배알하였으며 책계왕(責稽王) 2년(서기 287) 봄 1월, 분서왕(汾西王) 2년(서기 299) 봄 1월, 계왕(契王) 2년(서기 345) 여름 4월, 아신왕 2년 봄 1월, 전지왕 2년 봄 1월에도 모두 이와 같이 제사를 지냈다 기록되어 있다.
'三國史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志 第二- ⾊服 (0) | 2020.02.26 |
---|---|
雜志 第一-樂 (0) | 2020.02.24 |
年表 (0) | 2020.02.22 |
百濟本紀 第六-義慈王 (0) | 2020.02.20 |
百濟本紀 第五-武王 (0) | 2020.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