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먹물냄새
검색하기

블로그 홈

먹물냄새

mukmooli.tistory.com/m

白頭翁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魯襄公 一 公名午공명오 공의 이름은 오이다 成公子 母定姒성공자 모정사 성공의 아들로 어미는 정사(성공의 첩)이다.  諡法因事有功曰襄 辟土有德曰襄시법인사유공왈양 벽토유덕왈양 임금의 호칭을 정하는 시법(諡法)에 사리분별을 잘하거나 외진 곳까지 덕을 펼치면 양이라는 시호를 받는다. 周 簡王十四年 魯襄公二[元]年 簡王崩 子靈王立주 간왕십사년 노양공이[원]년 간왕붕 자영왕립 주나라 간왕 14년은 노나라 양공 2년인데 간왕이 붕어하고 아들 영왕이 즉위하였다.  襄二十八年 靈王崩 子景王立양이십팔년 영왕붕 자경왕립 양공 28년 영왕이 붕어하고 아들 경왕이 즉위하였다.  鄭 成公十三年 魯襄公二年 成公卒 子僖公髡頑立정 성공십삼년 노양공이년 성공졸 자희공곤완립 장나라 성공 13년은 노나라 양공 2년이었는데 성공이 죽고 아들 희공(곤완..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8. 11.
  • 魯成公 下 11년 [經]十有一年春王三月 公至自晉 [傳]十一年春王三月 公至自晉 晉人以公爲貳於楚 故止公 公請受盟 而後使歸 십일년춘왕삼월 공지자진 진인이공위이어초 고지공 공청수맹 이후사귀 11년 봄 주왕력 3월 성공이 진나라에서 돌아왔는데 진나라 사람들이 성공이 초나라와 양다리 걸친다고 생각하여 억류했던 탓이다. 성공이 동맹을 맺자고 청하니 돌아가도록 해준 것이다. [經]晉侯使郤犫來聘 己丑 及郤犫盟 진후사극주래빙 을축 급극주맹 진나라 지도자가 극구로 하여금 노나라로 오게하여 을축일 극주와 동맹서를 작성하였다 [傳]郤犫來聘 且涖盟 극주래빙 차리맹 극주가 방문하여 다시 확인차 리맹하였다. * 涖盟 : 涖盟은 相對國에 가서 結盟하는 것이다. 涖는 位이다. 我國이 相對國과 協商해 結盟하기로 決定한 뒤에 我國이 相對國에 大夫를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3. 23.
  • 魯成公 上 魯成公 公名黑肱 宣公子 諡法安民立政曰成 공명흑굉 선공자 시법안민입정왈성 성공의 이름은 흑굉이고 선공의 아들이다 시호법에 백성을 편안케하고 정권을 안정시키면 성이란 시호를 붙인다. 당시 주변국과의 상황 周 定王十七年 魯成公五年 定王崩 子簡王立 주 정왕십칠년 노성공오년 정왕붕 자간왕립 주나라 정왕 17년은 노성공 5년인데 정왕이 죽고 아들 간왕이 등극하다. 鄭 襄公十五年 魯成公四年 襄公卒 悼公費立 成六年 悼公卒 弟成公㫻立 정 양공십오년 노성공사년 양공졸 도공비립 성육년 도공졸 제성공곤립 정나라 양공 15년은 노나라 성공 4년인데 양공이 죽고 도공 비가 등극하였으나 성공 6년 죽고 동생 성공 곤이 등극하였다. 齊 頃公九年 魯成公九年 頃公卒 子靈公環立 제 경공구년 노성공구년 경공졸 자영공환립 제나라 경공 9년은..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2. 13.
  • 魯宣公 下 노선공 12년 [經]十有二年春 葬陳靈公 십유이년춘 장진영공 12년 봄 진나라 영공의 장례가 있었다. [經]楚子圍鄭 초자위정 초나라가 정나라를 포위하였다. [經]夏六月乙卯 晉荀林父帥師及楚子戰于邲 晉師敗績 하유월을묘 진순임보수사급초자전우필 진사패적 여름 6월 을묘일 진나라 순임보가 병력을 이끌고 초나라 자작과 필에서 싸웠으나 연패하였다. [經]秋七月 추칠월 가을 7월까지.... [經]冬十有二月戊寅 楚子滅蕭 동십유이월무인 초자멸소 겨울 12월 무인일에 초나라 지도자가 소나라를 멸망시켰다 [經]晉人宋人衛人曹人同盟于淸丘 진인송인위인조인동맹우청구 진나라 송나라 위나라 조나라가 청구에서 동맹하였다. [經]宋師伐陳 衛人救陳 송사벌진 위인구진 송나라가 진나라를 정벌하자 위나라가 진나라를 구원하다. 傳 [傳]十二年春 楚子..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1. 26.
  • 魯宣公 魯宣公 노선공 公名倭 一名接 又作委 공명왜 일명접 우작위 공의 이름은 왜이며 일명 접 또는 위로 쓴다. 文公子 母敬嬴 문공자 모경영 문공의 아들이요 어미는 경영이다 諡法 善問周達曰宣 시법 선문주달왈선 시호를 붙일때 모르면 묻고 두루 통달한 사람을 선이라 붙인다. 周 匡王五年 魯宣公二年 匡王崩 弟定王立 주 광왕오년 노선공이년 광왕붕 제정왕립 주나라 광왕 5년은 노나라 선공 2년과 같은데 광왕이 붕어하고 동생 정왕이 위를 이었다. 鄭 穆公二十年 魯宣公三年 穆公卒 靈公夷立 정 목공이십년 노선공삼년 목공졸 영공이립 정나라 목공 20년은 노나라 선공 3년과 같은데 목공이 죽고 영공 이가 위를 이었다. 宣四年 靈公弑 弟襄公堅立 선사년 영공시 제양공수립 선공 4년 영공이 시해당하고 동생 양공 수가 위를 이었다. 齊 ..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1. 12.
  • 魯文公 公名興 僖公子 母聲姜 諡法慈惠愛民曰文 忠信接禮曰文 공명흥 희공자 모성강 시법자혜애민왈문 충신접례왈문 공의 이름을 흥이고 희공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성강이다 시호법에 따르면 백성들에게 자애롭고 백성들을 사랑하면 문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예법이 있어 충성스럽고 신실한 왕도 문이라는 시호를 붙이는 법이다. 周 襄王二十六年 魯文公八年 襄王崩 子頃王立 주 양왕이십육년 노문공팔년 양왕붕 자경왕립 노 문공 8년은 주나라 양왕 26년이고 양왕이 붕어하고 아들 경왕이 위를 이엇다. 文十四年 頃王崩 子匡王立 문십사년 경왕붕 자광왕립 문공 14년 경왕이 붕어하니 아들 광왕이 위를 이엇다. 鄭 穆公二年, 齊 昭公七年 魯文公十四年 昭公卒 子舍立 九月 舍弑 懿公商人立 정 목공이년, 제 소공칠년 노문공십사년 소공졸 자사립 구월 사시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 10.
  • 魯 僖公 魯 僖公 公名申 莊公之子 閔公之兄 諡法 小心畏忌曰僖 공명신 장공지자 민공지형 시법 소심외기왈희 희공의 이름은 신이요 장공의 아들이며 민공의 형이다. 시호법에 따르면 소심하고 걱정이 많으면 희라 붙인다. 周 惠王十八年 魯僖公八年 惠王崩 子襄王立 주 혜공십팔년 노희공팔년 혜왕붕 자양왕립 주나라 혜공 18년은 노나라 희공 8년이고 혜왕이 붕어하자 아들 양왕이 왕위에 올랐다. 鄭 文公十四年 魯僖公三十二年 文公卒 子穆公驩立 정 문공십사년 노희공삼십이년 문공졸 자목공환립. 노나라 희공 32년 정나라 문공 14년에 문공이 죽고 아들 목공 환이 위에 올랐다. 齊 桓公二十七年 魯僖公十七年 桓公卒 寺人貂作亂立無虧 제 환공이십칠년 노희공십칠년 환공졸 시인초작난입무휴 노희공 17년은 제나라 환공 27년이고 환공이 죽고 시종(..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 7.
  • 春秋 世系圖 소위 춘추시대 각 나라들의 족보를 살피게 된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은 나라 紂王을 벌한 周나라 武王은 따지면 黃帝씨 후손이라는..... 周나라 은나라 紂왕은 달기의 청을 받아들여 주지육림酒池肉林을 만들어 수많은 알몸의 남녀들을 데리고 질탕하게 놀아제끼니 백성들이 원망하고 제후들 중에 이반하는 자가 생겼다. 그러자 紂왕은 무거운 형벌로 대응하는데, 포락의 형炮烙之刑이다. 紂왕의 음란함과 포악함은 날로 심해졌고, 충신들의 간언은 아무 소용이 없었고 충신들은 상나라를 떠났습니다. 죽음을 무릅쓰고 계속해서 간언한 비간比干은 심장이 꺼내져 죽임을 당했습니다. 백성의 원망은 높아져가고 제후들도 주왕에게 등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반면, 덕을 베풀고 선정을 행하던 서백창西伯昌(훗날 주나라 문왕)이 제후들의 지..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31.
  • 春秋國名圖 春秋國名圖 周나라 周 姬姓 后稷之後 주 희성 후직지후 주나라는 희씨성이요 후직씨의 후손이다. 后稷封於邰 夏衰 后稷子不窋 失官竄西戎 후직봉어태 하쇠 후직자불줄 실관찬서융 후직이 태에 봉해지고 후직의 아들 불줄이 관직을 잃고 서융으로 숨어들었다. 其孫公劉徙邠 기손공유사빈 그 손자 공유가 빈으로 이주하였다. 傳九世至太王 爲狄所逼 去邠居岐 전구세지태왕 위적소핍 거빈거기 9세대를 전승하고 적(오랑캐)를 핍박하고 빈의 골짜기에 거하였다. 文王受命 作邑於豊 武王克商 定都於鎬 문왕수명 작읍어풍 무왕극상 정도어호 문왕이 천명을 받아 풍에 도읍하고 무왕이 상나라를 이겨 호에 도읍하니 주나라의 시작이다. 平王遷都王城 敬王又遷成周 평왕천도왕성 경왕우천성주 평왕이 왕성을 천도하고 경왕이 다시 천도하여 비로소 주나라의 꼴이 갖춰..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26.
  • 春秋類例 春秋類例 郊廟類(郊: 天祭, 廟: 宗廟祭) 郊 3회 : 成公17년 定公15년 哀公원년 卜郊不從 4회 : 僖公31년 성공10년 襄公7년 양공11년 不郊 4회 : 宣公3년 성공7년 성공10년 양공11년 猶三望 3회 : 희공31년 선공3년 성공7년 (중국에서 왕후(王侯)가 영내에 있는 산천(山川)의 신을 멀리 바라보며 제사지내는 것) 免牲 3회 : 희공31년 성공7년 양공7년 (희생물을 죽이지 않고 풀어주는 것) 改卜牛 4회 : 선공3년 성공7년 정공15년 애공원년 (희생에 쓸 소에 문제가 생겨 다시 점쳐 선별하는 일) 用牲于社 4회 : 장공25년 夏‧秋, 장공30년 문공15년 (희생제를 드리는 것) 雩 21회 : 桓公5년 희공11년 희공13년 성공3년 성공7년 양공5년 양공8년 양공16년 양공17년 양공28..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22.
  • 春秋紀年圖 春秋之始 周平王宜臼四十九年 魯隱公息姑元年 蔡宣公考父二十八年 曹桓公終生三十五年 衛桓公完十三年 晉鄂侯郄二年 曲沃莊伯鮮十一年 鄭莊公寤生二十二年 燕穆侯七年 齊僖公祿父九年 秦文公四十四年 楚武王熊通十九年 宋穆公和七年 杞武公二十九年 陳桓公鮑二十三年 춘추지시 주령왕의구가십구년 노은공식고원년 채선공고보이십팔년 조환공종생삼일년 위환공완십삼년 진악후극이년 곡옥장백선십일년 정장공오생이십이년 연목후칠년 제희공록보구면 진문공사십사년 초무광웅통십구년 송목공화칠년 기무공이십구년 진환공포이십삼년 春秋時代로 들어선 첫해는 周 平王 宜臼 49년, 魯 隱公 息姑 원년, 蔡 宣公 考父 28년, 曹 桓公 終生 35년, 衛 桓公 完 13년, 晉 鄂侯 郄 2년, 曲沃 莊伯 鮮 11년, 鄭 莊公 寤生 22년, 燕 穆侯 7년, 齊 僖公 祿父 9년,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21.
  • 魯閔公 魯閔公 閔元庚申 魯閔公啓方元 민원경신 노민공계방원 閔公 원년 경신(B.C.661)년에 魯閔公 啓方의 즉위 원년이다. 曹昭公班元 조소공반원 曹나라 昭公 班의 즉위 원년이다. 齊救邢 제구형 齊나라가 邢나라를 救援하다. 魯齊盟落姑 노제맹낙고 魯나라 閔公이 齊侯와 落姑에서 결맹하다. 季子來歸 계자래귀 季子가 돌아오다. 齊仲孫來魯 제중손래노 齊나라 仲孫이 魯나라에 오다. 晉作二軍滅耿霍魏 진작이군멸경곽위 晉이 2軍을 만들어 耿, 霍, 魏나라를 멸하다. 辛酉 齊人遷陽 신유 제인천양 2년 신유(B.C.660)년 齊나라 사람을 陽으로 이주시키다. 魯慶父弑公 노경보시공 魯나라 慶父가 閔公을 시해하다. 夫人姜氏孫邾 부인강씨손주 夫人 姜氏(魯夫人)가 邾로 도망가다. 慶父奔莒而死 경보분거이사 慶父가 莒로 도망갔다가 〈스스로 목..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21.
  • 魯莊公 魯莊公 莊元戊子 魯莊公同元 장원무자 노장공동원 莊公의 제위 원년인 무자(B.C.693)년은 魯나라 莊公에게도 원년이다. 鄭子儀元 정자의원 鄭나라 公子 儀의 원년이다. 魯夫人孫齊 노부인손제 魯 夫人이 齊나라로 도망가다. 周單伯送王姬于齊 주선백송왕희우제 周나라 정승 單伯이 齊나라로 出嫁하는 王姬를 호송해 魯에 오다. 陳侯林卒 진후임졸 陳의 제후 林이 졸하다. 周榮叔來魯錫桓公命 주영숙래노사환공명 周王이 大夫 榮叔을 魯에 보내어 桓公에게 命을 전했다. 己丑 陳宣公杵臼元 기축 진선공저아원 2년 기축(B.C.692) 陳나라 宣公 杵臼의 원년이다. 魯伐於餘丘 노벌어여구 魯公子 慶父가 餘丘를 치다. 魯夫人會齊侯于禚 노부인회제후우작 魯夫人이 禚에서 齊侯와 만나다. 宋公馮卒 송공풍졸 宋公 馮이 졸하다. 庚寅 宋閔公捷元 경..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21.
  • 魯桓公 魯桓公 桓元庚午 魯桓公允元 환원경오 노환공윤원 桓公 원년 경오(B.C.711) 魯桓公 允의 원년이다. 魯鄭會垂易祊田 又盟越 노정회수역팽전 우맹월 魯桓公이 垂에서 鄭伯과 만나 許田을 祊田과 바꾸고, 또 越과 결맹하다. 燕穆侯卒 연목후졸 燕나라 穆侯가 졸하다. 辛未 燕宣侯元 신미 연선후원 2년 신미(B.C.710) 燕나라 宣侯의 원년이다. 宋督弑其君與夷 송독시기군여이 宋督이 그 임금 與夷를 시해하다. 滕朝魯 등조노 滕나라 公子가 魯에 와서 조례에 참여하다. 魯會諸侯于稷成宋亂 노회제후우직성송란 魯桓公이 諸侯와 稷에서 만나 宋의 叛亂에 대한 平定策을 商議하다. 取郜鼎 취고정 郜鼎을 취해 오다. 杞朝 기조 杞侯가 魯에 와서 조현하다. 蔡鄭會鄧 始懼楚 채정회등 시구초 蔡侯와 鄭伯이 鄧에서 회견하였으니 이는 楚를 두..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21.
  • 魯隱公 魯隱公 公名息姑 공명식고 公의 이름은 息姑이다. 魯惠公之子 姬姓侯爵 自周公伯禽始受封 傳世一十三 而至隱公 攝主國事 諡法 不尸其位曰隱 노혜공지자 희성후작 자주공백금시수봉 전세일십삼 이지은공 섭주국사 시법 불시기위왈은 魯惠公의 아들로 姬姓이고 侯爵이다. 周公의 아들 伯禽이 처음 封해진 뒤로 13대를 전하여 隱公에 이르러 攝位하여 國事를 代理하였다. 諡法(시호를 정하는 법)에 그 자리에 앉아 그 직책을 다한 것을 ‘隱’이라 한다. 周文武開基 始都豐鎬 幽厲板蕩 平王東遷洛陽 盡擧故都 而棄之秦 所謂東周也 於是王室微弱 주문무개기 시도풍호 유려반탕 평왕동천낙양 진거고도 이기지진 소위동주야. 어시왕실미약 周나라는 文王‧武王이 基業을 열어 비로소 豐鎬에 도읍하였는데, 幽王, 厲王이 정치를 잘못하여 나라가 어지럽자, 平王이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6.
  • 春秋左氏傳- 序文 晉杜預元凱 序 진두예원개 서 진나라 두예(원개는 號)가 붙인 서문 春秋者 魯史記之名也 춘추자 노사기지명야 春秋는 魯나라 史書의 명칭이다. 記事者 以事繫日 以日繫月 以月繫時 以時繫年 所以紀遠近別同異也 기사자 이사계일 이일계월 이월계시 이시계년 소이기원근별동이야. 事件을 기록하는 자가 사건을 그 사건이 일어난 날짜에 의해 기록하고, 날짜를 그 달에, 달을 그 철에, 철을 그 해에 의해 기록하였으니, 이는 그 年月의 遠近을 기록하여 사건의 異同을 구별하기 위함이다. 故史之所記 必表年以年首事 年有四時 고사지소기 필표년이년수사 연유사시 그러므로 史官의 기록은 반드시 연대와 으뜸가는 소식을 전하였고 1년은 사시사철이 있다. 故錯擧以爲所記之名也 고착거이위소기지명야. 고로 춘추란 이름은 계절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周..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11. 8.
  • 36계 * 勝戰計(승전계) 승전계(勝戰計)란 승리할 수 있는 조건이 충분히 구비되었을 때 취하는 작전을 의미한다. 적군과 아군 전력에 관계없이 주도면밀한 계획과 기발한 지략으로 필승의 전세를 굳힌다. 第 1 計 瞞天過海(만천과해) : 하늘(왕)을 속여 바다를 건너다. 備周則意怠 常見則不疑 陰在陽之內 不在陽之對 太陽太陰. 비주즉의태 상견즉불의 음재양지내 부재양지대 태양태음. 두루 준비된 자는 지쳐서 쉴 것을 생각하는 법이다. 눈에 익은 것에는 방심하고 의심하지 않는 법이고.... 어두운 면은 밝은 면에 가려져 있는 것이지 밝고 어두움 으로 맞선 것 아니다. 큰 밝음은 큰 어두움이다. '만천과해'의 원뜻은 낯 선 현장에 적응 못하는 우두머리를 속여 무사히 바다를 건넌다는 뜻으로, 현장 감각의 중요성을 말하는 것이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10. 17.
  • 孫子兵法 孫子兵法 第一篇 計. 孫子曰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손자왈 병자 국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 손자가 말하기를 “전쟁(싸움)은 나라의 큰일이요, 생사의 갈림길이요, 존속과 멸망의 길이니 살피지 않을 수 없다." 兵者 詭道也, 병자 궤도야 싸움은 속임수이다. 故能而示之不能, 고능이시지불능 그러므로 능하면서도 능하지 않은 것처럼 보여준다. 用而示之不用, 용이시지불용 쓰면서도 쓰지 않는 것처럼 보여준다. 近而示之遠 遠而示之近, 근이시지원 원이시지근 가까이 있으면서도 멀게 보이게 하고, 멀리 있으면서도 가깝게 보이게 한다. 利而誘之, 이이유지 이롭게 하여 유인한다. 亂而取之, 난이취지 어지럽게 하여 취한다. 實而備之, 실이비지 실하면 대비한다. 强而避之, 강이피지 강하면 피한다. 怒而..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0. 9.
  • 澄心錄追記-金時習 澄心錄追記-金時習 第一章 澄心錄者 雲窩朴公家世傳之書 其鼻祖觀雪堂堤上公之所述也 後代宗嗣諸人 復寫相傳千有餘年 其珍重如何哉 징심록자 운와박공가세전지서 기비조관걸당제상공지소술야 후대종사제인 복사상전천유여년 기진중여하재? 징심록은 운와 박공 집안에 대대로 전해져 온 책으로, 그 비조이신 관설당 박제상공이 지은 것이다. 후대를 이은 종사의 여러 인물들이 필사하여 서로 전해 내려온게 천년이 넘었으니, 그 귀하고 중함이 과연 얼마이겠는가? 噫 吾家先世卜好公 曾受大恩於公而千載之下 又作隣於公裔之家 來往如一家 接遇如同族. 余又受業于高門而當此世路之末由與公之裔更結歲寒之盟 浪跡於千里之外. 此天耶命耶 想緬古今 展懷惻惻 今讀此書 忽然在於千載之上如謁於公 而尤不勝感慕於吾家先世之羅代也. 의 오가선게복호공 증수대은어공이천재지하 우작인어공예..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0. 1.
  • 符都 誌 '부도'는 하늘의 뜻에 맞는 나라, 또는 그 나라의 서울이라는 뜻... 符都 誌 第一章 麻姑 麻姑城 地上最高大城 奉守天符 繼承先天, 成中四方 有四位天人 堤管調音 長曰 黃穹氏 次曰 白巢氏 三曰 靑穹氏 四曰 黑巢氏也. 마고성 지상최고대성 봉수천부 계승선천, 성중사방 유사위천인 제관조음 장왈 황궁씨 차왈 백소씨 삼왈 청궁씨 사왈 흑소씨야 마고성은 지상의 가장 으뜸인 성이니 천부(하늘의 재가)를 받아 선천(앞 선 세대)를 이어간다. 성안 사방에 4명의 천인(하늘 사람:지혜자:현자)들이 있어 堤管調音(諸:모두로 보아 모두 음을 조율=다스리니) 맏이 황궁 황궁(黃穹)씨요, 둘째는 백소(白巢)씨요, 셋째는 청궁(靑穹)씨요, 넷째는 흑소(黑巢)씨였다. 兩穹氏之母曰穹姬 兩巢氏之母曰巢姬 二姬 皆麻姑之女也. 麻姑 生於朕世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24.
  • 발해고 5-國語考, 國書考,屬國考 國語考 王曰可毒夫 曰聖王 曰基下 命曰敎 왕왈가독부 왈성왕 왈기하 명왈교 왕을 가독부, 성왕, 기하라 부르며, 왕의 명령을 교라 한다. 王之父老王 母曰太妃 妻曰貴妃 長子曰副王 諸子曰王子 官品曰秩 왕지부노왕 모왈태비 처왈귀비 장자왈부왕 제자왈왕자 관품왈질, 왕의 아버지를 노왕, 어머니를 태비, 처를 귀비라 하고, 맏아들을 부왕, 나머지 아들들을 왕자라 한다. 관품을 질이라 한다. 國書考 武王與日本國聖武天皇書 무왕여일본국성무천황서. 무왕이 일본국 성무천왕에게 보내는 국서 武藝啓 山河異域 國土不同 延聽風猷 但增頃仰. 무예계 산하이역 국토부동 연청풍유 단증경앙. 무예가 씁니다. 산과 물이 다르고 나라 땅이 다르지만, 대왕의 교화(風猷)를 들으니, 고개 숙여 우러르는 마음이 더할 뿐이었습니다. 伏惟大王 天朝受命 日..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21.
  • 渤海考 4- 儀章考, 物産考 儀章考 三秩以上 紫衣牙笏金魚 삼질이상 자의아홀금어. 3질 이상은 자주색 관복에 상아홀(허리에 끼우거나 들고 다니는 조그만 판 같은 것)과 금어대(허리에 차는 장식품)를 휴대한다. 五秩以上 緋衣牙笏銀魚 오질이상 비의아홀은어 5질 이상은 주홍색 명주 관복에 상아홀과 은어대를 휴대한다. 六秩七秩 淺緋衣木笏 육질칠질 천비의목홀 6질과 7질은 엷은 주홍색 관복에 나무홀을 휴대한다. 八秩 綠衣木笏 팔질 녹의목홀 8질 이상은 녹색 관복에 나무홀을 휴대한다. 遼天顯四年 太宗幸遼陽 使人皇王 備乘輿羽衛以迎 乾享五年 聖宗巡東京 留守具儀衛迎車駕 盖故渤海儀衛云. 요쳔현사년 태종행요양 사인황왕 비승여우위이영 건형오년 성종순동경 유수구의위영거가 개고발해의위운, 요나라 천현 4년(929) 태종이 요양에 행차하였을 때, 인황왕으로 하..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21.
  • 渤海考 3- 職官考 職官考 文職(문직) 宣詔省 左相 左平章事 侍中 左常侍 諫議 선조성 : 좌상, 좌평장사, 시중, 좌상시, 간의 中臺省 右相 右平章事 內史 詔誥舍人 중대성 : 우상, 우평장사, 내사, 조고사인 政臺省 內閣相(居左右相上) 左司政 右司政(比僕射, 居左右平章事之下) 左允 右允(比二丞) 정당성(政堂省) : 대내상(大內相)(좌상과 우상 위에 둔다), 좌사정과 우사정(당나라의 복야에 해당하며 좌, 우평사의 아래에 둔다), 좌윤과 우윤(당나라의 두 승에 해당한다). 忠部 卿(居司政下) 충부 : 경(사정의 아래에 둔다) 仁部 卿 인부 : 경 義部 卿(忠仁義部謂之左六司) 의부 : 경(충부, 인부, 의부를 일컬어 좌육사라 한다) 爵部 郎中 員外 작부 : 낭중, 원외 倉部 郎中 員外 창부 : 낭중, 원외 膳部 郎中 員外(幷左史..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20.
  • 渤海考 2- 地理考 地理考(지리고) 五 京(5경) 上京 龍泉府(상경 용천부) 中京 顯德府(중경 현덕부) 東京 龍原府(동경 용원부) 南京 南海府(남경 남해부) 西京 鴨綠府(서경 압록부) 十 五 府(15부) 龍泉府 肅愼古地. 용천부 숙신고지. 용천부 숙신 옛 땅이다. 顯德府 肅愼古地在龍泉府南. 현덕부 숙신고지재용천부남. 현덕부 숙신 옛 땅 용천부의 남쪽이다. 龍原府 濊貊古地亦曰 柵城府爲日本道. 영원부 예맥고지역왈 책성부위일본도. 용원부 예맥의 옛 땅으로 다른 말로 책성부이며 일본가는 길이 있다. 南海府 沃沮古地爲新羅道. 남해부 옥저고지위신라도. 남해부 옥저 옛 땅으로 신라가는 길에 있다. 鴨綠府 高句麗古地爲朝貢道. 압록부 고구려고지위조공도. 압록부는 고구려의 옛 땅으로 조공가는 길이다. 長嶺府 高句麗古地爲營州道. 장령부 고구려..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18.
  • 渤海考1-저자소개, 王系와 臣下 柳 得 恭著 저자의 소개 柳得恭/1749~1807) 조선 정조 때의 북학파(北學派), 4검서(檢書: 오늘날 책을 검수하는 직책)의 한 사람. 한문학사(漢文學史)에서도 4가(家)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관 문화(文化). 자 혜풍(惠風)․혜보(惠甫). 호 영재(泠齋)․영암(泠菴)․가상루(歌商樓)․고운당(古芸堂)․고운거사(古芸居士)․은휘당(恩暉堂) 등이다. 증조부와 외조부가 서자였기 때문에 서얼 신분으로 태어났다. 부친이 요절하여 모친 아래에서 자랐고, 18,9세에 숙부인 유련(柳璉)의 영향을 받아 시짓기를 배웠으며, 20세를 지나 박지원(朴趾源)․이덕무(李德懋)․박제가(朴齊家)와 같은 북학파 인사들과 교유하기 시작하였다. 1774년(영조 50)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생원(生員)이 되었고, 정조..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9.
  • 契丹古傳 거란고전을 읽어갑니다. 그저 읽어보고픈 글들 읽는 것이고... 학술적인 주장하자는 글 아닙니다. 祖光 濱名寬祐가 지은 契丹古傳(거란고전)의 주석서인 契丹古傳詳解 중에서 거란고전의 원문으로 보이는 것들만 뽑아 해석한 것입니다. 제가 契丹古傳(거란고전)의 영인본 직접 본적은 없으므로 濱名寬祐이 판독한 한자에 근거하여 해석하였습니다. 그리고 띄어쓰기와 쉼표와 마침표 등은 본인이 임의로 찍은 것이므로 잘못번역될 수도 있다는 점을 양지해주시기 바랍니다. 장(章)은 契丹古傳詳解을 지은자가 붙인 것이지만 편의상 이에 따릅니다. 알수 없는 고유명사들이 많이 나오고, 알지 못했던 새로운 기록들이 보이는데, 이에 대해서 여러분의 좋은 생각들을 기다립니다. 제1장. 鏡 曰若稽諸傳 有之曰 “神者 耀體 無以能名焉. 維鑑能象,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9. 3.
  • 太白逸史-高麗國 本紀 高麗國本紀 太祖神聖大王天授二年 定都于松岳之陽. 二十六年 御製訓要 其略曰 “惟我東方 舊慕唐風 文物禮樂 悉遵其制 殊方異土 人性各異 苟必不同.” 태조신성대왕천수이년 정도우송악지양. 이십육년 어제훈요 기략왈 “유아동방 구모당풍 문물예악 실준기제 수방이토 인성각이 구필부동.” 태조 신성대왕 천수 2년(919) 송악의 남쪽에 도읍을 정하였다. 26년 훈요를 지으셨는데, 대략 이러하다. “생각컨대 우리 동방이 예로부터 당풍을 사모하여 문물과 예악이 모두 그 법을 따랐다. 그러나 방위가 다르고 풍토가 달라 사람의 성품이 또한 각각 다르니 동화될 필요 없다.” 泰封國王弓裔 其先平壤人 本報德王安勝之遠裔也. 其父剛 從術家言 從母姓爲弓氏. 태봉국왕궁예 기선평양인 본보덕왕안승지원예야. 기부강 종술가언 종모성위궁씨. 태봉국의 왕.. 공감수 2 댓글수 0 2020. 8. 30.
  • 太白逸史- 大震國本紀 大震國本紀 朝代記曰 開化二十七年九月二十一日 平壤城陷落時 振國將軍大仲象 守西鴨綠河 聞變 遂率衆走險路經開原 聞風願從者 八千人. 乃同歸而東 至東麰山而據 堅壁自保 稱國後高句麗 建元重光. 傳檄所到 遠近諸城 歸附者衆. 惟以復舊土爲己任 重光三十二年五月崩 廟號曰世祖 諡號曰振國烈皇帝. 조대기왈 개화이십칠년구월이십일일 평양성함락시 진국장군대중상 수서압록하 문변 수솔중주험로경개원 문풍원종자 팔천인. 내동귀이동 지동모산이거 견벽자보 칭국후고구려 건원중광전격소도 원근제성 귀부자중. 유이복구토위기임 중광삼십년오월붕 묘호왈세조 시호왈진국열황제. 『조대기』에 이르길 개화 27년(단기 3001, 668) 9월 21일, 평양성 함락 때 진국장군 대중상은 서압록하를 지키다가 변을 듣고 마침내 무리를 이끌고 험한 길을 달려 개원을 지나는데..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8. 28.
  • 太白逸史- 高句麗國本紀 高句麗國本紀 高句麗之先 出自解慕漱 解慕漱之母鄕 亦其地也 고구려지선 출자해모수 해모수지모향 역기지야. 고구려의 선조는 해모수로부터 시작되는데 해모수의 고향이 또한 그 땅(고구려 : 지명)이다. 朝代記曰解慕漱從天而降 嘗居于熊心山. 起兵於夫餘古都 爲衆所推 遂立國稱王 是謂夫餘始祖也 着烏羽冠 佩龍光劒 乘五龍車 從者百餘人 朝則聽事 暮則登天 無所令而管境自化 山無盜賊 禾穀滿野 國無事而民亦無事. 조대기왈 해모수종천이강 상거우웅심산. 기병어부여고도 위중소추 수립국칭왕 시위부여사조야. 착오우관 패용광검 승오룡거 종자백여인 조즉청사 모즉등천 무소영이관경자화 산무도적 화곡만야 국무사이민역무사. 조대기에 이르길 “해모수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웅심산에서 살다가 부여의 옛 서울에서 군대를 일으켜 무리에게 추대되어 나라를 세우고 왕이 .. 공감수 2 댓글수 0 2020. 8. 21.
  • 太白逸史-참고 자료 5典, 5事, 5倫... 참고 桓 國 五 訓 誠信不僞 성신불위 첫째 모든 일에 정성과 믿음으로 행하여 거짓이 없게 하고, 敬勤不怠 경근불태 둘째 공경하고 근면하여 게으름이 없게 하고, 孝順不違 효순불위 셋째 효도하고 순종하여 거역하지 말고, 廉義不淫 염의불음 넷째 청렴라고 의를 지켜 음란하지 말고, 謙和不鬪 겸화불투 다섯째 겸양하고 화평하게 지내어 싸움을 하지 말라. 三 倫 父 子 愛 之 綱 부자애지강 君 民 禮 之 綱 군민예지강 師 徒 道 之 綱 사도도지강. 經(三一神誥)云 ‘人物 同受三眞 惟衆迷地 三妄着根 眞妄對作三途.’ 경(삼일신고)운 ‘인물 동수삼진 유중미지 삼망착근 진망대작삼도’ 경(삼일신고)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사람과 만물이 다 함께 3가지 본성을 받았으나, 오직 어리석은 무리들은 미혹에 빠져 3가지 망령됨에 ..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8. 21.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